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산업의 신뢰,몰입,전환장벽이 재계약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위탁급식업을 중심으로

        김영금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본 연구는 점점 과열화되고 양극화되어가는 위탁급식시장이 좀 더 안정적이고 바른 시장형성을 위해서는 위탁급식 전문회사들이 신규시장 개척에만 주력하여 발생되는 초기투자의 낭비를 없애고 질적 급식을 위해 재계약 또는 장기계약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수도권의 위탁급식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탁급식 재계약의사의 결정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각각 설정된 가설들을 분석한 결과 첫째, 위탁급식업체의 운영요인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먼저 직접 운영요인의 하위요인별로는 비용단가, 메뉴관리, 위생관리, 서비스관리가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에 영향을 주는 직접운영요인의 하위요인은 메뉴관리, 서비스관리, 비용단가, 위생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 운영요인의 하위요인별로 환경요인, 브랜드이미지가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간접 운영요인은 환경요인과 브랜드이미지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탁급식업체의 운영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먼저 직접 운영요인의 하위요인별로는 서비스관리가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관리만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간접 운영요인의 하위요인은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가 높아지면 몰입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 및 몰입이 전환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먼저 신뢰는 전환비용, 고객유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가 높아지면 전환비용과 고객유대는 영향력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은 전환비용, 대안매력, 고객유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이 높아지면 고객유대, 전환비용, 대안매력 순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뢰 및 몰입이 재계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신뢰, 몰입은 재계약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계약의도에는 신뢰가 몰입보다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환장벽이 재계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환비용, 고객유대가 재계약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환장벽에는 고객유대, 전환비용 순으로 재계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먼저 전환장벽의 하위요인별 전환비용, 대안매력, 고객유대에 대한 신뢰, 몰입의 영향력은 직접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계약의도에 대한 전환장벽의 하위요인별 전환비용, 대안매력, 고객유대의 영향력도 직접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신뢰와 몰입이 전환장벽을 경유하는 경로를 통한 간접효과 또한 긍정적이므로 전체 인과효과는 긍정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신뢰와 몰입은 그 각각의 요인만으로도 재계약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환장벽의 매개역할로 인하여 보다 높은 재계약의도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위탁급식의 재계약연구로 기존에 연구 되어왔던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인 B2C의 관계가 아닌 기업과 기업의 관계인 B2B의 관계로 전개 되었으며 B2B의 계약임에도 일반적인 상호 대등관계의 계약관계에서 벗어난 위탁사의 일방적인 재계약 의사 결정 구조로 기존의 연구들과는 많은 차이점을 두고 시작하였으며 결과 또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소 다른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무엇보다도 큰 이론적 시사점은 이 분야는 직·간접 연구는 많지 않았고 본 연구에서 시도한 결과 신뢰와 몰입은 각각의 요인만으로도 재계약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전환장벽의 매개역할로 보다 높은 재계약의도가 형성됨을 밝혀 재계약으로 이끌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게 하였다. 결과는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 하려 노력하여 통계를 다양하게 이용해 보았으나 선행연구들과 일치하지 않은 결과들이 간혹 있어 본 연구의 결과에 의구심이 들기도 하였으나 이는 다른 환대사업이나 타 업종의 연구들이 대부분 이었고 B2C의 관계 연구결과로 본 연구와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세부적인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위탁급식의 선택속성 연구와 서비스품질 연구에서 필요한 요인들을 찾고 더 나아가 실무에서 필요하다고 느꼈던 요인을 추가하여 보다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중요한 세부적인 항목과 기존 위탁급식에서 다루지 않았던 요인으로 좀 더 고객의 욕구에 구체적인 답변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위탁급식 업체의 고객욕구를 충족 시켜 위탁사로 부터 신뢰를 쌓고 그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몰입을 형성시켜 장기계약 관계를 유지해 가도록 하기 위해 신뢰와 몰입 및 전환장벽에 대한 속성을 운영에 재인식 시 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신뢰와 관계몰입을 잘 형성 하더라고 전환 장벽이 낮아 전환에 어려움이 없다면 재계약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전환장벽에는 어떤 요인들이 있는지 이것은 각각 어떻게 재계약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여 미리 전환장벽을 찾아 전환할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내 장벽을 높이거나 제거하여 최대한 전환을 예방조치 하는데 기여하리라 본다. 