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우하우스가 비달 사순의 헤어패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세욱 동덕여자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 시대의 예술양식은 그 시대를 살고 있는 인간의 사회적 환경과 문화적 특성, 미적 가치관과 욕구가 반영되어 있다. 또한 예술양식은 역으로 그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에게 영감으로 작용하여 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유도한다. 따라서 헤어패션 역시 당시대의 예술사조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게 되며 그 미적 형태를 공유한다.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계적 대량생산 시대의 도래는 새로운 예술양식과 산업제품의 현대적 디자인을 요구하였고 이를 위한 예술계의 모색은 바우하우스(Bauhaus) 조형운동으로 이어졌다. 바우하우스는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조형관을 주창하여 현대 디자인의 선구자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후대의 예술사조와 여러 실용예술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실용예술의 한 분야인 헤어패션 역시 바우하우스가 제시한 새로운 조형이념의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헤어패션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헤어디자이너인 비달 사순(Vidal Sassoon)은 자신의 헤어패션 개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바우하우스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바우하우스는 그로피우스에 의해 1919년 독일에서 설립된 조형학교로, 기계적 생산양식의 보급에 대응하여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예술계의 응용예술과 산업생산품에 대한 긍정적 태도변화와 당시 유럽 전역에 확산된 사회주의 운동을 그 설립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시기의 예술운동들인 러시아 전위미술 운동, 아르데코, 데 스틸 운동 등은 바우하우스와 그 이념을 공유하였으며 기하학적 조형성을 공통된 특징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바우하우스에 선행한 독일공작연맹(DWB)은 기계적 대량생산방식을 위한 즉물주의를 제창하여 바우하우스의 조형원리에 영향을 미쳤다. 설립자인 그로피우스는 바우하우스를 통해서 여러 분야의 예술을 대건축의 이상 속에서 통합함으로써 산업과 예술의 괴리, 순수예술과 응용예술의 괴리를 극복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 The trend of art style of the times reflects social environment, a culture pattern, an esthetic sense of value and the desire of the people of the time. Inversely, the trend of art inspires the people to change the society and the culture. Hair fashion also interacts with the trend of art and shares the form of beauty of the day. The age of mechanical mass production head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d groping for new trend of art and the modern style of manufactured goods. Bauhaus positioned as convergent point of these gropings and a pioneer of mordern design impacts on the trend of art and industrial design of future generation. Hair fashion as a part of practical art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new ideal of modeling presented by Bauhaus. Vidal Sassoon, a hair designer, holding the first place in the circles of modern hair fashion was inspired by Bauhau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auhaus on Vidal Sassoon. Bauhaus was a design school established by a German architect, Walter Gropius on 1919 . It's design concept such as practical arts corresponding with mechanical production caus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development of science and proliferated socialism movement in Europe became its background. Art movements of that time, Russian Avantgarde Movement, Arts Deco, De stijl Movement shared the ideal with Bauhaus and showed same geometric shape of works. The Deutch WerkBund preceding Bauhaus had also influence on the principle of forming of Bauhaus by proposing Sachlichkeit. Gropius aimed the overcome of the alienation between industry and art, fine art and applied art, by unification of various fields of art into architect being able to service to every day life of the public. Many artists inspired by the ideal of Gropius was in office as master in Bauhaus. Professors of Bauhaus encouraged with creative spirit conquered romantic tendency and expressionism of the early days and via self-examination, originated 'Bauhaus stijl(Bauhaus style)' featured by geometric simplicity and practical design corresponding to mechanical mass production. Bauhaus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aimed the unification between fine art and applied art, handicrafts and manufacture, art and industry. It raised the status of applied art to the same value with fine art by taking the daily goods manufactured by machine as a goal of design. Second, it showed geometric simplicity influenced by the trend of art of that time, and geometric simplicity was the exact form which satisfied mechanical mass production. Third, it aimed functional design which involved the enjoyment of products by the great number.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social advance of women, the field of hair fashion stagnated at the level of handicrafts by a small number of hair designers, unfit for 1950's. Vidal Sassoon searching for new hair style made original hair style concept and the status of hair fashion through Bauhaus. Vidal Sassoon who came in contact with Bauhaus buildings and the ideal of 'the whole art(Gesamtkunstwerk)' tried to exalt hair fashion to art and understood in the stream of whole fashion. Also, he tried to consider hair style from the spatial environment which including the shape of face and skeleton, clothing and every day life, and the spirit of the times. He adopted geometric simplic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view point of Bauhaus, as the principle of analysis of hair and skeleton. Vidal Sassoon defined hair as an organic material in movement made up of many flexible elements. On the ground of this definition, he proposed the new hair style, ‘Geometric Cuts’ gaining tremendous popularity. In the pursuit of functionalism, the ideal of Bauhaus, he also proposed new principle, ‘wash and wear' meaning the condition of hair which regain its shape after wash and only drying. This was