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의 장편화 양상 연구

        김아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동장유가」는 계미통신사행의 삼방 서기인 퇴석(退石) 김인겸(金仁謙, 1707~1772)의 작품으로, 계미통신사행이 일본을 다녀온 약 11개월(338일) 동안의 사행 체험을 총 4121행이라는 방대한 분량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현전하는 가사 작품 중 분량이 가장 많은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일동장유가」는 많은 주목을 받으며 다채로운 성과를 일구어 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정작 「일동장유가」가 주목받게 된 일차적인 원인인 장편화 양상에 대한 논의가 소략했다. 이에 본 논문은 「일동장유가」의 문학적 특성을 장편화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밝히고자 한다. 장편 가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장편 가사의 범주를 명확히 설정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여러 명칭으로 혼재되어 사용되었다. 기존의 논의에서 장편 가사를 선별하여 주요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편 가사는 「일동장유가」를 선두로 하여 18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창작되었으며, 대체로 1000행 이상인 작품에서 주로 장편 가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장편 가사의 작자층은 이전 시기의 작자층보다 확대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 등이다. 또한 장편 가사는 이전 가사와는 달리 경험적 진술이 확대됨으로써 장면화가 이루어지고, 다양한 일화가 삽입됨에 따라 서사성이 확대되는 등의 서술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서술 특성으로 인해 작품의 길이가 길어져 가사의 장편화 양상에 기여하고 있다. 장편 가사의 서술 특성에 대한 분석을 선행한 후, 「일동장유가」의 서술 방식과 장편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동장유가」는 작품 전체에 일기체 형식이 관류하고 있으며, 일기체 형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용함으로써 사행 여정을 다채롭게 형상화하였다. 단절되는 하루와 하루 사이의 상상력 확장, 강조와 환기의 효과 등으로 서사성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일동장유가」는 작품 전체에 걸쳐 노정기 형식이 나타나고 있으며, 노정을 통해 드러난 작자의 체험이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장면화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렇듯, 일기체 형식을 통한 서사성의 확대와 노정기 형식을 통한 경험적 진술의 확대는 가사가 장편화되는 요인이 된다. 「일동장유가」는 장편 가사 중 18세기 중반에 창작된 유일한 작품인 동시에 서얼 신분의 작가가 창작한 유일한 작품으로, 작가 의식을 통한 작품 분석은 필수적이다. 작가 의식은 기록 의식과 자의식, 두 방면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낯설고 새로운 경물을 자세히 묘사하는 방식, 일기체 형식을 통해 매일 매일을 기록하는 방식, 직접 경험하지 않은 것도 자세하게 기록하는 방식 등을 통해 작가의 투철한 기록의식이 작품에 면면히 투영되어 있다. 기록 의식이 투철할수록 작품의 서술은 풍요로워 지므로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에 큰 기여를 한 것이다. 다음으로, 김인겸은 서얼 출신이면서 조선 후기 대표적 노론 집안의 현손으로 신분적으로 특수한 상황에 속해 있다. 따라서 작품 내에 자신의 신분적·학문적 해소에 대한 해방감과 가문에 대한 자부심이 동시에 드러나게 된다. 자의식을 드러내는 대화체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에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는 장편 가사의 범주를 설정하고, 그동안의 연구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에 대해 면밀히 살펴 작품 분석에 대한 다양한 분석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장편화 양상은 조선 후기 가사에 나타나는 주요한 양상인데, 「일동장유가」는 그 분기점에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일동장유가」의 장편화 양상 분석은 후기 가사의 장편화 양상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의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모무늬돌김(Pyropia seriata) Na+/H+ antiporter 유전자의 abiotic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기능분석

        김아람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식물은 비생물학적(abiotic)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다양한 생리적, 생화학적 변형이나 유전자 발현의 변화 또는 세포 내 물질 대사 작용의 변화를 조절함으로서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 김(Pyropia)은 조간대에서 사는 홍조류로 고온,고염, 건조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환경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김은 다양한 분자적 적응 기작이 개발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배양 조건과 다양한 환경스트레스 처리 조건의 모무늬돌김(Pyropia seriata) 엽상체에서 5’-end sequencing과 454-FLX sequencing 염기 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모무늬돌김 EST를 얻었고, 그 기능을 Blastx 프로그램으로 추정하였다. Blastx 를 통해 얻어진 모무늬돌김(P. seriata)의 다양한 유전자 기능 중에서 Key word searching으로 antiporter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유전자 중에 ORF가 존재하며 길이가 1.5kb이상인 PsSOS1과 PsNhaD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선별한 PsSOS1과 PsNhaD 유전자의 서열 분석을 통해 Na+/H+ exchange domain과 transmembrane region을 확인하였고, signal peptide 분석을 통해 세포내 위치를 예측하였다. 더 나아가 다양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모무늬돌김 PsSOS1과 PsNhaD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RT-PCR과 qRT-PCR을 통해 분석하였다. PsSOS1 과 PsNhaD 유전자는 고염스트레스가 주어질 때 발현이 증가되었다. 그 밖에 고온스트레스가 주어질 때도 PsSOS1과 PsNhaD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sSOS1과 PsNhaD 유전자는 빛 조건 하에서도 발현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PsNhaD의 생물학적 기능을 추적하기 위해, 클라미도모나스(Chlamydomonas reinharditt )에 형질 전환시켰다. 클라미도모나스 세포내로 도입된 PsNhaD 유전자가 발현되면, 그의 세포내 기능에 따라 여러 세포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대조구와는 다른 phenotype으로 관찰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에따라 대조구 및 PsNhaD 도입된 클라미도모나스의 생장속도의 변화를 확인 하였으며, 여러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스트레스 내성에 관여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염, 고온, 삼투 스트레스가 주어질 때, wild-type인 대조구에 비하여 PsNhaD 도입 클라미도모나스에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인 고염, 고온, 삼투 스트레스에 대해 내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영양교육을 받은 초등학생의 인지 여부에 따른 영양지식 및 식행동 비교연구

