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대성 지향의 디자인교육 패러다임 연구

        김예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이 연구는 동시대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시대적인 디자이너 상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는 디자이너의 양성과 배출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20세기의 산업사회에서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은 정치, 경제, 문화를 포함한 사회 모든 면에서 기술과 정보를 바탕으로 외형과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산업사회와 지식정보화 사회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급변성이다. 매순간 새로운 기술과 정보들이 쏟아지고, 새로운 분야가 생기는가 하면 기존의 분야 내에서 새로운 분야가 파생되기도 한다. 급변하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디자인의 패러다임도 예외일 수는 없다. 따라서 산업과 문화의 교두보역할을 하고 있는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고찰은 동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이너 교육의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디자인 교육은 본질적으로 산학연계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국내대학들은 디자이너 양성교육에서 이러한 특수성을 간과한 채 단순히 일련의 학과 또는 세분화되고 답습된 전공의 틀 속에서 디자이너 교육을 실행해왔다. 그 결과 대학의 디자인 교육에서 산업적 요구를 수용하는 면이 미흡했고 또한 국내대학들의 난립 이후 도래한 대학의 재정적 위기도 이에 전문디자인 교육에 악재로 작용을 해왔다. 대학의 운영에 바탕이 되는 재정이라는 실질적인 면에서도 디자인 교육과 산업의 연계성은 필수적이다. 한편 대학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무시할 수는 없다. 교육, 연구, 봉사는 대학이 가진 본연적 기능이고 사회적 책임 수행의 의무이기도 하다. 이에 두 가지 대립 요소인 산업적 특수성과 대학의 본연의 기능을 융합시키는 디자인전문대학원의 존재가 부각되고 있다. 동시대성을 지향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대학에서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로의 세계적인 변화에 따라 해외 몇몇 디자인 대학원에서는 이미 선진 디자인 교육이 정착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디자인전문대학원들에서도 그 흐름에 맞추고자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물건과 서비스의 창조자’ 김현미, 시각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기업가 정신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권 6호, 2015, p.131 로서 책임을 질 수 있는, 기존과는 다른 위치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디자이너 양성을 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서 국내, 해외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전문적인 디자인 교육으로 일시적인 유행이나 시류에 편승하는 것이 아닌 지나간 시대와 다가올 시대의 시공간적 거리를 둔 ‘시차’에 의한 ‘틈’을 통해 시대를 읽고 예측해서 흐름을 선도해 갈 수 있는 디자이너의 지속적인 양성은 향후 디자이너의 위치와 역할뿐만 아니라 디자인 산업 구조를 바꿀 원동력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높여준다. 정보공유 미디어기기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발달로 인한 정보지식 기반사회로의 변화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은 전파와 공유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국가 간, 기업 간의 기술 격차를 줄였다. 그리하여 과거 디자인이 대기업의 전유물이었다면 이제는 일반인도 자신의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디자이너가 ‘전문가’로서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은 계속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대답을 본 연구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국내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은 디자인 전문 인력 부족으로 독자적인 브랜드와 디자인 등을 자력으로 개발하고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산업 현실에서 디자인 교육은 실무에 바로 투입될 뿐 아니라 디자인의 전문성과 성취의 수준을 높이는 디자인 기업가를 필요로 한다. 전통적으로 사회에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무만을 강조했던 교육에서, 스스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독립적인 경제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디자이너 동일출처 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교육으로의 이동이라는 면에 현실적으로 대학 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본다. 이 연구는 이 같은 디자인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사례를 통해 디자인 전문대학원 존재와 해당교육의 당위성을 입증한다. 또한, 전문 대학원이 용역 기반의 디자인 산업 구조를 스스로 바꿔갈 수 있는 자생력을 지닌 디자이너를 양성함으로써 교육을 통한 디자인 구조를 재정립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변화에 따른 시대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디자인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동시대적인 디자인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을 예측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과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교육동향을 포함한다. 그리고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의 디자인 지원 사업과 산업부 과제 수행 과정 추적조사를 통한 디자인 교육의 지향점을 논한다. 나아가 해외 디자인대학원의 다 학제간 융합 커리큘럼과 동시대적 디자이너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2장에서는 동시대성의 이론적 고찰과 시대의 흐름에 따른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동시대성의 개념적 의미에 대해 이론적 조사를 하고 이를 통해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는 동시대적 패러다임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돕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철학자들이 연구, 토론을 하며 남겨온 동시대성과 동시대인에 대한 정의를 알아봄과 동시에 그 개념이 앞으로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제시 한다. 또한, 20세기 산업 사회의 디자인 패러다임과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가 가져온 디자인 패러다임에 대해 조사해 보고 사회적인 패러다임이 디자인 패러다임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그로 인한 디자인 교육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동시대성 교육 동향에 대한 내용이다. 해외 디자인 교육기관은 RISD의 다학제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과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고, 알토대의 정부 주도하의 융합교육 프로그램과 자생 가능한 디자인 생태계를 구축을 위한 학교의 노력을 알아보았다. 국내 디자인 교육기관으로는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와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의 융합디자인교육과정을 통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학제 기반 융합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4장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학과에서 추구하는 동시대적 교육 사례 연구로 2009년부터 시작된 사회적 기업과 연계한 디자인 지원 사업을 살펴본다. 교육의 사회적 책임에 따른 대학의 동시대적 움직임을 통해 교육과 산업이 상생하는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하는 대학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산업부과제의 일환인 기업연계형 인재 양성프로그램 사업을 통해 산업을 주도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고자 한다. 대학은 주문-생산 형식의 현재의 디자인 용역 기반 구조를 탈피해서 주도적으로 프로젝트 발생 능력을 겸비한 디자이너 양성과 배출이 가능해야한다. 이는 앞으로의 디자인 산업 구조에 적합한 디자인 전문 이력 양성이 우리가 당면한 디자인 교육의 과제이며 그에 맞는 동시대적인 해결안을 목표로 제시한다. 기존의 산학협력체제에서 기업과 학생간의 갑-을 구조와 같은 부작용이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극복할 수 있고 현재 교육체제에 응용이 가능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환경과 관계없이 자생 가능한 디자이너를 키워내는 교육을 제안한다. 이에 산업부의 기업 연계형 인력양성프로그램 과제 수행을 통한 학교-학생-기업의 선순환 구조를 경험함으로써 주도적인 디자이너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재구성된 디자인 생태계를 제안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이 주문에서 시작되는 용역 기반의 구조였으나 교육의 기회를 통한 디자이너 스스로의 기획, 생산체계로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 시대에 창조적인 디자인 사고가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의 키워드는 ‘통섭, 융합, 동시대성’이다. 비즈니스와 디자인, 디자인과 기술, 기술과 비즈니스 이렇게 서로 다른 영역이 동시대성을 만났을 때 우리는 새로운 시너지를 발견할 수 있다. 이질적인 영역이 융합하여 발생하는 시너지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가진 인재양성이 우리 디자인 교육의 동시대적 해결안일 것이다. Abstract A Study of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 by Kim, Ye Eun Dep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contemporaneity,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image of contemporaneous designer, and to seek a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suitable to that image. The shift from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to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has led to the changes of forms and paradigm in all aspect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industrial society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rapidity of changes. In every moment, new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flow out, a new area is created, and a new area in an existing area is born. In the rapidly chan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design paradigm cannot be exceptional. Thus,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examine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hich serve as bridgeheads of industry and culture. That’s because of the fact that examination of changes of design paradigms is precondition of designer education demanded by the contemporary age. As desig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industry, design education cultivating designers is essentially characterized by industry-college link. However, Korean colleges, ignoring such a special characteristics of designer cultivation education, have performed designer education in the frame of a series of departments, or divided and traditional majors. As a result,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not been sufficient in accepting demands of related industries in design education. Financial crises of Korean colleges caused by emergence of too many colleges have served as negative element to special design education, as well. In the practical aspect called finances which works as the basis of college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link design education and related industries. Meanwhile, we cannot ignore the original functions and roles of college.