revolutionary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social advance of women contrary to past hair style requiring much time and money to maintain its shape. Vidal Sassoon inspired by the style of Bauhaus fit for mass production by machine standardized the process of hair styling and made illustration. Also he established the first modern hair academy to overcome the past apprenticeship. By extending his hair salon branch and hair academy all over the world and rasing its standard, he could service same level of hair style to the large number of women at the same time. Hair fashion then could jump up from the past handicrafts to modern industry. In conclusion, Vidal Sassoon revolutionized the past hair fashion system and made new hair style concept and hair fashion system. His success in the hair fashion was originated from the reception of the ideal Ba

      •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화 입출력의 성능 및 형평성 향상을 위한 통합 접근방법

        김세욱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클라우드 시스템은 저장 공간 뿐 만 아니라 연산 시스템, 영상 스트리밍 등 다양한 목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클라우드 시스템은 한층 중요한 분야로써 각광받는다. 그리고 클라우드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기술은 바로 가상화 시스템이다. 가상화 시스템은 물리적인 자원을 논리적으로 추상화하여 효율적으로 자원을 관리하고 제공하는 기술이다. 적은 물리적인 시스템으로 많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자원의 균등한 분배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텔(Intel(R)), AMD와 같은 CPU제조사들이 가상화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하드웨어 수준의 가상화 기술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고성능의 가상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가상화 저장장치 I/O는 여전히 성능 저하에 대한 이슈를 가지며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클라우드 시스템은 T.P.O(Time, Place, Occasion)에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존재하며 서비스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서 I/O에 대한 요구사항과 패턴들이 서로 다르다. 하지만 범용의 시스템의 자원 관리 정책이 모든 요구사항을 수용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낮은 효율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상화 시스템에서 I/O에 대해서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성능과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는 기법들을 제안한다. 우리의 연구는 3가지의 경우를 고려하고 각각의 I/O 요구사항에 알맞은 새로운 기법들을 제안하고 검증한다. 먼저, 유사한 서비스들을 수행하는 가상머신들 간의 공평한 I/O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I/O 스케줄러를 제안함으로써 QoS를 보장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두 번째로, 목적이 서로 다른 가상머신들 간의 I/O를 인지하고 각각의 I/O 대역폭을 제어함으로써 성능과 QoS를 모두 만족시키는 새로운 대역폭 스케줄러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고성능의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가상화 I/O의 성능 하락의 원인을 분석하고 고성능의 가상화 I/O를 위한 새로운 I/O 엔진을 제안한다. 또한 가상화 I/O를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도 함께 제안함으로써 문제점을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제안한 기법들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실험을 위해서 각각의 환경에 적합한 마이크로 벤치마크 뿐 만 아니라 매크로 벤치마크를 통해서 실제 워크로드에서 검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3가지의 제안한 기법들이 목표로 하는 가상화 I/O의 성능 또는 QoS를 만족하거나, 또는 두 가지의 목표 모두를 동시에 만족하는 결과도 관찰할 수 있었다. Today, cloud systems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not only storage space, but also computing systems and video streaming. As the network access becomes possibl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 cloud system becomes an important industry. And the fundamental technology that enables cloud systems is virtualization system. A virtualization system is a technique for efficiently managing resources by abstracting physical resources logically. It can provide many services effectively with fewer physical systems, and it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load balance of resources. In addition, CPU makers such as Intel (R) and AMD can provide high-performance virtualization systems by providing hardware-level virtualization support to improve performance of virtualization systems. However, virtualized storage I/O still has a problem of performance degradation, and many studies are still going on. On the other hand, the cloud system has various service models according to T.P.O (Time, Place, Occasion) and the requirements and patterns for I/O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and purpose of the servic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resource management policy of general-purpose system to accommodate all the requirements, or it has low efficiency.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problems in various aspects of I/O in virtualization systems and propose techniques to guarantee performance and QoS. Our study considers three cases, proposes and verifies new technique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I/O requirement. First, we propose a QoS guarantee scheme by proposing a new I/O scheduler to provide fair I/O opportunities between virtual machines performing similar services. Second, we propose a new bandwidth scheduler scheme that satisfies both performance and QoS by recognizing I/O between virtual machines with different purposes and controlling each I/O bandwidth. Finally, we analyze the causes of virtualized I/O degradation in high performance storage systems and propose a new I/O engine for high performance virtualized I/O. It also provides new tools for tracking and analyzing virtualization I/O, enabling more detailed analysis of problems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s. For the experiment, the validation was performed on the actual workload through the macro benchmark as well as the micro benchmark suitable for each environment. As a result, we could observe the better performance or QoS, or the concurrent satisfaction of both goals.

