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청유역의 지하수 안전채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김수언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ubsurface water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major types; Phreatic water or Soil moisture in the unsaturate zone, and groundwater in saturated zone. This division is mad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hysics of water flow in the saturated versus the unsaturated zone. Groundwater is stored in the interparticle pore spaces and cracks within rock material. Groundwater represents a massive water storage on Earth (About 40 percent of the groundwater on Earth is fresh water). The concept of safe yield was evidently suggested early in the century. According to Todd(1959), ″The basin draft on groundwater supply which can be continued indefinitely without harming the supply or basin landowners." The accurate estimation of safe yield is based on groundwater recharge. The popular techniques of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include 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baseflow separation method and annual water balance meth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stimation of safe yield in Sancheong catchment. Thus, the information of groundwater level data in Sancheong basin supplied by GiMS was u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sage of groundwater. Also, to calculate the safe yield, which is commonly used to make the usage plan of groundwater, NRCS method was applied for estimate the water recharge of Sancheong basin.

      •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조절효과 분석

        김수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생들은 대학에서의 전공을 선택함에 있어 본인의 흥미나 적성, 재능을 고려하기도 하고 현재의 성적이나 주변인의 권유, 혹은 장래직업의 인기나 사회적 인지도를 고려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들이 존재한다.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과는 객실승무원이라는 특정한 직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과에서는 실무 위주의 수업으로 객실승무원의 교육과정을 교육받는 등 객실승무원 양성에 도움이 되는 직접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COVID-19라는 유래없는 전염병으로 인해 사회 전반적인 경제활동 및 구직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항공산업은 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항공사들은 항공 여객 수요가 극감함에 따라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객실승무원들에 대해 무급휴직 조치하고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신규 채용 또한 무기한 중단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은 객실승무원을 목표로 하는 항공운송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공운송 서비스 전공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COVID-19의 상황이 이들 사이를 조절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조사를 위해 전국의 항공운송서비스 관련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_적합성은 진로결정수준_확신있음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진로결정수준_확신없음과 정보필요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선택동기_상황반영은 진로결정수준_대안부재와 확신없음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선택 시 흥미나 적성, 재능 등의 본인의 적합성을 고려한 학생들은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그 확고함의 수준이 높고 더 이상의 정보는 불필요해 하는 반면 주변인의 권유나 성적 등의 상황을 반영한 학생들은 본인의 진로에 대한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대안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즉, 전공선택동기_적합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전공선택동기_상황반영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_적합성과 장래성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황반영은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전공선택동기_상황반영을 고려한 학생보다 전공선택동기_적합성, 장래성을 고려한 학생들이 전공을 반영하여 취업하기 위해 유관된 자격증 취득에 대한 준비, 영어 및 외국어 공부, 학점관리 등 적극적으로 진로준비활동을 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COVID-19는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대학 진학 그 이후, 진로를 찾아가고 결정하며 대안을 찾고자 하는 과정에서 COVID-19와 같은 외부효과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 동기_상황반영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COVID-19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부(-)의 영향을 미치며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선택동기_상황반영은 주변의 권유나 성적에 맞춘 선택으로 목표 의식이나 진로에 대한 확신이 미흡하고 대안을 찾고자 하는 의지 또한 낮은 수준에 있어 여기에 COVID-19의 정신적 스트레스 요인이 더해져 진로준비행동에 더 큰 부(-)의 영향을 미치며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른 진로결정 수준의 정도를 파악하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바를 분석하며 이들 사이를 COVID-19의 여러 가지 요인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후 후속 연구에서는 나아가 전공선택동기가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하였을 때 직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와 보다 더 다양한 내부, 외부요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의 중요점을 시사하고 전공선택 동기부터 직업결정, 취업성과 나아가 직무몰입에 이르는 체계적인 과정 수립에 기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or how the major choice motivation of air service major students affect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nder the situation of COVID-19. For this, we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VID-19. For the empirical test, a survey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air service across the countr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of all, students who chose his/her major in considering of his/her suitability, such as interest, aptitude, and talent, have solid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do not need any other information for changing major. On the other hands, students who chose his/her major according to recommendation or school grades do not have confidence in their career path. In other words, students who chose his/her major based on major selection motivation_suitability more solid career decision than the students who chose his/her major selection motivation_situation. Second, the factors that affect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re major selection_suitability and major selection motivation_prospects. Students with these factors more actively prepare for their career, such as trying to obtain certain licenses, studying foreign languages, or managing grades, than those students who chose his/he maj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ird, we found COVID-19 does not have moderating effects whil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ffects career decision level of air service major students. Fourth, the mental stress of COVID-19 has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and has moderating effect. Major selection motivation_situation has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mental stress caused by COVID-19 to the students with low level of confidence in goal or career path. In conclusion, students with confidence in their future in terms of major does not affected by situations like COVID-19 while students who do not have confidence are swayed in terms of their career path. Therefore schools and instructors need to encourage those students with less confidence.

