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lasmonic heterogeneous core-shell nanostructures with metal-organic frameworks

        김예람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플라즈몬 나노입자는 LSPR의 독특한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널리 연구되었습니다.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LSPR은 크기, 모양 및 구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지만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새로운 특성과 기능을 찾는 설계 전략은 많이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플라즈몬 나노입자와 금속-유기 골격체를 갖는 나노 물질을 연구하였습니다. Ⅰ장에서는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고유의 성질을 조작하는 것을 넘어, 이종 물질을 도입해 플라즈몬 나노입자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금속-유기 골격체 및 폴리머는 플라즈몬 나노입자에 도입되어 나노스케일 형태 개발, 광학 특성 및 나노센싱에서 시너지 상호작용을 달성했습니다. 플라즈몬 코어-MOF쉘 나노구조는 분석물 크기 선택적 라만 감지 능력을 보여 주었습니다. 또한, 플라즈몬 코어-폴리머 쉘 나노구조를 갈바닉 교환 반응에 사용하여 연질 및 경질 재료 계면 상호작용에서 파생된 비전통적인 나노스케일 형태를 개발했습니다. Ⅱ장에서는 암모니아 흡수제로서의 금속-유기 골격체를 연구하였습니다. 암모니아 흡착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2종의 금속과 2종의 유기 리간드와의 수열반응을 통해 4종의 MIL-101 을 합성하였습니다. MIL-101 시리즈의 암모니아 흡착 용량 및 암모니아에 대한 안정성도 조사했습니다. Ⅲ장에서는 4-nitrophenol 환원 반응의 촉매로서 ZIF-8과 유사한 구리 계 MOF를 다양한 용매로 형태와 결정성을 변형시켰습니다. 변형된 입자의 촉매 성능을 조사하고 개질된 입자의 특성을 연구했습니다. 우리의 연구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이종접합 플라즈몬 나노입자 및 MOF의 새로운 응용을 제안하며, 플라즈몬 나노물질에 대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lasmonic nanoparticles have been studied widely because of their unique optical properties from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SPR). Although LSPR of plasmonic nanoparticles can be tuned by engineering size, shape, and composition, it has been less studied to find their new properties and functions over such engineering strategies. In this paper, nanomaterials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metal-organic frameworks (MOF) were studied. In chapter Ⅰ, plasmonic nanoparticles introducing heterogeneous materials has been studied beyond engineering the intrinsic properties. Metal-organic frameworks and polymers were incorporated with plasmonic nanoparticles to achieve synergistic interactions in nanoscale morphology development, optical properties, and nanosensing. Plasmonic core-MOF shell nanostructures displayed analyte size-selective Raman sensing capacity. In addition, plasmonic core-polymer shell nanostructures were used for galvanic exchange reaction to develop unconventional nanoscale morphology derived from soft and hard material interfacial interactions. In chapter Ⅱ, MOF as ammonia adsorbent was studied. To measure ammonia adsorption capacity, four type of Matérial institut lavoisier (MIL-101) were synthesized through hydrothermal reaction with two type of metal and two type of organic ligand. Uptake of ammonia and stability against ammonia of MIL-101 series were also investigated In chapter Ⅲ, as catalyst for 4-nitrophenol reduction reaction, copper-based MOF resemble ZIF-8 were modified morphology and crystallinity with various solvent. The catalytic performance of modified particles were investigated and the properties of modified particles were studied. Our studies could guide further development in plasmonic nanoparticles and MOF with core-shell structure and enhancing the application of heterogeneous plasmonic nanomaterials.

      • 스키마 이론을 활용한 고등학생 영어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 연구

        김예람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스키마 이론(schema theory)을 활용한 고등학생 영어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독해와 스키마 이론에 대하여 고찰하고, 스키마를 활용한 효율적인 독해방법을 모색하여 이러한 교수학습법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스키마 이론과 관련된 다양한 독해 활동과 스키마 이론이 적용된 실제 교실 수업지도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문헌연구 결과 스키마 이론에 의하면, 학습자가 가지고 있거나 경험에 의해 형성된 스키마는 독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이며, 독해 학습 텍스트는 ㈜능률교육에서 2013년도에 출판한 2009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실용영어Ⅰ(High School Practical EnglishⅠ)」 교과서 6단원 “Smart Life" 본문을 선정하였다. 이단원은 스마트폰 사용에 관련된 내용으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이미 스마트폰에 대한 배경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텍스트를 친숙하게 느끼며 이해하여, 스마트폰에 대한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성화시켜 텍스트에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지문을 독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스키마 이론을 토대로 학습자가 흥미를 느끼며 독해를 능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목과 그림을 통한 예측활동, 브레인스토밍, 훑어 읽기와 특정 정보 파악하기, 주제와 관련된 토론하기 등의 다양한 독해 활동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키마 이론이 적용된 독해 학습 활동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수업에서 스키마 이론을 활용하여 학습지도를 체계적으로 실행해야 할 것이다. 그러하면 학습자의 영어 독해 능력 향상과 더불어 영어교육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schema theory in order to seek the efficient reading methods in high school. In this way, this theory tried to understand how such teaching method affect reading while proposing a practical teaching plan with both various read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schema theory and the schema theory itself. According to the schema theory, this schema could help learners to read and understand a new text easily and efficiently by encouraging the learners make a good use of their own experiences and background knowledge. In addition, the schema supports the learners to overcome linguistic flaws and limits as it provides them with some omitted information in a writing helping the learners with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n the text. For that reason, the schema is regarded as one of the best helps learning materials to learners when they try to read. Hence, when learning reading, the learners need to actively use the schema theory. Freshmen at high schoo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for a text to be investigated, Chapter 6 "Smart Life" of「High School Practical English Ⅰ」by Neungyule Education Inc. in 2013 was chosen. The study chose this chapter because it could arouse the learners' interest as discussing smart phone use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life of them. In addition to this, since those learners were already using smart phone or had experience with it, they turned out to have 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on such phone. The study, therefore, expected that the learners here could read and understand the text more efficiently by working on their own background on the smart phone. As for reading activities with the schema theory applied, there are guessing by title and pictures, brainstorming, skimming and scanning for specific information and having a discussion over a topic. The teaching plan in this study was designed upon three reading activities as (guessing by title, guessing by pictures and brainstorming) so that it could be actually used in real class.

