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어 번역에 있어서의 가타카나어에 대한 연구

        김시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일본 문화의 전달 매체로서의 일본어 번역과 일본어 가타카나어 번역에 관한 문제를 조명하기 위해, 번역의 제문제를 살펴보고, 일본의 신문 기사를 번역한 글의 양상과 오역을 살펴보아 바람직한 가타카나어 번역의 방향과 가타카나어에 대한 학습에 대해 제언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일본어 속의 가타카나어의 변천과 기능을 통해 가타카나어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일본인이 실제 생활 속에서 느끼는 가타카나어의 사용 양상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일본어 번역에 관한 제문제를 검토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어휘에 관한 오류와 문법에 관한 오류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가타카나어에 대한 정의와 일본어 번역에 있어서의 제문제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타카나어 번역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의 신문기사와 이를 번역한 기사 가운데 가타카나어의 번역 양상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동종어휘에 의한 번역이다. 가타카나어가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에 의해 번역된 것으로, 이는 크게 동일한 어휘와 다른 어휘에 의한 번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용례를 살펴보던 중, 특히 동종어휘에 의한 번역에서 오역의 예가 자주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이를 따로 정리하여 올바른 번역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둘째, 이종어휘에 의한 번역이다. 가타카나어가 한국어의 고유어에 의해 번역된 것으로, 가타카나어 번역에 있어서 동종어휘에 의한 번역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한국어의 고유한 표현을 찾는 노력을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번역을 지향해야 한다. 위의 연구를 통해 실제 신문기사 속의 가타카나어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그 번역의 양상을 위의 연구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제언을 통해 보다 화자의 의도를 독자에게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는 번역이 될 수 있도록 꾀하였다. 일본어의 번역에 있어서 가타카나어는 그 중요도가 크게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연관하여 그동안의 일본어 교육 속에서 가타카나어의 위치를 연상할 수 있다. 그러나 번역이라는 작업을 통해 한국과 일본, 양국 간의 문화를 서로 이해하는데 큰 발판이 됨을 인식할 때, 하나의 어휘조차 가볍게 옮길 수 없는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가타카나어의 번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더불어 양국에 있어서의 올바른 언어 전달과 그 언어를 통한 문화 전달을 도움이 되는 가타카나어의 의의와 그 교육에 대해 좀 더 힘을 기울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의 발달특성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연구

        김시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88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된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을 양육행동과 양육태도로 유목화(Chunking)하여 자녀의 발달과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종합하고, 아버지의 양육변인에 따른 상관효과크기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자녀의 발달단계, 자녀의 성별, 연구의 출판연도를 조절변인으로 변인의 하위차원 별로 상관관계에서 다른 양상이 발견되는지 확인하여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아버지의 양육 역량을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1988년부터 2019년까지 선정 기준에 맞춰 204편을 선정하였고,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은 양육행동, 양육태도로 나누어 분석하고, 자녀의 발달특성은 사회발달, 인지발달, 자아개념, 자기조절, 정서발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 발달특성 간 상관관계 연구의 동향은 어떠한가? 2.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 발달특성 간 상관의 전체효과크기는 어떠한가? 3.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의 사회발달, 인지발달, 자아개념, 자기조절, 정서발달 각각과 이루는 상관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4.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 발달특성의 상관효과크기는 조절변인(자녀의 성별, 출판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 발달특성의 전체 상관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였다. 아버지의 양육행동 변인별로 살펴보면, 자녀와 시간보내기(ESr=.20), 발달 및 교육지도를 통한 양육행동(ESr=.20), 놀이를 통한 양육행동(ESr=.16), 부부협력 및 지원(ESr=.14) 순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양육태도(ESr=.19), 자율적 양육태도(ESr=.18), 적대적 양육태도(ESr=-.12), 통제적 양육태도(ESr=-.07) 순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과 초등학생 자녀발달의 효과크기가 다른 발달단계에 비해 높았다. 둘째, 아버지 양육관련 변인과 자녀의 사회발달은 아버지의 자녀와 시간보내기 양육행동(ESr=.20)에서 가장 높은 상관효과를 보였고, 자녀의 인지발달은 아버지의 자녀와 시간보내기(ESr=.20), 발달 및 교육지도를 통한 양육행동(ESr=.20)에서 가장 높은 상관효과를 보였다. 자녀의 자아개념은 아버지의 놀이를 통한 양육행동(ESr=.37)과 높은 상관효과를 보였으며, 자기조절 또한 아버지의 놀이를 통한 양육행동(ESr=.32)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자녀의 정서발달은 애정적(ESr=.24), 자율적 양육태도(ESr=.24)와 높은 상관효과를 보였다. 셋째,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놀이를 통한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을 제외한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영역에서 남아와의 상관효과크기가 높았으나, 자율적 양육태도는 여아가 상관효과크기가 높았다. 연구논문의 출판연도에 따른 상관효과크기를 살펴보면 2010년대에 가까워질수록 효과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태도를 재정립하고, 아버지의 어떠한 양육이 자녀의 발달단계 별로 어떠한 발달영역에 중요한지에 대한 단서와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부담을 덜고, 아버지의 양육 역량을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between father’s parenting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ich investigated the total correlation effect size. It is intended to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il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stage of development, gender difference of the child and publication year of the study. For analysis, 204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disserta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from 1988 to 2019. By Chunking the variables, the father‘s parenting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parenting behavior and attitu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soci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self-concept, self-contro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overall correlation between father-parenting variables and child-development characteristics?