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력Pool시장에서 발전경쟁을 위한 가격결정 및 적정제도에 관한 연구

        김성선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세계전력산업의 변화에 부응하여 우리 나라에서도 시행 중인 전력산업의 구조 개편에 관한 사항 중 전력Pool시장에서의 발전경쟁을 위한 가격결정과 제도에 관한 내용이다. 우리 나라의 전력산업은 현재 국영기업인 한국전력이 운영하고 있으며, 그 동안 각 계에서 전력산업을 운영하는 한국전력이 비대해져 비효율적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던 중,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전력산업의 구조조정 및 민영화에 힘입어 영국전력산업을 기본모델로 구조조정을 위한 제도를 검토하여 완료하고 관련법이 국회를 통과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전력산업 중 발전분야의 구조개편을 하여 민영화를 도입하는 목적은 민간발전사업자를 참여시켜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발전사업자들의 경쟁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한 발전비용의 저감은 전력요금의 인하로 이어지게 하며, 아울러 향후 전력수요증가에 따르는 발전설비 확충을 민간발전사업에게 이양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 발전분야를 통괄할 전력시장운영규칙 중 계통한계가격 결정절차와 정산절차는 민영화의 기본목적을 이루기에는 미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그 동안 영국에서 진행되었던 전력Pool시장 운영모델을 그대로 도입해서 적용한 결과로 보여지며, 이러한 입찰가 구성과 획일적인 제도하에서의 발전시장은 건전한 경쟁이 유발되지도 못할 뿐 아니라 일부 설비들은 퇴출 할 수밖에 상황이 발생할 수 도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시장을 통괄한 전력시장운영규칙 초안이 완료되어 공시 중인 규칙의 내용 중, 발전사업자가 적정한 생산비로 입찰하였다 하더라도 계통한계가격(SMP)을 적용시켜 동일하게 발전비용을 지급함으로써 경쟁논리가 전혀 뒷받침되지 못한 문제점 및 입찰가에 구성에 미비점을 분석하여 경쟁력 있는 입찰가격과 제도로서 발전분야에 건전한 경쟁이 도입되도록 연구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발전분야의 각 발전기는 입찰을 통해서 발전을 제의하는 것은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나 입찰가격을 구성하는 것은 기존의 순 연료비만을 반영하는 것을 지향하고 한계생산비를 기초로 작성한다. 둘째로, 발전을 하여 계통에 전력을 공급한 후 발전비용을 지급 받는 방법은 기존의 계통한계가격(SMP)에 의하여 동일한 가격을 지급한 것을 입찰가에 따라 발전비용을 지급하는 차등 지급방식(Pas-as-Bid)을 택한다. 셋째로, 경쟁에는 실적과 보상의 원칙이 전제되어야한다는 원칙에 따라 실적에는 한계생산비 즉 입찰가로 하고, 보상에는 입찰가의 대소로 평가하여 계통에 우선 투입하여 발전하게 한다. 넷째, 다양한 특징의 발전분야의 설비를 공정한 경쟁이 되기 위하여 유사한 특징의 발전기 즉, 연료 별 설비 군으로 나누어 설비 군간에 경쟁하게 하고, 각 발전기는 해당 연료설비군내에서 발전기간에 경쟁하게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영화를 도입하는 목적이 경쟁을 위한 것이며, 경쟁은 실적에 따라 보상이 차등 지급되어야 한다는 합리성에 근거한 것이다. 또한 입찰가 구성이 한계비용을 중심으로 계산되고 시장가격이 형성되어야 자원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회후생이론에 근거를 둔 것이다. 그리고 발전분야는 다양한 특성의 설비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정한 경쟁을 위해서는 설비를 유사한 특성의 설비 군으로 나누어 설비 군간에 경쟁이 되게 하고 또한 각 발전기는 해당 설비 군에서 경쟁이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경쟁을 위한 기본과 근간만 논의하였을 뿐 자세한 제약조건들은 생략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전력분야 운영기본체제 중 Model 2(단일 전력구입회사 존재 및 발전경쟁)체제에 기본을 두어 발전가격을 위하여 에너지 비용만을 다루고, 송전비용, 전력의 유용성 비용이나 기타 부가비용 및 전력공급의 안정성 문제 등은 이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의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on the bid price structure and proper systems for competition in generation sector of the