      •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을 통해 본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 : '페이스북 라이브'와 '인스타 라이브'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를 중심으로

        김예람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기존의 소셜미디어 매체에서 새롭게 서비스되는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이용 동기를 밝히고 이용 동기와 이용자 개인적 특성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적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를 ‘함께 있는듯한 느낌’으로 정의되는 사회적 현존감이 매개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이용 동기 요인을 문헌연구에 따라 오락/즐거움, 정보추구, 현실도피, 사회적 상호작용의 4가지 하위 차원으로 측정하였고, 개인적 특성을 혁신성, 자기표현, 자기노출의 3가지 하위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더불어 자기표현과 자기노출이 사회적 현존감을 통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개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 동기의 오락/즐거움, 정보추구, 현실도피는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 자기표현, 자기노출은 모두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가설 1과 연구가설 2와 관련하여 자기표현과 자기노출 성향 모두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현존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대상 및 연구매체가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의의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앞으로의 뉴미디어 동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실시간 동영상과 관련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와 관련한 연구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연구를 확장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 동안의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다뤄졌던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 SNS 실시간 동영상 이용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특징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새로운 뉴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하는 이용자들의 성향을 확인해 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논의 뿐만 아니라 실무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 전시공간 분석을 통한 관람행태 예측방법 연구

        김예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가 발전할수록 문화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그 수요가 늘어난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전시공간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 수적인 증가에 그치지 않고 질적으로도 향상된 전시공간 디자인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시공간은 고정된 전시물 사이로 움직이는 관람객을 통해 의미가 생기며, 관람객의 움직임은 공간의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전시 공간을 기획하는 시점에서 공간 배치와 동선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관람행태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큐레이터의 직관에 의해서만 전시공간 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있어 공간에 대한 분석과 관람행태에 대한 고려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공간구조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로 분석하고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이 공간구문론이다. 이를 활용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보행밀도는 공간구문변수인 통합도에 비례한다. 이는 수많은 연구들로 증명되어 보편적 진실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전시공간에서는 그 관계가 적확하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허점이 있다. 이 연구는 전시공간에서 관람객의 동선을 결정하게 하는 요인을 찾아 관람행태를 예측하여 궁극적으로는 전시공간 디자인의 기획단계에서 공간 배치와 동선 계획의 체계를 마련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범위는 크게 공간요소와 행태요소로 나눌 수 있다. 공간요소의 범위로는 전시공간의 구조, 동선, 전시물의 규모와 배치가 포함된다. 행태요소의 범위로는 관람동선의 선택, 관람시간, 관심도, 관람빈도와 관람밀도가 해당된다. 분석 대상으로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제1전시실, 제2전시실, 제3전시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립민속박물관의 세 전시실은 동일한 전시목적, 같은 유형의 전시물, 비슷한 규모의 전시면적, 같은 방문자라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각 전시실이 서로 다른 공간구성을 가지고 있어 비교분석 대상으로 삼기에 적정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전시의 공간적 구성요소와 관람행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전시공간의 정량적 공간분석 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지인 국립민속박물관을 위상연계도 분석, 공간구문분석, 관람객 동선 추적조사, 관람객 설문조사, 전시물의 규모 측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추출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시공간 구조와 관람행태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박물관에서 관람객은 전시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작품 속을 이동하면서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이를 감상하게 된다. 따라서 전시공간이 만들어내는 관람행태를 예측하여 전시기획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시공간 구조와 관람행태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결과 통합도와 보행밀도가 비례한다는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는 전시공간에는 적확하게 적용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관람밀도는 전시물의 규모와 통제도의 역수를 곱한 값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 상관도가 매우 높았다. 분석대상의 수가 많지 않았다는 연구의 부족함, 관람객 설문조사에서 설문대상자 인원이 아주 많지 않는 한 오차범위가 넓어져 신뢰도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은 연구의 한계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효용 및 가능성은 큐레이터의 직관적인 전시공간 디자인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시공간 기획시 관람밀도를 예측하여 적절한 관람밀도의 분배 혹은 집중을 계획할 수 있다면 보다 향상된 전시공간 디자인을 이루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 분석한 상관도를 통해 동선의 자유도 지수를 예측하는 방법도 고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society progresses, the need for cultural space arises and its demand increases. This trend has led to a gradual increase of exhibition spaces, and now is the time to take a moment to think about the quality of exhibition space design, which not only has been increasing in number but also improving in quality. The exhibition space gains its meaning when visitors move between the fixed exhibits, while the movement of visitors is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the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visitors’ behavior in order to prepare a system of space layout and circulation when planning exhibition spaces. However, as the exhibition space design is conducted almost solely by the curator's intuition today, it is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the space and consider the visitors’ behavior. A methodology that can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with quantitative and objective indicators and predict movement is a space syntax. According to a prior study using the space syntax, walking density is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integration value of space syntax. This has been proven by numerous studies and has been accepted as a universal truth. However, the loophole of this study is that this relationship does not exactly apply in the exhibition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visitors’ behavior by finding the factors that decide the movements of visitors and thus ultimately help develop a system of space layout and circulation plan in the stage where the exhibition space design is planned. The scope of the stud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patial factors and behavioral factors. The