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parenting variables and child-specific variables, soci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self-concept, self-control and emotional development?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the father-parenting variables and child-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regulator(gender of the child, publishing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the father's parenting related variables and chil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was the medium power. According to fathers' parenting behavior, spending time with their children(ESr=.20), followed by parenting through development and education(ESr=.20), parenting through play(ESr.=.16), and cooperation and support between husband and wife(ESr=.14) were hign in order.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correlation effect size was hing in order of affectionate parenting(ESr=.19), autonomous parenting(ESr=.18), hostile parenting(ESr=-.12) and controlled parenting(ESr=-.07). Differences between stages of development showed that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child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ages of development. Second, the father’s parenting variables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has the highest correlation effect with spending time with their children(ESr=.20),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has the highest with spending time with their children(ESr=.20) and parenting through development and education (ESr=.20). The self development of children has the highest with parenting through play(ESr=.37) and emotional development was affectionate parenting(ESr=.24) and autonomous parenting(ESr=.24). Third, looking at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y the year of publication of the research paper,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s are greater as they approach the 2010s. For Children's gend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father-parenting except for parenting through play and controlled parenting. Although the correlation effect size with boys was high in most areas, the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had the high correlation eff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established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attitudes. It also provided clues and information on what development areas are important for a particular developmental stage of a child. As a result, it can be a useful material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 father's child support ability by reducing the father's burden.

      • 연금저축의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김시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mprovement compa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dividual pension Saving plan with life, analyze the results, and obtain some suggestions for our country. In Korea, the individual pension saving plan was first introduced in December 1994,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and population structure that will arise from ongoing population aging phenomenon are set to cause aplethora of unfore seeable problems. Although meager , minimal measures at state and individual levels to secure old-age income in the coming aged socity include the ongoing private pension revitalization polic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by which tax support for voluntary pension savings plans influences the investment decision of individuals and affects investor preferences in the capital markets. Hypothesis 1 centers on whether the tax reduction effects of marginal tax rates influeence the investment amount of the household in the contribution stage for pension savings products that are tax-favorable assets were traded. Hypothesis 2 seeks to confirm the response of investors to changes The Pension savings accounts, effective from 2013, merged the IRP under the name of pension savings. Examining the investment assets, pension saving insurance and trusts are managed by focusing on bonds or liquid assets. The profitaability of pension savings insurance is tied to interest rates, and its is influenced by the credit rates determined by insurance companies. Also, an increase in accumulated assets makes it more likely an individual will choose a life annuity over the lump-sum. especially private pensions are divided by tax benefits under the taxation regime into tax-qualified private pension savings, which are eligible for income tax benefits, and non-qualified private pension insurance, in which tax savings occur at the withdrawl stage if plan has been held for more than 10years. Three factors explain the high annuitization rate in the sample data: the role of public pensions and occupational pensions in the provision of old age income, behavioral factors (tax incentives and default options in the payout phase), and the price of life annuities. Among these factors, price is assumed to be a major factor. Our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for a guarantee of the reinvestment risk increases the probability that the policyholder will choose a life annuity compared to lump-sum withdrawal.. This indicates that the revisioms in this period did not influence the before-tax benefits of pension savings. and It was observed that capital market regulation revisons favorable for normal funds caused the targeted AUM(assets under managenent). change an item in pension savings. and retard long terms behind the schedule. This study produced an insignificant result for certain period ※ key words: determinants of annuitization, payout choices, tax-qualified individual annuities