electric pool market. The domestic electric industry managed by government has being blamed for poor results from inefficient and irrational management and resulted in privatizing electricity sector through restructuring to induce competition environment, which is taken after model of England's electric market. So Bills of restructuring for domestic electric sectors is poling on the table of national assembly. The purpose of the privatizing of domestic electricity sector is to induct competition system so as to get to lowing of the generation cost through sincere generation competition among all generators and reduce electricity price, and also turn over the responsibility of building electric generation facilities keeping pace with electricity demand in future. This thesis focused on inappropriate rules among the procedures prepared by government for managing the electric market in generation.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 ● Making bid Price should be based on the marginal productive costs, away from former bid price composed of only fuel cost for start up, no load and incremental load. ● Matters of adapting pricing model of Pay-as-bid for cost pay in stead of method of paying same price according to System marginal price (SMP). ● Bid price which is composed of marginal price for energy should be adapted as performance index of competition while permitting ahead the generation in grid is considered as reward, according to principle of what performance should be introduced for competition. ● The existing electric generation facilities is classified with several group firing same fuel, so that each fuel groups are allowed to compete each other and each generators can compete in self involved fuel group. This study based on rational thoughts from what compensation must be paid differently according to merit index for success in competition system, that's why the purpose of this restructuring of electricity sector is to arise the competition among the electricity generators, and also theory that market price based on bid price which is composed of marginal productive cost carry on resource distribution efficiency and social welfare. Electricity generation sector is composed of many characteristic facilities, so in other to give all generator nearly same opportunity. Small groups, which are categorized by same fuel firing facility, are made to have each group competed, and also to have each generators competed in each groups. But this thesis contained only basic idea for fare competition cutting off detail constrained conditions, so such constrained subject must be studied more to give whole generation sector fare competitive environment.