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re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and its duty to the society. Accordingly, the existence of graduate school of design which can fuse industrial specifics and original functions of college is highlighted. The design education paradigm seeking contemporaneity is required in college. With the global changes toward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society, some graduate schools on design have already adopted advanced design education. To keep up with such a trend, Korean graduate schools on design too try to cultivate designers who can ‘creat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can survive in the market’ and perform role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ages, and in different positions than those of previous ages. Considering such elements, this study compared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cultivation of designers who do not free-ride temporary fads and moods, but can read the age and predict the future trend, and lead the flow through ‘a crack’ of ‘time lag’ of space-time distance between the past age and the future age can not only boost the position and role of designers in the future, but raise the possibility that it will serve as energy to convert the design industrial structure. Another big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hanges into information and knowledge-based one caused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sharing media devices and digital technology is electric wave and sharing. These two elements have narrowed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countries and between companies. Accordingly, design was monopolized by big companies in the past. But, now, common people can ‘design’ for their own businesses. In such contemporary circumstances, the question whether designer will maintain its position as ‘specialist’ has continuously existed.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Owing to lack of design-specialists, mos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have difficulty to develop and use their unique brands and designs for themselves. In such a situation in industrial places, design education needs to cultivate designer businessmen who can immediately start to work in such companies, and, raise levels of speciality and achievement of desig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college education has contributed in reality in the aspect of change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emphasizing only on practices aiming to teach knowledge and techniques needed to provide design services to the society to the education searching for and cultivating designers who can develop contents for themselves and play the role of independent economic subjects. Using the case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iming to cultivate such designers, this study proves justification of such graduate school and related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to reestablish design structure through education by cultivating designers who have potentials to convert design industry structure for themselves. By examining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age and corresponding changes of social and design paradigms, this study predicts a design education paradigm based on contemporaneous design philosophy. The research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education trends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and other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it discusses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rough follow-up investigation of the design support project of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and performance of the Ministry of Industry project. Furthermore, by showing interdisciplinary fusion curricula and contemporary designer cultivation programs, it implies that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paradigms are changing. Chapter Ⅱ examines theories of contemporaneity and changes of design paradigms with the change of time. After doing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s of contemporaneity, it tries philosophical approach. It is the stage to help understand basic concepts for researches of contemporaneous paradigms. In this stage, it examines definitions of contemporaneity and contemporaneous people discussed by various philosophers in various ages, and it offers how we can apply the concep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nvestigates design paradigms of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and those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how social paradigms affect design paradigms, and how corresponding design education paradigms have changed. Chapter Ⅲ deals with contents of contemporaneity education. As desig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foreign countries, the multi-discipline-based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 on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ers of RISD, and the government-led fus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establish sustainable design eco-system of Aalto University. As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chapter deals with multi-discipline-based fusion projects in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of KAIST and the fusion design 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l Design, Hongik University. Chapter Ⅳ treats the contemporary education case study pursued by Visual Design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Techno-design, Kookmin University. It is the design support project linked with social enterprise which started in 2009. We can notice efforts of universities to build a eco-system where education and industry can coexist through contemporary moves of universities according to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y try to cultivate industry-leading designers through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part of the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dustry. College should be able to cultivate and generate designer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create project by themselves, escaping the current design service-based structure with the form of order-production. It argues that it is our challenge to cultivate design specialists suitable to the future design industry and suggests a contemporaneous solution matching it. In the existing industry-college cooperative system, some negative effects lik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and students were revealed. Thus, the chapter offers a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can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and be applied 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an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survive for themselves regardless of environments. Based on the virtuous cycle of school-student-company through performing the company-linked talent cultivation program, this chapter offers a design ecological system where designers can display their capacities as they wish. Chapter Ⅳ inspects conversion education systems in graduate schools of design in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s global design education whose paradigms are changing. It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sciplinary education of Aalto University and RISD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and of other universities with contemporaneous trends.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while the Korean design industry has been the service-based structure which starts with order, it can be changed into a new structure where designers make plans and make products for themselves by educating designers. The key words of education which cultivates designers who can think creatively in this new age are ‘conversion, fusion, and contemporaneity’. When different fields such as business & design, design & technology, or technology & business meet together, we can discover new synergy. Cultivation of talent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solve given problems by synergy acquired from fusion of different fields may be contemporaneous solutions of Korean design education.

