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 기반 협동학습의 학습자간 상호작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시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웹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관심은 대학들의 가상캠퍼스, 기업의 사이버 교육훈련 등으로 확대되어 왔고, 마침내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으로만 제작되던 교육방송이 전자교육(e-learning)으로 전환된 EBSi가 출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동료 학습자와의 협력을 통한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실제적 맥락 속에서 현상을 해석해야 한다(Duffy & Savery, 1995)는 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그 흐름을 함께 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대되는 웹 기반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 후,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이 요인들이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웹 기반 협동학습 모형을 협동학습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반복 연구를 촉진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냄으로써 앞으로 진행될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웹 기반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 모형은 크게 설계 및 개발, 실행 및 평가로 나뉘어져 있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웹 기반 협동학습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잠정적인 변인을 학습자 통제소재, 동기수준,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사용능력, 물리적 환경, 교수자의 지원, 연대감 형성의 6가지로 선정하였다.본 연구의 실험은 D디자인고등학교 2학년 270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2주 동안의 웹 기반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으로 수집된 241부의 설문자료를 토대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기 위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요인들이 실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유의미했는지를 밝혀내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통재소재, 동기수준, 컴퓨터에 대한 태도, 컴퓨터 사용능력, 물리적 환경, 교수자의 지원, 연대감 형성의 총 7가지 요인이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둘째, 7가지 영향요인 중 연대감 형성, 교수자의 지원, 물리적 환경의 순서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첫째,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간 연대감 형성을 위한 협동학습 설계 전략을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즉각적이고 적절한 교수자의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시스템 불안정과 기술적인 문제 발생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 문제 해결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둘째, 학습자 동기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상 체제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의 컴퓨터 사용능력에 따른 수준별 학습 과제를 제시한다면,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기제가 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upon computers and tele-communication have accelerated paradigm shift in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focus of the change is the shift to learner-centered learning. Internet can be pointed out as a tool of active,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er-centered learning. Learners can share their points of view which have been consisted of individual knowledge and constructed by their social interaction through web based learning. Also they can solve the problems together with it.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se days, however, can not help enough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even though it has those useful merits.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learner to learner interaction factors and the factors'' virtual effects on learner to learner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The precedent studies about leaner to learner interaction concept, theories of types and strategies of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have been consider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se studies, locus of control, motive level, computer skill, attitude with computer,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of instructor and form of fellowship were selected as a provisional factors which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270 second grade students in D Design high school have been participated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2weeks. 241 surveys have been selected from the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searching the effective interaction factors has done based on those survey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done as the way of conform this case.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1) locus of control, motivation level, computer skill, attitude to computer, physical environment, support of instructor and form of fellowship, these 7 factors are effective interaction factors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2) In sequence, the form of fellowship, support of instructor and physical environment affect interaction between peer learners.The suggestion of the study could be:1)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fellowship, immediate and appropriate support of instructor and physical environment under consideration are required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2) Appropriate compensation is required to promote motivation of learners. Instructor can elevate motivation level as they make up individual evaluation including group evaluation.3) The different level task which depends on the student''s computer skill is required. For instance, the student who is good at computer will get interest and motivation when they get the high level task.