        김아람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ugars intake behavior, attitude and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yonggi provinces after they received sugars related nutrition education. Using a cross sectional study design, 580 students of 4th and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sugars related nutrition education project supported by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KMFDS) or not were assessed. Th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which did not participated in the KMFDS project were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their school. The recovery rate of survey questionnaire was 98.6% (572 out of 580). Students were surveyed sugars related knowledge, attitudes, experience to reduce sugars intake. 270 students out of 572 students perceived the experience of sugars related nutrition education. We compared the sugars related behavior, attitude and knowledge depending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sugars related nutrition education or not (perceived group, PG and non perceived group, NPG) . The mean BMIs of PG and NPG were 18.6 kg/m2 , 18.7 kg/m2, respectively. When comparing the knowledge on sugars, more the students of NPG selected wrong answer in question about the taste of sugars than the students of PG significant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ed in other knowledge on sugars. The attitudes for sugars of the students in both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tudents in PG group made effort to reduce sugars intake by taking non sugar sweetened juice and raw fruits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NPG group significantly. 31.2% of the students in PG identified nutrition label when they purchase processed food, while 15.4% of NPG di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 about sugars may help reducing sugar intake by selecting non sweetened juice and raw fruits, and enhancing attitude to identify the nutrition label for purchasing processed food.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당 관련 영양교육 인지 유무가 초등학생의 당 관련 영양 지식 및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6,2017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처 당 관련 영양교육 사업에 참여했거나, 영양교사 또는 담임교사에의하여 당 관련 영양교육이 실시된 서울, 경기도지역의 초등학교 중 학교장, 영양교사 및 학부모가 동의한 5개교의 초등학생 4,5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답변한 설문지와 부모동의서가 없는 설문지를 제외한 총 580부의 설문지를 코딩하였고, 이 중 ‘당 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가’에 대한 문항에 무응답한 8부를 제외한 572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대상자들 중 당 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인지군은 270명이었고, 당 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인지군은 302명이었다. 인지군 270명 중 222명은 학교에서 당 관련 영양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하였고, 41명은 학교 외에 지역아동센터, 병원, 집, 학원, 캠페인, TV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하였고, 7명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인지군의 평균 BMI는 18.6kg/m2이고 비인지군의 평균 BMI는 18,7kg/m2였다. 인지군과 비인지군의 당 관련 영양 지식을 묻는 문항 중 당이 어떤 맛인지 묻는 문항에서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정답자의 수가 많았고, 다른 문항들은 인지군과 비인지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가공식품을 구매 시 영양표시를 확인하는지에 대한 문항에서 인지군은 총 82명(31.2%), 비인지군은 46명(15.4%)이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2배 정도 더 높아 영양교육을 받았다고 인지하는 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가공식품 구입 시 당 관련 영양정보를 확인하고 구입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당 섭취에 기여도가 높은 식품군을 당분 함량이 높은 식품군과 낮은 식품군으로 분류하여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무가당 캔디, 껌, 젤리, 카라멜류와 생과일을 제외한 식품군의 주당 섭취 횟수는 인지군과 비인지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가당 주스의 경우 인지군은 주당 5.54회, 비인지군은 주당 4.76회로 인지군이 비인지군보다 0.78회 더 섭취했다. 생과일의 경우 인지군은 주당 0.92회, 비인지군은 주당 0.52회 섭취했으며 인지군이 비인지군보다 0.4회 더 많이 섭취했다. 본 연구에서는 당 관련 영양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식품 구입 시에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습관을 증가시키고, 당을 함유한 가공식품 섭취를 제한하려고 행동하는 대신, 무가당 주스와 생과일을 주로 섭취하려고 행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에 있어서 적당한 수준의 당 섭취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영양교육을 통해 당에 관한 인지 수준 향상 및 식행동 변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적당한 수준의 당 섭취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식생활 및 식행동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관계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김아람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보육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보육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전문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은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성격유형은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4.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전문성 인식은 어떠한가? 5.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0명으로 하였다. 설문은 2016년 11월 2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이중 300부를 수거하여 적절하게 응답하지 않은 33부를 제거하여 최종 267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어판 MBTI form M을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Lindsay와 Lindsay(1987)의 전문성 인식 도구를 김유진(2003)이 0-2세 교사를 대상으로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은 사업가형(ESTJ)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상의 소금형(ISTJ), 임금 뒤편의 권력형(ISFJ), 친선도모형(ESFJ)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에 따라서는 외향, 감각, 감정, 판단이 높게 나타났다. 