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튬 이차전지 음극용 Si/Carbon 복합 물질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김영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Nano-Si/graphite composite has been synthesized by ball milling with milling time under different milling atmosphere, and Nano-Si/graphite/carbon coated composite has been synthesized by heat-treatment of nano-Si/graphite composite for carbonization at 900 ℃ and 1000 ℃ under argon flow. Their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ere investigated. Besides, the cycle performance of a Si-based anode consisting of mixed silicon-graphite composite, slurry-coated onto Cu current collectors with different surface morphology was investigated. Mechanically induced oxidation on the surface, probably along the edges of the graphene planes, is responsible for suppressing the fracture rate and preserving the crystallinity of natural graphite milled in Air and Oxygen atmosphere. Being compared with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of electrode materials synthesized by ball milling with different atmosphere, the electrode material ball milled in Air atmosphere shows better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than that ball milled in Oxygen and Ar. Cycle-life and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have significantly been improved by heat-treatment of nano-Si/graphite composite for carbonization at 900 ℃ and 1000 ℃ under argon flow. The crystallinity of natural graphite milled in air and oxygen atmosphere affects to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no-Si/graphite/carbon coated composite, as before. Cycle-life of the mixed silicon/graphite composite electrode, with a specific capacity of about 800 mAh/g, lithium-ion batteries has significantly been improved by using a Cu current collector with a properly modified surface morphology. Especially, it is found that the electrode slurry-coated on a nodule-type foil exhibits a quite good capacity retention. The enhanced cyclability was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uggested that if further optimized current collector system is used with a high-performance Si-based active material, better cycle performance is expected.

      • 국내 모터스포츠산업의 특성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영래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모터스포츠산업을 분석하여 현재 국내 모터스포츠산업의 발전저해요인과 최우선과제에 대하여 규명하고 발전저해요인이 최우선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국내 모터스포츠 참여자로 국제자동차연맹 F.I.A 산하 한국자동차경주협회 KARA 등록된 공인팀인 PURPLE RACING에 소속된 인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설문 참여자 수 140명 중 성실한 답변 자료인 11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2.0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사,빈도분석,기술통계분석,일원변량분석,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자료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자동차경주에 적합한 종목은 GT Race며 개최 지역은 경기도가 가 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자동차경주의 우승은 메이커 선호도 및 자동차 기술 개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모터스포츠산업의 발전저해요인으로써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사회적 요인”이며 정부요인”과 “제조사요인”또한 큰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규명 되었다. 국내 모터스포츠산업 최우선 과제로써 10항목을 발굴하여 분석한 결과 5가지 항목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그 중 3가지 항목은 아주 높은 수치를 보 였다. 최우선과제로 규명된 것은 “인프라구축이 필요하다(서킷건설)” 항목 으로 국내 모터스포츠 발전에 있어서 우선 해결해야 될 문제로 규명 되었다. 발전저해요인이 최우선 과제에 미치는 영향으로써 5항목의 저해요인과 10항목의 최우선과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규명 할 수 있었다. 모터스포츠 발전 저해 요인 중 사회적 요인에 대한 문제점을 높게 인식할수록 국내 모터스포츠 국제적 스타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폴리옥살레이트 미립구와 다중층정제를 이용한 약물방출의 서방화에 관한 연구