이에 중소위탁급식 업체들은 식자재유통, 프랜차이즈, 전처리사업 등 다른 분야에서 고객에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 등으로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틈새시장과 그들만의 색깔로 고객만족을 이끌어야만 매출유지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정부는 대기업의 규제로 관공서 등의 수주를 막았으나 그것은 오히려 몇몇 중견 기업으로 쏠림현상이 두드러져 위탁급식산업의 시장을 더욱 혼돈으로 빠뜨리고 있다. 이에 정부는 좀 더 현실적인 대안으로 외식산업 특히 위탁급식산업의 시장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과 분석결과를 통해 제기할 수 있는 몇 가지 한계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본다면, 향후 연구과제로는 좀 더 폭넓은 지역적 선택과 급식의 형태에 따른 분류로 산업체, 병원, 오피스, 관공서, 대학교 등 세부적인 위탁급식 재계약 영향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보며 또한 다른 환대산업 등 서비스 기업이나 일반기업에서도 경영학적 측면에서 본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수탁사가 개인사업자, 중·소기업, 대기업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중 중·소기업자의 비중이 높은 관계로 좀 더 세분화된 연구로 정확성을 기하지 못했다는 점과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업체선정이나 계약 및 재계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급자들 만이 참여하여 설문자료에 좀 더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쪽파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김영금 建國大學校 農畜開發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쪽파와 우유 첨가가 김치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쪽파 함량을 0, 2, 4, 8, 100%되게 담그고 한편 4% 쪽파 배합구에 우유를 2.5%되게 첨가한 후 각각 1주간 숙성과정의 pH, 환원당, 산도, 총균수 및 유산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각 시험구의 pH는 숙성 3일째에 모두가 pH 5.5~6.27에서 pH 3.94~4.19로 크게 변화하였으나 3일 이후에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전반적으로 쪽파를 첨가할수록 pH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2) 환원당 함량의 변화는 쪽파 첨가구의 숙성 초기에서 중기까지는 대략 2.70%에서 1.44%로 그 변화가 뚜렷하였으나 숙성 후기에는 거의 변화 없었고 우유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숙성 후기에 비교적 격감하는 현상을 보였다. 3) 산도의 변화는 숙성 전기에서는 0.16~0.18%로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나 숙성 후기에서는 0.68%로 크게 상승하였다. 4) 총 균수의 변화는 쪽파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숙성초기 2.3×10^(5)~6.6×10^(5)/ml 이었으나 숙성 기간 중 2.8×10^(8)~9.8×10^(8)/ml으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모든 시험구에서 숙성 후기에는 다시 1.2~7.3×10^(8)/ml으로 감소되었다. 5) 유산균수의 변화는 숙성 초기에 10^(3)에서 숙성 후기에는 10^(8)으로 늘어났으나 숙성 6일째에는 10^(7)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쪽파를 첨가한 시험구는 쪽파를 첨가하지 않은 시험구보다 유산균 증가가 완만하였으며 우유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숙성 3일째 10^(8)으로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The changes of the pH, reducing sugar, total acidity, total viable cell counts and lactic acid bacteria cell counts in Kimchi which were prepared with various contents of small green onion (Allium fistulosum L.)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t 1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the pH value of all sample were dramatically changed with the range from 5.5~6.27 to 3.94~4.19 but stabilized at the final period. A great deal of pH change was not observed by adding more and more pieces of small green onions. 2. It showed also clearly that the amounts of reducing sugar for sample species with small green onion was changed 2.70% to 1.44% between initial and middle stage of fermentation, while almost no change at the last part of fermentation. But in case of regular milk addition, the quantity of reducing sugar was much decreased at the latter part of fermentation. 3. The changes of lactic acid content was slowly increased with the value 0.16% to 0.18% at the former fermentation period, but high rocketed to 0.680 at the last part. 4. The variance of total viable cell counts showed that the sample species with small green onion was 2.3×10^(5) to 6.6 × 10^(5)/ml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while increased to the range 2.8×10^(8) to 9.8×10^(8)/ml by progressing of fer-mentaion further. But in all sample species, the numbers of bacteria were dropped down with the value 1.2×10^(8) to 7.3×10^(8)/ml at last period of fermentation. 5.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was increased from 1.0×10^(3)/ml at initial fermentation to 1.0×10^(3) at last period, but decreased again to 1.0×10^(7) on the 6th day of fermentaion. And sample species with small green onion showed the tenda-ncy of relatively increased lactic acid bacteria as compared to sample without small green onion. The sample with regular milk showed the increased bacteria numbers 1.0×10^(8) on the 3rd day, but after that fallen down slowly.