      • Synthetic studies on 1-alkoxyindole and 1-acyloxyindole compounds

        김예은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An efficient one-pot synthesis of new multisubstituted 1-alkoxy(acyloxy)indole 1 and 2, and their mechanistic studies are presented. Target compounds 1 and 2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via sequential 4 step reactions in one-pot using substrates 3 and 4. The substrates 3 and 4, obtained through a 2-step synthetic step, underwent three sequential reactions of nitro reduction, intramolecular cyclization and nucleophilic 1,5-addition to provide the intermediates, 1-hydroxyindoles 9 and 10, and these were subsequently alkylated (acylated) in situ in the presence of base and organyl halides in one-pot to give the target products 1 and 2 in good to modest yields (38 examples, 11–41% yields for 4 steps). The reaction conditions for 1 and 2 along with the consideration of formation of intermediates 9 and 10 were optimized. The optimized condition was SnCl2·2H2O (3.3 eq) and nucleophile (2.0 eq) for 1–2 h at 45 ℃ and then, base (10.0 eq) and organyl halides for 1-alkoxyindole 1 and 2 and base (14.0 eq) and acetic anhydride or acyl chloride (2.0 eq) for 1-acyloxyindole 1, for 1–4 h at 25 ℃. Furthermore, the studies on mechanistic aspects including the reaction pathway were also elucidated.