        김영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stained release of drug through polyoxalate(POX) and multi-layer formulation. Aceclofenac inhibits the cyclooxygenase enzyme and thus exerts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inhibition of prostaglandin synthesis. Due to its short biological half-life (about 4h) and dosing frequency (200 mg daily in 2 divided doses) of more than one per day. In this study, the microspheres were prepared using a POX. POX is biocompatible, biodegradable polymer and half-life is 7~10days. Microspheres were prepared using a simple method based on an emulsion-solvent evaporation method like O/W(oil-in-water). In addition to, chainge of production condition of stirring speed, POX molecular weight, PVA concentration etc. The morphology of the microspheres was evalu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analysis of crystallization was performud using X-ray diffraction (XR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he influence of preparation parameters was studied with respect to release of pioglitazone. Nifedipine is mainly used for treatment of antianginal (especially in Prinzmetal's angina) and antihypertensive. it is small water-soluble drug. so we prepared solid dispersion for improvement of dissolution rate by using spray dryer. However, it has the limitation of maximum dose about 30 mg/day. Also, It has half-life of 1.5 to 2h. It is essential to extend the release of nifedipin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ol the burst release of nifedipine through the multi-layer formulation for 24 h. The multi-layer tablet is composed of upper & bottom layer and middle layer. The upper & bottom layer gel-forming polymers as release controlling agent. The middle layer is prepared by nipedipin-PVP K30 solid dispersion. The prepared solid dispertion is analyzed by SEM, XRD and DSC. The prepared multi-layer tablet is characterized by swelling assays. The release behavior of nifedipine from the prepared multi-layer tablet is confirmed through in vitro assay (pH 6.8). 이번 연구의 목표는 약물 방출의 서방화이며 이를 위해 폴리옥살레이트 (POX) 미립구와 다중층 정제를 사용하였다. 아세클로페낙은 고리형 산소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항염증 반응을 위해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약물로서 류마티스성관절염 및 골관절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아세클로페낙은 반감기가 4시간으로 짧기 때문에 하루에 200mg을 2번 나누어 투약하여 잦은 빈도의 투약을 요구한다.이번 연구에서는 7~10일의 반감기를 가지는 생체에 적합하고,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oxalate (POX)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 할 예정이다. 미립구의 제조는 유화 용매 증발법의 한 종류인 O/W(oil-in-water) 방법을 사용 하였고, 추가적으로 제조과정에서 교반속도, POX의 분자량, PVA의 농도 등의 제조조건을 달리하여 제조 하였고, 제조된 미립구는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X선 회절분석법 (x-ray diffraction, XRD), 시차주사열량측정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등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미립구의 약물방출을 확인하기 위하여 PBS 용액 (pH 7.4)에서 생체 외 방출거동은 6일동안 진행하였다. 니페디핀은 고혈압 치료제로서 많이 쓰이는 약물로서 매우 난용성을 띄기 때문에 용출률의 개선이 필요한 약물이다. 또한 하루 최대 복용량이 30mg 밖에 되지 않고 반감기 또한 1.5~2시간 정도로 짧기 때문에 약물 방출을 서방화 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는 니페디핀의 약물 방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중층 정제를 통한 24시간 방출제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다중층 정제는 윗층과 아래층 그리고 가운데 층으로 이루어지며 윗층과 아래층은 gel-forming 고분자를 이용하여 방출을 제어 할 것이다. 또한 가운데층은 니페디핀의 용출률 향상을 위해 니페디핀과 PVP K30의 고체분산체를 사용 하였다. 고체분산체 분석을 위한 SEM, XRD 그리고 DSC 분석과 다중층 정제의 팽윤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공장액(pH 6.8)에서 생체 외 방출거동을 24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 성별 고용형태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 분석

        김영래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Non-standard workers has increased by the spread of the employment flexibility in many countries. They are confronted with job instability and poor working conditions. This leads to negative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which have unfavorable effects on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hese adverse environments could incur serious suicidal ideation. Especially female in non-standard employment are vulnerable to depression due to sexual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This report is aimed to study the differences of suicidal ideation by gender and type of employment. The sample included 2,273 male and female between 18 and 55 years old using 11th Korean-welfare-panel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69% of people who had suicidal ideation are non-standard workers but they are only 33.6% of total (p<.00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non-standard employment condition, the male's possibility of suicidal ideation is increased slightly compared to full-time workers. but the female's possibility of suicidal ideation i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regular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policie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to prevent suicide and suggest improvement of labor market. 노동시장의 유연화 확산으로 전 세계적으로 비정규직 근로자가 증가하였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고용불안과 열악한 근로조건에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트레 스와 우울과 같은 부정적 심리상태가 지속되고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그리고 이는 자살생각으로 연결될 수 있어 고용형태에 따른 격차와 차별의 심각성을 시사한다. 그리고 또 여성은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배제와 차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는 성 차별과 고용형태에 따른 차별이 교차되는 지점에 서 있다.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는 열악한 건강 상태와 임금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에 대한 정신건강 및 자살생 각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고용형 태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를 분석하여 비정규직 근로자와 특히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 11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18세 이상 55세 이하 대상자 2,27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자 중 정규직은 66.4%, 비정규직은 33.6%로 정규직이 높게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자살생각 비율은 정규직은 31%였으며, 비정규직은 69%로 비정규직이 더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고용형태에 따른 자살생각 차이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의 조절효과도 존재했다. 연구결과를 해석하면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가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았 다. 성별을 함께 살펴보면, 남성은 비정규직일 때 정규직에 비해 자살생각을 할가능성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여성의 경우 비정규직 일 때 정규직에 비해 자살생 각을 할 가능성이 크게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는 성과 고용형태로 인한 차별과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극단적인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 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살예방의 실천 및 정책적 개입을 제언하고, 나아가 노동 시장의 개선의 제시하였다.

