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포소설 분석 : 공포 발생 요인을 중심으로

        김영롱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공포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공포심을 유발시키는 다양한 요소를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자하는 텍스트는 W.W.제이콥스(William Wymark Jacobs, 1863~1943)의 '원숭이의 손(The Monkey's Paw)'(1902), 애드거 앨런 포(Edger Allan Poe, 1809~1849)의 '검은 고양이(The Black Cat)'(1845), 윌리엄 커스버트 포크너(William Cuthbert Falkner, 1897~1962)의 '에밀리를 위한 장미(A Rose For Emily)'(1930)이다. 이 세 작품 모두가 공포소설이라는 동일한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공포라는 모티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도구로서의 요소들은 매우 다양하다. '원숭이의 손(The Monkey's Paw)'(1902)은 '원숭이 손'이라는 물건과 그 물건이 발생한 인도와 연관시켜서 공포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인도'에서 건너온 '원숭이 손'은 소설 속 주인공에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알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두려움 및 공포감을 조성하고 있으며 이것은 당시 미국 사회에서 느끼는 인도, 넓게는 동양 사회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을 충분히 연관 지을 수 있다.'검은 고양이(The Black Cat)'(1845)는 '검은 고양이'라는 특정 동물과 어둠의 색깔인 검정색과 연관시켜서 공포적인 분위기를 유발한다. 소설 제목에서 사용된 '검은 고양이'는 소설속의 주인공을 타락시키며 점차 파멸의 길로 빠지도록 만드는 동물로 등장한다. 이러한 검은 고양이의 역할은 고대부터 내려온 검은 고양이에 대한 이미지가 고스란히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대에 고양이를 닮은 여신 Bastet를 섬기던 사람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는데 유일신을 기본으로 하는 기독교의 교리에 따라서 하나님이 아닌 다른 모든 신들을 우상과 악마로 간주되었다. 이로 인하여 검은 고양이는 어둠의 색깔인 검정색과 관련되어 무서운 이미지로 변하다가 점차 악마라고까지 불리게 되어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주는 대상으로 변한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 소설 '에밀리를 위한 장미(A Rose For Emily)'(1930)에서는 사물과 동물이 아닌 바로 한 '사람'인 에밀리와 미국 남부의 전통과 관련시켜 기괴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1861년 발생한 남북전쟁으로 인해 사라져가는 남부 전통 상징으로 볼 수 있는 에밀리는 사람들이 보았을 때 지켜야 할 전통인 동시에 무가치한 것들도 뭉친 기괴스러운 전통으로 여겨진다. '원숭이의 손(The Monkey's Paw)'(1902), '검은 고양이(The Black Cat)'(1845), '에밀리를 위한 장미(A Rose For Emily)'(1930) 이 각각의 세 소설은 동일하게 공포장르라는 점을 공유하고 있으나 각각의 소설 속에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공포심을 자극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은 독자들에게 기괴한 모습을 상상하도록 유발하며 극도의 공포심을 느끼도록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variety of factors that may cause fear by reading three horror novels: William Wymark Jacobs(1863-1943)' s the 'The Monkey's Paw'(1902), Edger Allan Poe(1809-1849)'s 'The Black Cat)'(1845), and William Cuthbert Falkner(1897-1962)'s 'A Rose For Emily' (1930). Even though all three horror novels cover the same genre of fiction, tools for generating a motive vary greatly. First, in 'Monkey's Paw', the monkey's paw works making an atmosphere of fear by associating the event with India. While the monkey's paw evokes more curiosity and mystique to the main character, at the same tims he also feels dread, fear, fight, bizarre and terror since he does not have any idea of India. In this part, we can conjecture that American not only has curiosity about Oriental society but also has fear and terror about it. There is an another factor to generate fear. That is weather conditions that is often found in Gothic novels. The dark night and rainy weather are sufficient to cause horrible atmosphere. Finally, the ending part of the novel is the best part that promotes fear by seeming advent of a dead son. Both a wife rushing to unlock a door to find her son and a rusher husband to find monkey's paw to solve the problem are enough to develop dramatic tension to readers. In Edgar Allan Poe(1809-1849)'s 'The Black Cat', something terrible happens between main character and a black cat. Edgar Allan Poe describes a black cat as a ominous animal. This Idea is passed on from ancient times. In the old days, the cat was considered precious because Bastet, the goddess of ancient, resembled the cat. However, from the influence of Christian monotheism, the image of the cat was changed. In the Christian, as people believe the only God, all the other things are regarded as the devil. Accordingly, the image of a cat was worse. After all, people believed that the devil has turned into a cat. The last novel, 'A Rose For Emily'(1930) is a kind of historical novel. William Cuthbert Falkner(1897-1962) wrote this novel to describe the situation of the United States at that time. He associated Emily, the main character with the tradition of the Southern United States. At that time, due to Civil War(1861), the values ​​and traditions of the South had gradually declined. Appearing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southern aristocratic families, Emily slowly is on the decline. These depicts show the strangeness, queerness, and grotesqueness of both Emily and tradition of the southern. For example, red roses, dark hair color, and overall image of her are sufficient to causes factors: fear, terror, horror, and panic. 'The Monkey's Paw', 'The Black Cat', 'A Rose For Emily', each of the three novels share the same horror genre. Nevertheless, various elements of each novel was used as a means to stimulate fear. These diverse factors can lead the reader to imagine bizarre scenes and to feel extreme horror.