      • 레티 카우만(Lettie B. Cowman)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

        김시은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레티 카우만(Lettie Burd Cowman)은 19세기 말 미국의 사회운동이 활발히 일어나던 시기에 태어나 하나님의 소명을 받고 1901년 동양 땅 일본에 도착하여 남편 카우만(Chalres Elmer Cowman)과 함께 사역한 동양선교회(OMS)의 시초가 되는 인물이다. 당시 여성으로서의 존재감은 바닥이었던 조선에서 복음을 선포한 레티 카우만의 활동은 21세기 여성사역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되어준다. 예수님은 그 어떠한 불평등적 요소와 조건에 상관없이 자신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모든 자에게 사역하였다. 교회도 마찬가지로 성별 양극화 현상으로 기울어가는 비성경적 시대상에 남성과 여성 모두가 동역자이자 협력자로서 함께 돕는 선한 영향을 미치는 사역의 형태를 나타내야 한다. 하나님의 일 하심에 있어서는 성별로 인해 남자와 여자가 가진 한계로 사역의 영역을 구분하지 않으셨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사역은 생물학적 차이를 제외한 모든 면을 고려하여 하나님께서 사용하실 ‘준비된 자’가 그 사역에 쓰임 받는 것이다. 진정한 교회는 ‘동일한 사람’으로 창조하신 남자와 여자가 연합하여 본질 되신 그리스도를 가르치고, 전파하며, 삶으로 표현해 내도록 도와주는 곳이다. 본 연구는 레티 카우만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의 역사를 고찰하여 현대 한국교회 여성사역의 발전 인식을 고취시킴으로 여성사역의 활동과 영역을 적극적으로 확장시키고 넓혀가는 데 기여하기 위한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방식과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여 레티 카우만과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의 역사적 흐름을 분석하고 현 예수교대한성결교단 소속 여성사역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여성사역자들의 실제 상황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레티 카우만이 보여준 제한 없는 하나님의 사역과 그 행보는 한국성결교회 여성사역자들의 소명의식을 확립하고 사명감을 고취시키는 촉매제 역할이 되어준다. 여성사역자들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사회인식의 발전과 동떨어진 교회의 여성사역자에 대한 인식은 역사적으로 깊은 뿌리를 두는 가부장적 유교문화의 관습이 가지는 병폐를 보여준다. 하나님의 창조 세계 가운데 사회와 함께 존재하는 교회는 진리의 불변성을 주장함과 동시에 시대가 가져오는 문화와 인식의 변화에 유연성을 함양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의 마지막은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사역자로서 남성사역자와 연합하여 서로를 보완하는 사역의 변화를 제시한다. Lettie Burd Cowman was bor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United States underwent active social movements. She became a founder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OMS) together with her husband, Charles Elmer Cowman in Japan after she had received a call from God for a missionary in the Eastern land of Asia. She proclaimed the gospel in Joseon, the last dynastic kingdom of Korea where the rights of women were violated and the voices of women were hardly heard. Her missionary works done in Joseon provid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women's ministry in the 21st century. Jesus served all who absolutely needed Him regardless of any condition and inequality. Likewise, a church should represent a form of cooperative ministry that men and women as real partners and colleagues, support each other spreading a positive influence in a non-biblical era where gender polarization has been severe. Thus, God's work is for those who are ready to be "His servant" taking every aspect into consideration except for the biological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o conclude, the church we must pursue is a place where men and women who were created to be equal by God unite as the most beloved creature of God, in order to teach about Jesus, spread His message and help people to admit Jesus in their lives. The paper aims for the women's ministry to expand territories and be activated through rearranging awareness of women's missionary works inspired by the history of Lettie Burd Cowman and the Korean Women's ministry of Sungkyul(‘Holiness’) Church. The paper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through the survey. The literature review focuses on the historical analysis of Lettie Cowman's life work and the Korean Sungkyul women's ministry. The survey targeted the current women minister in Sungkyul Churches to fully understand the real-world situation. The unrestricted ministry of God and His actions shown by Lettie Cowman serve as a catalyst for establishing a sense of calling and emphasizing a sense of duty for female ministers of the Korean Sungkyul Church. The number of female ministers has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years. However, the churches which lack adaptability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awareness still have perceptions towards female ministers and it shows the ills of patriarchal Confucian culture that are deeply rooted. The church, which belongs to the society amidst the world God created should insist on the immutability of truth and simultaneously foster flexibility in the continuous changes of culture and awareness of women’s role in every territory.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the paper suggests a change of ministry in which male and female ministers unite as being on the same page sharing an identical understanding of the role in church and undertaking an identic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remedy and make up for each other.