      • 학령후기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김시라 가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남녀 아동 총 355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의 질 척도와 아동용 거부민감성 질문지(CRSQ), 아동용 정서조절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ASW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의 성차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검증 절차에 따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정서조절방략, 또래관계의 질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정서조절방략과 또래관계의 질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남녀 아동 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 거부민감성은 정서조절방략, 또래관계의 질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방략의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는 여아의 경우 정서조절방략 하위요인인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정서조절방략 모두 거부민감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남아의 경우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을 제외한 인지적, 행동적 정서조절방략만이 거부민감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한편 또래관계의 질과 전체 정서조절방략 및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는 남녀 아동 집단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남녀 아동 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에서도 정서조절방략이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 하위요인인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아동 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여아 집단에서는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정서조절방략 모두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아 집단에서는 인지적, 행동적 정서조절방략 만이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아동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한편 전체 및 남녀 아동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거부민감성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방략의 하위요인 중 행동적 정서조절방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조절방략이 다소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For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total 35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by using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scal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suggested by Baron & Kenny(1986) using SPSS 22.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girls was higher than boy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cas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Thir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s well as rejection sensitivity when counseling children with problems of peer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다문화에 대한 편견·고정관념· 사회적 거리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소재 대학교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김시라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necessity recogni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rejudice, stereotypes, and social distance toward multiculturalism, which is centered on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universities in Gyeonggi-do, and the acceptance of empathy values with them.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zed by the social welfare major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the three sub-factors (bias, stereotypes, and social distance) that constitute negativ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peopl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arameters and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Second, prejudice is a negative perception that occurs internally to individuals who are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is an important cause of the final discrimination in schools and social communities. If the multicultural people can intervene appropriately in the process of forming prejudice through 'interest' and 'consideration', it is judged that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the process of prejudice change into discrimination in advance. Third, negative adjectives for stereotypes are caused by internalize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behavior, and it is not possible to learn from childhood and remove them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it is judged that effective community citizen education can be possible by establishing long-term educational goals and reviewing experts and supporting government policies. Fourth, since the inter-intrinsic causal relationship has been prov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rejudice and stereotype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people,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distance is, the mor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reduce prejudice and stereotypes in various curriculums of universities in order to narrow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education that respects and cares for others and ethics education that cares about other cultures and people. Fifth, the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of this study are not good in moral theory to criticize and reject the relative culture morally, but they accept positive cultural relativism by reinterpreting it value-wise through inclusion and empathy value. Furthermore, the value education of the university course on multicultural society will help to clearly set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multicultural adult education, and the core val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able to heal the old disputes such as human dignity and value, equality rights, prevention of cultural reverse discrimination, prohibi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grow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s talented people who can lea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that reduces prejudice, stereotypes, and social distance for multicultural people. In conclusion, the ‘bias’ of social welfar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should be changed into an effort to sympathize with them in a position of a stationary position (local area),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friendly attitude of ‘interest’ and ‘consideration’. In addition, various contacts with minority groups reduce anxiety and stereotypes of minority groups, so it suggests a positive mind that recognizes differences rather than wrong.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대학교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다문화에 대한 편견, 고정관념, 사회적 거리감의 인식 차이가 다문화를 포용하고 그들과의 공감 가치를 수용하는 것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특히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다문화 출신자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 3가지(편견, 고정관념, 사회적 거리감)는 각각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편견은 다문화 출신자를 바라보는 개인에게 내적으로 발생하는 부정적 인식으로서 학교와 사회 공동체 속에서 최종적인 ‘차별’과 연결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편견의 형성 과정에서 다문화 출신자들에게 ‘관심’과 ‘배려’를 통해 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다면 편견이 차별로 변화되는 과정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고정관념에 대한 부정적 인식들은 내면화된 편견과 차별 행동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유년기부터 학습되고 이를 제거하는 것도 단기간의 시간 안에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교육 목표를 수립하고 전문가 집단의 검토와 정부의 정책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효과적인 공동체 시민 교육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다문화 출신자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거리감도 아울러 높아진다는 상호 내적인 인과 관계가 증명되었으므로, 사회적 거리감을 좁히기 위하여 대학의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편견과 고정관념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함께 인정하는 다문화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교육 그리고 나와 다른 문화와 사람에 대한 관심을 갖는 윤리 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섯째, 본 연구의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은 도덕적으로 상대 문화를 무작정 비판하고 배척하는 것은 도덕론 적으로 좋지 않지만, 포용과 공감가치를 통하여 가치론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긍정적 문화 상대주의를 수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다문화 사회에 대한 대학 과정의 가치교육은 다문화 성인 교육에 대한 방향과 목적을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다문화교육의 핵심 가치들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평등권, 문화적 역차별 방지, 천부 인권침해 금지와 같은 해묵은 논쟁의 여지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다문화 출신자에 대한 편견, 고정관념, 사회적 거리감을 감소시키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표준 교육체계’를 정립해 주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다문화 출신자들에게 갖는 ‘편견’은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자세로 그들과 공감하는 노력으로 전환해 나가야 할 것이며 ‘관심’과 ‘배려’의 우호적 자세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수 집단에 대한 다양한 접촉은 소수 집단에 대한 불안과 고정관념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틀림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는 긍정 마인드로 전환을 제시하였다.

      • 넛지(Nudge)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활용방안 : 설득커뮤니케이션의 형식에 관한 연구

        김시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Nudge is not prohibited to choice and without providing an economic incentive, the direction selection means that the ‘choice architect’ wants to change their behavior. Behavioral Economics i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he mainstream economics nudge became the center of the topic. Nudge as well as political science, a theory which is commonly used in psychology. Nudge argues the liberal paternalsm. Nudge is to maintain freedom of choice without anyone forcing to do something. And the people more healthy, wealthy and accomplished in a manner likely to be happy with the created line. Originally humans have the potential and are susceptible to biases without selecting it as the only rational choice or act of committing a mistake. Particularly in the choice to maintain their existing attitudes and behavior did not seem like the objective of determining emotionally. Nudge noted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mposition. they act only on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such apparent in view of the human limit, small and even a small element context or context. Nudge form of interference and has the run rule that costs less at the same time you can also listen easily avoided to the extent that does not infringe the freedom of people. Can also lead to people's behavior in a positive way to society around if you're good use with the intent that it be run for the purposes of your line of nudge for good. However, people blame the moral that nudge lies a coy swipe. Particularly to countries that have the resistance in that country are involved in the freedom of public nudge purposes of doing a good personal choice. However, if the nudge is to promote the policy, or for the purpose of common good should be able to allow more freedom of choice to the people in that they induce voluntary rather than forced to reduce legal. In addition, the way you move, such as the practice complained of positive human emotions we already can be used without any problems, so came widely used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for a long time. A relative as a form of persuasive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convince nudge that is to say that I could change the emotions and behavior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against allowing yourself to choose only the change in the context of the information provided and does not apply to economic incentives. We are familiar with the liberal ideas against the intervention of the state has maintained its efficiency compared to the overly strict attitude about nudge. But the real role of the state and individual freedom, and if you think the public good right nudge to apply if the public sector. As a result, the regulation of how to encourage the indiscriminate consumption of nudge as a means of strengthening and marketing, for the good of the community and personal happiness, and morality as the environment or people that everyone can agree to pursue and achieve their goals nudge should be encouraged.

      • Why and how the millennials participate in sustainable tourism : an analysis of Korean millennial sustainable tourists

        김시라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Sustainable tourism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amid the unprecedented growth in the tourism industry in recent years. Setting awareness and perception as the two important variables that shape sustainable tourism behavior,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verall awareness and perception of sustainable tourism, focusing on the Korean millennials.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one of the largest groups in the travel industry and known to possess pro-sustainable tourist behavior. Yet,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the travel motivations could vary among the millennials according to nationalities. Therefore, this research asks why and how the Korean millennials participate in sustainable tourism.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d hermeneutic phenomenolog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ompetitive pressures faced by the Korean millennials function as a main motivational source of sustainable tourism. In addition, self-development and meaningful experience were found to be the most critical motivational factors for the Korean millennial sustainable tourists. Based on these motivational factors, this paper seeks to reappraise current sustainable tourism policies and further provide effective promo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to raise awareness and increase participation which can be adopted by both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