      • Roles of water molecule at different annealing steps on electrical properties in solution-processed InGaZnO thin-film transistors : 열처리 단계에 따른 물 분자가 용액 공정 IGZO 박막 트랜지스터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투명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구현을 위한 고성능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실리콘 기반 박막 트랜지스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기물, 산화물, 저온 다결정 실리콘 기반의 박만 트랜지스터들이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산화물 반도체의 경우 선천적으로 물질의 투명성,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 저온공정에 대한 가능성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게다가, 비정질 상태에서도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 구현이 가능해 차세대 소재로 주목 받는다. 게다가 이러한 장점들에 더하여, 용액 공정을 실현함으로서 진공 공정이 가지는 단점 및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용액 공정에서 필수적인 열처리 과정에 따라 전기적 성능 향상을 위한 자외선 및 물 분자 처리가 박막 트랜지스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다뤘다. 용액 공정 과정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액체상태의 용액을 고체 박막화 시키는 선-열처리과정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박막의 화학적 활성화를 유도하는 후-열처리과정이 있다. 한편,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자외선 및 물 분자 등을 활용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우선, 우리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활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손쉬운 방법을 제시하였고, 또한 이 두 가지 요소가 용액 공정 중 선-열처리과정 이후 적용되었을 때 미치는 영향과 후-열처리과정 이후 적용되었을 때 미치는 영향이 상반되는 것을 확인하여, 동일한 자외선 및 물 분자 활용방법이라도 박막의 상태에 따라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용액 공정에서 자외선 및 물 분자를 처리 할 때 박막의 상태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을 파악하는 것은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제작에 있어 굉장히 중요하다. 아무것도 처리되지 않은 기본 산화물 박만 트랜지스터 대비 선-열처리과정 이후 자외선 및 물 분자가 처리 되었을 경우, 전계 효과 이동도는 향상되지만 문턱전압 이하에서의 기울기는 악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 후-열처리과정 이후 처리 되었을 경우, 전계 효과 이동도는 감소하지만 문턱전압 이하에서의 기울기는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코팅처리 L-tryptophan과 L-ascorbic acid의 첨가 급여가 Holstein 착유우의 혈액 성분 및 산유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L-tryptophan 및 L-ascorbic acid의 첨가 급여가 고온기 Holstein 착유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Holstein 착유우 30두(산차 2.63±2.01)를 공시하여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수행되었다. 시험구 배치는 대조구, T1구(Coated L-tryptophan 20g/두/일) 및 T2구(Coated L-ascorbic acid 20g/두/일)의 3처리로 하였다. 7월의 산유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지만, 8월 및 9월의 산유량은 대조구에 비해 T1구 및 T2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7월의 유지방 및 유단백질 함량은 처리구간 유사했지만, 8월 및 9월에는 T1구 및 T2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지방 및 유단백질(kg)은 대조구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T1구에서는 증가되었고, T2구에서는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8월 및 9월의 4% fat corrected milk (4% FCM)는 대조구 및 T2구에 비해 T1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7월 및 8월의 somatic cell count (SCC)는 대조구에 비해 T1구 및 T2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9월에는 대조구에 비해 T1구 및 T2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7월의 우유 중 unsaturated fatty acid (UFA) 함량은 T1구 및 T2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낮았지만, 8월 및 9월에는 처리구간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9월의 우유 중 saturated fatty acid (SFA) 함량은 대조구 및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7월의 우유 중 melatonin 농도는 처리구간 유사했지만, 9월에는 대조구 및 T2구에 비해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7월의 혈중 cortisol 농도는 대족구에 비해 T1구 및 T2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9월에는 대조구에 비해 T1구 및 T2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코팅처리 L-ascorbic acid 및 L-tryptophan 첨가 급여는 Holstein 착유우에서 고온 스트레스 저감(우유 중 melatonin 농도 증가 및 혈중 cortisol 농도 감소)을 통해 산유량, 유성분 및 원유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coated L-tryptophan and L-ascorbic acid on the productivity of lactating Holstein cows during the summer season. Thirty Holstein cows (parity: 2.63 ± 2.01)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groups: control (basal diet), T1 (basal diet + coated L-tryptophan 20 g/cow/day), and T2 (basal diet + coated L-ascorbic acid 20 g/cow/day) for 3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21. The milk yield was similar between the treatments in July, but it was slightly higher in the T1 and T2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August and September. The milk fat and protein contents were similar between the treatments in July, but those were sligh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T1 and T2 groups in August and September. The milk fat and protein yield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but while these increased in the T1 group and remained unchanged in the T2 group. The fat-corrected milk (FCM) was slightly higher in the T1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T2 group in August and September. Control group had slightly lower somatic cell count (SCC) than the T1 and T2 group in July and August; however, it wa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lowest in the T1 group in September. The cont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UFA) in milk were slightly lower in the control group than the T1 and T2 group in July, while these were similar between the treatments in August and September. T2 group had slightly lower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s (SFA) in milk than in the control and T1 groups in September. The concentration of melatonin in milk were similar between the treatments in July, but these were higher in the T1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T2 group in September (P<0.05). In July, the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 was slightly low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T1 and T2 groups, while the opposite was true in September. Overall, it is conclud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coated L-ascorbic acid and L-tryptophan in feed has a positive effect on milk production and its components in Holstein cows by reducing heat stress (increased milk melatonin concentration and reduced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 A Study on Coherence Factor Based Synthetic Aperture Focusing Method with Virtual Ellipse

