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 주택의 생활공간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김영식 조선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과거 전통 민가로 부터 현대 도시 주택에 이르기 까지 제주 주택의 시대적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 내용은 제주주택의 주거 공간구성 방식의 구조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기에 제기되었던 문제는 1. 제주 주택의 주 공간구성 방식은 어떤 원리적 법칙성이 있을 것인가. 2. 제주의 주택은 시대적으로 분류될 수 있는가. 3. 제주 주택은 개별성 있는 것으로 전형화 시킬 수 있는가. 4. 이러한 것들을 현대적으로 계승 발전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것이다. 진행 절차는 문제 제기에 의해 본 연구의 논제를 "제주 주택의 생활공간 변화 과정에 관한 것"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타당성 검토를 한 다음, 문헌에 의한 인문. 사회적 측면과 자연환경 및 풍토적 제주의 특성에 대한 몇 가지 측면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를 고찰하였다. 다음은 문헌과 현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은 역사적 과정에서 조명해 보는 제주 주택의 평면을 수집하고, 필요한 자료를 선별하여 내.외부 공간의 구성 방식을 전통민가에서 부터 현대주택까지를 조사하였다. 다음은 이러한 조건과 자료들을 중심으로 내.외부의 공간을 분석하였다. 그 내용은 구성된 공간의 유형, 출입방식, 공간의 위계질서, 생활과 공간의 변화 실태를 규명하였다. 특히 각 공간들의 위치를 정하는 데는 어떤 질서가 있지 않은가 하는 접근이다. 이는 진입, 위계성, 그리고 가사노동과 휴식 및 단란 그리고 섭생을 위한 취사를 위한 단위공간과 주생활과 공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음은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본 분석으로 성별 관계와 가족관계 에서 본 평면 형식의 유형을 분류해 보고져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제주 주택을 규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과 제주주택의 평면 구법의 원리를 찾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전통민가의 공간구성의 어떤 법칙성을 찾기 위해 선정한 분석의 도구로서 "원리도"의 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에 의해 제주의 전통 주택의 공간구성은 어떤 질서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즉 종과 횡의 축, 향과 전 후 좌우축, 우주적 중심성의 원리에 의한 상방중심의 주공간 구성을 하나 의 법칙성으로 했다고 본다. 2. 전통 민가는 남녀의 성별과 가족수 증가에 따라 공간의 분배 및 분화 시켰던 원리이다. 분화는 동일 대지의 마당 공간에 본채에서 시작해서 별동을 축조하는 것으로 발전되어 가는 구성 방식이었다는 것과 3. 선정된 평면에서 본 제주 민가의 구법은 목재나 석재에 의한 것과 기후, 풍토성에 의해 칸수와 외형의 원리를 적용했다는 것과 4. 외부공간의 배치 유형은 소.중.대 규모의 형식에 의해 구성 되었고, 그에 따라 평면의 형상이 몇 타입의 모델에 의해서 이루어 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외부의 주공간 증식은 전면에서 측면으로, 측면에서 측면으로 전이면서 4면의 물리적인 공간 요소로 한정하는 방식으로 외부공간을 폐쇄시켰던 구성원리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의 분석은 방법상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도구로 선정했던 적용에 대한 결과이다. 이 도구의 적용 결과 제주주택의 공간 구성 원리를 알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1. 그래프에 의한 분석에서 볼 때, 평면의 구성원리는 상방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형 그래프로 나타나고 있고, 실분화의 증식은 기본 틀을 기준으로 발전되는데, 기본인 방사형과 연결되는 형으로 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다음은 메트릭스에 의한 인접성을 분석한 결과, 전통주거의 각 실들은 상방과 정지 그리고 고팡 등 가사 노동과 취사 작업 그리고 저장 목적에 의한 공간배분 행위가 주가 되는 구성방식을 택한 원리였다고 본다 3. 주공간의 변화는 현대로 오면서 안방과 거실 위주의 단란 및 강한 프리이버시 확보하는 주공간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전통 민가의 제주주택은 정형화가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근대적인 평면 형태도 그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나 현대주택에서는 변화가 다양화되는 점이 있고, 생활에 대한 것은 나름대로의 중화된 절충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나름대로의 개별성의 주거공간구조가 잠재되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과 같이 초기 제기 했던 문제점들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했던 본 연구는 특히 제주주택의 정형화라는 점에서 볼 때, 창안된 분석 모델인 메트릭스 분석방법과 그래프 방식 그리고 원리도는 본 연구가 겨냥했던 문제점에 대한 해답을 주는데 상당한 신뢰를 주었다고 본다. 이에 의한 적용의 결과 제주 주택의 변화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는 하나의 도구로서 새로운 접근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국제화, 세계화에서 보는 앞으로의 제주는 국제적인 무대가 될 것을 대비한다면 하나의 관광적인 차원에서도 제주의 개별성있는 주거의 형태나 도시환경의 조성을 위한 각 방면의 풍토성이 강조되었으면 한다. 