      • STEAM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롱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에너지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인류는 사막화, 해수면 상승 등 지구 온난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환경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지구 온난화의 주된 원인으로 밝혀진 가운데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가 기후변화 및 화석에너지 고갈의 해결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STEAM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환경소양과 창의적 인성을 갖춘 융합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을 고려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환경소양 및 과학 관련 태도에 관한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 향상에 효과적이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을 하기 전과 비교하여 수업을 하고 난 후 환경소양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다. 둘째, STEAM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사회에서의 과학자의 역할과 과학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되었고 과학 학습과 활동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음이 형성되었다. 셋째, STEAM 교육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신장에 효과적이다. 정직성, 호기심, 비판성, 개방성, 자진성과 같은 과학적 태도의 모든 하위 요소에서 본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STEAM을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과학 관련 태도의 향상에 기여했으며, 과학교과를 기반으로 한 통합적 접근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소비경험 개선에 관한 연구 : 라이프스타일 숍을 중심으로

        김영롱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A world philosopher, Jeremy Rifkin stated from his book, <The age of access: the new culture of hypercapitalism, where all of life is a paid-for experience> that consumption culture of industrial culture is in downhill and connection era where all time and experience become products is coming. The experience spending he emphasized has actually placed itself in reality. Consumers in 21st century is no longer feel satisfaction of possession, rather they feel it when they actually consume their feeling, emotion and experience. These consumers create consumption trend which changes with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creation of new trends. Therefore, companies all over the firms try their best to act accordingly with changing consumption behavior by having new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it is still of much difficulty to predict the consumers for reasons being the uncertainty on what consumers like, hate or want.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potential needs of consumers and to suggest ways to develop consuming environment by comprehending particular consumers who visit lifestyle shops. This study aims to help understandcomplex consumer experience in depth. In doing so, this research firstly attempts to comprehend both ‘consumption experience’ and ‘lifestyle shop’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s underlying and secondly searched for cases in regards to failure and success of consumption experie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d consumption experience by choo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find characteristics consumption behavior rather than simple objective and limited concepts of consumer behavior. The subject for qualitative research is 10 consumers whose age range from 20 to 39, who have had experience of shopping at lifestyle shop. In-depth interview with regards to their experience at lifestyle shops was performed. ‘Grounded theory’ was used for analysis method of the interviews and the procedure involves ‘Open coding’,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and ‘Process Analysis’. First of all, raw data was categorized into first half and second half. Then, each category was structured into paradigm via axis coding procedure. Thirdly, core category obtained from axis coding was analyzed by relating to other categories. Then, selective coding is used to check the relatedness and to elevate precision. Fifthly, process analysis is used in order to define and interpret each process which revolves around the central phenomenon, consumption experience. Last of all, the output which is the interpretation of consumption experience was analyzed with lifestyle shops’ stakeholders’ point of view. In this process, ‘Brand Touch Point Wheel’ suggested by David Aaker, Scott M. Davis and Michael Dunn was used in three aspects, pre-purchase experience, purchase experience and post-purchase experience.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pre-understanding of consumers’ lifestyle is a must-know for consumption experience research. Secondly, variety and comfort should be provided for consumers to visit lifestyle shops more often. Thirdly, lifestyle shops should provide comfortable shop environment and new concept suggestion for consumers’ interests. Lastly, quality of product and service will increase repurchase rate. The domain of lifestyle shops is very limited as it is observable by the fact that there isno certain definition for lifestyle shop till date. However, as this research discussed, lifestyle shops are no longer shops that sell products, but now it is installing the function of improving lifestyle of consumers. Therefore, there exist needs of in-depth study on lifestyle shop and theory building and investigation on present condition vi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addition, application plans must be drawn in order to increase awareness for potential consumers and to improve consumption environment of lifestyle shops. 세계적인 철학자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은 그의 책 <소유의 종말>에서 ‘소유가 목적인 산업사회의 소비문화가 저물고 모든 시간과 경험이 상품이 되는 접속시대로 나아갈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그가 주장한 경험소비는 현재 현실로 다가와 있다. 21 세기 소비자들은 더 이상 소유함으로써 만족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 느낌, 경험을 소비함으로써 만족을 느낀다. 이들은 자신들의 개성만큼이나 다양한 소비 트렌드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비의 흐름을 빠르게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세계의 수많은 기업들은 시시때때로 변하는 이들의 소비행동에 따라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그들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을 예측하기란 여전히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소비자 자신들 조차도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그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그들이 진정으로 경험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잡한 소비자들의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특정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잠재적 니즈를 파악하고 소비환경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소비경험’과 ‘라이프스타일 숍’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여 보다 명확한 개념의 이해를 도왔으며, 소비경험의 성공과 실패사례 연구를 통해 국내시장의 실질적 현황과 흐름에 대해 모색했다. 