      • 니체의 전통 도덕 비판과 허무주의의 극복

        김세욱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니체가 전통 도덕 사유를 비판하는 이유와 전통 도덕 사유의 결과로서 등장하는 허무주의를 어떻게 극복하고자 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니체는 이전 시기의 철학적 사유들, 특히 도덕 사유들은 생의 원천인 본능적 욕망과 감각을 멀리하고 삶을 무가치한 것으로 만들어 인간으로 하여금 생을 부정하도록 만드는 사유임을 폭로하고, 전통적인 철학적 사유에 의해 왜곡되고 부정되었던 현실적인 삶 자체의 가치를 회복하고자 한다. 결국 그는 삶의 바깥에서부터 가치를 평가하고자 했던 모든 사유 방식을 파괴하고, 전통 사유 방식에 의해 부정당하고 외면당해왔던 삶의 가치를 다시 회복시키고자 한다. 이때 전통적인 가치 체계 전체를 파괴하는데 있어, 니체가 무엇보다 심혈을 기울여 비판하고 공격하고 있는 것이 바로 전통적인 도덕 가치이다. 왜냐하면 전통 도덕이야 말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여 인간의 삶을 지배해왔었고, 어느 누구도 그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구속력을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주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철학적 사유 방식들은 삶의 허무성을 부정하고 삶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나 실제로는 허구적인 가치 체계에 불과한 것으로 삶의 허무성을 감추려는 삶의 퇴락적인 시도에 지나지 않는다. 니체의 철학적 과제는 전통 도덕적 사유에 의해 발생하는 허무주의적 사유 전체를 거부하고 인간 삶을 긍정하고 상승시킬 수 있는 삶의 원리를 발견하고자 하는 것에서 그 목적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철학적 과제는 전통 도덕적 사유에 의해서 외면당했던 삶의 가치를 회복시키고, 삶의 허무주의적 문제를 해결하여 인간 삶을 긍정할 수 있는가 하는데 집중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니체가 전통 도덕의 문제와 허무주의의 위기에 대해서 어떻게 해명하고 극복하고자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논문은 크게 세 가지 부분에서 니체의 철학적 사유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는 니체가 철학적 문제의 기점이 되는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통 도덕이 삶에 대해 가지는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는 니체의 입장에서 정리된 삶의 관점에서 전통 도덕의 계보학적 문제를 살펴보고 전통 도덕이 가지고 있는 핵심적 문제인 허무주의에 대해 니체가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인간 삶을 긍정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니체 철학의 핵심 개념인 힘에의 의지와, 위버멘쉬, 그리고 삶의 미학을 통해 허무주의가 어떻게 극복되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우리는 이를 통해 니체가 전통 도덕을 비판하고 전통 도덕의 결과로서 등장하는 허무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진정한 이유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show why Friedrich Wihelm Nietzsche criticizes the main thought of traditional moral philosophy and how he overcomes the nihilism which appears as a result of the traditional moral philosophy. Nietzsche tried to reveal that the former philosophical thought, especially moral philosophy keeps away the instinctive desire and sense which is the source of existence or actual life, and tried to retrieve the value of the practical life itself which was distorted and denied by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thought. In the end he tried to destroy all the ways of thinking which evaluate the value of life from without, and recover the value of life which was denied and disregarded by the traditional ways of thinking again. In the moment destroying the whole traditional value system, Nietzsche has criticised and attacked the traditional moral value with his heart and soul. Because he thought that the traditional morality has controled the human life with absolute influence, and is the real master from whose binding power nobody can have the freedom. Till now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ways of thinking has denied the nihilism of life and tried to give the meaning to the life, but actually all of those were the fabricated value system that is only the decadent attempt which tries to conceal the nihilism of life. The real purpose of Nietzsche's philosophy can be shown in rejecting the whole nihilistic thought which is generated by the traditional moral thought and finding the principle of life that can affirm and raise the human life. So his philosophical task is focused on recovering the value of life that was disregarded by the traditional moral thought and affirming the human life itself through solving the nihilistic problems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Nietzsche has explained and overcome the problem of traditional morality and the crisis of nihilism. So, this study will see the procedure of Nietzsche's philosophical thought in three main parts. First, examine how Nietzsche understands and accepts the life that is the core of his philosophical thought, and consider what is the negative effect of the traditional morality to the life on the base of Nietzsche's view of life. Second, examine the genealogical problem of traditional morality in the position of Nietzsche's view of life, and see how Nietzsche overcomes this problem, nihilistic consequences of the traditional morality, and affirms the human life. And finally, through the basic concepts of Nietzsche's philosophy, Wille zur Macht, ?bermensch, and esthetics of life, examine how the nihilism is overcome. And in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real reason why Nietzsche has criticised the traditional morality and tried to overcome the nihilism that comes from the result of traditional morality.

      • 미용사와 피부 관리사의 직무 스트레스 비교연구