scope of the spatial factors includes the structure of the exhibition space, the circulation, th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exhibits. The scope of the behavioral factors includes the selection of a circulation, viewing time, interest, viewing frequency and viewing density. The analysis targets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s first exhibition room, second exhibition room, and third exhibition room. The three exhibition rooms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ave the same exhibition purpose, the same type of exhibits, similar size of exhibition area, and the same visitors. Nonetheless, their different spatial compositions make it suitable for comparison and analysi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prior study on the quantitative spatial analysis method of exhibition space was first to be looked at, along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component of exhibition and visitors' behavior. Having the basis on the study that was previously made,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alyzed using methods of topological link analysis, space syntax analysis, visitors’ movements tracking, visitors’ surveys, and exhibition scale measurements. Based on the data extracted through this proc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hibition space structure and visitors' behavior was identified. In the museum, visitors will enjoy the show through direct and continuous visual contact as they move through the artwork that is fixed in the exhibition spa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visitors' behavior that the exhibition space produces and reflect it in the exhibition planning. To this end, the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correlation between exhibition space structure and visitors' behavior.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which suggested that the integration value and walking density are proportional, does not exactly apply to the exhibition space. The viewing density was in fact correlated with the value multiplied by the scale of the exhibit and the reciprocal of control value of the space syntax,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as very high. The lack of research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subjects that are available to be analyzed can be considered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Moreover, the likelihood of the reliability problems to occur due to having a wide margin of error caused by a small number of audiences can also be considered as another limitation factor. Nevertheless, the research’s utility and potential is that it can be used as a means to complement the curator’s intuitive exhibition space design. If the prediction of the viewing density can be made, and hence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or concentration of the viewing density becomes available, a better exhibition space will be achieved. Furthermore, the correlation diagram analyz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redic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circulation.

      • 시각과 청각을 활용한 영어 어휘 제시 방법이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어휘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예람 세종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교육의 목표는 일상생활에서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을 성공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휘 학습이 필수조건이며, 제2언어 학습자들이 기본적인 대화를 하기 위해서 2000개의 단어가 필요하며,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글을 읽기 위해서는 3000개의 단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Schmitt, 1997).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학교 영어 수업시간에는 많은 양의 어휘를 지도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므로 제한된 수업 시간 안에 학습자들이 학습해야할 많은 어휘를 가르치기 위해서 보다 효과적인 영어 어휘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 여러 영어 교육 현장에서 영어 어휘를 가르치기 위하여 시각 자료와 시청각 자료는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초급 영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어휘를 더 친근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시각과 시청각 자료가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하지만 청각 자료만을 제시하여 어휘를 학습시키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초등학생 대상의 영어 시험 결과가 학습할 때 제시하는 방법과 어떤 관계가 있을지, 다시 말하면, 시각이나 청각 등의 어휘 제시 방법에 따라 각 문제 유형에서 영어 어휘 능력 향상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아닌지 알아본 연구도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영어 어휘 제시 방법(시각+시각, 시각+청각, 청각+청각)이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교 1, 2, 3학년 86명을 대상으로 3주간 총 6차시의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앞서 학년 당 3개의 집단(시각+시각, 시각+청각, 청각+청각)으로 나누었으며,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사전 영어 어휘 평가를 실시하여 각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동일한 영어 어휘를 제시 방법에 따라 3주 동안 6번의 실험 수업을 한 후 학습자들의 사후 영어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한 달 후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에 대한 기억의 정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동일한 영어 어휘 검사를 통하여 지연 어휘 평가를 다시 한 번 더 실시하였다. 시각+시각 집단은 그림과 문자를 활용한 어휘 활동으로 교사가 그림과 문자를 보여주면서 어휘를 익히게 하였으며, 시각+청각 집단은 그림을 보여주고 뜻을 들려주면서 어휘를 학습하도록 하였으며, 청각+청각 집단은 어휘의 뜻과 발음을 들려주며 어휘를 익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 향상 정도에 있어 세 가지 영어 어휘 제시 방법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세 집단 모두 사후 어휘 평가 점수가 사전 어휘 평가 점수보다 많이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으므로 세 가지 영어 어휘 제시 방법 모두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년별로 각각 살펴보면 학년 간 동일한 어휘 수준을 보였던 학습자들이 세 가지 어휘 제시 방법으로 어휘를 학습한 후, 2학년과 3학년의 영어 어휘 점수가 1학년보다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영어 시험에서 많이 다루는 문제 유형(그림 연결하기, 뜻 고르기, 뜻 쓰기)에 따라 집단 간 어휘 학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뜻 고르기 유형에서의 사후 어휘 평가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뜻 고르기 유형에서 시각과 청각을 함께 제시한 집단이 각각 같은 감각을 제시한 두 집단(시각+시각, 청각+청각)보다 낮은 향상도를 보인 것으로 보아 두 채널을 활용하여 인지과부하가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학년별로 살펴보면 그림 연결하기 유형과 뜻 고르기 유형은 사전과 사후 어휘 평가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에 뜻 쓰기 유형의 문제는 세 학년 모두 사전 점수가 유사하였으나 어휘 학습 후에는 1학년에 비해 3학년이 유의미하게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또한 뜻 쓰기라는 인지적으로 과부하가 걸릴 수 있는 활동에서 3학년이 저학년보다는 학습의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영어 어휘 제시 방법에 따라 효과적으로 기억하는지(학습 직후 기억 정도와 학습 전 어휘 능력과의 차이 정도) 살펴본 결과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생기지 않았다. 학습을 한 후 지연 정도가 어휘 제시 방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학습을 하기 전 어휘 능력과 비교한 어휘 능력 향상도 에서도 어휘 제시 방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학습을 하기 전 어휘 능력에 비해 세 가지 방식 모두 유의미하게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점에서 어휘 제시 방법에 시사점이 있다. 