      • 특수체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김예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수체육활동을 실시하였을 때에 학생들의 사회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적, 질적인 검증을 함으로써 특수체육활동의 중요성과 가치를 조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K구에 위치한 E발달센터에 소속된 12명의 지적장애 중학생이다. 이들 중 6명의 실험집단에게는 특수체육활동을, 6명의 통제집단에게는 일반체육활동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 연구를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Gresham과 Elliot(1990)이 개발한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SRS)를 문성원(2003)이 우리나라의 사회적 특성에 맞게 적용한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K-SSRS)이고, 질적 연구를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활동 중의 실험집단의 사회적 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사회적 행동 관찰 척도이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시기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회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실험집단의 경우에 사후가 높게 나타났고, 집단과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특수체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회기를 거듭할수록 학생들의 부정적인 사회적 행동들은 감소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로써 특수체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사회성을 향상시켜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특수체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 : 신경계 환자 간호를 중심으로

        김예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neurologic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it. Method: This study was a pre-post test design with a single group.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The scenario consists of objectives, fidelity, problem solving, student support and debriefing, focusing on nursing assessment with neurological observation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scenario, a pre- and post-test was conducted to research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simulation-based scenario using standardized patients to learning. In addition, a post-test was conducted to survey the learning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ase scenario for a patient with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In the result of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using standardized neurologic pati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and the satisfaction score after learning was high. Conclusion: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neurologic patients,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had improved problem solving abilit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the nursing student will grow up to be a professional nurse by learning the nursing assessment including consciousness assessment. Also, the simulation-based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patient should be developed in the various fields.

      • C. Debussy의 가곡집 「Ariettes oubliées」의 피아노 반주에 대한 연구

        김예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프랑스 음악을 대표하는 클로드 아실 드뷔시(Claud Achille Debussy,1862 - 1918)는 19세기 낭만주의에서 20세기 현대음악 으로 이어지는 과도기 시기에 인상주의 음악과 자신만의 새로운 예술 사조를 만들어내며 20세기 프랑스 음악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작곡가이다. 드뷔시는 암시적인 표현을 추구하는 상징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아 감각적인 화성과 불분명하고 모호한 경계와 진행, 색채적인 음색의 표현을 강조하였고, 인상주의 회화의 영향으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표현보다는 감각에 따른 순간적인 인상이나 분위기를 표현하는 음악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그의 인상주의 음악은 프랑스 예술가곡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그가 남긴 훌륭한 작품들 중 상징주의를 대표하는 프랑스 시인 폴 베를렌느(Paul Verlaine, 1844 - 1896) 시를 가사로 작곡한 초기가곡 잊혀진 노래 「Ariettes oubliées」를 살펴보려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곡에서 전하고자 하는가사 내용과, 형식 및 화성을 분석하여가사 뒤에 숨겨진 음악적 분위기를 피아노 파트로 어떻게 효과적으로 표현해 낼 것인지 살펴보고, 반주 할 때에 인상주의 음악임을 인지하며 그에 맞게 미세하게 변하는 음색과 색채를 표현하여 성악가가 목소리로 시를 전달함에 있어서 부족한 부분을 피아노로 함께 표현하고 연주하는 것을 연구할 것이다.