        김세욱 同德女子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비스업의 하나로 분류되고 있는 미용업에 속한 미용사와 피부 관리사들이 직장 내에서 겪는 직무스트레스의 실태를 파악하고 두 직종간의 직무 특성의 차이가 어떠한 직무 스트레스의 양상의 차이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타 직종에서의 직무 스트레스 실태와의 비교를 통해, 미용업만이 갖는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하며, 한 직종의 총체적 이해에서 직업군 분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기타 중소도시의 미용실과 피부 관리실을 무작위로 선정한 후 그곳에 근무하는 모든 종사자를 포함시켰으며 '한국판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이용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01년 5월 3일부터 동년 5월 28일까지 이루어졌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용사 내에서 남성과 여성간에는 직무 스트레스 검사의 하위척도 중 어느 척도에서도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는 미용업이 타 직종에 비해 여성에 대해서 평등한 기회와 보상을 제공하며 여성과 남성간에 직무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2. 두 직종에서 연령이 높고 연봉이 많고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의 경험과 그에 따른 어려움이 더 적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더 높은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직무에 대한 책임감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타 직종의 양상과 동일한 결과이며 연령, 연봉, 근무기간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은 직무의 특성에 따른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조직이 갖는 특성으로 사료된다. 미용사의 경우 연령, 연봉, 근무기간 모두가 역할 불충분(RI), 물리적 환경(PE) 하위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미용실 환경에서의 오랜 보조 미용사로서의 견습기간이라는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높고 연봉이 많고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의 경험과 그에 따른 어려움이 더 적고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더 높은 능력을 가지며 직무에 대한 책임감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결과, 근무기간은 역할 경계(RB) 하위척도를 제외한 직무 역할(ORQ) 영역과 심리적 긴장(PSY)하위척도, 합리적/인지적 대처(RC) 하위척도의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연령의 경우는 역할 경계(RB), 직무 긴장(VS), 신체적 긴장(PHS), 자기 관리(SC), 합리적/인지적 대처(RC) 하위척도의 유의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봉은 다른 변인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유의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4. 연령, 근무년수를 통제된 상태에서, 미용사와 피부 관리사는 역할 불충분(RI), 물리적 환경(PE), 직무 긴장(VS), 대인관계 긴장(IS), 사회적 지지(SS) 하위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피부 관리사는 미용사에 비해서 역할 불충분(RI) 하위척도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미용사는 물리적 환경(PE), 직무 긴장(VS), 대인관계 긴장(IS) 하위척도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피부 관리사는 단조로운 직무로 인해 상대적으로 정체감을 느끼며 미용사는 상대적으로 자신의 직무환경을 유해하다고 느끼며 배당된 업무 내용에 대해서 고충을 겪고 있고 수동적이며 이러한 요인으로 주위 사람들과도 상대적으로 갈등을 더 느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5. 본 연구의 결과는 질병같은 부정적 요소가 직무 스트레스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동일한 직무에 대해서 어려움을 더 느끼고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결과가 초래될 가능성도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6. 종교, 취미활동 등 긍정적 대처방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직무로부터의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고 스트레스에 따른 어려움도 적거나 반대로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직무 외의 영역에서도 적극적인 태도를 띌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 미용업은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타 직종에서 공통적인 업무에서의 성적 차별로 인한 스트레스의 차이는 없으나 그 직무의 성격상 물리적 환경이나 신체적 노동으로 인한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직종임이 확인되고 있다. 현재 도제적이고 근무기간에 따러 임의적으로 이루어지는 미용직종의 경력 획득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건전한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상대적 소외감과 회의를 느낄 수 있는 보조직급에 대한 정책적인 배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안으로서 획득해야 할 기술들에 대한 지역분회 차원의 강습회나 연합 강습회의 정기 개최와 연수를 마친 사람들에 대한 인증서의 제공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아울러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직무의 변동을 줄여 나가고 업소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업소차원의 적극적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이후 미용사와 피부 관리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추가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1) 미용직과 다른 대인 관련 서비스 직종간에 직무 스트레스의 비교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미용직을 대상으로 역동적 스트레스 모델의 요인 중 하나인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나 성격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양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f job stress of hair dressers and estheticians, workers of beauty industry which is classified into services for person and to understand how the difference of job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result in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By comparison with job stress of workers of other industries who are applied the same questionnaire at other study, this study is also aimed at providing the data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imple classification of job. Subject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hair shops and esthetic shops located in Seoul, the Metropolitan area, and small cities during the period of May 3, 2001 to May 28, 2001. All employees of each shop were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K -OSI) was grounded on the job stress concept of Ospiow and Spokane. This questionnaire was confirmed to be valid and reliable by other authors. SPSS 10 was adopted to get result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COVA which were used respectively to meet the purpose of each category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was found in any item of K-OSI. 2. Age, income, duration of employment highly correlate with K-OSI.