다시 말해, 어휘 학습을 위해 시각과 청각을 적절히 활용하여 제시할 때 어휘를 장기기억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어휘 영어 제시 방법이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영어 교육 현장에서 시각과 청각을 활용한 영어 어휘 제시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학년과 문제 유형에 따라 세 가지 영어 어휘 제시 방법을 조절하여 사용 할 필요가 있다.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s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to use English in everyday life. Vocabulary learning is a prerequisite for successful communication skills, and second language learners need 2,000 words for basic conversation. In addition, to read the texts used in everyday life, it is necessary for the reader to be familiar with 3,000 words (Schmitt, 1997).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teach a large number of vocabulary in Korean school English class. Therefore, a more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English vocabulary is needed to teach the vocabulary that learners need to learn in a limited class time. Visual and audiovisual materials are used in a variety of ways to teach English vocabulary in many English education settings. In particular, visual and audiovisual materials are being used to stimulate interest of novice English learners and to learn vocabulary more intimately.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learning vocabulary by presenting only auditory data. Also, few studies have examined how English test resul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ght be related to the way they are presented in learning, and in other word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whether improvement of English vocabulary ability is different in each problem type according to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such as visual or auditory. Therefore, to examine the effect of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visual+visual, visual+auditory, auditory+auditory) on the English vocabulary ability of lower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ubjects of a total 86 students who were in the 1st, 2nd, and 3rd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for six times in total for three weeks. Prior to the experiment, this study divided into three groups (visual+visual, visual+auditory, auditory+auditory) per each grade, an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group, the English vocabulary evaluation of the English learner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carried out to ensure homogeneity among the groups. After performing experimental classes six times for three weeks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same English vocabulary, this study conducted post evaluation of learners’ English vocabulary. One month later, delayed vocabula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ce again to check learners' memory of English vocabulary through the same English vocabulary test. The visual+visual group was designed to learn vocabulary by showing pictures and text through vocabulary activities using pictures and text through vocabulary activities using pictures and letters, the visual+auditory group was designed to learn vocabulary by showing picture and expressing meaning, and the auditory+auditory group was designed to learn vocabulary through expressing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the vocabular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mprovement of English vocabulary ability of lower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post‐vocabulary scores in all three groups were improved more than pre‐vocabulary scores. Thus, it can be seen that all of the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glish vocabulary abilities of lower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o look at each group by grade, after Learners with the same vocabulary level between grades learned vocabulary with three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the English vocabulary scores of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more that those of the first graders.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learning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ypes of questions (linking pictures, choosing a meaning, writing the meaning) which are frequently shown in elementary English t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vocabulary evaluation scores in the choosing a meaning type. In particular,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group with visual and auditory presentation showed lower improvement than the two groups (visual+visual, auditory+auditor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gnitive overload is caused by using two channels. To look at each grade group by grade, the type of linking pictures and the type of choosing a mean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n the pre‐ and post‐vocabulary evaluations. On the other hand, for the question of writing the meaning type, the scores of pre vocabulary evaluation of all three grade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but after vocabulary learning, the third grad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the first grade.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the third grade is more effective than the lower grades in the activity of writing the meaning type that can be cognitively overloaded. Third, from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on memory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post‐learning memory and pre‐learning vocabulary 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lay according to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after learning,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in the vocabulary ability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vocabulary ability before learning. However, there is a suggestion in the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that all three methods are effective in improving vocabulary ability compared to vocabulary ability before learning. In other words, when presenting visual and auditory appropriately for vocabulary learning, it can be said that it helps to long‐term memory of vocabulary. In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is study, from a point of view that the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were used to improve the English vocabulary ability of lower grad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using visual and auditory in English education field. Teachers who teach classes so that learners can effectively learn vocabulary need to adjust and use three English vocabulary presentation methods depending on grade and question type.