기질별로는 감각적 판단형인 SJ가 높았으며, 기능별로는 감각적 사고형인 ST, 감각적 감정형인 SF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격유형을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라 감각(S), 직관(N)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기질별(SJ, SP, NF, NT), 기능별(ST, SF, NF, NT)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 외향(E)와 내향(I), 감각(S)과 직관(N), 사고(T)와 감정(F), 판단(J)와 인식(P)의 차이를 보였으며, 기질별(SJ, SP, NF, NT), 기능별(ST, SF, NF, NT)의 차이가 나타났다. 최종학력에 따라서 성격유형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 경력에 따라서는 외향(E)와 내향(I)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사회적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았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필요성, 직업윤리, 전문단체, 전문적 지식과 기술, 사회봉사성, 공정성 순으로 높았으며, 전반적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성 인식을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라서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봉사성, 직업윤리, 공정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 전문성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전문성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전문성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격유형에 따라 전문성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보육교사들의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에 관련된 실태조사 및 관계성을 고찰함으로써 서울지역 보육교사를 위한 프로그램 고안에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ype of the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at child care teachers have. Also, it aim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o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r not depending on teachers’ personalities. For doing thi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types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are there? 2. How different are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by general background? 3. What is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like? 4. What is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general background like? 5. How is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a type of personality? 32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1st to December 10th in 2016. 33 of 300 data were removed because they were incomplete. 267 questionnaires in total were analyzed. MBTI form M of Korean version was used to measure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In order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 tool, which was initially designed by Lindsay and Lindsay (1987) and was reconstructed by Kim (2003) for teachers who take care of children aged 0 to 2, was employe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tatistic package of SPSS 20.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TJ was highest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ies. There were high in order of ISTJ, ISFJ, and ESFJ. Extroversion, sense, emotion, and judging were high by a type of personality. In the disposition aspect, Sensuous Judgment (SJ) was highest. In the functional facet, Sensuous Thought (ST) and Sensuous Feeling (SF) were highest. Second,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ocial need was highest whereas socio-economic status was lowest. social need, vocational ethics, a professional organization, expertise, community service, and fairness, all of which were sub-factors o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were high in order. Overall,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was high.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of perceiving professionalism by the personality. Fourth, when it comes to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 socio-economic status, community service, vocational ethics, expertise, an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were different by age. Namely, as the age of child care teachers became higher, there emerged more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Fifth, results from a type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general trait showed that sense and intuition were different by ag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of dispositions, SJ, SP, NF, and NT. ST, SF, NF, and NT of functions were different. Marital status made differences of extroversion (E), introversion (I), sense (S), Intuition (N), Thought (T), Feeling (F), Judging (J), Perception (P). Plus, there were differences of dispositions and functions by marital status. There was no the difference of the personality by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care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E and I. Fundamental data to desig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 care teachers contributes to being provided by conducting the factual survey on the type of the personality of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their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also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the personality an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아람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서울, 경기도, 4개시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대인관계문제, 경험회피, 정서인식명확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무성의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한 347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SPSS 25.