본 연구는 또한 단순히 객관적인, 제한된 개념을 연구하기 보다는 개개인의 경험에서 찾아낼 수 있는 독특한 소비현상을 찾아내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론은 선택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소비경험과 의미에 대해 분석했다. 질적 연구를 위한 대상자는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구매경험이 있는 10 명의 20-30 대 소비자들로 소비경험에 관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이 진행되었다. 심층면접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근거이론 방법(GroundedTheory)이 사용되었으며, 그 과정은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과 ‘과정분석’ 작업으로 크게 4 가지로 요약된다. 먼저 원자료(Raw Data)를 바탕으로 상위범주와 하위범주를 분류하는 범주화 작업이 실시되었다. 이후, 범주화 된 자료는 패러다임이라는 연구모형에 맞게 구조화시킴으로써 축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다음으로 축코딩에서 드러난 핵심 범주(Core Category)를 다른 범주들과 연관시켜 관련성을 확인하고 정교화하는 선택코딩의 과정을 거친 후 ‘소비경험’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한 순차적인 과정분석에 의해 각 단계들을 정의하고 해석했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을 통해 해석된 ‘소비경험’은 데이비드 아커(David Aaker)와 스콧 데이비스(Scott M. Davis) 그리고 마이클 던(Michael Dunn)이 제시한 브랜드 접점 수레바퀴(Brand Touch Point Wheel)의 구매 전 경험(Pre-Purchase Experience), 구매 경험(Purchase Experience), 구매 후 경험(Post-Purchase Experience)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 숍의 이해관계자의 관점에서 분석, 종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경험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선(先)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소비자들이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와 함께 편리함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라이프스타일 숍은 편안한 매장환경을 조성하고 새로운 컨셉을 제안함으로써 소비자들의 흥미를 끌어야 한다. 넷째, 소비자들이 라이프스타일 숍에서 재구매 할 수 있도록 제품과 서비스의 질을 높여야 한다. 현재까지 라이프스타일 숍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은 것처럼 라이프스타일 숍의 영역은 아직 그 깊이를 알 수 없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라이프스타일 숍은 이제 단순히 물건을 파는 숍이 아닌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더 나아가 변화시킬 수 있는 역할로써 진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라이프스타일 숍과 관련한 더 깊이 있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이론정립과 현황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숍의 소비환경 개선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더 많은 소비자가 라이프스타일 숍을 인식하고 함께 개선해 나갈 수 있는 활용방안들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 고령자의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 모형

        김영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한국은 현재 고령인구가 생산인구 비율을 초과하였으며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초고속으로 진입하고 있는 고령화의 속도만큼 고령자와 고령화 사회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시점에 도달해 있다. 고령사회의 도래와 함께 주요 고령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정보격차 및 소외 문제는 고령자들의 스마트폰 보유율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풀어야 할 난제로 남아있다. 이 연구는 고령자라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보추구행동, 특히 정보 시대 주요 매체로 성장해 온 모바일과 관련하여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에 주목하였다. 이에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과 모바일 쇼핑 증가라는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 너머에 있는 근본적인 문제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령자의 모바일 쇼핑 관련 본질적인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맥락적 적합성을 강조한 정보추구행동론과 질적연구 방법으로써 대상자의 경험을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근거 이론을 기반으로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을 모형화를 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이와 함께 고령자의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을 유형화하고 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대안적이지만 현행적 측면에서 고령자를 위한 모바일 쇼핑 UI를 제안함으로써 이 연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먼저 고령자와 고령사회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흔히 노인과 혼용되어 사용되는 고령자는 시대적 그리고 문화적으로 의미와 기준에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연구 대상으로서 고령자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고령자 관련 분야별 기준 연령을 살펴보았으며 고령화에 따른 사회문제 및 향후 고령자의 소비시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고령자의 노화현상이 동반하는 신체적·인지적 특성들과 아날로그와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적 전이를 경험해 온 고령자의 미디어 활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쇼핑 환경 변화 속 부상하고 있는 모바일 쇼핑과 고령자를 포함한 모바일 쇼핑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파악하였다. 모바일 쇼핑은 상품정보뿐만 아니라 탐색과정에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일상의 정보추구 과정에 속한다. 이와 같이 특정 상품을 찾는 미시적 검색행동부터 거시적 관점의 정보행동까지 정보추구행동론은 오랜 기간 정보와 관련하여 사용자, 시스템 및 환경을 탐구해 온 연구 분야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모바일 쇼핑 관련 사용자 정보추구행동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 정보추구행동론의 개념과 이론들을 소개하고 관련 모형을 영향요인과 과정 분석 모형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정보 개인화에 따라 사용자의 맥락적 상황을 파악하고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접근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정보추구의 맥락적 연구에 대한 고찰도 포함하였다. 이 연구는 고령자의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 관련 계량적 접근이 아니라 질적연구 방법에 의해 실증 자료를 해석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으므로 모바일 쇼핑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이력이 있는 60세 이상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참여 관찰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원 자료는 근거 이론 분석방법에 따라 반복적인 범주화 작업을 거쳐 연구의 의미 있는 개념과 특성으로 구체화 되었으며 이는 포스터(Foster, 2005)의 정보추구행동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모바일 쇼핑 관련 핵심과정과 맥락적 상황으로 세분화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 범주들의 축 코딩과 선택 코딩 작업을 통해 고령자의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을 통합하여 모형화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세부적인 내용은 하기와 같다. 첫째, 인과적 조건으로 고령자가 은퇴시기와 맞물리면서 업무를 위한 PC 사용이 줄어들고 모바일이 주요 사용 매체로 전환되었음이 파악되었다. 이와 함께 이들의 여가시간 증가가 TV 시청 시간의 증가로 이어지면서 TV 광고나 홈쇼핑 노출이 빈번해지고 홈쇼핑의 모바일 서비스 확대 등이 모바일 쇼핑을 하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둘째, 맥락적 조건으로는 정보처리 속도 및 정확성 저하, 기억력 감퇴 및 과제 수행 능력 부족 그리고 시력저하 및 행동 둔화 등 고령자의 인지적·신체적 노화현상이 포함되며 이는 모바일 쇼핑의 중심현상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중재 조건에는 스마트폰 용량과 요금제에 따른 모바일 쇼핑 시간 및 환경적 제약과 관련된 외적 상황과 고령자의 온라인 쇼핑 경험을 통해 부정적인 경험이 다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쇼핑에 대한 높은 이용동기 등과 연관된 내적 상황이 포함되었다. 넷째, 고령자의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에 있어 중심현상은 상품검색 단계부터 쇼핑정보 습득 및 구매의 단계에서 발견되는 현상을 통해 면밀하게 파악되었다. 그 결과, 중심현상은 쇼핑정보 검색과 구조화 능력 약화, 제한된 쇼핑정보 추구, 상품 비교 능력 약화 그리고 쇼핑정보 공유의 어려움으로 정리되었으며 고령자들이 여전히 모바일 쇼핑을 하는 데 있어 많은 고충을 겪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중심현상을 조절하고 대응하는 작용/상호작용에는 먼저 가입 및 구매 과정에서 필요한 개인 정보 등록에 있어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친분관계를 통한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제품 단위 위주의 검색어를 사용하고 쇼핑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수첩을 활용하거나 쇼핑몰 내 장바구니를 사용하는 등의 쇼핑정보 저장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스스로 정한 금액 내에서 쇼핑을 하는 등 개별 기준을 적용하고 치밀하지는 않지만 모바일뿐만 아니라 TV 홈쇼핑 등 여러 쇼핑 채널을 비교함으로써 쇼핑정보를 판단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의 모바일 쇼핑 사용자들은 중심현상에서 도출된 한계점으로 인하여 충분한 쇼핑정보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비효율적인 정보추구가 지속되고 이는 정보격차 해소의 어려움으로 연결되는 결과에 다다르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도출된 핵심 범주들을 통합한 후에는 범주 간의 속성과 차원에 따라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특성을 통해 고령의 모바일 쇼핑 사용자들을 소극적 의존형, 합리적 협력형, 효율적 독립형으로 분류하여 유형화하였다. 