      • 중증외상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예람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Major trauma has been an important international problem for a long time. With the progress of modern society, the type, frequency, and severity of major trauma cases have also been affected, and cases have become more diverse and frequent. Recognizing these problems, the effort of developing and expanding the emergency and trauma system has also been continuing. As a result, South Korea’s preventable trauma mortality rate has improved from 30.5% in 2015 to 15.7% in 2019. However,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 associated with major trauma in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are steadily increasing. The latest international trend in research on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major trauma involves not only evaluating the death but also the neurological prognosis of surviving patients. According to a recent study, even if patients with major trauma survive, they often live with disabilities for life or for a long time and cannot return to their lives as they were before the trauma. Although domestic studies on the prognosis of major trauma have focused on mortalit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neurological prognosis of surviving pati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death and disability among patients who have suffered major trauma and provides basic data to improve the prognosis of these patients in the future.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a community-based major trauma survey releas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s public data. Among the released data, 2018 and 2019 data were used, and among the total data, patients who suffered major trauma were targeted. Those with insufficient medical records, those who suffered non-traumatic patient, and those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ISS) of 15 or less were excluded. Death and disability were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age, gender, injury mechanism, injury intention, ISS, pre-hospital time, transfer institution, blood transfusion, emergency operation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ose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the Utstein Trauma Registry. The provid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ver. 25.0,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Chi-squared test, the independent samples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 significance level of 0.05 was employed. Of the 112,669 provided patients with public data, 15,543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total 8,524 were survived (54.8%), 7,009 died (45.1%), and 10 had unknown outcomes (0.1%). In this study, most of the patients were male (73.5%), the average age was 54.31 years (±19.326), and the 55-64th genera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cases (3,578, 23.0%) according to age group. With regard to injury mechanisms, traffic accidents were the most common cause of major trauma in 8,967 patients (57.7%), followed by falls or slips (5,542, 35.7%). As for the intentionality of injury, accidental injury was the highest, but the rate of accidental injury was different with 62.5% immediate death, 72.0% early death, and 92.4% late death when compared between phase 3 of trauma death groups. The average ISS was 23.78±9.063. In terms of factors affecting death, as the patient age increased by one year, the mortality odds ratio increased by 1.087 times, and the injury intentionality and ISS were also significant with p values of 0.000. In terms of the degree of injury, the odds ratio of death in patients who engaged in self-harm increased by 2.558 times for accidental injuries and by 4.22 times when the degree of injury intent was unknown. As the ISS increased by one point, the mortality odds ratio increased by 1.052 times. As the pre-hospital time increased by one minute, the odds ratio of death increased by 0.991 times. Without blood transfusions, the likelihood of death was reduced by 53% compared to when blood transfusions were performed. Furthermore, the odds ratio of death increased 3.587 times when surgery was performed compared with that in cases in which surgery was not performed. As a factor affecting disability, the mortality odds ratio increased by 1.07 times as the patient age increased by one year. With regard to the injury mechanism, only the tube is was significant with a p-value of 0.000. Penetrating injuries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likelihood of remaining disabled than machine injuries by 83.5%. In terms of intentional injury, only patients with self-harm injuries showed a significant p-value of 0.007, and the odds ratio for disability increased by 1.501 times compared with patients who suffered accidental injury. The ISS was significant with a p-value of 0.000, and as the ISS increased by one point, the odds ratio for disability increased by 1.059 times. Based on regional trauma centers,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local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saw a 1.258-fold, 1.319-fold, and 2.174-fold increase in the odds of disability, respectively. If a blood transfusion was not performed, the possibility of remaining disabled was reduced by 40% compared with when a blood transfusion was performed, and if surgery was not performed, the odds ratio of remaining disabled increased by 1.772 times. In this study, when the same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there wer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death and disability among patients with major trauma. Thus, follow-up studies should continually be conducted to evaluate death in patients with major trauma, but studies on the neurological prognosis of these patients should not be overlooked.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study to establish a trauma system model optimized for South Korea in the future. 중증외상환자는 오래전부터 국제적으로 중요한 문제였다. 현대사회의 발달에 따라 외상의 종류와 빈도, 중증도 역시 영향을 받아 더욱 다양해지고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응급의료체계와 외상 시스템을 개발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한 결과 국내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2015년 30.5%에서 2019년 15.7%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통계청에 따르면 응급의료기관에 내원하는 중증외상환자의 빈도와 사망률 추이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신의 해외 중증외상환자 예후 연구 경향은 사망뿐만 아니라 생존한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에 대해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중증외상환자는 생존하더라도 평생 또는 장기간 장애를 갖고 살아가게 되며 중증외상 이전으로 복귀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간의 국내 중증외상환자 예후 연구는 사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지만 생존한 환자들의 신경학적 예후에 대한 분석 및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증외상환자의 사망과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추후 중증외상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공공데이터로 공개한 지역사회기반 중증 외상 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공개된 데이터 중 2018, 2019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전체 데이터 중 의무기록 미비, 비외상성 중증손상, 손상중증도점수(ISS) 15점 이하인 데이터를 제외한 중증외상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종속변수로 사망과 장애를 선택하였고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조사표에 나와 있는 변수 중 기존 선행연구와 유스타인 외상 레지스트리를 참고하여 나이, 성별, 손상기전, 손상 의도성, 손상중증도점수(ISS), 병원 전 시간, 이송기관, 수혈, 수술, 시행 여부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제공 받은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법으로는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및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공공데이터로 제공받은 112,669명 중 15,543명이 해당되었으며 생존 8,524명(54.8%), 사망 7,009명(45.1%), 미상 10명(0.1%) 이었다. 