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654 to 0.776. In the esthetician group, ag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Ambiguity, Vocational Strai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ponsibility. Incom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Boundary, Vocational Stress. Duration of employ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Ambiguity, Vocational Stress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ponsibility. In the hair dresser group, ag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Insufficiency, Role Ambiguity, Role Boundary, Physical Environment, Physical strai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ponsibility, Self Care, Rational/Cognitive Coping. Incom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Insufficiency, Role Ambiguity, Role Boundary, Vocational Strain. Duration of employ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ole Overload, Role Insufficiency, Vocational Strai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ponsibility . Generally, a person who was older, earned high salary, and employed more duration experienced little job stress and had more coping resources but felt higher responsibility. 3. As a result of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duration of employment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Occupational Role Questionnaire excluding Role Boundary, Physical Strain, Rational/Cognitive Coping. Age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Role Boundary, Vocational Strain, Physical Strain, Self Care, Rational/Cognitive Coping. Income did not predict any item of K-OSI 4.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age and duration of employment, Role Insufficiency, Physical Environment, Vocational Strain, Interpersonal Strain, Social Support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he hair dresser group and the esthetician group. The mean value of Role Insufficiency item were higher in the esthetician group. The mean values of other items were higher in the hair dresser group. 5. In the control of the effects of age and duration of employment, only Self Care it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job position in total subjects. 6. Marital statu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K-OSI items in each group. In total subjects, only Self Care it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unmarried group showing higher mean value. 7. Non-smoking group of total subjects showed the higher mean value of Social Support item. Alcohol-drinking group of total subjects showed the higher mean values of Social Support and Rational/cognitive Coping. Disease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le Overload, Rational/cognitive Coping, Personal Strain Questionnaire and Personal Resources Questionnaire. 8. Physical Environment, Interpersonal Strain, Recreation, Self Care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religion state. Person who have religion showed higher mean values. Role Overload, Role Insufficiency, Role Boundary, Vocational Strain, Psychological Strain, Recreation, Self Care, Social Support, Rational/Cognitive Coping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hobby state. Persons who have hobby experienced little job stress and have more coping resources. The frequency of exerci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only Responsibility .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re is no sex difference at job stress which was found commonly in other job class. this result suggest that there would be no sex discrimination and no difference of job contents in the employee of beauty industry. A person who was older, earned high salary, and employed more duration experienced little job stress and had more coping resources but felt higher responsibility. Because employees of other job class showed same results, this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job proper. The results suggest that esthetician feel to be stagnant because of monotonous job contents and hair dressers feel their physical environment as harmful and more difficulty from their job and have more passive attitude and more conflicts with surroundings. The results suggest that person who has positive coping resources feel little job stress or person who has active attitude feels little difficulty in their job. In contrast, person who has negative events, such as disease could feel more stress from their job and be affected more easily. In conclusion, no sex differenced was observed in the employee of beauty industry. But they feel more difficulty from physical environment and physical labor because of their job characteristics. More rational system should be adopted in the course of acquisition of career instead of present apprenticeship to protect the employee from job stress. Especially administrative plans should be adopted for the assistants who are vulnerable to job stress and feel left out. Here are some suggestion for more study of job stress of the esthetician and the hair dressers. 1. Direct somparison study with other job class is needed to confirm the result of this study. 2. To construct the dynamic job stress model of the beautician, it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cognitive attitude or personality of the beuatician.