소극적 의존형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수적이며 쇼핑정보 구조화 및 상품비교 능력 등이 가장 약화된 사용자로서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에 있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는 유형이다. 합리적 협력형의 경우 가장 큰 특징으로는 활발한 친분관계에 의한 상품 구매와 개인 쇼핑몰을 포함한 품목별 다양한 쇼핑몰을 활용한다는 점이 포함되었다. 하지만, 지인들과 함께 상품을 구입하는 일이 잦고 인적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자기결정 능력이 약화되고 쇼핑정보를 스스로 구조화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효율적 독립형의 경우에는 모바일 쇼핑을 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으며 원하는 쇼핑정보를 얻기 위해 시간을 할애하고 적극적인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 패턴을 보였다. 하지만 이 유형의 경우 모바일 쇼핑 관련 소통할 수 있는 동배의 지인이 많지 않아 원활한 정보 공유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다수의 정보추구행동 관련 연구가 모형 도출에서 마무리되는 것에서 나아가 부가적이지만 개념적 측면에서 검색, 비교, 저장 및 공유를 위한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 UI를 제안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고령자의 실제 의견을 종합하여 개선방향을 논의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고령자의 모바일 쇼핑 정보추구행동 연구는 고령자들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이들의 맥락적 상황을 이해하고 본질적인 문제 현상에 접근함으로써 표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보격차와 같은 고령자 관련 잠재적 정보행동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음에도 여전히 고령자와 고령사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시점에서 이 연구가 갖고 있는 고령자와 모바일 쇼핑 경험에 대한 깊은 이해가 고령자의 소비 문제뿐만 아니라 고령에 따른 다양한 문화·사회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접근하는 향후 연구의 초석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Currently, South Korea is one of the fastest aging countries with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exceeding that of the working age population. Given the accelerating speed of aging, it cannot be delayed to conduct research on the aging society. Along with the advent of the aged society, aging-related issues such as the digital divide between young and older populations despite the increasing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among the elderly and alienation of the elderly, have emerged as serious challenges to address. This research focuses on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the elderly consumers, especially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 aiming to identify fundamental problems behind the increase in smartphone use and mobile shopping among the elderly. Thu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model mobile shopping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which can thoroughly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s as a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theory of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hich emphasizes the contextual fi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mobile shopping by the elderly consumer. Simultaneously, we will classify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the elderly consumers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based on which the mobile shopping user interface (UI) for the elderly will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that can be implemented to help better understand and apply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have an understanding about the elderly and aged society. The meaning and standards for the “elderly”, or “older adults,” as is also used, differ across the cultures and time. Therefore, to set the criteria for defining the elderly as the research object, the age standards for related fields were examined and social problems related to aging and future markets of elderly consumers were also studied. In addition, this thesis examined phys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ccompanied by aging and the use of media by the elderly who experienced the transition from analogue to digital media. At the same time, mobile shopping, as an emerging shopping environment, and user interface (UI) for mobile shoppers, including the elderly, were studied. Mobile shopping is part of everyday information seeking process that allows people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as well as those about the products through searching. The theory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from the microscopic information behavior searching specific products to the macroscopic information behavior, is a field of research that has explored users, systems, and environments related to information for a long time. Against this backdrop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ere introduced and related models were examined by dividing into influence factors and procedure analysis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behavior of mobile shoppers in more detail. Furthermore, the context of information seeking was also studied as it is becoming important to understand the user context and provide and access information suited to the purpose of the users according to the personalization of information. Si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nd analyze empirical data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rather than taking a quantitative approach to mobile shopp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elderly people, those aged 60 or older who have mobile shopping experiences, were survey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aw data collected from this process were turned into meaningfu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for the research through repetitive categorization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subdivided into core processes and contextual situations related to mobile shopping according to the information-seeking process suggested in Foster (2005). These results are used to aggregate and model the mobile shopp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by the elderly through axial and selective coding of each category. The details are described below: First, as for the causal conditions, it was found as the elderly retire from work and the use of PC decrease, mobile devices have become a major media used by the elderly. Not only that, with the increase in leisure time they are exposed