성별은 남성이 많았고 평균나이는 54.31세(±19.326)이었고 연령대로는 55-64대가 3,578(23.0%)명으로 가장 많았다. 손상기전에서는 운수사고가 8,967명(57.7%)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추락 또는 미끄러짐이 5,542명(35.7%)으로 뒤를 이었다. 손상 의도성에 대해서는 사고성 손상을 당한 환자가 가장 많았으나 외상 사망의 3상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시 즉시 사망 62.5%, 초기사망 72.0%, 후기사망 92.4%로 사고성 손상의 비율이 달랐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손상중증도점수는 23.78±9.063점이었다.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이가 1살 증가할수록 사망 승산비가 1.087배 증가하였고 손상 의도성과 ISS 또한 p<0.001로 유의하게 사망에 영향을 미쳤다. 손상 의도성을 살펴보면 사고성 손상을 기준으로 자해 환자의 경우 사망할 승산비가 2.558배 손상 의도성이 미상일 경우 4.222배 증가하였다. ISS는 1점 증가할수록 사망 승산비가 1.052배 증가하였다. 병원 전 시간이 1분 증가할수록 사망할 승산비는 0.991배 증가한다. 수혈을 시행하지 않으면 수혈을 시행했을 때보다 사망할 가능성이 약 45% 감소하였고 수술을 시행하지 않으면 수술을 시행했을 때보다 사망할 승산비가 3.587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이가 1살 증가할수록 장애가 생길 승산비가 1.07배 증가한다. 손상기전에서는 관통상만 p<0.001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관통상은 기계 손상보다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83.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의도성에서는 자해 환자만 p= 0.007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자해했을 경우 사고성 손상보다 장애가 생길 승산비가 1.501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S는 p<0.001로 유의하였고 ISS가 1점 증가할수록 장애가 생길 승산비가 1.059배 증가하였다. 권역외상센터를 기준으로 권역 응급의료센터는 장애가 생길 승산비가 1.258배, 지역응급의료센터는 1.319배, 지역응급의료기관은 2.174배 증가했다. 수혈을 시행하지 않으면 수혈을 시행했을 때보다 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40% 감소하였고 수술을 시행하지 않으면 수술을 시행했을 때보다 장애가 생길 승산비가 1.772배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종속변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중증외상환자의 사망과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중증외상환자의 사망에 대해서도 꾸준히 추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에대한 연구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향후 우리나라에 최적화된 외상체계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협동학습 과제 분석과 학습자 인식 조사

        김예람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Cooperative learning is an effective language teaching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go through meaningful practice by interacting with their peer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English learning(Johnson & Johnson, 1999), and Korean school education also encourages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Ministry of Education, 2020). In particular,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emphasizes cooperative learning beyond individual and competitive learning structures along with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presents daily communication as an English department goal in earnest(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Evaluation, 2016; Ministry of Education, 2020).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learning to help improve English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attempts to analyze cooperative learning tasks of first-yea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at are actually used in Korea's educational field where textbook-oriented classes are conducted.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the study on learners’ perception and checking the degree reflected in the current textbook, it is intended to help organize classes using cooperative learning and further develop textbooks planned in the future. Detailed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based on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asks in each textbook? Second, how are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asks compared between textbooks? Last, for each type of cooperative learning tasks, how much do the learners feel in preference, easiness, usefulness in learning English? And questions were additionally organized to find out whether the perception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COVID-19 affected the progress of it. In order to implement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selected all 13 currently used 2015 revised English textbooks as analysis targets. In addition, the learner awareness survey was conducted on three first-year students of Y Middle School located in Yeongdeungpo-gu,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emost, for the frequency of each type in the textbook analysis, other activities includes conversation practice and solving the question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role play, interview, project, and game. Problem-solving, decision-making, and jigsaw were presented with a wide gap from the aforementioned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13 textbooks generally included more than 50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that presented about 7.5 for each unit. By task performance group size, there was generally an even distribution, but some textbooks showed a biased distribution centered on small-scale(pair activities). Next, the results of the learner perception study showed that game was the least burdensome and interesting type to learners. And learners preferred decision-making and problem-solving that are required discussion, and group activities where several people can compete, cooperate, and proceed together. Additionally, many responses were suggest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in learning English, and that they want more and diverse types of it. Moreover, they pointed out that cooperative learning was not properly carried out in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and hoped that learning using cooperative learning would be more active in future face-to-face classe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to effectively utilize cooperative learning. First, when organizing textbooks and classes, it is necessary to reflect learners' preferences for cooperative learning types and to evenly distribute various types.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 advantage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English learning process so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more cooperative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non-face-to-face classes. In a situation where face-to-face classes are not available,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in advance so that there is no shortage of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Finally, textbook analysis and perception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all middle school courses in which daily communication is presented in earnest as an English department goal and their abilities are gradually expanded. It would b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response to cooperative learning by type in actual class time and apply it to class and textbook composition. 