      • MICE 선택속성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언 광주대학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oday, MICE(Meeting, Incentive travel, Convention, and Exhibition) industry is evaluated as a high value-added and knowledge-based industry in 21th century. It becomes a core sector of tourism industry which is attracting global attention. Especially in Asia Pacific area, the industry is a very promising industry with large convention facilities that are being newly constructed or expand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preparing for policy making, creating synergy effect in a national level, and putting effort into the acceleration of MICE industry which is currently expected to bring intense competition along with a global trend. It is also required for Gwangju to develop new strategy for promoting MICE industry.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ourism programs and local foods that MICE participants in Gwangju prefer, and to find out the MICE selection attributes that have influences on MICE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compared the level of participants’ preference of tourism programs and Namdo local foods, and analyzed which MICE selection factor had affected the evaluation of service, level of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confirm several important matters. First, the MICE selection properties of visitors to Gwangju with a purpose of participation in the MICE event could be summarized as factors of servicescape, convenience, tourism infrastructure and green policy. Second, servicescape and convenience factors among the entire MICE selection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verall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MICE participants’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MICE particippants, preferred Gwangju Hanjeongsik Korean table d’hote) among Namdo foods, and preferred among the tourism programs. It assumed that the visitors to Gwangju had brought the great expectation the Namdo foods. Regarding such result of study, it is deemed necessary to integrate urban tourist programs of Gwangju and green tour packages near Gwangju and to provide the visitors for MICE events with specialties to vitalize the local economy through MICE industry. We could examine that most of MICE selection factors of participants was focusing on servicescape and convenience factors through a comprehensive result of the study. The effort to give a rise to a number of revisitors and an even level of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should be continued as well as the endeavor to maintain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for current physical environment and service convenience. For marketing strategies to attract a MICE event, first, it should be done to develop not only a main MICE event, but also various programs that utilize local infrastructure, connection to tour packages and local residents through consistent contact to a host of MICE event. Second, it will also give an enormous synergy effect to a region if the MICE event is opened in the region and related to various local festivals or programs. For that, promotion through diverse channels is necessary. General understanding on MICE industry that may bring a huge economic effect to a local community and sympathy to and participation in the industry of residents will be a steppingstone to the development of MICE industry in Gwangju.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ose who visited Gwangju for MICE event and created an empirical result on satisfaction of various fields regarding the properties of MICE selection which was sent to the MICE-concerned workers in Gwangju as a basic data for arranging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however, has a limit of sampling s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events hosted in Kimdaejung Convention Center and Asia Culture Center. It was also difficult to compare the selection factors of foreign and Korean visitors because most of respondents were Korean. A number of respondents from Honam area was relatively bigg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as well. The study result has a severe limit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esult to the overall domestic MICE industry. As the existing study outcomes confirmed, the MICE industry in Korea is showing many differences depending on regions, and it is represented that the strategic access for promotion of MICE industry in regions should take quite different methods. Thus a way to extract samples for region to get a result which can be generalized in the MICE market and applied to the overall MICE industry in Korea is required for the future studies.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planning a study by quota sampling for city and province including the metropolises such as Seoul, Jeju and Busan where the MICE industry has already been accelerated enough would be desirable. So this study hopes there comes a follow-up that can exceed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was not detailed and thorough enough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 limit on attracting MICE industry and handle more regions in Korea in a more sophisticated way.