more frequently to TV commercials and home shopping programs while home shopping channels expanded mobile services, promoting the elderly consumers to shop via their mobile devices. Second, cognitive and physical aging of the elderly was pointed out as contextual conditions which include a decrease in speed/accuracy of information processing, defective memory and inability to complete tasks, and deteriorating vision and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and fitness. These were found to have an indirect impact on core phenomenon of mobile shopping. Third,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 external context, such as the time it takes for mobile shopping or other environmental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capacity and price plan of smartphones, and internal context, related to high-level motivation for mobile shopping despite numerous negative online shopping experiences. Fourth, core phenomenon of mobile shopping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the elderly was carefully examined throughout the process from searching products to obtaining shopping information, and to purchasing. According to the result, core phenomena were summarized as a weakened ability to search for and structure shopping information, pursuit of limited information, decrease in the ability to compare products, and difficulty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elderly still have difficulties shopping on mobile. Fifth, as for action/interaction, which manages and responds to core phenomenon, it was observed that the elderly tend to seek mobile shopping through acquaintances due to the difficulty of subscription and purchase process. Also, they use keywords, based on product units, for search and record shopping information in notebook or the cart of the shopping mall. Not only that, they tend to follow their own standards, such as fixed budget while making a decision after comparing, albeit not meticulously, a number of alternatives including TV home shopping channels as well as mobile shopping. For all these efforts, however, elderly mobile shoppers have difficulties gaining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and continue inefficient search for information due to the limitations derived from core phenomenon, which in turn makes it hard to narrow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young and the old. After integrating these core categories, the elderly mobile shopping users are classified as passive dependent, rationally cooperative, and efficient independent types by repeti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attributes and dimensions. The passive dependent users constitute the most vulnerable group who needs help from others for shopping, with the biggest difficulties in seeking shopping information and the weakest ability to structure shopping information and compare products. The rationally cooperative group is characterized with, more than anything else, product purchasing through ac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using various shopping sites for different items, including the ones run by individuals. However, they find it difficult to structure shopping information and make decisions themselves as they often buy products with their acquaintances highly dependent upon information gathered by interpersonal contact. On the other hand, efficient independent type users have no significant difficulty shopping on mobile, spend time to gain shopping information, and show an active behavioral pattern in seeking mobile shopping information. In this cas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sharing information in mobile shopping. Lastly, this research took a step further from deriving a model of information-seeking behavior like previous studies, to propose a UI for mobile shopping application allowing users to search, compare, store, and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discussed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by integrating feedback from the elderly users. The study of the elderly people’s mobile shopping information-seeking behavior provides implications for potential problems related to the elderly, such as the digital divide, as well as superficial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contextual situation and approaching the core phenomen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elderly. Although many countries have already entered in the aged society, there is still a lack of studies on the aged society and the elderly. It is hoped that the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 elderly and their mobile shopping experience, provided by this research, will lay the groundwork for future studies with fundamental approach not only to the consumption of the elderly, but also to a myriad of cultural and social problems related aging.

      • 불온한 시대와 작중인물의 상관성 : 「16코」 외 2편

        김영롱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I have tried to embody various negative characters through three works, and they all show the commonalities of distorted personality by being swept away by the flow of the times. The common problem consciousness of these works is what kind of crisis the family, the most basic community of our society, faces and what is the methodology to heal it. So I have introduced an experimental character called Park Tae-sung, and I have created a heartless husband who uses it as a prostitution tool to win the election. In addition, I also created a character who eventually walked the path of a serial killer through weak and good abuse. These negative characters reflect the harsh social atmosphere of ethics and morality, but they sought to break the feeling that they seemed to see a lot of stories somewhere and to give extreme fun. Of course, it is not true literature to focus on extreme things and pursue the fun of readers. So I am trying to find a way to keep the reader alive while being faithful to the merits and basic skills of literature. What good would it be if I opened a store that was far from the downtown area and shouted pride in my things alone? In this respect, it is time for a popular novelist who is easily approaching the reader to study and create faithfully to the basic literacy of the novel and to do his job rather than whether it is a pure novel or a popular novel. Today, readers are demanding that literature be moderately serious and be affordable, and that I pay for it because it is a bipedal phenomenon of culture. Now it is time to really think about what our novel is surviving and to find a solution.