      • 조모의 양육행동과 모-조모 간 양육협력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김시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ildren’s basic life habits, the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o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children’s age and gender on basic life habits were controlled in order to accurately examine the effects of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The subjects were 151 pairs of children aged 3 to 5 and mothers and grandmothers. Children’s basic life habits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of the Parents Rating Scale for Basic Life Habits developed by Kim Myoung Soon, Byun Hye Weon, and Kim Gil Sook(2011).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of Robinson, Mandleco, Olsen, and Hart’s (2001) parenting styles questionnaire(PSDQ: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Questionnaire -Short version). The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were investigated by revi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K-PAI: Korean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by Kim Jeong mee, Lim Hee sun and Heo Sung ho(2014).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basic life habits were formed at a high level, and grandmothers does most of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the mothers of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were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normal. Second, the grandparent's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and the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and permissive parenting style had a negative effect. In addition,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By subcategory, grand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had a positive effect on manners habits,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basic habits total score and safety-rules and clean habits. Also, grandmother’s permissive parenting style had a negative effect on clean habits. Grandmo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lean habits, and mother-grandmother’s consensus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rules, arrangements, manners and eating habits. In conclusion, the children’s basic life habits were formed at a high level. Grandparents had the most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the mothers of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s-grandmothers were at a slightly higher level than normal. In addition, the grandmother’s parenting styles and parenting alliances between mother-grandmother had influenced children’s basic life habit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조모의 양육행동, 모-조모 간 양육협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조모의 양육행동과 모-조모 간 양육협력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모의 양육행동과 모-조모 간 양육협력의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검증하기 위해 유아의 연령과 성별이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만 3∼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조모 151쌍이었다.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측정하기 위해 김명순, 변혜원과 김길숙(2011)이 개발한 영유아 기본생활습관 부모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조모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Robinson, Mandleco, Olsen과 Hart (2001)가 개발한 양육행동 도구(PSDQ;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 Questionnaire-Short version)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모-조모 간 양육협력은 김정미, 임희선과 허성호(2014)의 한국판 배우자 양육협력 도구(K-PAI; Korean Parenting Alliance Inventory)를 조모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조모는 권위 있는 양육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유아의 어머니는 모-조모 간 양육협력을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조모의 권위 있는 양육행동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허용적 양육행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모-조모 간 양육협력은 기본생활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조모의 권위 있는 양육행동은 예절 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은 기본생활습관 총점과 안전 및 규칙, 청결 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허용적 양육행동은 청결 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아의 어머니가 인식한 조모의 양육참여는 청결 습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모-조모 간 의견일치는 안전 및 규칙, 정리정돈, 예절, 식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조모는 손자녀 양육에서 권위 있는 양육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유아의 어머니는 모-조모 간 양육협력이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조모의 양육행동과 모-조모 간 양육협력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쳤다.