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3)가 제안한 매개모형의 절차에 따라 경로를 분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경험회피를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을 순차적 매개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이 거부민감성이 높은 경우 거부에 대한 불안으로 경험회피를 하게되어 정서인식명확성이 낮아져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줄 주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내담자의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at comes from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9 university students in four cities and provinces such as Busan, Gyeongsangnamdo, Seoul, Gyeonggi Province and they were asked about rejection sensi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with questionnaire. 347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except for 12 ones answered untrustworthily were used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so as to examine interrelations of variables by using SPSS 15.0, the mediated effect is verified by analysing path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mediated model suggested by Hayes(2013).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s directly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students has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mediating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s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mediating emotional clarity. Fourth,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successively mediating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ese findings show that if a university student has high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student will avoid the experience due to anxiety about rejection and have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and in turn, it can give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Thu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 measures for reducing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discussed and if a university student client who reports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and is sensitive to rejection is faced in practical counsel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he student to adjust to interpersonal relations soundly through proper intervention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Finally, sugges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of the following studie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above.

      •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삼국시대 고분에 대한 서술 내용 분석과 수업지도안 예시

        김아람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삼국시대의 고분은 규모가 거대할 뿐 아니라 무수히 많은 부장품과 고분벽화를 통해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고 각 나라의 문화적 특징도 도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분은 현세와 내세의 모습이 상호 연결되어 이어진다고 생각했던 당시 사람들의 현세관과 내세관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역사자료이기도 하다. 또한 고분은 당시 대외교류의 흔적들을 파악 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불교, 유교, 도교와 같은 종교나 사상적인 교류 등을 고분 속 벽화나 부장품들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삼국시대의 고구려, 백제, 신라는 인접한 삼국을 비롯하여 주변국과 활발하게 교류하였다. 각종 문헌사료와 함께 유적이나 유물 등 수많은 고고자료가 이러한 대외교류의 양상을 잘 전해준다. 특히 고분의 부장품이나 벽화는 삼국의 문화교류 양상을 구체적이면서도 생동감 있게 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삼국의 문화 중 고분과 연관 지어 다양한 학습방법들을 제시하기 위해 고등학교 『한국사』8종교과서의 본문 서술내용과 학습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연구 성과를 참고하여 고분을 통해 본 문화교류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교과서 고분 관련 서술 내용을 검토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삼국의 고분을 주제로 고등학생을 상대로 수업을 한다면 환경적 제약이 많은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 어떤 자료들을 반영해서 수업할지 고찰해서 수업 1차시 분량을 작성해 보았다. 예비교사로서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사료 해석 능력이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의미파악이나 유추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학습 자료나 활동들이 앞으로 많이 개발되었으면 좋겠다. 