      • 광주관광 활성화에 대한 소고 : 중국 인센티브 관광객 유치를 중심으로

        김수언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주요도시들은 경제발전의 핵심전략으로서 관광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변화의 중심은 중국시장이다. 관광목적지로서 광주는 서남부권 중추거점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관광객 유치 최하위권의 불명예를 안고 있다 광주관광 발전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상품구성 을 통해 ‘대규모 체류형 보상관광객(Incentive Travel)’의 효과적인 유치방안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계관광기구의 10년 후 국제시장 전망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아웃바운드 관광 시장은 국제시장 점유율 6.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바운드 시장에서도 세계1위의 관광목적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나 중국 시장의 인바운드 관광객의 추세를 살펴보면 일반관광, 노인관광, 가족단위의 관광 증가와 함께 기업 인센티브 보상 관광이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한국은 한류열풍과 함께 지리적 근접성의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켜 중국 인센티브 관광객 유치에 힘을 쏟아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광주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중국 인센티브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광주의 현주소를 살펴보면 대규모 특급호텔 등 허브도시를 위한 숙박시설 및 중국과 일본의 노인 관광 시장에 있어 가족들이 숙박할 수 있는 중저가 호텔이 부족하다. 또한 국제공항, 국제항만을 통한 접근성, 대형 국제행사를 치룰 컨벤션 등 관광 상품의 인프라는 매우 후진적이며 개별 자유 관광 및 특수목적관광객을 위한 종합문화관광지도의 제작과 국내․외 홍보, 체험 목적지의 외국어 서비스 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 민간업계의 활성화를 위해 신 관광상품 개발 및 판촉활동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지원 정책이 필수적이며 도시형, 문화형 겨울철 축제 및 공연문화를 개발하여 육성하는 노력과 함께 전국 최고의 경쟁력을 갖는 미식관광을 이끌 식당, 외국인 친화형 먹거리에 대한 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광주가 호남권의 관광허브 도시로 발전하고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호텔, 쇼핑, 음식, 문화, 비즈니스 등 중추적인 관광요소를 강화하여 광주에서 머무르고 인접 관광지나 관광명소를 방문하는“허브 & 스포크 전략이 필요하다. 광주관광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본 연구의 결과로 광주시의 관광활성화의 방안을 요약하자면, 첫째, 체험형 관광 상품의 개발로 관광시장에서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시스템과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광주 문화중심도시에 맞는 대표적 문화․예술 축제를 브랜드화해야 한다. 셋째, 국제 경쟁력을 갖춘 관광인프라 개선을 위해 광주시 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중장기적 발전계획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실행해야 한다. 넷째, 관광허브도시로서 광주는 전남․북과 함께 공동융복합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고품격 중국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광주체로서 지역주민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관광개발 역시 외부 민간투자가가 참여하더라도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추진함을 원칙으로 해야 할 것이다.

      • 물리적 환경 및 인지적 환기를 달리한 커피의 소비자 기호도

        김수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품질의 차이가 있는 두 종류 커피의 감각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묘사분석을 수행하여 감각적 특성을 도출하고 특성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두 커피의 기호도에 물리적 환경 (개인용 검사대 및 카페처럼 꾸민 환경) 및 인지적 환기 (비환기 및 환기 조건)를 달리한 4가지 평가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주일에 일 회 이상 블랙커피를 섭취하는 2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관여도를 측정하여 관여도 수준에 따라 두 커피의 기호도에 미치는 평가조건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커피를 대상으로 수행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품종 및 가격의 차이가 나타나는 두 종류의 커피에 대하여 묘사분석을 수행한 결과 향 특성 8개, 향미특성 11개 그리고 입안감각특성 1개를 포함하여 총 20개의 특성이 개발되었으며 볶은옥수수 향, 단맛, 쓴맛 및 떫은감각을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 및 인지적 환기를 달리한 4가지 평가조건에서 두 커피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를 수행한 결과, 품질이 다른 두 시료는 기호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환경 및 환기 요인이 기호도에 영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환경 요인이 환기 요인보다 더 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평가조건의 영향은 시료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사원들을 커피에 대한 관여도 점수에 따라 분류한 결과, 고관여도 그룹은 평가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저관여도 그룹에 대하여 환경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커피의 소비자 기호도는 감각적 특성 외에도 환경 및 환기를 달리한 평가조건의 영향을 받았으며 소비자의 커피에 대한 관여도 수준에 따라 평가조건의 영향은 차이를 나타내어, 커피의 소비자 기호도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확한 소비자의 기호도 예측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수행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Consumer acceptability of coffee is affected not only sensory factors but various factors such as situational condition, testing condition and presentation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utdy was: (1) to identify sensory attributes of two types of coffee differed in quality, (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nd evoked factors on consumer acceptability of coffee and (3)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factors on liking according to level of consumer involvement. In descriptive analysis, 8 trained panels developed 20 sensory attributes and scored the intensity of these attributes. In consumer test, two types of coffee were evaluated in 4 situational conditions which consisted of evocation factor (with vs without evocation) and environment factor (laboratory booth vs simulated cafe). 200 female consumers drinking black coffee at least once a week tasted coffee and rated their liking. After the liking test, consumers were given with a questionnaire that measured their involvement in coffee products.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indicated that 16 sensory attributes except ‘roasted corn’ aroma, ‘sweet’, ‘bitter’ and ‘astring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samples. And the results of consumer test showed that though both factors have influenced on consumer liking, environmental facto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vocation, and two situational factors interacted differently to each sample. When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score, the liking scores of the low involvement group were affected by environment factor, while that of the high involvement group was not affected by either factor. Results of this indicated that sensory characteristics, situational condition and consumer involvement affected consumer acceptability of coffee, thus all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consumer testing.