협동학습은 영어 학습에서 학습자들이 영어를 소통 수단으로 동료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유의미한 연습 과정을 거치게 하는 효과적인 언어 교수법으로(Johnson & Johnson, 1999), 우리나라 학교 교육에서도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협동학습의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교육부, 2020). 특히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전면 도입과 함께 개별적, 경쟁적 학습 구조를 넘어선 협력적 학습을 강조하고, 영어과 목표로 일상 의사소통을 본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부, 2020). 이에 본 연구는 영어 의사소통 역량 증진에 도움을 주는 협동학습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교과서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의 협동학습 과제에 대한 교과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 인식 조사로 협동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이 가진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현재 교과서에 반영된 정도를 점검하여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 구성과, 나아가 향후 계획되어 있는 교과서 개발에 참고 자료로써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설정한 상세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이 사용하는 각 교과서 내 협동학습 과제의 분포와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중학교 1학년이 사용하는 전체 교과서 간 협동학습 과제의 분포와 구성을 비교하면 어떠한가? 마지막으로, 협동학습의 각 유형에 대해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정도, 쉽다고 느끼는 정도,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 정도는 어떠한가? 여기에 교실 수업에서 진행되는 협동학습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과 코로나라는 사회 상황이 협동학습 진행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도 추가로 구성하였다. 연구 문제를 실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2015 개정 영어 교과서 13종 모두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인식 조사는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Y 중학교 1학년 3개 반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과서 분석에서 각 교과서 내 유형별 빈도를 살펴보면, 대화 연습과 문제풀이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기타 활동이 가장 많았고, 역할극, 인터뷰, 프로젝트, 게임이 뒤를 이었다. 그리고 문제해결, 의사결정, 조각맞추기는 앞선 활동들과 큰 격차를 보이며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전체 과제의 수에서는 13종 교과서가 대체로 50개 이상의 협동학습 활동을 포함하며, 단원 별로 약 7.5개로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제 수행 집단 규모별로는 대체로 고른 분포를 보였으나 소규모(짝 활동) 위주의 편향적인 분포를 보이는 교과서도 있었다. 다음으로, 학습자 인식 조사 결과에서는 게임 활동이 학습자에게 가장 부담이 덜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유형으로 조사되었으며, 의사결정, 문제해결 등 토론 활동이 필요하거나 게임, 직소, 프로젝트 등 여러 명이 함께 경쟁하고 협력하며 진행할 수 있는 모둠 활동 유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학습이 영어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응답과 함께, 더 많고 다양한 유형 제시를 원한다는 응답이 많이 제시되었다. 이 외에도 코로나라는 사회적 위기 상황을 겪으며 진행된 비대면 수업에서는 협동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지적하면서, 앞으로의 대면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활용한 학습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양상을 보였다. 위의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협동학습을 활용하기 위해 제언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및 수업 구성 시 협동학습 유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하고, 다양한 유형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제 수행 집단 규모나 유형에서 모두 한쪽에 집중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둘째, 영어 학습 과정에서 협동학습이 가진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더 많은 협동학습을 학습자들이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자 중심의 협동학습 과제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 비대면 수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활동을 고민해야 한다. 향후 예정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에서는 코로나와 같은 예측할 수 없는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면 수업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협동학습 수업이 진행될 때 모자람이 없도록 미리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어과 목표로 일상 의사소통이 본격적으로 제시되고 그 능력을 점차 확장해 나가는 중학교 전 과정의 교과서 분석 및 인식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인식 조사에서 나아가 실제 수업 시간에서 협동학습을 유형별로 학습하는 시간을 가지고 이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수업 및 교과서 구성에 적용하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 염상섭의 『백구(白鳩)』 연구 : 작가의식과 서술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예람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염상섭의 장편소설 『백구(白鳩)』의 작품론을 통해, 식민지 텍스트의 ‘서술방식’과 식민지 현실에 대한 ‘작가의식’ 사이의 긴밀한 연관성을 밝혔다. 기왕의 염상섭 작가론에서 취한 ‘본격소설’과 ‘통속소설’의 이분법에 문제를 제기하고, 식민지 텍스트는 정치성으로부터 무관할 수 없다는 시각 아래, 사회주의자 이야기-줄기를 설정하고 있는 『백구』와 『사랑과 죄』, 『삼대』·『무화과』 연작을 동일선상에 두고 사회주의자 인물에 대한 서술방식을 비교하여, 『백구』에서 나타나는 서술방식의 변화가 소설 창작 당시 염상섭의 작가의식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밝혔다. 『사랑과 죄』, 『삼대』·『무화과』 연작은 3인칭 서술자가 사회주의자 인물을 직접적으로 제시하여 사회주의자가 선명하게 재현되고, 3인칭 서술자는 사회주의자 인물에 대해 이념적으로 동조한다. 세 작품의 공통적인 주제는 ‘사회주의자와 심퍼사이저의 동지적 결속’이다. 세 작품의 ‘주권적 서술’은 1927년 신간회(新幹會) 창립과 신간회의 이념인 좌우합작에 대한 염상섭의 정치적 지지에 기인한다. 『백구』는 3인칭 서술자가 사회주의자 인물을 초점화 대상으로 설정하여 인물-초점자 서술을 통해서만 제시하기 때문에 사회주의자가 불투명하게 재현되고, 3인칭 서술자는 사회주의자 인물에 대한 논평을 자제하고 ‘경성 소시민’의 시선에 비친 사회주의자 인물의 외양만을 제시하면서 의도적으로 거리를 둔다. 작품의 주제는 ‘경성 소시민과 사회주의자의 괴리’다. 작품의 ‘제한적 서술’은 코민테른의 12월 테제에 따라 1932년 사회주의자들이 신간회를 해소하고, 일본공산당에 입당하여 당원으로 활동하게 된 사회주의의 좌경화에 대한 염상섭의 판단보류에 기인한다. 『백구』의 작품론과 아울러 식민지 현실의 일상이 근본적으로 정치적일 수밖에 없는 이상 그것을 소설화할 때 설정하는 작품의 서술방식은 식민지 현실에 대한 작가의 역동적인 대응의식인 작가의식과 결코 무관할 수 없다는 명제를 밝힌 것이 본 논문의 의의다. 본 논문은 일제하 염상섭 장편소설의 ‘사회주의자’ 인물에 논의를 국한시켰지만, 논의에서 제기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한다면, 염상섭 장편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종류의 정치적 인물군, 예를 들면 심퍼사이저, 『사랑과 죄』의 ‘심초매부’나 『무화과』의 ‘안달외사’ 같은 일본인 낭인, 혼혈아, 해방 후 좌우익 세력 등 염상섭 장편소설의 서술자가 각 인물군에 대해 취하는 서술방식의 미세한 차이와 변화가 염상섭의 민감한 작가의식과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d Yeom, Sang-seop's novel White Dove and demonstrated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narrative method' of colonial text and 'author's consciousness'. Also this paper criticized the dichotomy of 'serious novel' and 'popular novel' in the existing Yeom, Sang-seop study and compared the narrative method of the novels containing socialist story-line, Love and Sin, Three Generations, Fig, and White Dove. Lastly this thesis demonstra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nge in narrative method of White Dove and author's consciousness. In Love and Sin, Three Generation, and Fig, the third-person narrator clearly represents socialists. The third-person narrator is ideologically sympathetic to the socialist characters. The theme of the three works is "The solidarity of socialists and sympathizers". 'Authoritative narration' of the three works are attributable to Yeom, Sang-seop's political support for the alliance between the left wing and the right wing in Singanhoe(新幹會). However in White Dove, the third-person narrator represents socialists unclearly. the third-person narrator does not comment about socialist characters and intentionally distance himself by presenting only the appearance of socialist characters reflected in the focus of 'the petit bourgeois characters'. The theme of the work is 'The gap between petit bourgeois and socialists'. Following the December theme of the Comintern, socialists dissolved Singanhoe and joined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and acted as a member of the party in 1932. Yeom Sang-seop withheld judgment on left-leaning socialism and this results in 'limited narration' of the work. To sum up,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narrative method of colonial text representing colonial life which is necessarily political has close connection with author's consciousness.