      • 급성기 암병동 간호사의 웰다잉 인식 및 하부 요인 분석

        김예은 가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급성기 암병동 간호사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웰다잉인식 하부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임종기에 있는 암환자에게 질 높은 웰다잉 간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암 전문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 암센터 암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2017년 2월 23일부터 3월 10일까지 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문항, 직무관련특성 7문항,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Concept of a Good Death Scale을 본 연구자가 한국어로 표준화하고 도구개발자로부터 승인 받은 웰다잉 인식도구 17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프로그램 Ver. 23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웰다잉 인식은 연령에서(t=-2.48, p=.015)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세부요인에서 통제감은 종교에서(t=-2.42, p=.017), 임상증상은 연령에서(t=3.15, p=.002)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 변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 중 전체 웰다잉 인식과(t=-2.48, p=.014) 하부요인 중 임상증상에서(t=-2.75, p= .007) 경력에 따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 외 웰다잉 교육 경험, 업무 스트레스, 소진은 웰다잉 인식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대상자의 제 특성과 웰다잉 인식간의 상관관계에서 일반적 특성인 연령은 경력(r=.728, p<.01)과 웰다잉인식(r=.182, p<.05)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령과 하부요인인 친밀감 (r=.157, p<.05), 임상증상 (r=.192, p<.05) 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과 통제감은 상관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직무관련 특성인 경력은 전체 웰다잉인식(r=1.89, p<.05)과 하부요인인 친밀감 (r=1.62, p<.05), 임상증상(r=1.92, p<.05)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감은 상관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웰다잉 하부 요인인 친밀감은 임상증상(r=.399, p<.01), 통제감(r=.467, p<.01), 웰다잉 인식(r=.879, p<.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증상은 통제감(r=.393, p<.01), 웰다잉 인식(r=.722, p<.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급성기 암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웰다잉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88점 이었다. 하위요인에서는 친밀감이 3.26 점으로 가장 높았 고 임상증상 2.56점, 개인통제는 2.26점 순 이었다. 5. 대상자의 웰다잉 인식 하부요인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급성기 암병동 간호사의 웰다잉 인식은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새롭게 분류된 4번째 요인은 ‘당사자가 집에서 머무를 수 있는 것', '자면서 죽는 것', '당사자가 중대사가 진행될 때까지 사는 것', '가족이나 의사들이 당사자가 바라는 것들을 따르는 것’이다. 이 요인은 '복된 죽음'으로 명명하였으며 기존의 친밀감 에서 3문항, 임상증상 1문항이 모여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잘 죽는 것을 오복(五福) 중 하나로 여기고 자손들이 잘사는 것을 보며 집에서 자다가 죽는 것을 잘 죽는 것으로 인식하는 한국인의 특징적인 웰다잉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결과 암병동 간호사의 웰다잉 인식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 및 연구가 개발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임종기 암환자의 질 높은 삶의 마무리를 위한 의료진과 환자, 가족간 의사소통의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추후 임종기 암환자를 위한 암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Schwartz 등(2003)의 Good death scale 을 이용한 웰다잉 인식 연구 진행 시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대상자 군에 따른 요인의 차이를 확인해 볼 것을 제언한다.

      • 성차별의 두 얼굴 : 성차별 담론의 진화와 확장

        김예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seeks to employ theory of Modern Sexism to empirically detect and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ing and analyzing modern sexist attitude in Korea. The core task is to examine the cotext in which modern sexism was formed under the specific envirionment in Korea, which is as missing link in Korean political voting behavior literature. The thesis seek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individual factors and modern sexist attitude among Koreans in recent years. Results suggest that modern sexist attitudes diverge based on gender and age. The notable point is that unlike the general trend of a stronger sexist attitude as age increases, the lower the age for men, the higher the modern sexist attitude. There are two types of sexism: old-fashioned and modern. Both are strongly related to conservative poltical attitude on economic issues, but modern sexist attitude had stronger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self-reported ideology and policy preference on social issues. In addition to empirically studying and testing the Modern Sexism theory, this research treats Modern Sexist attitud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ries to explain it in terms of the reason of its rise in Korea. Through such an empirical analysis, it is expected the Korean society could comprehend the various levels of stereotypes and sex discrimination that are observed in itself. 본 논문은 현대적 성차별주의 이론과 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성차별주의에 대한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현대적 성차별 태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가 간과한 현대적 성차별이 형성된 맥락을 사상적인 차원과 한국의 구체적인 배경 하에서 고찰해보고, 다양한 개인적 요인들과 현대적 성차별 태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현대적 성차별이 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그 정치학적인 함의를 발굴하고자 했다. 연구의 분석 결과, 현대적 성차별에 대한 태도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성차별에 대한 태도는 강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여성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현대적 성차별에 대한 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일반적인 경향을 보인것과 달리 남성의 경우, 오히려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이 태도가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나 독특한 모습을 보였다. 현대적 성차별과 전통적 성차별의 특징적인 차이는 보수적인 이념 성향과의 관계에서 포착되었다. 두 유형의 성차별은 공통적으로 경제적 이슈에 대한 보수적인 정치적 태도에 영향을 받았지만, 현대적 성차별은 보수적인 주관적 이념성향과 사회적 이슈에 대한 태도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통적 성차별이 여러 요인들을 통제했을 때, 보수정당에 대한 지지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달리 현대적 성차별에 대한 태도는 어느 정당에 대한 지지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아직 국내 연구에서 심도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현대적 성차별 이론과 척도를 활용하여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그 특징들을 한국적인 맥락에서 분석하였다는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현대적 성차별을 주로 독립변수로 다루었던 것과는 달리 현대적 성차별 태도를 종속변수로 상정하여 이 태도에 미치는 여러 개인적인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의 부족한 지점들을 보완하였다. 이러한 경험적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에 목격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편견과 성차별이 보다 세심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K. 576》 분석 연구