      •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과 임종간호태도

        김수언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임종간호태도를 확인함으로써 학부과정에서 호스피스·완화간호의 체계적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B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중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Ross 등(1996)이 개발한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와 Frommelt(1991)가 개발한 Frommelt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로,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및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2.4%이고, 학년은 3학년이 70.3%이였다. 51.7%가 종교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호스피스 교과목 개설유무에서는 61.4%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호스피스 교육시간은 2학점 이상이 24.8%이고, 학점없음이 61.4%으로 응답하였다. 호스피스 정보는 학교에서(책 또는 교과과정)가 6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해 ‘반드시 필요하다’가 48.3%로 응답하였고 ‘필요하다’가 51.7%로 응답하였다. 호스피스제도 도입이 활발하지 않는 이유로는 병원의 경제성(타산이 맞지 않으므로)이 51.7%로 가장 많았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운영 찬성여부는 찬성이 99.3%였고, 호스피스 찬성이유로는 통증 및 증상을 관리해 주니까가 88.2%로 가장 많았다. 임종경험 유무에서는 임종경험이 없다가 75.9%, 호스피스 받을 의향은 95.9%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2)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의 평점은 0.52점이었다. 3개 하위 영역별 지식의 평균을 살펴보면, 통증 및 증상관리영역의 문항은 0.56점이었고, 철학과 원칙영역의 문항은 0.37점, 심리사회영역의 문항은 0.54점이었다. 3)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 평점은 3.74점이었다. 2개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개인에 대한 태도영역은 3.59점이었고, 가족 구성원에 대한 태도영역은 4.15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은 호스피스 교육시간(F=4.56, p=.012)과 호스피스 필요성(t=2.88, p=.05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는 학년(t=-3.64, p<.001), 호스피스 필요성(t=4.95, p<.001), 임종경험(t=3.18,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호스피스·완화간호 지식은 임종간호태도(r= .287, p<.001)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간호교육과정에 호스피스․완화간호 이론과 실습을 정규교과목으로 마련하여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의 말기 돌봄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삶과 죽음에 대한 가치관과 임종환자를 돌보는 건전한 태도를 형성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 간호대학생, 호스피스, 완화간호, 지식, 임종간호, 태도