또한 본 논문이 앞으로 한국 고대사 관련하여 교육적 자료가 되는데 뒷받침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e tomb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not only huge in scale, but they can also be identified through numerous burial goods and mural paintings, and can also deriv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n addition, the ancient tomb is also a valuable historical document that provides a glimpse of the present and inner tombs of people who thought images of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were interconnected. The tombs are also valuable materials that can identify the traces of foreign exchange at that time. Religious and ideological exchanges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can be identified through murals in tombs and burial goods. In particular, Goguryeo, Baekje, and Silla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ctively engaged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those from the neighboring countries. Along with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numerous archaeological materials, including historical relics, and relics, convey this aspect of foreign exchange well. In particular, the grave goods and murals of the ancient tombs provide detailed and vivid descriptions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hree kingdoms. In this paper, the text descriptions of the eight type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the study materials were analyzed in order to present various learning methods related to the ancient tombs of the three kingdoms. In addition, the researchers looked at the recent research results to see how they relate to cultural exchanges they saw through ancient tombs, and reviewed descriptions related to ancient tombs in textbooks. Based on this analysis, Example of class plan was prepared by considering what data would b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reality of Korea, which has many environmental limitations, if classes were taught to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ancient tombs of the three kingdom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historical facts or understand historical facts, I hope that many materials and activities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 also hope this paper will be supported by educational material related to ancient Korean history.

      • 수업에서의 학생 의견 반영이 초등학생의 수업참여, 기본심리욕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아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수업에서의 학생 의견 반영이 초등학생의 수업참여, 기본심리욕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자율성이 실험 후 집단 간 차이에 있어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을 학생 의견 반영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분산분석을 통해 실험 후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실험에서 자율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수업참여, 기본심리욕구, 학업성취에 대한 수업에서의 학생 의견 반영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 후 집단 간 차이에 있어 주도적 참여에 대한 자율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자율성을 보인 학생들에 비해 높은 자율성을 보인 학생들에게 수업에서의 학생 의견 반영이 주도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이다. 교사가 수업에서 학생 의견 반영 활동을 하더라도, 학생 스스로 하고자 하는 마음, 즉 자신의 행동에 대해 스스로 선택하려는 자율성의 정도가 낮으면 오히려 주도적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고, 학생의 자율성 정도가 높으면 주도적 참여에 더욱 건설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도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으로써 자율성의 필요성을 확인한 것으로, 초등학생들의 주도적 참여 신장을 위해 자율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볼링 동호인의 여가몰입이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아람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볼링 동호인의 여가몰입이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김 아 람 본 연구는 볼링 동호인을 대상으로 여가몰입이 여가만족, 심리적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택시에 소재한 볼링동호인 300명을 목적표집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볼링 동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몰입, 여가만족, 심리적 행복감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볼링 동호인의 여가몰입과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볼링 동호인의 여가몰입과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볼링 동호인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행복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가몰입이 여가만족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여가몰입이 심리적 행복감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볼링 동호회활동을 하다보면 볼링동호회 활동 전 심리적 기대감도 있고 하고 싶은 욕구도 생기며, 동호회 활동을 하며 동호회 사람들과 관련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여가활동을 하며 활동의 행동적 몰입을 하면서 직접적으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며, 자신이 잠재된 능력이나 재능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고 있다면 동호회 활동을 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고 선호도도 생기며 심리적 기대도 되고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상상을 하게 된다. 볼링 동호회 활동을 하다보면 볼링 동호회를 하고 싶은 욕구와 활동에 대한 심리적 기대감 때문에 성취감과 자신을 기분을 표현 할 수 있고 단체 활동에 참여하고, 여가활동을 하며 휴식을 취하고 주변의 환경이 좋고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 틈틈이 체력을 향상 시켜 분위기가 좋은 볼링 동호회 팀을 만들 수 있고, 동호회 활동을 하다보면 나의 재능이나 잠재력을 발휘하여 목표를 향한 도전을 하고, 동호인들의 신체활동 후 긍정적 정서반응이다. Abstract Leisure immersion of bowling club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happiness Impact Kim A Ram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isure commitmen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 bowling club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300 bowling club members in Pyeongtaek-si.