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함석헌의 하느님 이해

        김수산나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우선 함석헌의 하느님 관(觀)을 살펴보는 것에 있는 것인 만큼, 이 중에서 특별히 몇 가지 사상을 중점으로 함석헌이 하느님 이해를 하는 데 있어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함석헌 사상의 틀인 기독교사상과 동양사상의 형성과 그들의 만남 과정을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함석헌이 어렸을 적부터 접한 기독교 사상의 초기 형성에 영향을 미친 무교회 신앙과 후기 기독교사상의 내용을 형성하는 퀘이커 신앙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기독교 신앙의 연속성과 심화의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또한 동양사상 중에서도 천(天) 사상, 시천주(侍天主) 사상, 한밝 사상, 노장 사상과 함석헌의 기독교 사상과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Ⅲ장에서는 그의 하느님 이해가 구체적으로 발현되는 모습을 그의 자연의 역사 이해, 역사 이해, 씨알사상과의 연계성을 통해 연구하고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자연사(history of nature)와 역사(history)로 나누어 함석헌의 하느님 관(觀)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과정과 함께 모든 제도적 종교를 비판․극복하는 새로운 대안으로써의 ‘보편적 진리’를 하느님과 연관 지어 논술하고자 한다. Ⅳ장 결론에서는 그의 사상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통해 현재 한국교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전망해 본다.

      •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오카리나 합주 활동이 초등학생의 협동성 및 집단적 자존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수산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ject study affects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of the third to six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carina ensemble activities are postulated as a research vehicle.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this thesis verified the subject regarding to instrumental instruction using ocarina, project study, and the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which are the sub-areas of sociality. Based on the preliminary data in regards to the music activities of the subjects, it made a plan of instrumental activities through the project study design process for the instrumental instructions using ocarina. On the basis of the plan, it developed the instrumental instruction-learning curriculum of ocarina applying project study method and implemented the project <Ocarina Recital for Spring Season> through ten instructions in total. The program and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have passed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examined by more than three experts. As a preliminary inspection of this study, we examined mainly three fields; project-related study, instrumental activities applying to cooperative study, and Ocarina-related study. First, ocarina-related studies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type of instrument in the school instrumental education and ocarina is suitable for it due to its educational effect. Second,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instrumental activities which apply cooperative learning had two limitations; they merely showed theoretical description rather than showing empirical cases which directly apply cooperative learning model or instructions of learning.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verify the result of quantitative study because studies of project study, which are all qualitative,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This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considered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ocarina Ensemble Activities Using Project Study on the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earch topic for a quantitative study reflec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suggestions. After completing preliminary inspection conducted on forty students, the third to six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B community child center located at Incheon city, we conducted post-inspection through the six instrumental instructions using ocarina which include the four supplementary lessons and project study. In additio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thesis analyzed the variance of the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of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examining the variance of three sub-categories, score, questionnaire, and dependent variables in a quantitative way through a paired t-test of two dependent samples. The results are introduced below. First, ocarina ensemble activities using project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operativity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tudents. Second, ocarina ensemble activities using project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ctive self-esteem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tudents. In the project study students were instructed to fill a class record after finishing every class. As we inspected these records, we could understand the attitude and opinion on group activity of student. Among entire students we closely observed the student who showed low preliminary score in collec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generally and behavioral changes of this student are introduced below. First, students who had passive personality participated actively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group members in project study. Second, through long-term group activities the relationship with other members became intimate. Through the process of inter-respect they acquired self-esteem (collective self-esteem) and feeling against group activities disappeared.