      • 2015 개정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한 융합 교육의 방향성 모색 : 초등 5, 6학년 ‘연결’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김시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National curriculums have been improved incessantly to enhance the quality of K-12 education and to nurture students to become cultivated adults with competencies reflective of the need to be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Within the context of transformational shifts, being protuberant of the concepts including knowledge,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e revised 2015 national curriculum presents a new vista of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Connection’, the newly introduced imperative in the revised Art curriculum, is the most significant concept regards of alignment with the practice of the whole curriculum. The features of convergenc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enhances the learners’ interests and involvement by facilitating independent and creative thinking with respect to learning contents in various fields. Second, it promotes a well-rounded development through the active learning process in which learners engage for their consciousness of learning content as a problem to be solved. Despite these meaningful efficacies, previous studies, however, point out the limitation of applicability in actual practice. Thus, it is necessary for an examination of whether the newly developed learning contents of convergence education is as conducive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ies as the revised curriculum pursued. A textbook is a guide that supports the teachers to interpret and implement the national curriculum by systematically materializing it, and also a learning material for the students delivering the learning contents and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For this reason, the most advantages that lie in the analysis of textbooks are supporting teachers, the mediators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tudents, to select and reconstruct the textbook which is the tool for learners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allowing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re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itical changes and meaning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cerning convergence education, thu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which related to the ‘Connection’ in art textbooks of fifth and sixth grades to confirm their significance.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otential of convergence education, its improvement measures, and future directions where the revision of the art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he unit related ‘Connection’ should head. Also, this study could be a reference for the teachers who are in the actual practice of elementary education to implement efficient convergence education, supporting them to select and to reconstruct an art textbook. For this purpose,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external components and contents elements represented in six different art textbooks of fifth and sixth grad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standard criteria for analyzing were adopted by the examin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es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textbook analysis. By checking the art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anuals, the target units subjected to the analysis were mainly selected from which explicitly states the specific standard learning objectives of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regarding the core concept of ‘Connection’; [6Mi(미)01-05] To use the resources from other subject areas such as contents and methods on one’s art activ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otential of convergence education has been substantiated by the units’ learning subjects and materials that is accentuating the authentic experiences of learning, the activities that could foster the well-rounded person who has intellect,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s a whole, and the learning contents ensued by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is study also determined the meaningful integration, even in the unit that may overlook the art to be perfunctory and subsidiary, by inter-supplementation and subjectivity. Meanwhile, the limitation was revealed that it has been restricted or partially provided in order to scintillate the learners’ crea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that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e conception instruments of other subject areas, and supporting materials for the tasks. Working with peer review more proactively for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and developing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s are also required. This study affords an implic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bout the next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he art textbook, derived from analysis on the external components and the contents elements of the art textbook. Quality education of convergence, expanding its dimensions, should not be complacent on the present implementation but keep reclaimed to correct its limitation to achieve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education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convergence competencies.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and to discuss the subject of ‘Connection’ in the asp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의 비전인 현재의 학교 교육의 질을 높이고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에 기초한 능력과 소양을 겸비한 국민의 양성을 위해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지식’, ‘창의성’, ‘융합’과 같은 키워드가 지식기반사회에서 창조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현재 중요시되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이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추가된 핵심 개념인 ‘연결’과 가장 큰 연관이 있다. 융합 교육의 특징은 첫째, 여러 분야의 학습 내용에 대해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표현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관심과 참여도를 높이며, 둘째,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내용을 해결해야 할 문제라 생각하고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각 분야를 자유자재로 연결해 새로운 산출물을 만들고 전인적 성장을 이룰 수 있게 돕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의, 가치, 기대 효과가 꾸준히 제시됨에도 여러 선행 연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 개발된 융합 교육 내용이 정말로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재의 양성에 기여하고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을 구체화․체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교과서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게 돕는 길잡이이자 학생에게 수업 내용을 안내, 심화해주는 자료이다. 