        김영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ive beamforming (RBF) based on delay-and-sum (DAS) has been widely for improving signal-to-noise ratio (SNR) and spatial resolution in medical ultrasound imaging systems. However, the DAS only shows improved image quality close to transmit focal depth. To overcome the limitation in DAS, synthetic aperture focusing (SAF) method has been proposed. In addition, coherence factor weighting (CFW) beamforming methods were recently proposed to further enhance contrast resolution by reducing interference noise in medical ultrasound imaging systems. Combining SAF and CFW methods can provide a high-resolution image with improved contrast and spatial resolution. However, conventional SAF methods based on a virtual point source (SAF-PS) yield severe degradation in SNR and gain near transmit focal depth. In this study, a new SAF method using a virtual ellipse model (SAF-VE) is presented to solve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in gain and SNR. In addition, the proposed SAF-VE method can be combined with different types of CFW methods, such as coherence factor (CF), generalized CF (GCF), and spatially smoothed CF (SSCF).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the Field-II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SNR was measured by using the ultrasound research system(Vantage 128, Verasonics Inc, Kirkland, WA) with a L7-4 linear probe. In addition, the in-vivo breast study was performed with a commercial ultrasound system equipped with a research package (SonixTouch, SonicDAQ, Ultrasonix Corp., Canada) using a 10-MHz linear probe. The Field-II and in vivo study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AF-VE method successfully resolves the degradation in gain and SNR at transmit focal depth while providing improved contrast resolution when combining with CF. Moreover, the increase in computational complexity from the proposed SAF-VE with CF was negligible since the CF weighting is performed after superpositions.

      • Indexing Emotions in Textile Images using Machine Learning : 기계학습을 이용한 텍스타일 영상에서의 감성 색인

        김영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n emotion recognition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predict certain human emotional concepts from a given textile. The main application motivating this study is textile image annotation, which has recently rapidly expanded in relation to the Web. In the proposed method, color and pattern are used as cues to predict the emotional semantics associated with an image, where these features are extracted using color quantization and a multi-level wavelet transform, respectively. The extracted features are then applied to three representative classifiers: K-means clustering, Na?ve Bayesian, and a multi-layered perceptron (MLP), all of which are widely used in data mining. When evaluating the proposed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3,600 textile images, the MLP produces the best performance. Thereafter, the proposed MLP-based method is compared with other methods that only use color or pattern, and the proposed method shows the best performance with an accuracy of 92%. For this, we proposed a novel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emotional concepts that are associated with image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built the textile retrieval system using the recognizer as indexer. Therefore,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commercial textile industry and image retrieval. 본 논문에서는 컬러와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타일 영상에 포함된 감성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근 웹에서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섬유 영상에 Annotation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특징 추출과 분류로 구성된다. 특징 추출 단계에서는 주관적인 감성을 물리적인 영상 특징으로 표현하기 위해 텍스타일을 구성하는 대표 컬러와 패턴을 추출 한다. 이 때 대표 컬러를 추출하기 위해서 양자화 기법을 이용하고, 패턴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웨이블릿 변환 후의 통계적인 정보를 이용한다. 추출된 특징을 사용하여 세 개의 대표적인 분류기에 적용한다. K-means clustering, Naive Bayesian, Multi-Layered Perceptron (MLP)는 데이터 마이닝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분류기이다. 제안된 감성 인식 방법을 3,600개 텍스타일 영상을 사용하여 평가했을 때, MLP 방법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MLP는 92%의 정확도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제안된 MLP 방법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컬러 또는 패턴만을 사용한 다른 방법들과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텍스타일에 포함된 감성을 인식하기 위해 기계학습을 이용한 자동 인식기를 개발하여, 이를 실제 검색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제안된 감성인식 방법이 다양한 텍스타일 관련 산업분야에 일반화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