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preparing recital together students became to have interest in the activities and showed the attitude trying their best to be cooperative with colleagues. A great extent of student's behavioral changes compared to before project study has been conducted was found. The average score of post-inspe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preliminary inspection by a great deal. Therefore, ocarina ensemble activities using project study facilitated students to improve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among classmates and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This study is aimed at cultivating sociality of the students as an educational value in a break of the traditional study conducted in a passive way with the fixed frame by applying project study to the music education. In this sense, it achieved the research objective by proving that those activities are effective on improving the sub-factors such as the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which compose the sociality. Based on the conducting process of research and induced results we would suggest: First, the space of conducting research was community child center, external institution, not public school, therefore, there were no restriction of teaching time span and singing repertoires. By this reason, if we control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class similar to the school it would be plausible to conduct diverse project studies using ocarina. Second, as this study is restricted to ten instructions to prepare the recital project, it was difficult to supply the contents which were required for the learning process within a limited time. To intimately connect the learning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number of classes to deal with the demands and circumstances of students flexibly and to establish environmental condition which promotes experiencing diverse instrumental activities. Third, considering that the target group of this study only contain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imperative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using project study through conducting in-depth study which sets the target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improvement of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as conducting project study utilizing instrumental medium, ocarina. It remains to be seen how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is to be improved when project study method is applied to vocal area and area of creativity beyond area of instrumental music. In conclusion, the teachers are required to proceed project study class reflecting diverse musical interest areas of students to ensure that students enjoy musical activities in the participatory atmosphere. Further, they need to improve cooperativ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and a broad variety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Keyword> project study, elementary students, cooperativity, collective self-esteem, ocarina ensemble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학습이 3~6학년 초등학생의 협동성 및 집단적 자존감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프로젝트 학습을 위하여 오카리나 합주 활동을 연구의 매개체로 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학습,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협동성과 집단적 자존감, 오카리나 기악 수업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대상의 음악 활동에 관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기악 수업 설계 과정을 거쳐 오카리나 기악 활동을 계획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오카리나 기악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으며, 총 10차시의 수업을 통하여 <봄맞이 오카리나 발표회>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과 설문지는 전문가 3인 이상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아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선행 연구로서 크게 프로젝트 학습 관련 연구, 협동학습을 적용한 기악활동 관련 연구, 오카리나 관련 연구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오카리나 관련 연구에서는 학교 기악 교육에서 새로운 악기 도입이 필요하고 이에 적합한 악기로 오카리나가 교육적인 효과가 있다는 내용이었고, 협동학습을 적용한 기악활동 관련 연구에서는 대부분이 협동학습 모형을 직접적으로 적용하여 지도한 사례보다는 이론으로 그치거나 수업을 위한 학습지도 방안의 연구가 주를 이루는 내용이었다. 또한 프로젝트 학습 관련 연구는 모두가 질적 연구로서 결론을 도출하여 결과를 일반화하기가 어려웠으므로 양적 연구 방법이 주가 된 연구로서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의 한계와 제언을 통하여‘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오카리나 합주 활동이 초등학생의 협동성 및 집단적 자존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를 삼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천시 소재의 B지역아동센터의 3~6학년 4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4차시의 오카리나 보충수업과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6차시의 오카리나 기악 수업을 적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생의 협동성과 집단적 자존감 변화를 크게 점수의 변화, 설문 문항간의 변화, 종속변인의 하위요소들의 변화로 나누어 두 종속(대응)표본 t검정을 통하여 각각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들을 종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오카리나 합주 활동이 초등학생의 협동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오카리나 합주 활동이 초등학생의 집단적 자존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생들은 매 차시마다 수업일지를 작성하였는데 그것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태도와 모둠활동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었다. 전체 학생 중에서 협동성과 집단적 자존감의 사전 점수가 전반적으로 모두 낮게 나온 학생을 관찰함으로써, 그가 기록한 수업일지와 비교하며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의 행동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에서 모둠원들과 끊임없는 의사소통을 통하여 소극적 성격의 학생이 모둠활동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둘째, 장시간의 모둠활동으로 동료와의 관계가 돈독해지고 서로를 존중해 줌으로써 그 속에서 자신감(집단적 자존감)을 가지게 되었고 모둠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해소되었다. 셋째, 함께 발표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활동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동료에게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는 자세를 가지게 되었다. 학생의 이러한 행동변화를 통하여 프로젝트 학습 전의 모습과 비교해 볼 때 매우 큰 변화를 느낄 수 있었다. 