      • DMT에서의 신체지각 체험연구

        김영금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비 무용/동작치료사를 위한 교육과 훈련 과정에서 예비 무용/동작치료사가 체험하는 무용/동작 치료에서의 신체 지각이 어떠한지와 그 체험이 치료사로서의 자기역량 강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4명의 예비 무용/동작치료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 째, 무용/동작 치료에서의 신체지각 체험과정에서 상호 작용, 신체내부감각 지각, 관찰과 반영을 경험하고, ‘지금 여기’체험을 하게 되고, 억압되어있는 내면과 만나게 되며, 습관적 패턴 인식을 통한 재경험을 하게 된다. 모든 신체지각 체험과정은 신체와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이고 집중함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그 가운데 의식, 무의식, 외부감각, 내부감각이 신체와 움직임을 통해 드러나고 의식으로 재통합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즉, 신체와 정신의 통합을 위해 지금여기에서 자신의 내면의 중요한 욕구와 감정에 대한 알아차림과 발산을 하게 되며 그 경험은 변화를 위한 새로운 시도로 연결되고, 따라서 신체지각 체험은 자기역량 강화의 구성 요소의 두 가지 측면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심리적 역량을 키우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둘 째, 무용/동작 치료에서의 신체지각 체험은 치료사의 자기역량 강화요인에 있어 자아 성찰, 임상에서의 치료적 관계, 신체와 내면 연결, 체험 안의 임상에 도움을 준다. 무용/동작 치료에서의 신체지각 체험은 자아 성찰을 하게하며 자아 성찰은 임상에서의 치료적 관계, 생활에서의 대인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자아성찰은 자기역량 강화의 구성 요소 중 나머지 하나라 할 수 있는 내면적 측면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 또한 신체지각 체험과정은 적절한 치료적 관계와 치료사의 태도에 대해 배우게 하고 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준다. 더불어 신체와 내면과의 관계를 알아차리게 하고 내담자의 신체와 내면 연결을 위한 신체지각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신체지각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신체지각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와 자신감, 믿음을 가지게 되며 이로써 체험 안의 임상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신체지각 체험은 신체와 정신의 통합이라는 무용/동작 치료의 목적을 이루는 데 있어 도움이 되며, 치료사로서의 자기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무용/동작치료에서의 신체지각 체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 데 기여하고, 향후 무용/동작치료에서의 신체지각 프로그램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observe the body awarenes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ing preparative dance/movement therapist during their education and training and how this influences self-empowerment as a therapist. Through the results from in-depth consultation with four preparative dance/movement therapist; One, during their body awareness procedure within dance/movement therapy, they experience, interaction and recognize their physical in-depth sensibility. They experience observation and reflection and also experience ‘here and now,’, encounter the oppressed internal self, re-experience this through habitual pattern cognition. All body awareness experience procedures is performed when focusing on physical movement and within th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outer senses, and inner senses exposure through physical movement and reconsolidation phase into a single consciousness. This means that through physical and mental integration, notification and releasing of one’s inner needs and feelings, ‘here and now’ This experience is linked to changes for new attempts, which causes positive influence to psychological capabilities, which is one of the two components to self-empowerment improvement. Two, in dance/movement therapy, body awareness experience helps the therapists with self-empowerment factors such as personal introspection, healing relationship within clinical examination, linking the outer and inner side, and experience within the clinical examination. body awareness experience within dance/movement therapy allows one to perform introspection. Introspection have positive influence to healing relationship within clinical examin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life. Therefore, introspect helps the robustness of inner aspect, which is the other component of self-empowerment. Also, body awareness experience process allows adequate clinical relationship and learn about the therapists’ attitudes and help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clinical therapist. In addition, physical and internal relationship is noticed and realizes the importance of body awareness programs to link the client’s external and internal being. Through directly experience the effects of body awareness programs, practical understanding, confidence, and faith on body awareness program implications were acquired to continue the clinical test within the experiences. As a result, body awareness experience helps to achieve the goal of dance/movement therapy, which is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mind. Body awareness experience have positive influence to self-empowerment development as a therapist.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importance of body awareness experience within DMT and future, development of body awareness program within DMT.