단순한 과거의 회상이나 재현을 위한 반복이 아니라 좀더 현대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제주의 건축언어를 토착화 시킬것을 바라는 점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ing process of housing in Cheju from the traditional private house to the modern urban house. Its concrete goals are to examine the structure of residental space formation methods of Cheju houses. The problems which were raised early are as follows: 1.What is the principal rules in the residential space formation method of Cheju houses? 2. Can Cheju houses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ime ? 3. Can Cheju houses be typified individually ? 4. Can these be succeeded and developed to the modern style ? The theme of this study is "On the Changing Process of Living Spaces of Houses in Cheju. After examining the validity of this theme, it investigates the human and social sides based on the literatures related and some theories of natural environment and climatic nature of Cheju. For these, this paper seeks the answer of defining the houses in Cheju and studies the principle of their plane construction methods. Consequentl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As the instrument of analysis selected to find a law of spatial formation of traditional private houses, the model of "Principle Diagram" is made. With this model, it is found that the spatial formation of traditional houses in Cheju has a orderliness. The formation of residential space centered on upper part by the principle of vertical and horizontal axis, front and rear axis and cosmic centrality is considered as a law. 2. Traditional private houses are based on the principle which divided the space according to sex and increase of family members. The specialization was the formation method developed to constructing a detached room from building main room in the yard of the same lot. 3. The constructing methods of private houses in Cheju viewed from selected plane are by wooden and stone materials and apply the number of rooms and external principle by climate. 4. Layout pattern of external space is formed by small, middle and large sizes and then the shape of plane is made by some types of models. And It is known that the external space is formed by front to side, side to side and physical spatial elements of four sides. The following analyses are the results applying two instruments used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applying these instruments, the spatial formation principles of houses in Cheju can be found and then their type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1. From the graph analysis, the formation principle of plane is shown as the radial graph centered on upper part, the increase of room division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basic fram and it became a type connected to the radial type.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acency by matrix, each room of traditional houses adopte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upper part, Kitchen, housekeeping and cooking at storage. 3. The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changed to those which secure the main living room, living room and privacy in the modern times. 4. It may be possible to standardize the houses of Cheju with the pattern of traditional private houses as well as the modern plane pattern. However, the modem houses have experienced the various changes and the living convenience in them has the compromise pattern. In addition, it has the element of individual residential space structure. This study which is to find out the solutions of the problems raised early obtains a considerable trust in giving the solutions with matrix analysis method, graph method and principle diagra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a new approach to analyze the aspects of change in the houses of Cheju.