      • A Study on Source and Drain Series Resistance of Gate-All-Around Si-Nanowire FETs

        김예람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source/drain (S/D) series resistance (Rsd) in scaled gate-all-around nanowire field-effect transistors (GAA NWFETs) is investigated. The portion of Rsd in total resistance become large as devices is scaled. Especially, the control of doping profile in nanowire channel is difficult due to very small volume of nanowire and this cause higher parasitic Rsd. Also, NWFETs possess a complicated junction structure that is changed from one dimension in the channel to three dimension in S/D pad which induce complex components in the Rsd such as spreading, extension, sheet, deep S/D, and contact resistance. Therefore, the exact extraction of Rsd is important. Conventional methods to extract the Rsd such as CRM, YΦ method, and Y-function technique are summarized and applicability of these methods to NWFETs is investigated. These methods are turned out to be unsuitable for the Rsd extraction of the NWFETs. The NWFETs with the channel diameter (dNW) from 7 to 12 nm and physical channel length (Leff) from 14 to 134 nm with a thickness of 3.4 nm SiO2 oxide layer surrounding <110>-oriented silicon nanowire channel is investigated. The Rsd extraction method lately proposed is modified for NWFETs because the NWFETs have fluctuating characteristics in Id and physical understanding of the NWFETs is insufficient. The modified Rsd extraction method that uses an optimized Id equation and a threshold voltage (Vth) extraction procedure for NWFETs is proposed. The Id equation is modified for the geometry of the NWFET, and the Vth is obtained from the linear Y-function that can be observed in NWFETs because of volume inversion. A inevitable assumption for this procedure is experimentally confirmed using the Y-function, and equations fit the measured data perform well; this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odified Id equations for the NWFETs. The Rsd is perfectly extracted in all NWFETs and it is observed to be dependent on the dNW when normalized by dNW, indicating that the extension resistance is the dominant component in the total Rsd. The Rsd normalized by channel diameter dNW in p-type NWFETs is also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the normalized Rsd in n-type NWFETs increases as dNW decreases is greater than in p-type NWFETs. This difference is verified using a simulation tool focusing on the extension region. The extended gate region is observed to be where the surface roughness scattering increases resistivity. The proportion of charges near the surface in this extended gate region of n-type NWFETs becomes greater than in p-type NWFETs as dNW decreases.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surface charges between n- and p-type NWFETs with 7, 9, and 12 nm dNW is 5.8%, 4.6%, and 1.0%,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volume inversion caused by the quantum confinement effect in p-type NWFETs becomes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n-type NWFETs as dNW decreases.

      • 사례 분석을 통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반 가상현실 애니메이션 연출 연구

        김예람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랜 시간 동안 애니메이션은 영화 스크린이나 텔레비전, 모바일과 같은 평면적인 화면에서 상영ㆍ시청되며 시간과 공간의 연속성에 제한을 받아 왔다. 하지만 현재에는 가상현실이라는 기술적 진화의 결합을 통해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반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이라는 새로운 형태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평면 스크린 애니메이션에서 경험할 수 없는 강력한 몰입감과 현장감, 그리고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뉴미디어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에서는 360도의 화면이나 헤드트래킹 기능과 같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매체적 특징으로 인하여 평면 스크린의 애니메이션과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반의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에서는 기존의 영상 연출법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위한 가상현실 애니메이션만을 위한 새로운 영상연출법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반의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에서의 연출 변화에 대하여 360도 공간, 캐릭터의 움직임, 카메라의 움직임, 시퀀스의 움직임, 조명, 입체적 음향의 연출 요소별로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가상현실 애니메이션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연출 요소별 변화의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도출된 연출 방법은 ‘360도의 공간 활용 범위의 설정과 이야기 공간의 배치 설계’, 360도 공간을 고려한 캐릭터의 동선과 캐릭터의 지시적인 액팅 활용‘. ‘고정형 카메라와 위치 이동 중심의 카메라 워크의 사용’. ‘롱테이크 기반의 시퀀스 구성과 정지좌표계를 활용한 컷 전환의 사용’, ‘명암 대비 조명을 활용한 시선 집중 연출 방법’, ‘입체 사운드의 지시적 효과를 활용‘의 여섯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의 특성으로 바탕으로 연출 요소의 변화를 파악하고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의 사례에서 보이는 연출 방법의 변화 양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반의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에 대한 구체적인 연출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 둘 수 있다. 단, 본 논문에서는 서사와 연출 간의 관계성에 대한 논의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무선 컨트롤러를 통한 상호작용 및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가상현실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그와 관련된 다양한 초기 콘텐츠들이 제작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본 연구가 가상현실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에게 있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기반의 가상현실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연출함에 있어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