실제로 그의 협동성 및 집단적 자존감의 사후점수가 사전점수에 비하여 큰 차이로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오카리나 합주 활동이 초등학생의 협동성 및 집단적 자존감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카리나 합주 활동을 통한 프로젝트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동료와의 상호관계를 향상시키고 발표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함께하는 시간을 통하여 협동성과 집단적 자존감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정된 틀 안에서 수동적으로 행해지는 기존의 전통적 학습에서 벗어나 프로젝트 학습을 음악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예술적으로 보다 참신하고 다양한 교육적인 가치를 심어주고자 하는 의의가 있으며, 교육적인 가치로서 협동성과 집단적 자존감 신장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로 연구 목적을 달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추진과정과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학교가 아닌 지역아동센터라는 외부 기관을 통해 음악 수업을 진행하여 수업시간 및 제재곡 등에 제약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학교라는 공간의 환경적 조건을 맞추어 수업을 조절한다면 학교에서도 오카리나의 다양한 프로젝트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수업 횟수를 10차시로 한정하여 발표회 프로젝트를 준비하였기 때문에 학습과정 중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제한된 시간 안에 보충하기가 쉽지 않았다. 학습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프로젝트를 장기간의 학습으로 열어두어 학습상황이나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융통성 있게 대처하고,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경험하는 학습으로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였는데, 초등학생뿐만 아니라 중·고등학생에게도 난이도 조절을 통한 심도있는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하여 협동성과 집단적 자존감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기악영역으로 오카리나라는 악기를 사용하여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여 협동성과 집단적 자존감의 발달 향상을 확인하였다. 음악에서 기악영역 외의 가창영역과 창작영역에도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하여 협동성과 자존감 향상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의 음악적 흥미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주제를 반영한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참여적인 분위기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힘써야 하며, 그 속에서 협동성과 집단적 자존감뿐만 아니라 다양한 특성들까지도 계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핵심어> 프로젝트 학습, 초등학생, 협동성, 집단적 자존감, 오카리나 합주

      • 벨리댄스 기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도자 핵심 역량 탐색

        김수산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more than 129 institutions issue belly dance instructor licenses in less than 20 years since the instruction of belly dance in Korea, it is urgently necessary to understand business contents that can produce each institution’s business performance, set objective criteria for judging the competencies of belly dance instructors and prepare the basis for evaluation factors.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institutions producing belly dance instructors and their competencies to draw each factor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of the instructors’ competencies affecting the institutions’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explored instructors’ competencies affecting belly dance institutions’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FGI research method, conducted a survey with the actual participants and presented a structural model among the relational factors. The group of research subjects is six directors of a professional organization that has attended an overseas belly dance festival or held an international belly dance festival in Korea and 560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This study has distinctive points and research value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group of directors of the early domestic belly dance association presented the actual cases of management from various angles concerning “belly dance instructors” and “belly dance institutions’ business performance” from the time of the introduction of belly dance in Korea to the present. Such data are very useful baseline data that can directly be utilized in the management of belly dance institutions, which present very substantive and essential solutions to the organization of institutions’ major business contents.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of belly dance instructors’ competencies affecting the management of belly dance institutions and the factors of the instructors’ core competencies allowed research on the topic of belly dance instructors, which has been insufficient till now. Thus, this study has value as a practical study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to the business field of belly dance institutions by presenting the essential constituents of belly dance instructors’ competencies and in particular, it will be a practical study in that it presents solutions by a single time study on two topics, “institutions” and “instructors,” on which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In addition, since the instructor license program of each institution is made and monitored differently by the institution, it can be utilized as data for objective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elements related to belly dance instructors’ competencies. Lastly, from the relational factors and impacts among the factors of belly dance instructors’ core competencies affecting each index of business contents related to belly dance institutions’ business performance examined so far, very significant results were drawn. In concre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the impacts of the factors related to instructors’ competencies, such as belly dance instructors’ innovative leadership,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oaching knowledge on the institutions’ business content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institutions’ business performance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in the institution and dance continuation to present a structural model. This study explored the core competencies affecting belly dance institutions’ business performance and understood the structural model among the relationship factors to present their performative business guidelin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substantive solution so that belly dance instructors could further develop their competencies, and it is judged that such a study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xpansion of the base for domestic belly dance.