      • 中小企業의 輸出支援制度 認知 및 活用이 輸出成果에 미치는 實證硏究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김영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change of a variety of environment such as the globalization and the change of the awareness and the competence of the SMEs, it is necessary to change a fundamental awareness and direction about promotion and support policies for the SMEs. In the past, supports for SMEs are focused on the policies for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such as the direct support for the loss or the export subsidy for promoting the export of SMEs.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made possible to convert the national-led supports into the local government-led supports. For improv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local industry, the local governments are carrying out various promotion policies export support programs for SMEs. Even though the local governments would have the promotion policies and export support programs, it is true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various demands of local SMEs. There might be these various challenges in Gyeongsangbuk-do. Therefore,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s for improving the current export support programs regarding SMEs throughout investigating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xport support programs, the determinants of the export, the export performance. For the empirical analysis, 1,000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mong workers working for universities and colleges introducing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324 are returned. However, 20 respondents were returned out to be having missing values and some were clearly biased. Therefore, a total of 304 valid responses have been used to do the analysis. The analysis was done by using SPSS WIN 15.0 and AMOS 7.0 version.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t is found that the export assistance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 performance. Second, it is found that the ability of management operati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information management, and technology (R&D) have a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on the export performance. Third, it is found that the global exper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 performance. Finally, it is found that the global experience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of the export assistance programs, the capability of management operation, international market information management, and technology, and the export performance. Implication of the results shows that this study could give scholars and local governments to want to study and investigate the export assistance programs for SMEs a better research and practical model by using new and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capability of management operation, international market information management, and technology. It also indicates that to improve export performance,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a variety of programs or policies to promote SME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유통단지 건립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김영식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꾸준한 사회간접자본의 시설확충에도 불구하고 화물차량의 공차율 증가, 화물의 소량화, 및 개별차량 증가, 비효율적 하역 등으로 인해 많은 물류비의 상승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유통관련시설 중 물류비 절감을 위한 지역개발정책으로 유통단지개발은 필수적이라 할수 있다. 유통단지에 관한 기존연구를 보면 유통단지가 산업전반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또한 정부의 광역적 정책으로서 거시적인 전국적으로 필요한 물동량 제시와 그로 인한 각 경제활동의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통단지 건설로 인한 파급효과의 분석에 있어서 구체적인 물류비 절감부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고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 유통단지 파급효과의 연구들은 개념적이고 이론상의 연구에 그쳐 유통단지 건립에 따른 구체적 효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유통단지의 건설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둘째, 지역경제차원에서 유통단지의 건설효과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정부의 거시적 물류단지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유통단지의 개요와 관련연구 고찰로써 유통단지의 정의 및 종류, 현황을 살펴보고 또한 문헌조사를 통해 정부의 유통단지 정책과 유통 관련 기존연구을 고찰한 후, 이로부터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문제점을 도출한다. 그 다음으로는 분석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물류비의 개념을 알기위해 물류비의 정의와 단지 특성별 물류비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세번째 부분은 논문의 분석모형을 설정한다. 여기서는 경제규모에 따른 장래 물동량수요을 예측하기 위한 다지역 투입산출표가 작성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별 물동량 예측과 물류단지 건설로 인한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의 틀을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설정된 모형을 바탕으로 물동량 예측과 물류단지 건설로 인한 파급효과를 예측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시나리오 #1에서는 전국 유통단지 현황에서 각 지역별 유통단지규모를 10% 추가 건설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시나리오 #2에서는 유통단지 10% 추가 건설시 유통단지 특성별 분배율을 조정하여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해 지역 유통단지의 정책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통단지 건설로 인한 물류비(운송비 및 하역비)의 절감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물류비 절감효과로 인한 지역내 산업별 가격의 변화를 구한다. 구체적 분석도구로는 각 지역별 생산구조를 구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다지역 투입산출모형(Multi-Regional Input Output Model)을 이용한다. 다지역 투입산출모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분석의 대상이 되는 지역의 범위를 가능한 한 공간적으로 축소시켜 지역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료의 구득 가능성과 관련자료의 구분형태를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지역의 수를 8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산업의 구분은 1998년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1995년 전국 산업연관표(73 산업분류)’로부터 지역별 30개 산업으로 구분하였다. 구축된 다지역 투입산출표를 통해 유통단지 정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구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경제규모에 따른 장래 물동량 수요를 예측한 결과, 목표년도 물량단위 경제규모 변화량은 644,429천ton으로 1995년 3,064,894천ton에서 2010년까지 1.2배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또한 첫번째 시나리오를 세워 유통단지 투자 대상지역을 도출해 본 결과, 지역간 불균형이 완화되면서 생산액 증가 효과가 큰 지역은 유통단지시설 규모가 비교적 큰 경북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수도권 지역에 유통단지를 건설하였을 때 보다 생산액 증가 효과만 낮게 나왔을 뿐, 고용 효과는 더욱 크게 나왔으며, 지역간 불균형을 덜 심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 시나리오를 세워 유통단지 유형을 도출해 본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통단지의 유형과 투자대상 지역으로는 지역간 불균형을 완화하면서 생산액 증가와 고용 증가가 가장 큰 경북지역과 경남지역에 화물터미널을 추가하는 정책 시나리오를 들수 있다.