      •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개념의 교육학적 해석

        김영롱 울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에 나타나 있는 그의 시간 이론을 규명함으로써 인간의 시간이 신의 시간과 맺는 관련을 밝히고, 그것이 교육적 전달의 맥락에서 가지는 의의를 조명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의 시간 이론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할 때 그 올바른 의미가 드러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무엇보다도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이론의 의의는 교육의 이론이라는 것에 있다. 「고백록」의 시간 이론은 유한성에 지배되는 인간이 어떻게 무한한 신성을 추구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그 의문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내놓은 한 가지 대답은 시간의 개념이다.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하면 인간의 시간은 물리적인 관점으로는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다. 물리적 시간 역시 존재하는 시간이지만, 그러한 의미에서의 시간은 그 존재성을 확립하기 어렵다. 과거-현재-미래의 세 가지 시간 중 그 현존이 입증가능한 것은 현재뿐이다. 그러나 현재는 그것을 측정하거나 규명하려는 순간 과거―비존재―로 흘러가버리게 되며 이 경우에 시간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로 남게 된다. 인간의 시간인 현재는 언제나 비존재로 흘러갈 수밖에 없는 그러한 것으로만 존재한다. 이와 같이 시간을 물리적인 것으로 파악할 때 발생하는 파라독스―시간은 언제나 비존재로 흘러가면서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지적하며 아우구스티누스는, 시간은 심리적인 것으로 설명할 때에야 온전히 파악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시간은 심리적인 것―영혼― 안에서 파악되는 것으로서, 영혼의 개념과 떨어져서는 설명이 불가능한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시간은 ‘영혼의 분산’으로 설명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영혼이 분산될 때 겪게 되는 변화를 곧 시간으로 설명하며, 이러한 변화를 겪으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 인간의 운명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영혼은 인간의 내면에 자리잡은 그 어떤 것을 가리키며, 그것을 제대로 따르는 삶은 곧 내면의 진리―영원, 신성―를 따르는 삶과 다르지 않다. 따라서 영혼의 분산과 집중은 내면의 신성을 추구하는 영혼의 활동으로 파악되게 된다. 영혼의 분산은 영혼이 현재―리쾨르의 용어로 말하여 ‘세 겹의 현재’―와 맺는 관련으로 설명된다. 현재는 그것이 과거와 미래로 이행되며 영혼이 겪는 분산을 계속해서 겪게 된다. 인간에게 영혼은 언제나 균열과 불일치의 상태에 놓여있게 되는 것이다. 균열과 불일치의 존재적 필연성을 벗어날 수 없는 인간의 영혼은 영원의 관조를 할 수 없는 채로 끊임없이 ‘세 겹의 현재’의 양태로 분산을 겪게 된다. 한편, 아우구스티누스는 영혼에 ‘분산’의 양상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집중’의 양상 또한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리쾨르에 의하면 영혼의 분산은 영혼이 ‘세 겹의 현재’와 맺는 관련임에 비하여 영혼의 집중은 영혼이 ‘현재의 전념’과 맺는 관련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추구한 영혼의 집중은 영혼이 ‘현재의 전념’을 통하여 내면의 신성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것을 뜻한다. 만일 영혼이 분산되지 않고 오로지 ‘현재의 전념’ 상태에 머무를 수 있다면 그 때의 영혼은 신성으로의 복귀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인간은 그 존재적 한계로 인하여 영혼이 영원을 보는 것을 지속할 수 없으며, 그것은 오직 순간으로만 가능하게 된다. 인간은 순간에서 영혼의 집중을 통하여 시간 속의 영원을 접할 수 있는 것이다. 순간에서 영원을 만난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이 견해는 키에르케고르의 시간 이론에 비추어 볼 때 더욱 분명해진다. 키에르케고르 또한 인간이 시간 속에서 영원을 만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일은 곧 시간 속에서 진리를 만나는 일과 다른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에게 진리를 전해주는 존재인 교사를 소크라테스와 예수에 빗대어 설명한다.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은 이른바 ‘아이로니’로 요약된다. 소크라테스는 학생의 곁에서 ‘배회’를 하며 자신의 무지를 드러냄으로써 학생을 진리 갈망에의 장으로 ‘유혹’해낸다. 그러나 학생이 자신이 가진 논리의 모순을 알아채고 참된 진리를 구하고자 교사에게 눈을 돌리는 순간, 교사로서의 소크라테스는 ‘잠적’한다. 소크라테스에게 진리는 오로지 개인이 자신의 내면에서 찾을 수 있는 그러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은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에 대한 탐색으로의 길을 안내하거나 촉진할 뿐 그 이상의 것은 바로 그 개인에게 내버려 놓는다는 점에서 소극적 교육방법으로 명명될 수 있다. 키에르케고르는 소크라테스의 소극적 교육방법의 한계는 ‘신인 동시에 인간’인 존재인 예수의 교육방법을 통하여 극복이 가능하다고 본다. 소크라테스가 학생을 진리를 만나는 길의 입구까지 안내한 뒤 사라지는데 반하여, 예수는 학생을 직접 진리와 만나도록 인도한다. 인간은 신으로부터 창조된 존재이기에 그 내면에 신성―진리―를 지니고 있지만 삶의 과정은 점차 그것에서 멀어지게 한다. 이러한 학생에게 예수로서의 교사는 ‘진리’를 넘어 ‘진리 이해의 조건’까지 부여한다. 키에르케고르에 의하면, 만일 학생이 교사로부터 ‘진리’를 제공받고, 나아가 교사로 인하여 스스로의 안에 진리가 있으며 자신은 그것을 깨달을 수 있는 존재라는 점을 깨우치게 된다면, 그는 영원의 진리를 만날 수 있게 된다. 키에르케고르의 ‘결정적 순간’은 시간 속에서 진리를 만나는 그 특별한 시간을 가리킨다. 교사는 그 ‘결정적 순간’의 창조자이며 인간을 영원과 이어주는 매개자이다. 유한한 시간 속을 살아가는 인간은 교사에 의하여 영원의 진리를 만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right status of Augustinus’ Confessions in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reveal the relation of human’s time and god’s time by analysing his theory of time. Confessions. This means Augustinus’ theory of time in Confessions can reveal its meaning only when interpreted by educational perspective. Most of all, the significance of Augustinus’ theory of time is that it centers around the educational theory. The theory of time in Confessions starts from the question about how a finite human can pursue infinite divinity. A concept of time came out in the process of figuring out the question. According to Augustinus, human’s time can’t be grasped properly in the perspective of physics. From the view point of