        김예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18세기 고전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어린 시절부터 음악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였다. 그는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등 전 유럽을 여행하며 배운 여러 나라의 음악 양식을 본인만의 독창적인 음악어법으로 구사하였고, 35세의 짧은 생애 동안 오페라, 교향곡, 협주곡, 미사, 실내악곡, 소나타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600여 곡 이상 남겼다. 모차르트는 클라비어(Klavier) 연주자로도 활발히 활동하였고, 건반악기 작품은 대부분 본인의 연주나 교육을 위하여 작곡하였다. 그는 18개의 피아노 소나타를 비롯하여 변주곡, 춤곡, 론도 등 약 70여 개의 건반 독주곡을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모차르트의 마지막 피아노 소나타 작품인 《피아노 소나타 K. 576》을 연구하였다. 먼저,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의 특징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후기 작품 중 하나인 《피아노 소나타 K. 576》을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K. 576》은 세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악장은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Sonata Allegro Form), 제2악장은 복합 3부분 형식(Compound Ternary Form), 제3악장은 변형된 소나타-론도 형식(Sonata-Rondo Form)으로 나타난다. 이 곡은 일반적인 고전 소나타형식에서 제1주제와 제2주제가 대조적인 성격으로 나타나는 것과 달리, 동일한 선율을 원조-딸림조의 조성의 대비를 통해 주제를 나타내는 단일주제기법(monothematic)을 사용하여 작곡된 것이 특징이다. 이 기법은 제1악장과 제3악장에서 사용되어 음악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하며, 선율적인 면에서는 모방과 성부의 전위와 같은 대위법적 진행으로 곡 전체에 균형감을 더해준다. W. A. Mozart (1756-1791) who represented the Classical era in the 18th century had shown an innate talent since young. He travelled to various European nations including Germany, the Netherlands, France and United Kingdom, while demonstrating various musical styles with his own original music form. During his short life - he died at the age of 35 - he composed over 600 works of diverse genres: opera, symphony, concerto, mass, chamber music, sonata, etc. Mozart was an active Klavier player as well. He composed most of keyboard instrument works for his performance or education. He left about 70 keyboard solo works including 18 piano sonatas, variations, dance music works and rondos. This study reviewed his last piano sonata 《Piano Sonata K. 576》. Above all,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his piano sonatas by period, and then, analyzes one of his later works 《Piano Sonata K. 576》. Mozart’ 《Piano Sonata K. 576》 consists of 3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has the sonata allegro form, and the second movement has a compound ternary form. The third movement shows a varied sonata-rondo form. In the ordinary Classical sonata forms, the first theme was set in contrast with the second theme, but this sonata features a monothematic technique expressing the theme through the contrast of the same melody on the original key and the dominant key. This technique is used in the first and third movements only to bring unity to the music.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melody, such counterpoint-wise progression as imitation and inversion gives a sense of balance to the entire work.