      • Современне состояние музыкальных критик в Корее и изучение и её проблемы

        김영식 ИНСТИТУТ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ГО ИСКУССТВ 2000 해외박사

        RANK : 247631

        한국의 음악평론은 홍난파의 “음악이란 무엇인가?” 로 시작하여 1920년대의 계몽주의 비평과 1930년대의 이데올로기적 비평과 인상비평을 거쳐 1940년, 1950년대의 민족음악론 1960년대의 창작론, 1970년대의 젊은 음악전문가들의 출현으로 그 틀이 마련되었으며 1980년대부터 음악평론은 한 걸음 도약하는 과정을 가져왔다. 한국의 음악평론은 현대 연주자나 창작분야에 비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크게 발전을 못한 상태라고 본다. 여기에는 음악평론가 양성을 위한 전문성에 입각한 지속적인 공인된 교육 기관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의 음악 평론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첫째 전문성 부족으로 야기되는 신뢰성 문제이다. 비전공자의 가명을 가진 연주회 평론 등은 문제가 된다고 본다. 둘째 전문적인 직업 평론가 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자기 중심에서 탈피하여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나친 주관적인 평은 교만의 인상을 주며 방향제시 없는 연주회 혹평은 음악문화 발전에 저해요소가 된다고 본다. 이는 자기중심적이고 애정이 없는 개인주의 사고방식에서 오는 결함이라고 보며 이점이 가장 중요한 평론 윤리 문제이며 평론 불신 풍조와 평론가의 자질문제가 직결되는 것이다. 넷째 음악평론의 대상이 적합해야 한다. 자선 음악회, 교회 성가대 발표회, 비전문 가족음악회 등은 평의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하며 전문연주가나 직업음악가의 연주 등을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섯째 비평에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으로 음악 평론가의 위상을 확립해야한다. 특히 저속한 표현 등으로 연주자의 인격을 존중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여섯째 한국의 음악평론계의 현실은 차세대의 평론가 문제가 심각하다. 자격과 능력을 가진 자라도 시간적 할애에서 오는 애로를 극복하고 꾸준히 평론 활동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단시일 내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평론가, 작곡가, 연주가들이 서로 노력하고 자기 맡은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며 꾸준히 연구할 때에 우리의 음악문화 발전에 큰 공헌이 될 것이다.

      • 추부깻잎의 채취시기별 GABA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김영식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erilla leaf (Perilla frutesceus var. japonica HARA) from Chubu region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70% ethanol and investigated on its GABA(γ-amino butyr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y. GABA content of Perilla leaf were 23.37±3.22∼199.39±16.28 mg/100g. Perilla leaf in winter was higher than that of summer. GABA content of Perilla leaf in October and November were the highest 199.39 mg/100g, 130.70 mg/100g. Total polyphenol content of Perilla leaf was 23.37 mg/mL∼80.04 mg/mL in water extracts, which were the highest 80.04 mg/mL collected Perilla leaf in August. and was 44.48 mg/mL∼201.15 mg/mL in ethanol extracts, which was the highest collection in July by 201.15 mg/m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March, July and August harvested Perilla leaf. Water extract was higher than the ethanol extracts. Superoxide dismutase like activity were 0.91∼18.71% for water extracts and were 6.38∼23.17% for ethanol extraction. perilla leaf harvested in August, respectively were as high as 18.71% and 23.78%. Collected in August to 23.78% in 70% ethanol extract was the highest. Superoxide dismutase like activity was higher in 70% ehtanol extract than water extract .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perilla leaf, the water extract was 46.46∼59.63 %, perilla leaf collected in June was the most 59.63%. the 70% ethanol extract was 59.32∼78.78 %, perilla leaf collected in June and August were the most 77.68% and 77.78%. Electron donating activity was higher in 70% ehtanol extract than water extract. Flavonoid content in Perilla leaf was 13.04∼73.15 mg/mL in water extracts, which was the highest 73.15 mg/mL collected Perilla leaf in August, and was 22.77∼165.66 mg/mL. the highest 165.66 mg/mL collected Perilla leaf in August. Winter had a higher than Summer collected Perilla leaf. Nirite scavenging ability at pH 4.2 were 5.00∼39.80% for water extract, perilla leaf collected in February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bility and the were 5.00∼39.80% for water extract, perilla leaf collected in February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bility. Nirite scavenging ability was higher in 70% ehtanol extract than water extract, was higher in winter than summer collected Perilla lea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