physics, time does exist in temporal sequence, but the existence of time cannot be fully established in this way. Amongst the three concepts of time, past-present-future, the present is the only one which can be proved to be in existence. However, when it comes to perceiving, the time flows to the past, in Augustinus’ term, ‘non-existence’. The present, which is the time of human, can exist only in the way it flows to the non-existence. Augustinus points out that the paradox of time occurs when we try to grasp time in a physical way. Thus he explicates that the time can fully be grasped when it is explained in the psychological view point. To Augustinus, time is psychological. In other words, time is grasped in the human soul and so it cannot be explained without the concept of soul. Augustinus defines time as ‘the distention of soul’. In his point of view, time is the change that the soul experiences when it is distorted(distended), and this inevitable change is the destiny of human beings. The soul is something located within the human being, and a life in accordance with the soul is not different from a life in the pursuit of an absolute truth within which refers to eternity or divinity. Thus the intention and distention of the soul is understood as the act of the soul pursuing the divinity within. When the soul is distended, it only concerns with the present in terms of Ricoeur, ‘three-fold present’. Scattering to the past and the future, the present continually experiences the distention of the soul. Human soul is always in a state of cracks and discordance. The human soul, which cannot avoid the existential predicament of cracks and discordance, experiences the distention of the soul not being able to contemplate the eternity. Meanwhile, Augustinus explains that there is not only the distentional aspect of the soul, but also the intentional aspect of the soul. According to Ricoeur, the distention of the soul is a relation between the soul and the ‘three-fold present’, while the intention of the soul is a relation between the soul and the ‘present intention’. The intention of the soul, which Augustinus seeks after, means that the soul wants to return to the divinity within through ‘present intention’. If the soul can stay in the state of ‘present intention’ without being distended, at that moment the soul can realize the return to the divinity within. However, the human being cannot continue the contemplation to the eternity due to its existential limitations, and it is possible only as a moment. Again, humans can meet the eternity in time by concentrating their soul at the very moment. Augustinus’ view of meeting eternity at the moment becomes more clear in the light of Kierkegaard’s theory of time. Kierkegaard also thinks that human can meet the eternity in time, and this is no different from meeting the truth in time. Kierkegaard explains the teacher who delivers the truth to humans in the way of Socrates and Jesus. Socretes’ teaching method is summed up as so called ‘irony’. Socrates ‘roams’ the student and reveals his ignorance, thereby he ‘lures’ the student to the path of craving the truth. When the irony captivates the student and makes his eyes lead to the teacher seeking for the truth, however, Socrates as a teacher ‘vanishes’. In Socrates’ education, truth is only found in one’s inside. This Socrates’ teaching method can be named as ‘Negative teaching method’ due to the fact he only guides or promotes the individual to the path of inner search, and leaves everything else behind to the individual. Kierkegaard believes that the limitation of Socrates’ Negative teaching method can be overcome by the teaching method of Jesus, who is a ‘god and human’. While Socrates guides the student to the entrance of the road to the truth, Jesus guides the student to meet the truth directly. Human has divinity or truth inside of him because he is a being created from God, but the process of life gradually alienates him from it. For these students, teacher as Jesus offers ‘the condition of understanding truth’ beyond ‘truth’. If the student is provided with ‘truth’ from the teacher, and realizes that he has truth in himself and that he can realize this fact, he can meet the truth of eternity. Kierkegaard’s ‘decisive moment’ is this special moment at which the student meets truth in time. The teacher is a creator who triggers a ‘decisive moment’ and a mediator who connects human to eternity. Human living in finite time meets the truth of eternity with a teacher.