      • 40세 이상 한국인에서 체질량지수 변화와 췌장암 발생의 연관성

        김수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Purpose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of pancreatic cancer between 2016 and 2020 was 15.2%, the lowest among the 10 major carcinomas. Pancreatic cancer is often difficult to detect early, so it has already progressed considerably when it is detected,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hospital visits for treatment is the longest (40.9 days on average) among 10 cancer diseases, and the cost per person for each cancer disease is the highest. Pancreatic cancer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cancer in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It is estimated that genetic factors and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moking, diabetes and obesity are involved as risk factor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obesity, the higher the risk of pancreatic cancer, but there is a lack of analysis due to changes in body mass index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relation to obes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of pancreatic cancer in Koreans over 40 years of age.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were newly diagnosed with pancreatic cancer between 2016 and 202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qualifications, health screening, and specification data from 2010 to 2021. A total of 23,408 patients were selected as the final patient group, excluding those who were treated for all types of cancer between 2010 and 2015 and who did not have health screening data 1-2 years before or 5-6 years before pancreatic cancer diagnosis. In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117,040 patients were selected by 1:5 matching the patient group with gender, age, and baseline year.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odds ratio according to three models designed by obesity and changes in BMI. Additional variables that may affect pancreatic cancer occurrence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were controlled and analyze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4. Results First, the risk of developing pancreatic cancer increased with increasing obesity: overweight people were 1.126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pancreatic cancer than underweight people, 1.132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stage I obesity, 1.225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stage II obesity, and 1.374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stage III obesity. Seco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BMI change and pancreatic cancer incidence. People with a 5-10% decrease in body mass index over four years had a 1.225-fold higher risk of developing pancreatic cancer than those who maintained within 5%, 1.545 times higher when they decreased by 10-15%, and 1.414 times higher when they decreased by more than 15%. On the other hand, those with a 5-10% increase in body mass index over four years had a 8.6% lower risk of pancreatic cancer than those who maintained it, and 16.5% lower in the 10-15% increase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change of BMI by obesity level group, the risk of pancreatic cancer increased 1.231 times in those who decreased BMI by more than 5% over 4 years, 1.375 times in those who decreased more than 5% in overweight, and 1.335 times in those who decreased more than 5% in obesity. Those who increased by more than 5% in sub-normal obesity had a 10.0% reduction in the risk of pancreatic cancer, and those who increased by more than 5% in overweight had a 11.9% lower risk.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weight loss and pancreatic cancer incidence, and the higher the obesity level, the higher the risk of pancreatic cancer. In individuals of all weight categories, including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a decrease of 5% or more in BMI over 4 years period resulted in an increased risk of pancreatic cancer. Conversely, in individuals with a BMI below 25.0 kg/m2, an increase of 5% or more in BMI led to a decreased risk of pancreatic canc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mpact of obesity and the degree of BMI change varies in relation to pancreatic cancer. In order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effects of weight change and obesity on pancreatic cancer development, additional large-scale studies with long-term follow-up are needed along with various factors involved. 연구 배경 및 목적: 췌장암의 2016∼2020년 5년 상대 생존율은 15.2%로 주요 10개 암종 중 가장 낮다. 췌장암은 조기발견이 어려워 발견 시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은데, 그로 인해 치료를 위한 입내원일수도 10개 암 질환 중 가장 길고(평균 40.9일), 암 질환별 1인당 진료비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췌장암은 다른 어떤 암보다 예방과 조기진단이 중요한데, 위험요인으로 유전적 요인과 흡연, 당뇨, 비만 등 몇 가지 환경적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췌장암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나, 비만과 관련하여 일정 기간 체질량지수 변화에 따른 분석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40세 이상 한국인에서 체질량지수 변화가 췌장암 발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 위험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격, 건강검진, 명세서 자료를 이용하여 2016∼2021년 췌장암으로 신규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10∼2015년에 모든 암 상병으로 진료 받은 자는 워시아웃 처리하였고, 췌장암 진단 1∼2년 전 혹은 5∼6년 전 건강검진 데이터가 없는 경우 제외하여 최종 환자군으로 총 23,408명을 선정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인구 중 환자군과 성별, 연령, 기준연도를 1:5 매칭하여 총 117,04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비만도, 체질량지수 변화에 따라 3가지 모델로 설계한 후 췌장암 발생과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승산비(Odds ratio)를 산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건강행태 등 췌장암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 변수들을 통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만도가 높아질수록 췌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과체중인 사람은 저체중보다 췌장암에 걸릴 위험이 1.126배 높았고, 1단계 비만은 1.132배, 2단계 비만은 1.225배, 3단계 비만은 1.374배 증가했다. 둘째, 체질량지수 변화와 췌장암 발생은 부(-)의 관계를 보였다. 4년간 체질량지수가 5∼10% 감소한 사람은 ±5% 이내로 유지하는 사람보다 췌장암 발병 위험이 1.225배 높았고, 10∼15% 감소 시 1.545배, 15% 이상 감소 시 1.414배 높아졌다. 반면, 4년간 체질량지수가 5∼10% 증가한 사람은 유지하는 사람보다 췌장암 위험이 8.6% 낮았고, 10∼15% 증가군은 16.5%낮았다. 셋째, 비만 정도 그룹별 체질량지수 변화에 따라 살펴보면, 정상 이하 비만 수준에서 4년간 BMI가 5% 이상 감소한 사람은 1.231배, 과체중에서 5% 이상 감소한 사람은 1.375배, 비만에서 5% 이상 감소한 사람은 1.335배 췌장암 위험이 증가했다. 정상 이하 비만도에서 5% 이상 증가한 사람은 췌장암에 걸릴 위험이 10.0% 감소했고, 과체중에서 5% 이상 증가한 사람은 위험도가 11.9% 낮아졌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비만도가 높을수록 췌장암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며, 체중 감소와 췌장암 발생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정상, 과체중, 비만 등 모든 체중 수준에서 4년간 체질량지수가 5% 이상 감소한 경우 췌장암 발생 위험이 상승했으며, BMI 25.0kg/m2 미만에서 4년간 체질량지수가 5% 이상 증가한 경우 췌장암 위험이 감소하였다. 이는 비만도, 체질량지수 변화 정도에 따라 췌장암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시사하며, 따라서 체중변화 및 비만과 췌장암 발생의 연관성을 더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과 함께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동반한 대규모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