      •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영금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미래에 대한 교육적 비전을 요구하는 유아교육시장은 교육개혁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좌우할 수 있는 전략적 위치를 담당하여야하는 유아교육기관 리더로서의 리더십을 강력하게 요청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이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 유아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꾀하기 위하여 리더십 발휘의 주체인 기관장이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에 관한 차이를 조망해 보고 조직 및 기관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장 및 교사의 인식은 개인적 배경변인(연령, 학력, 유아교육전공여부,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장 및 교사의 인식은 기관 배경변인(기관유형, 시설규모, 시설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장 및 교사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유아교육기관장 및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김창걸이 제시한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변인인 4가지 요소(비전 제시, 개인적 배려, 선도적 추진성, 성과기대)에 따라 이연승(2004)이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기관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04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는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장 및 교사의 인식은 기관장의 학력과 전공여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 기관의 기관장들은 상급학교 진학을 통하여 자신의 전문성 신장과 자기개발에 주력해야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교사들의 높은 경력은 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십 발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교사들의 복지와 처우 및 근무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유아교육기관의 고용풍토개선을 위한 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요청됨을 시사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시설규모와 유형, 환경은 유아교육기관장의 변혁적 리더십 발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는 바, 정책 당국의 올바른 예산편성(전체 교육예산의 1.28%에 불과)과 인준평가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로 교육철학 및 교육관, 교사와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 등 교육기관의 업무 전체를 통괄하는 기관장으로서의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고자하는 자기개발과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장 및 교사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를 알아본 결과 기관장은 자신의 개인적 배려와 성과기대 수준을, 교사는 기관장의 비전 제시 수준을 각각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단의 변화와 혁신을 도모하기 위하여 비유형적인 측면인 비전제시에 중점을 두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이야말로 유아교육기관장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임을 입증하는 결과라 하겠다.

      • (The) significance of MUC5AC and MUC5B expressions in non-terminal respiratory

        김영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클라라 세포와 제 2 유형의 페포 세포는 말단 호흡관에서 생기는 폐선암의 기원 세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말단 호흡관에서 기인하지 않는 폐 선암의 전구 병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자는 최근 비말단 호흡관 유형의 폐선암의 전구병변으로 점액성 원주세포의 변화를 보고하면서, 이 전구 병변을 섬모성 폐 선암이라 명칭하였다. 본 연구는 말단 호흡관 기원 폐선암과 비말단 호흡관 폐 선암, 섬소성 폐 선암을 구별하는 데에 점액 단백질인 MUC5AC 와 MUC6의 유용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재료와 방법: 폐 생검, 폐엽 부분 절제술, 폐엽 절제술을 시행한 219개의 증례를 대상으로 174개의 말단 호흡관 기원 폐 선암과 45개의 비말단 호흡관 기원 폐 선암을 분류하였다. 이후, 모든 증례의 성별, 나이, 종양의 진행단계, 분자검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점액 단백질(MUC5AC, MUC5B, MUC2와 MUC6)과 TTF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174 개의 말단 호흡관 폐 선암 증례 중 168 증례(97%)가 TTF1에 양성을 보였고, 8 증례 (4.6%)와 12 증례(6.9%)가 각각 MUC5AC와 MUC5B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45 개의 비 말단 호흡관 폐 선암 증례 중 6 증례 (13%)가 TTF1에 양성을 보였고, 35 증례 (77.8%)와 43 증례 (95.5%)에서 각각 MUC5AC와 MUC5B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219개의 증례 모두에서 MUC2와 MUC6는 음성을 나타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비 말단 호흡관 폐 선암의 전구 세포를 증명하기 위하여 점액 단백질 염색을 시행하여, MUC5A와 MUC5B가 말단 호흡관 기원 폐 선암과 비말단 호흡관 기원 폐 선암 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만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비말단 호흡관 폐 선암, 섬모성 폐 선암을 기존의 말단 호흡관 폐 선암과 구별하는 데에 있어서 MUC5AC와 MUC5B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이 유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국내 철근콘크리트 아파트의 하자 방지 대책에 관한 연구