      • 소득분위별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COVID-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원격수업이 전면 확대되는 등, 교육 환경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원격 교육의 보편화로 인한 교육 기회의 확대와 같은 긍정적인 일면보다는, 원격 교육환경에서 학생의 가정 배경변인에 따른 격차가 디지털 활용 측면의 격차로 이어져 교육 결과의 격차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의 ICT 활용과 교육의 결과에 있어 가정 배경의 영향과 학교 교육의 영향이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가정 간의 격차가 디지털 활용 및 교육 결과의 격차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고 교육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ICT 활용 목적에 따른 빈도와 시간, 활용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소득분위에 따라 차별적인지 확인하고 그 가운데 학교의 교육이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교육정책적 보완점을 찾는 데 있다. 상기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은 소득분위별로 다른가? 둘째,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소득분위별로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가? 넷째, 학생의 ICT 활용 양상 및 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교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의 분석을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 데이터 5~9차년도(2014~2018년) 5개년도에 모두 응답한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일원분산분석과 개체와 연도를 고정한 이원고정효과모형이다. 학교의 효과는 상호작용항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가정, 학교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생이 친교 또는 유희 목적으로 ICT 기기를 활용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심화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기기를 친교 및 유희 목적으로 오랜 시간 사용할수록 학업성취도는 하락하였다. 반면, 학습 목적으로 활용하거나 기초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분위별로 ICT 활용 목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친교 및 유희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고소득층의 친교 및 유희 목적 스마트폰 활용의 영향은 정적이었다. 셋째, 학생의 ICT 기기 활용 양상 및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위 학교의 디지털 기기 관련 수업 활성화도와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전문성이 유의한 긍정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디지털 자본 측면에서 단순히 ICT 및 스마트 기기 활용 빈도의 증가가 교육의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학습에 유의미한 방향으로 활용할 때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기기 및 컨텐츠를 자신이 목적한 바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하는 역량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러한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가정의 배경변인에 따라 영향의 크기와 방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난 바, 현실 세계의 격차가 디지털 상의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더욱 견고한 정책적 방어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가정 배경 변인에 따른 ICT 활용 목적 및 능력의 차이를 ‘학교 교육’이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사가 수업 중에 스마트기기를 잘 활용하고, 많이 활용할수록 학생에게 모델링 효과를 주고 ICT 기기 활용을 통한 학습의 ‘방법’을 배운다는 점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과 관련한 교사 교육 및 수업의 질 제고와 디지털 교육을 활용하는 학교 풍토 조성을 위한 교장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단위 학교 내의 스마트 기기 활용 수업의 확산과 질적 제고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제언한다. 같은 맥락에서 교사의 ICT 활용 역량이 효과적으로 발현되는 풍토 조성에 있어 필수적인 교장의 e-리더십 함양 및 제고를 위한 학교장 연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바, 이를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ICT 기기 활용 방법과 활용 시간 관리 등을 교육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수업 중 수준별 수업을 통한 추가적 교육 투입, 저소득층 학부모 대상 ICT 활용 지도 연수 등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recent COVID-19 Pandemic situation has led to a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remote classes expanding altogether. However, rather than positive aspects such as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due to the universalization of remote education, concerns have emerged that the gap between students' home background variables in the remote education environment will lead to a digital utilization gap.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family background and school education on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in an empirical manner to determine whether the gap between families leads to digital utilization and educational results and derive educational policy implications.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uture educational policy complementary points by checking whether the effect of students' frequency, time, and ability on academic performance is different depending on income class. Th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is the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ability different by income quintile? Second, how does the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ability affect academic performance? Third, is the impact of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ability on academic performance different by income class? Fourth,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CT utilization and their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problems, panel data answered in all five years of the Seoul Education End Research (SELS) 2010 Data 5th to 9th (2014 to 2018) were utilized. The method used for analysis is a one-way ANOVA and a two-way fixed effect model that fixed the object and year.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was determined using the interaction term.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der control of an individual, home,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 more frequently students use ICT devices for social or entertainment purposes, the higher their ability to use smartphone devices for social and entertainment purposes, the lower their acade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higher the ability to utilize the basics or for learning purposes, the more static it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ICT utilization purpose and ability on academic performance was different for each income class. In particular, for low-income people, the time they used smartphones for social and entertainment purpos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high-income people's use of smartphones for social and entertainment purposes was static. Third, the activation of digital device-related classes in unit school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mart device-use classes have significant positive interaction effects in the impact of students' ICT device utilization and ability on academic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nfirm that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ICT and smart device utilization in terms of digital capital does not simply have a positive impact on training outcomes, but only when utilized in a meaningful direction for learning. This suggests that the ability to use digital devices and content useful for their own purposes is important. However, the impact of this ICT utilization on academic performance has been shown to vary in size and direction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ome, requiring a stronger policy barrier to prevent real-world gaps from leading to digital ga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school education" can offset some of the differences in the purpose and capabilities of ICT utilization according to family background variables.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principal's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and classes related to education on digital devices and creating a school climate that utilizes digital education, given that teachers use smart devices better in class, the more they use them, the more they use. Based on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he promo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e spread of smart device utilization classes in unit schools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is proposed. In the same vein, there is a relative lack of training of principals to foster and enhance e-leadership, which is essential for creating a climate where teachers' ICT utilization capabilities are effectively expressed,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operate them.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ducate low-income students on how to use ICT devices and manage the time of use, additional education through class-level classes, and ICT utilization guidance training for low-income parent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