      • 경계 상황 재현의 도구로서 '포셰(Poché)'에 내포된 다의성의 건축적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포스트모던 상황에서의 현대건축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예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포셰(Poché)’의 다의성이 도시 공간에 내포된 경계의 양가적 속성을 읽고, 불확정적 시대에 부유하는 이질적 관계들을 매개할 수 있다는 건축적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바로크 건축으로의 회귀로서 진단되는 포스트모던 상황의 건축은 인식 주체의 소멸과 타자의 개입을 수락함으로써 끊임없이 재 영토화를 이루고 있다. 이는 지속적인 도시 공간의 모호성에 의한 낯선 영역을 인정한다는 것인데, 미셸 푸코는 이러한 불확정적 도시 상황을 ‘헤테로토피아’로 제안한다. 헤테로토피아는 고착화된 관습을 해체하고 복수적 관계를 넘나들면서 끊임없이 생성되는 ‘차이’를 포함하는 장소로서, 예측 불가능한 변화가 지속되는 포스트모던 도시를 인식하는 이론적 바탕으로 작동한다. 그런데 건축은 이질적 요소들이 표류하는 상황을 포착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매개-어떤 것이 존재할 조건이 되어주는 일(헤겔)-하기 위한 건축적 대응이 아직 미비하며, 한편으로는 여전히 이데아적 구현이 가능하다고 믿는 듯 하다. 한편, 오늘날 건축은 도시의 ‘콘텍스트(Context)’와 불가분의 관계를 있으며, 건축 공간이 경계를 통해 상호 간의 관계를 결정한다고 할 때, ‘벽(Wall)’은 물리적이고 지각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벽은 독립적인 개체들 사이에서 일종의 역(域)을 형성하면서 두 개체 사이를 연계/분리하면서 다양한 장소성을 소개한다거나, 다른 한편으로 대상들 사이에서 다이얼로그(Dialogue)를 만들어내며 장소의 또 다른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벽의 경계적 다의성은 도면상의 ‘포셰’를 통해 재현되어 왔다. 특히, 1970년대 콜린로우(Colin Rowe)와 로버트 벤추리(Robert Venturi)는 ‘도시 맥락성’에 주목하면서, 도시 조직과 경계 상황을 조정하는 건축적 도구로서 ‘포셰’를 소환시킨다. 이는 모더니즘이 ‘절대적 창조세계’를 구현하기 위해 도시 공간을 획일적으로 동질화시키면서 외면한 복합성과 이질성을 수용하려는 시도에서 기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복잡성의 도시에서 맥락과 상황에 따라 그것의 성격을 달리 할 수 있는 포셰의 전환적 속성이 도시와 건축 사이에 드러나는 관계를 조율하고 공존시킬 수 있는 도구가 된다는 건축적 유용성을 발견한 것이다. 렘 콜하스(Rem Koolhaas-OMA)는 로우나 벤추리가 언명하는 포셰 개념이 다변화되는 도시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사실상 단편적이라는 한계를 비판하면서도, 포셰의 변증법적 잠재력에 주목하여 복잡화된 도시 공간의 속성을 유연하게 대처하는 건축 디자인 도구로서 다시 발전시킨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정된 진리체계가 없다는 시대(Heterotopia)에‘건축은 어떻게 다변화되는 도시 상황을 해석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가?’에 대해 포스트모던 상황의 건축사례를 분석하고 이질적 경계공간을 매개하면서 다양하게 변용 가능한 포셰 개념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포셰의 다의성은 다양한 관계들이 상충하는 현대 도시에서 건축의 역할과 디자인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하나의 단서로서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the architectural possibility that Poché’s equivocal nature can read the ambivalent properties of boundaries implied in urban space and mediate the heterogeneous relationships floating in the indeterminate time. The architecture of the postmodern situation, which is so-called revival of ‘Baroque’, is constantly re-territorializing by accepting the disappearance of the recognition subject and the intervention of others. This recognizes unfamiliar areas due to the continuous ambiguity of urban space, and Michel Foucault proposes this indeterminacy urban condition as a Heterotopia. Heterotopia is a place that deconstructs fixed biased view and contains 'difference' that is constantly generated across multiple relationships, and serves as a theoretical basis for recognizing postmodern cities where unpredictable changes persist. Meanwhile, Architecture seems to believe that an idealistic implementation is still possible, without an architectural response to capture the drifting situa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and actively mediate(what becomes the condi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other). Today, architecture is inseparable relationship to the city's context, and when architectural space build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through boundaries, the "Wall" is a fundamental element of forming physical and perceptual boundaries. Walls introduce a variety of places, linking or separating between two individuals, forming a kind of contrary between independent individuals, or on the other hand, creating a dialog between the objects, enabling another interpretation of the place. The boundary diversity of these walls has been representated through Poché on the drawing. In particular, Colin Rowe and Robert Venturi in the 1970s, paying attention to 'urban contextuality', reviving the Poché as an architectural vehicle that coordinates urban organization and boundary conditions. Both found the Architectural possibility in that the transformative spatiality of Poché, which can play different identity depending on context and situation in the city of complexity, becomes a core for coexisting and coexisting border conditions that exist inside and outside the city and architecture. Additionally, It is throw away the Utopian system that tries to planed on the zero-based canvas(tabula rasa) by disregarding the urban Chaos, and to derive architectural meaning from the urban context by figure out the present values of the past. However, their thesis was fragmentary to respond to the diversifying urban situation. While criticizing their theoretical lack, Rem Koolhaas-OMA focuses on Poché’s creative potential and develops it again as an architectural design idea that flexibly responds to the properties of complex urban spaces. So, this study analyzes architectural cases in the postmodern condition and mediates heterogeneous boundary spaces on 'How can architecture interpret and respond flexibly to diversified urban context?' in an era when there is no fixed truth system (Heterotopia) while deriving a concept of poché that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Consequently, the equivocal nature of Poché can act as a clue to set the role and design direction of architecture in today's conflicting relationships.