        김영금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taking the measure for the prevention of defects by investigation and analyzing the reality of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13 works of apartment housing.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Defects occurred mostly in the works associated with finishing, which amounted to of total about 82%.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defects in the reinforced concrete work and waterproof work associated with the skeleton work accounted for 17% of the total percentage of defects. Therefore, as for the priority of taking measures for prevention of defects, it is necessary to take active to prevent defects in the reinforced concrete work and waterproof work related to the skeleton work. And measures for prevention of defects should be taken in orders of the site preparation work, masonry, thermal insulation work, plaster work, joiner's work, carpentry works, coating work, tile work, paper hanging work and metal work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urveyed content, an attempt was made to consider the measure for the prevention of defects and the scheme for the minimization of their occurrence as basic material for the prevention of defects. They are as follows : First, the ability to draw up the on-spot shop drawing with changes in the field conditions should be established as well as the necessity for the standard drawing through technical study and review. Second, an accurate mastery and understanding of design books is needed and honest and responsible execution of works is needed by excluding rash and unreasonable execution of works. Third,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establish quality through accurate prior inspection and thorough quality test.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defects and that consumers and producers should change their ways of thinking to foster the condition for the prevention of defects. Fifth, since the direct maintenance provider of defects is the housing developer in providing comfortable and beautiful apartment housing, it is necessary to draw up the operator's guide to housing construction and inspire the consciousness of the prevention of defects.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 of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apartment housing and investicated into the preventive measure against it. In order to prevent the cause of defects fundamentally, housing orderer, designer and operator are thought to have the sense of mission that they are the players of the construction culture able to hand quality housing down to the posterity with quality-oriented consciousnes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a systematic study will continue to be conducted about issues ranging from design to plan, to execution and to supervision.

      • 쇠비름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한 약주의 품질 특성

        김영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Yakju(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dded with different ratios (0%, 0.25%, 0.5%, 0.75%, 1%) of Portulaca oleracea L. The alcohol contents of Yakju rises reaching a maximum concentration of 16.10~16.33% by the end of the fermentation. The color values L showed that the brightness decreased as the ratios of Portulaca oleracea L. increased. The redness and yellowness of Yakju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so rise as the ratios of Portulaca oleracea L. increased. The sensory evaluations showed that the preference of Yakju fermented with 0.75% Portulaca oleracea L. was higher than other variations. Therefore, Yakju added with 0.75% Portulaca oleracea L. appears to be the most suitable variation for manufacturing. 본 연구에서는 쇠비름의 첨가량을 달리한 약주를 제조하고, 발효 기간에 따른 쇠비름 약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을 평가하여, 쇠비름의 최적 첨가량을 도출하고, 쇠비름 약주의 상품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쇠비름 첨가량을 0~1%까지 달리한 약주를 제조하고 발효기간별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0일차에서 5.27~5.70으로 측정되었으며 발효 4일차에는 10.47~10.77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발효 8일차부터는 12.40~12.97으로 증가 폭이 줄어들어 12일 이후로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최종 20일차 알코올 함량은 16.13~16.33으로 측정되었으며, 쇠비름의 첨가량에 따른 알코올 함량의 일정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pH의 경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쇠비름에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쇠비름 첨가 약주의 당도 측정 결과 발효 4일차에는 29.33~29.63 Brix %으로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발효 최종 20일차까지 당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쇠비름 약주의 최종 당도는 22.02~24.50 Brix %로 나타났으며,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주의 당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산도의 경우 발효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산도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발효 16일차부터 다시 산도가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최종 산도는 7.40~7.80으로 측정되었으며, 발효가 완료된 쇠비름 약주의 경우 쇠비름 첨가량에 따른 산도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쇠비름 첨가량을 달리한 약주의 색도변화를 살펴본 결과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쇠비름 약주의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또한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발효가 끝난 쇠비름 약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약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두 항목 모두 높게 측정되어 1% 첨가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299.93 mg GAE/100 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1% 첨가군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97.26%로 시료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가 완료된 쇠비름 약주의 관능적 특성 평가의 결과 쇠비름 0.75% 첨가한 약주가 색, 향, 맛, 질감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의 경우 0.25% 첨가군과 0.75% 첨가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주의 항산화능이 증가함으로, 기호도와 기능성 모두를 고려했을 때 약주 제조 시 쇠비름 0.75%가 가장 적합한 첨가량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쇠비름을 이용한 약주 제조는 약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을 높여 기능성을 증대시켜주고, 약주의 관능적 기호도 또한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쇠비름 약주의 개발은 물론, 전통 식품 소재인 쇠비름의 활용성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