이러한 교과서를 분석․비교하는 것은 교육과정과 학생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교사가, 학생이 교육과정의 목적을 올바르게 달성하도록 돕는 도구인 교과서를 능률적으로 선정 및 재구성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개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와 의의를 융합 교육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초등 5, 6학년 미술 교과서의 ‘연결’ 관련 단원에 융합 교육 관련 내용이 유의미하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융합 교육의 가능성과 개선 방안,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 및 ‘연결’ 관련 단원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제 초등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효율적인 융합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 미술 교과서를 선택 및 재구성하는 데 참고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융합 교육과 교과서 분석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과서 분석의 준거를 선정하고, 사회과학의 분석 기법인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을 토대로 초등학교 5, 6학년 미술 교과서 6종의 외형 요소와 내용 요소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인 ‘연결’ 관련 단원은, 미술 교과서나 지도서 내에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 ‘연결’ 관련 성취 기준인 “[6미01-05] 미술 활동에 타 교과의 내용,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를 직접적으로 제시한 단원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 5, 6학년 미술 교과서 ‘연결’ 관련 단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융합 교육의 가능성으로 ‘체험’ 영역의 활동이 강조되며, 지성․인성․감성을 갖춘 전인을 길러낼 수 있는 활동과 과학․사회의 발달에 따른 새롭고 다양한 미술교육이 단원의 학습 주제 및 제재로써 활용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구적․보조적 수단으로 사용될 여지가 있는 단원에서도 ‘미술’이 상보성과 주체성을 가지고 유의미한 연결을 이뤄내기도 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학생의 창의․융합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기법, 타 학문의 생각 도구, 과제 해결을 위해 활용될 재료와 방법은 다소 부족하거나 일부만 제시되었다는 한계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 주체 중 동료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평가 방법 중 수행평가의 유형을 다양하게 개발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미술 교과서의 외형 요소와 내용 요소 분석을 통해 향후 교육과정 개정과 미술 교과서 개발에 대한 융합 교육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제인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가능성에 안주하지 않고 한계점을 계속 보완하며, 교육의 범위를 확장하는 질 높은 융합 교육이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 이후에도 융합 교육 및 미술 교과서 ‘연결’ 관련 단원에 대한 분석과 논의가 후속 연구로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가정환경자극과 아버지놀이참여가 취학 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시은 仁濟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가정환경자극과 아버지놀이참여가 취학 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 연구는 2017년 6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부산, 경남 소재의 일반유아교육기관에 의뢰하여 교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검사지 작성방법을 충분히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를 한 아동의 부모들에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 후 검사지는 교사가 수거하여 연구자에게 전달하였다. 검사지는 학령전 아동용 가정환경자극검사,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결과 : 가정환경자극과 아버지놀이참여 모두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가정환경자극과 아버지놀이참여는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 가정환경자극이 아버지놀이참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만을 가지고 가정환경자극, 아버지놀이참여가 취학 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정확한 결론을 입증하는 것은 부족했으나 직접적으로 아동에게 감각을 제공하는 환경적인 요소 및 아버지와의 놀이참여에 있어 질적인 측면이 아동의 감각처리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향 후 이 결과가 다양한 가정프로그램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머신러닝을 통한 SNS 우울감 정량적 평가

        김시은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OECD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있다. 최근에는 유명 연예인을 비롯해 셀럽들의 우울증으로인한 잇다른 극단적 선택으로인해 우울증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인해 소외된 사람들의 우울증을 일컽는 말로 '코로나 블루'라는 신생어가 생길 정도로 사회의 우울증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커지고 있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의 경우 본인이 우울증이라고 인식하기 쉽지 않다. 인식을 하더라도 이미 상당히 심화된 경우가 많다. 스마트폰과 SNS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대개 필수적인 항목이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SNS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할 근거가 될 수 있다. SNS의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우울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모델을 만드는 것을 주제로 한다. 감정분석 모델은 KoNLPy의 Okt, Mecab, kkma를 사용하여 빈도기반의 임베딩을 할용한 다층 신경망과 Google의 BERT 네가지 모델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KoNLPy의 각 라이브러리들과 BERT의 성능을 비교한 후에 Mecab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BERT와 결합시켰다. 결합시킨 결과와 Mecab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의 성능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KoNLPy의 라이브러리 들과 BERT 모델이 90%이상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모든 모델에서 적용가능한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내어 SNS의 업로드된 텍스트 문장으로 사용자의 우울감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outh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Recently, the importance of managing depression has been growing due to a series of extreme choices caused by depression by celebrities and celebrities. In addition, depression in society is growing out of sight, with the new term "corona blue," which refers to depression among marginalized people due to Covid-19. For people suffering from depression, it is not easy to recognize themselves as depression. Even if you recognize it, it is often already significantly intensified. Smartphones and SNS are usually essential items for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Therefore, data from smartphones and SNS can b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users' emotional states. The theme is to create a model that quantitatively evaluates users' depression by analyzing textual data on SNS. Emotional analysis models are conducted using KoNLPy's Okt, Mecab, and kkma to leverage multi-layer neural networks with frequency-based embeddings and Google's BERT four models. After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BERT with each library in KoNLPy, we combined it with BER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ecab. We compare the combined results with the performance when used alone by Mecab. Experiments have shown that KoNLPy's libraries and BERT models have more than 90% accuracy. We confirm that users' depression can be quantitatively evaluated with uploaded text sentences from SNS by representing applicable levels of accuracy in all models.