      • 셀롤로스 아세테이트/몬모릴로나이트 나노섬유 복합체의 제조 및 특성평가

        김세욱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Nanofibers composed of cellulose acetate (CA) and montmorillonite (MMT) wer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MMT was first dispersed in water and combined with an acetic acid solution of CA. The viscosity and conductivity of the CA/MMT solutions with different MMT contents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A solution. The CA/MMT solutions were electrospun to fabricate the CA/MMT nanofibers. The morphology, thermal stability, crystallin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nanofiber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X-ray diffraction, and tensile test. MMT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CA nanofibers resulting in 120% improvement in tensile strength for the CA sample containing 5wt% MMT

      • 작은 생물에 대한 초등영재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세욱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과학영재의 수준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과 영재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의해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작은 생물’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작은 생물에 대한 오개념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초등영재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 과학영재들에게 적용한 후, 학생들의 탐구능력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해 학교 현장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준거의 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초등영재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에 따라 개발된 본 프로그램을 제주교육대학교 초등과학영재반 37명, 제주시교육청 초등수학·과학영재학급 37명, 제주시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33명을 연구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초등과학영재들에게 생명현상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충분히 불러일으킨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작은 생물 관련 탐색활동 및 개별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작은 생물에 대한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이 향상되었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키우는데 일조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과정과 산출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를 충분히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흔히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무조건 어려운 것을 가르치면 된다는 생각으로 고등학생이나 대학생 수준에서 주제를 설정한 나머지 오히려 초등학생들이 흥미를 잃거나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2. 관련성이 적은 다양한 주제를 여러 차시에 걸쳐 운영하기 보다는 한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된 내용을 깊이 있게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제 중심 프로그램이 영재 학생들에게 창의성과 과제집착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3. 학생들의 창의력 증진과 지식 습득만을 강조하다 보면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을 소홀히 여길 가능성이 커진다. 학생들이 쉽게 흥미를 잃고 수행 과제를 포기하지 않도록 하는 과제집착력, 여러 사람 앞에서 조리 있게 자신이 알고 있는 바를 발표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 협동하며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대인관계 능력, 자신이 탐구한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능력 등을 키우는 데에도 힘써야 한다. 4. 초등영재를 위한 과학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교육에 필요한 시설, 교구 및 재료가 충분히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한국교육개발원 등에서 개발된 과학영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과학실에서 운영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국가에서 시급히 영재교육 기관에 대한 투자를 서둘러야 할 것이며, 교구 및 재료 구입비 등의 증액이 절실히 요구된다. 5. 본 프로그램은 현 교육과정 내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을 5∼6학년 영재학생에게 심화한 수준에서 지식적인 것을 전수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탐구과정을 보고서로 작성하는 방법으로 운영하였다. 