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Version 23.0 program. Got. Firs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commitment,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owling club members. Second, bowling club memb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commit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Third, bowling club memb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bowling club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leisure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but leisure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f you do bowling club activities, you have psychological expectations before bowling club activities and you want to do it. Leisure activities and direct immersion in activities can be directly enjoyed, and if you know that you have the potential or talent, you have a desire, interest, psychological expectations, and interest in club activities. I can imagine that. As a bowling club, you can express your feelings of accomplishment and yourself because of your desire to play bowling club and your psychological expectations of activities. You can relax in leisure activities, improve your physical strength through good knowledge of your surroundings, and create a good bowling club team., In my club activities, I challenge my goal by showing my talents and potentials, and it is a positive emotional response after my physical activities.

      • 청소년 라이프스타일이 주관적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김아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라이프스타일(신체활동, 활동참여, 식습관)이 주관적 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구축된 연구모형을 통해 다중집단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의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4∼18세 청소년으로 총 436명이었으며, 연구대상자들의 라이프스타일(신체활동, 활동참여, 식습관), 주관적 건강, 그리고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각 변수들의 기술통계를 위해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의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 효과분석을 위해 AMOS 20.0을 사용하였다. 정규성 검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연구모형이 구축되었다. 최종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2=493.833, df=218, Normed χ²=2.265, p=0.000, GFI=0.910, RMR=0.026, RMSEA=0.054, IFI=0.936, TLI=0.925, CFI=0.935로 각 적합도 지수의 기준과 비교하여 적절한 수준이었으며, 각 경로가 모두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라이프스타일(신체활동, 활동참여, 식습관)로부터 유의미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변수의 경로는 활동참여→주관적 건강(ß=0.191, p<0.01), 식습관→주관적 건강(ß=0.310, p<0.01), 신체활동→삶의 질(ß=0.091, p<0.05), 활동참여→삶의 질(ß=0.402, p<0.001), 주관적 건강→삶의 질(ß=0.621, p<0.001)로 확인되었다. 다중집단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활동참여→주관적 건강, 신체활동→삶의 질 간의 경로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국내 청소년의 라이프스타일(신체활동, 활동참여, 식습관)이 주관적 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건강 및 삶의 질을 위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한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을 중학생 및 고등학생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주관적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작업치료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해를 통해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stablished and analy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omestic adolescents' lifestyle (physical activity, activity participation, and nutrition) on subjecti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stablished research model, we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effect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s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dolescents aged 14 to 18, with a total of 436. The lifestyle (physical activity, activity participation, nutrition), subjecti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measured. SPSS 24.0 was used for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each variable, and AMOS 20.0 was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variab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effect analysis. The final model was confirmed through normality verificat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al model was identified through normality verification and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The suitability of the final study model was χ2=493.833, df=218, Normed χ²=2.265, p=0.000, GFI=0.910, RMR=0.026, RMSEA=0.054, IFI=0.936, TLI=0.925, CFI=0.935, which was appropriate compared to the criteria for each fit index, and significance was confirmed. Pathways of variables significantly directly affected by lifestyle (physical activity, activity participation, nutrition) were identified as activity participation → subjective health (ß=0.191, p<0.01), nutrition → subjective health (ß=0.310, p<0.01), physical activity → quality of life (ß=0.091, p<0.05), activity participation → quality of life (ß=0.402, p<0.001), and subjective health → quality of life(ß=0.621, p<0.001). As a result of multiple-group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h between activity participation → subjective health, physical activity → quality of lif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