      • 도시 대형공원이 인근 아파트 가격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숲, 북서울꿈의숲, 부산시민공원을 중심으로

        김시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현대사회에서 쾌적한 주변 환경 속에서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려는 시민들의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도시 대형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공세권 아파트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도시지역의 대형공원인 서울숲, 북서울꿈의숲, 부산시민공원 등 3개의 공원을 대상으로 인근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2019~2020년 국토부 아파트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서울숲 인근 아파트 73개, 북서울꿈의숲 아파트 94개, 부산시민공원 아파트 98개 단지 등 총 265개를 선정하였다. 아울러, 도시 대형공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인근 아파트 가격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하게 헤도닉 가격모형(Hedonic Price Model)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의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당 실거래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본 연구의 설명력 지수인 결정계수는 0.75~0.84%로 양호한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한 결과 공원과의 거리가 1m 멀어질수록 인근 아파트 전용면적 당 매매가격은 서울숲 26.99(만원), 북서울꿈의숲은 1.87(만원)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시민공원은 인근 아파트 가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서울숲 인근 아파트 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아파트 평수, 층, 총 세대수, 세대당 주차대수로 나타났으며, 음(-)의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경과년수, 용적률, 지하철역, 백화점, 교육시설, 공원거리로 나타났다. 넷째, 북서울꿈의숲은 인근 아파트 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아파트 평수, 층, 총 세대수, 현관구조로 나타났으며, 음(-)의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경과년수, 용적률, 세대 당 주차대수, 지하철역, 백화점, 교육시설, 주민센터, 공원거리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산시민공원은 인근 아파트 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아파트 평수, 층, 총 세대수, 현관구조, 주민센터로 나타났으며, 음(-)의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경과년수, 용적률, 백화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시 대형공원과의 공간적 거리뿐 아니라 아파트의 주변 특성 및 입지적 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oday's modern society, as citizens' desire to pursue a high quality of life in a pleasant surrounding environment increases, the popularity of offensive apartments that can use large urban parks i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price of nearby apartments for three parks, Seoul Forest, Buk Seoul Dream Forest, and Busan Citizens' Park, which are large parks in representative urban areas. As a method of this study, a total of 265 apartments were selected, including 73 apartments near Seoul Forest, 94 apartments in Northern Seoul Dream Forest, and 98 apartments in Busan Citizens' Park, based 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s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from 2019 to 2020. In addition, the Hedonic Price Model analysis method was mainly applied to analyze changes in nearby apartment price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large urban park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per m as a dependent variable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apartment sales price in the park,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hich is the explanatory power index of this study, was 0.75~0.84%.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ale price per area for nearby apartments fell 26.99 won (KRW) and 1.87 (KRW) for Buk Seoul Dream Forest as the distance from the park increased by 1m, and Busan Citizens' Park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rice of nearby apartments. Third,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positively affect apartment prices near Seoul Forest were apartment floor space, floor, total number of households, and parking per household,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negatively affect the number of years passed, floor area rate, subway station, department store, educational facilities, and park distance. Fourth, in the Northern Seoul Dream Forest,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nearby apartment prices were apartment floor, floor, total number of households, and entrance structur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a negative (-) effect were elapsed years, floor area rate, parking lot per household, subway stations, department stores, educational facilities, community centers, and park streets. Fifth, in Busan Citizens' Park,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price of nearby apartments were apartment floor space, floor space, total number of households, entrance structure, and community center,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have a negative (-) effect were the elapsed years, floor area rate, and department st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surrounding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apartments as well as the spatial distance from large urban pa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