앞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수정ㆍ보완되어져야 한다. The aims for this study are to grow the need for developing programs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of elementary science and increas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s well as their potential ability. This program is developed upon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tudents' science textbook on small living things and the research of such misconception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bout them. After the newly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elementary students, the students were surveyed to gauge how much of the subject of small living things was grasped. Through many other analyses as well as the above, this study is intended to outline a sort of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to be easily implemented in schools. The study subjects are made up of the three groups. They are a class of 37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 class of 37 talented students both in math and science of Jeju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a class of 33 average students of Jeju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05 to January 2006. The program was applied to talented students every Saturday afternoon, and to average students every Wednesday afternoon respectively. It is believed that the subjects were made to be more motivational and stimulating by this program. The program contributes both to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of small living things and increasing the students' ability to perform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re are several implications inferred from the study. They are as follows. 1. The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hould be based on the thorough analysis of the science textbook. The reason is that in many cases special education is said to teach the students difficult subjects which are geared for either high school or college students. This can lead the gifted and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to lose their interest and get confused. 2. It is much more desirable to teach one subject in depth for several periods rather than to deal with a variety of topics which are relatively irrelevant to each other. It is even better to operate a topic-based program, which helps the students to enhance creativity and to stick to their tasks. 3. If the students' creativity a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re emphasized foremost, chances are the students' emotional character is easily ignored. So the students' affectivity should be considered. For example, the ability to adhere to a task, to present accompanying thoughts and opinions in a coherent and concise manner in front of others, to work well with others to solve the problems, and do a research paper on their own and so on. 4. To administer an effectiv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he facilities, teaching aids, and materials should be fully equipped. Some problems arise when programs developed by KEDI are direct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lab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invest in such facilities and to increase the budget for teaching aids and materials. 5. This program was to involve the 5th and 6th grad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by letting them do the research paper on their task-solving process themselves. It is not intended to teach them in-depth knowledge. In future, this programs should be modified and commented after review.

      • 가상화 환경에서 IO 특징 분석을 위한 통합 도구

        김세욱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상화 환경은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서 이기종의 운영체제로 구성된다. CPU, Memory, 그리고 Disk 장치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논리적인 표현으로만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워크로드의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가상화 시스템의 내부 동작들은 전통적인 시스템의 내부 동작들과 크게 다르다. 이로 인해서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각종 서비스에 대한 공평한 수행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최근 가상화 기술의 발전으로 CPU와 Memory등의 자원 접근에 대한 성능은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Disk I/O에 대한 성능이나 공평성의 저하는 가상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Xen기반의 가상화 시스템에서 Disk I/O의 내부 동작을 추적하고 분석하기 위한 XBlktrace라는 새로운 통합 도구를 제작한다. XBlktrace는 Xen I/O Trace, Xen I/O Monitoring, Xen I/O Analyzer, Graph Viewer라는 4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Xen I/O Trace는 각각의 게스트 운영체제(Domain U)의 I/O 요청들을 추적하고 I/O가 수행된 정보를 수집한다. Xen I/O Monitoring은 I/O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들을 선택하고 분석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Xen I/O Analyzer는 각 게스트 운영체제마다 queuing과 dispatching되는 수많은 I/O 요청들을 분석하고 시간과 순서에 따르는 정보를 분석하며, 각 CPU마다 수행된 I/O 누적량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Graph Viewer는 분석된 결과를 이용해서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로 출력한다. 우리는 AMD Phenom II 쿼드코어 프로세서와 8GB 물리 메모리로 구성된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Xen 4.1.2-pre과 Linux Kernel 2.6.32.40을 이용하여 통합 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통합 도구는 반가상화(Para-Virtualization) 뿐만 아니라 전가상화(Full-Virtualization)의 I/O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새로운 통합도구가 실시간으로 I/O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가상화 시스템의 내부적인 I/O 동작들을 분석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우리는 CPU들의 할당이 공평하지 못하기 때문에 게스트 운영체제들 간의 I/O수행이 공평하지 못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Virtualization Environments for a variety of services consist of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It ensures the stability of the overall workload by allowing only logical approach of hardware resource such as CPU, Memory, and Disk device for efficiency. However, the internal behaviors of the virtualized system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ventional non-virtualized system. So, it caused performance degradation or unfair services. In recent years, advances in virtualization technology, it improves performance of access to resources such as CPU and Memory, but still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virtualized system is not good because of Disk I/O performance degradation or unfair working.