      •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태도와 결정속성이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신뢰와 사용자효용 매개효과 중심

        김예은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ttempted to the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consumption attitude and determinant attributes on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roduct reliability and user utility in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 attributes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gainst Gen Z wome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MZers living in the capital region, who have used early anti-aging cosmetics before from October 3 to 16, 2022. A total of 893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mediation effect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Concerni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Generation M (born in 1980-1994)’ was the largest. In terms of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college graduate (undergraduate)’, ‘KRW 2-3 million’, ‘single’ and ‘office worker/professional job’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When asked how they obtain the information (ingredients, properties)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social media or YouTube’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how they purchase the cosmetics, ‘the Internet’ was most responded. In average monthly consumption for the cosmetics, ‘KRW 50,000-100,000’ was the highest. When asked what kinds of cosmetics they use for wrinkle care, ‘essence’, ‘ampoule’ and ‘serum’ were mostly responded. The married consumers pursued wise consumption while conspicuous or ethical consumption was found in those with sole proprietorship/freelancer in occupation and KRW 3-4 million in average monthly income. As wise consumption and ethical consumption increased, all sub-factors of determinant attributes, product reliability, user utility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improved. In addition, as product quality and economic efficiency decreased while user utility and purchase intention increased, conspicuous consumption was higher. As all sub-factors of determinant attributes increased, product quality, user utility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higher. As product quality and brand image improved, purchase intention increased. Furthermore, product reliability improved, all sub-factors of user utility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were higher. As user utility increased, all purchase behavior intention factors improved.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product reliability and user utility in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 attributes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Specifically, product reliability and user utili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all sub-factors of determinant attributes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useful in enhancing cosmetics purchase behavior intention by increasing product reliability and user utility and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MZers’ consumption attitude as well as reliability and utility-proven early anti-aging cosmetics. 본 연구는 MZ세대 여성의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태도와 결정속성이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결정속성과 구매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 제품신뢰와 사용자효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수도권 MZ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3일부터 10월 16일까지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893부의 결과지를 토대로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는 M세대(1980~1994년생)가 가장 많았고, 대학교 졸업(재학)의 학력이 높았으며, 월 평균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으로 미혼의 사무/전문직 여성이 가장 높았다.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의 성분 및 특성 정보는 SNS/유튜브를 통해 획득하고, 월 평균 5~10만원의 비용을 지출하며, 주로 인터넷을 통해 구입하고, 주름예방의 기능적 효과를 위해 에센스/앰플/세럼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의 소비자들은 실용 소비를 추구하고, 자영업/프리랜서의 직업을 갖거나 월평균 소득이 300~400만원 미만인 소비자들은 과시 또는 착한 소비를 추구한다. 화장품 소비태도의 실용소비, 착한소비가 높아질수록 결정속성, 제품신뢰, 사용자효용, 구매행동의도의 모든 요인이 높아졌으며, 과시소비는 결정속성의 제품품질과 경제성은 낮아지고, 사용자효용, 구매의향이 높아질수록 과시소비가 높게 나타났다. 화장품 결정속성의 모든 요인은 높아질수록 제품품질, 사용자효용, 추천의향이 높아지며, 결정속성의 제품품질과 브랜드이미지가 높아질수록 구매의향이 높아졌다. 제품신뢰가 높아질수록 사용자효용과 구매행동의도의 모든 요인이 높아지고, 사용자효용이 높아질수록 구매행동의도 모든 요인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 결정속성과 구매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제품신뢰와 사용자효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제품신뢰와 사용자효용은 결정속성의 모든 요인과 구매행동의도의 모든 요인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제품신뢰와 사용자효용을 높임으로써 화장품 구매행동의도를 높여주고, 신뢰와 효용이 검증된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개발뿐만 아니라 MZ세대의 소비태도에 부합하는 중요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효율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