      • 문화간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의 생활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서양어권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수산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국어를 배우는 동안 성인 학습자들은 많은 문화 차이와 충격에 접하게 된다. 특히 문화의 근본과 색채가 다른 서양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우면서 느끼는 문화적 이질감은 더욱 클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양어권 학습자들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과 서양어권의 생활문화를 비교, 분석하고 효율적인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한국어 교재 분석과 여러 선행 연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현 한국어 교재는 학습자들의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즉, 초급의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의사소통 시 1차적으로 필요한 일상 생활문화보다는 전통문화에 치중하고 있으며, 그 내용에 있어서도 한국어 교재들 간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제시 방법 또한 텍스트 위주로 되어 있어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에는 크게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양어권 학습자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한국에서 어려움을 느꼈던 문화 차이들을 알아보고,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 다뤄야 할 문화 항목을 조사하여 현행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초급 단계에서 서양어권과의 비교가 필요한 생활문화 항목의 범주를 설정하고, 각 항목들에 대하여 한국과 서양어권의 서로 다른 문화의 양상과 그 속에 녹아 있는 가치관 또는 사고방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화 교육의 방향과 활동유형 그리고 수업의 실례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 서양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화 항목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를 처음으로 다루었고, 생활문화 범주로 한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양문화권의 문화 비교를 본격적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문화 비교를 통하여 한국어 교사들은 서양어권 학습자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넓힐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한국의 문화에 대해서도 한걸음 떨어져, 자민족 중심이 아닌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 ‘일상의 친숙함’에 젖어 있는 자국의 문화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문화도 거리를 두고 바라 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국내 벨리댄스 공연의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산나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벨리댄스는 국내에 도입되어 피트니스로 수용되어 생활체육 형태로 발전한 이후 오락적인 형태와 예술적인 형태의 공연으로 함께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내 벨리댄스 전문 기관 및 단체가 조직되었고 각 기관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벨리댄스에 관한 교육과 공연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벨리댄스가 피트니스적인 운동효과에 국한된 무용이 아닌 대중성을 갖춘 공연예술로서 발전 가능성에 관해 분석한다. 벨리댄스의 기본 이론 및 공연사를 고찰하고 국내의 수용현황 연구를 통해 벨리댄스가 공연물로서 대중화될 수 있는 요소를 찾고 문제점을 지적하여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그 방법으로 현재 국내의 다양한 벨리댄스 기관이 사용하는 상이한 벨리댄스의 기본 개념 및 전문용어들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를 기준으로 통합하고 정리하여 보편적으로 이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합된 이론 정리는 국내 뿐 아니라 국제적인 전문 벨리댄스 지도자들과 일반 참여자들 간의 의사소통의 혼선을 최소화하여 보다 일관성 있는 벨리댄스 이론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벨리댄스의 국제적인 페스티발 및 단체, 개인 예술가들의 활동을 연구하여 국내 기관들이 어떻게 해외의 사례들을 차용하여 지역화 시켜서 수용하였는지 그 과정을 추적했다. 또한 국내 각 기관 단체장과 현재 활동 중인 벨리댄스 전문 무용가들을 면담한 자료와, 지금까지 연구되었던 논문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국내 단체들의 공연별 특징과 수용현황을 연구하였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벨리댄스가 국내에서 대중성을 갖춘 공연문화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체계화된 이론 및 개념 정리를 바탕으로 보다 국제적이고 보편화된 교육을 통해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이며, 공연 전문 기획자와의 협업을 통해 예술적인 형태의 공연문화를 정립시키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Belly dance was introduced in South Korea as a fitness program and gradually developed into a form of sports. Afterward, it was developed into an entertainment and art form. while belly dance professional belly dance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were formed. various training and performance programs have been established under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belly dance as a performing art with popular appeal, not just a dance with fitness and exercise effects. It examined the basic theories and performance history of belly dance. Moreover, this study evaluated the acceptance status in South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ought the element that could popularize belly dance as a performing art and proposed solutions to these issues. As a first step, this study integrated and organized the basic concepts and terminologies, which were used by various belly dance organizations differently, based on internationally accepted terminologies. It would integrate different terms for similar posture concepts into unifying terms. In doing so, it would make for arrangement of universal theories and terminologies in belly dance. The integrated belly dance theories would minimize the miscommunications among domestic belly dance instructors, international belly dance instructors, and general participants.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share consistent belly dance theories. This study also traced how in South Korea adapted, localized, and received international festivals and associations cases by evaluating the activities of international belly dance festivals, activities of organizations, and performances of individual artists.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status of performances of South Korean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interviews of the heads of various belly dance organizations and currently active belly dance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foster professionals through internationally recognized and universal training based on systemized and organized theories and concepts to establish belly dance as a popular performing art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ill be urgent to found an artistic performing culture through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event organiz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