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novel integrated tool, called as XBlktrace, for tracking and analyzing internal mechanisms and policies of disk I/Os in the Xen-based virtualized system. It consists of four components: Xen I/O Trace, Xen I/O Monitoring, Xen I/O Analyzer and Graph viewer. Xen I/O Trace tracks the I/O requests of each Xen guest domain(a.k.a Domain U) and gathers I/O processing data. From the gathered data, the Xen I/O Monitoring selects data for analyzing I/O requests and displays result of analysis in real time. The Xen I/O Analyzer analyzes the number of queuing and dispatching I/O requests per each domain, their sequences and timing, and cumulative I/Os per each CPU. Finally, the Graph viewer displays a various types of graphs using results of analysis. We have implemented the tool using Xen 4.1.2-pre as a hypervisor and Linux kernel 2.6.32.40 as a guest operating system, on the hardware platform consisting of AMD Phenom II quad-core processor and 8GB physical memory. Our tool is supported both para-virtualization and full-virtualization analysis.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that the tool can gather I/O data in real time an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for examining the internal I/O behaviors of the virtualized system. We also have observed that there exists I/O unfairness among domains mainly due to the unequal allocation of CPUs.

      • 삼림생태계의 탄소수지에 관한 연구

        김세욱 公州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삼림생태계의 탄소수지에 관한 연구 公州大學校 大學院 生物學科 金世旭 탄소순환에서 삼림이 차지하는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식물에 의해 흡수되는 이산화탄소, 임상에서 토양호흡에 의해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그리고 잣나무림에서 연간 물질생산량과 토양호흡량을 측정하여 이들이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증가시키는지 아니면 감소시키는지를 조사하였다. 각 지소의 연간 순생산량은 상대생장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토양호흡은 대조구, 뿌리제거구, 낙엽제거구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그리고 잣나무조림지의 연간 순생산량은 각각 34.25, 18.52 그리고 36.45 ton/ha/yr이었으며, 이를 이산화탄소 양으로 환산하면 각각 56.50, 30.56 그리고 60.14 CO2 ton/ha/yr이었다. 조사지역의 순생산량은 수령과 임목밀도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그리고 잣나무림의 연간 토양호흡량은 각각 36.6, 16.3, 23.6 CO2 ton/ha/yr이었으며, 이들 지역에서 연간 이산화탄소의 순 흡수량은 각각 19.90, 14.26 그리고 36.54 CO2 ton/ha/yr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조사대상지인 상수리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 그리고 잣나무 조림지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림지의 수령과 임목밀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더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 study on the carbon budget in forest ecosystems Major Advisor Mun, Hyeong-Tae Se Wook Kim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forests participate in the cycling of carb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bed by plants, released from forest floor into atmosphere through soil respiration. Matter production, soil respiration and som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ffect soil respiration were studied in the oak stand, pitch pine stand and big cone pine plantation. And then, we developed annual carbon budgets to determine whether these stands were functioning as a source or a sink for atmospheric CO2. Net primary production in each stand calculated by allometric method. In order to specify soil respiration, root-free sites and litter-free sites were made in each stand. Soil respiration was measured at midday of the 15th and 30th day at every month from April 2001 through March 2002. Soil temperature, soil moisture, organic matter and inorganic nitrogen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Net primary production in oak, pitch pine and big cone pine stand was 34.25 ton/ha/yr(56.50 CO2 ton/ha/yr), 18.52 ton/ha/yr(30.56 CO2 ton/ha/yr) and 36.45 ton/ha/yr(60.14 CO2 ton/ha/yr), respectively. Net primary production was related stand age and tree density. The amount of CO2 released from soil respiration in each stand was 36.6, 16.3 and 23.6 CO2 ton/ha/yr, respectively. The amount of net assimilated CO2 in each stand was 19.90, 14.26 and 36.54 CO2 ton/ha/yr,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forest vegetation can be a sink for atmospheric CO2. Our results suggest that proper management of age and tree density in plantation are necessary for reduction of atmospheric CO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