      • e-CRM 분류 기능의 통계적 에이전트 학습에 관한 연구

        김성선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ERP와 CRM은 대부분 전통적인 기능적 수행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경영환경은 인터넷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비약적 발전에 기인하여 시장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대부분 e-비즈니스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추진하면서 제휴기관과의 관계증진, 고객관계의 혁신적 개선은 물론 조직내부의 업무프로세스의 획기적 개선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CRM은 기업이 획득한 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기업에 대한 고객의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기업과 고객간의 상호 이익적 관계를 형성 유지 강화하려는 기업의 일련의 마케팅과정으로 다양하고도 수많은 고객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고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을 필요로 하며, 생산과 상품의 전달경로, 마케팅, 그리고 의사결정등의 경영 카테고리와 연관되어 있다. 한편 ERP는 SCM과 CRM 및 SEM등으로 기능을 확대해감에 따라 21세기의 ERP는 e-비즈니스의 전략적 도구로 발전해 갈 것이며, 이를 위한 중재 도구로 의미 있는 데이터의 통계적 학습을 통해 CRM의 분류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 구매, 분배, 고객 서비스 성능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험 대상을 정하고 나이브 베이지안 학습 기법에 따른 분류 성능을 훈련의 구매 성능 특성을 고려하여 클래스 단위로 정하고, 훈련 예제의 실행 횟수를 변화하면서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치를 얻었다. 구매 성능 특성을 고려하여 클래스당 5개씩 40개로 정하고 1회에서 3회까지 측정한 결과 평균 4.3%의 분류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생산 성능 특성을 고려하여 클래스당 7개씩 50개로 정하고, 1회에서 4회까지 측정한 결과 평균 4.3%의 분류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분배 성능의 특성을 고려하여 클래스당 10개씩 50개로 정하고, 1회에서 4회까시 측정한 결과 평균 7%의 분류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고객 서비스 성능의 특성을 고려하여 클래스당 5개씩 40개로 정하고, 1회에서 4회까지 측정한 결과 평균 11.7% 의 분류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각 특성에 따라 실행 횟수를 변화하면서 측정한 결과 실행 횟수가 많을수록 검색을 정확하게 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기업의 마케팅 부서에서, 기존 고객 및 신규 고객에 대한 정보 파일 분류 작업을 수작업에서 나이브 베이지안 학습을 통한 에이전트로 자동화 되므로, 자신들의 최고 고객을 식별해내고,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그들을 겨냥한 마케팅 캠페인을 추진할 수 있게 하며, 판매 팀을 이끌기 위한 품질을 만들어내는데 도움을 주며, 다수의 직원들이 최적화된 정보를 공유하고, 기존의 처리절차를 간소화 함으로, 통신판매, 회계 및 판매관리 등을 개선하기 위한 조직을 지원 할 것이며, 고객만족과 이익의 극대화를 꾀하고, 회사에 가장 도움이 되는 고객들을 식별해내며, 그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고객들마다 선별적인 관계의 형성을 허용하여, 고객에 관해 알아야하고, 고객들의 요구가 무엇이며, 회사와 고객기반 그리고 배송 파트너들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여 꼭 필요한 정보와 처리절차를 직원들에게 제공한다. The focus of ERP and CRM is now on the traditional functional implementation. Recent managerial environment caused by internet and surging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s, however, brought changes in the market, and most transactions are becoming e-business. In the process, relationships with affiliated institutes are improved, and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re radically improved, and job process within organization is also distinctively improved, thereby actively strengthening competitive power. CRM is series of marketing process in which a company tries to create, maintain and strengthen the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any and customers to persistently keep the company's customers and increase customers' values to the company. Because it i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f various and numerous customers, the system base to grasp customers' information is necessary, and it is related with managerial categories such as production, conveyance channel of products, marketing, decision-making, etc. And as ERP expands its function into SCM, CRM, SEM, etc, ERP in the 21st century will develop into strategic method of e-business. We can effectively deal with classifying functions of CRM through statistical learning of data which is meaningful as the intermediary method. In this paper, I selected experimental subject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roducts, purchase, distribution, and performance of service to customers, and decided each class' classifying performance according to Naive Bayesian learning technique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raining's purchasing performance, and measured while changing numbers of implementation of training's examples, thereby obtained following results. Putting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performance into consideration, 1 arranged 5 items to each class - total 40 - and measured from 1st to 3rd, and average classifying performance was improved by 4.5%. Putting characteristics of producing performance into consideration, 1 arranged 7 items to each class - total 50 - and measured from 1st to 4th, and average classifying performance was improved by 4.3%. Putting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ng performance into consideration, I arranged 10 items to each class - total 50 - and measured from 1st to 4th, and average classifying performance was improved by 7%. Putting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of service to customers into consideration, I arranged 5 items to each class - total 40 - and measured from 1st to 4th, and average classifying performance was improved by 11.7%. After I measured while changing numbers of implementation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s, I found that search becomes more accurate when it is implemented more times. From such results, the marketing department of a company turns hand operation of file-classifying on the existing and new customers into automatic agent through naive bayesian learning. They can discern their best customers, launch a marketing campaign targeting on them with a clear purpose, help to improve quality to lead a sales team, support organizations to improve internet sales, accounting, sales management, etc. by sharing optimized information with many members of the staff and simplifying existing dealing process, maximize customers' satisfaction and profits, identify customers who are most useful to the company, and provide them with best service. They also should know customers and what customers want by allowing selective relationship with each customer, and provide members of the staff with necessary information and procedure of dealing by effectively establish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any and customers and between the company and delivery partners.

      • Dextran sulfate sodium에 의한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daidzin의 조절 효과

        김성선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Ulcerative colitis (UC)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idiopathic inflammatory disease affecting colon, and incidence of UC is increasing worldwide. Daidzin (DDZ) have shown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DZ on UC both in vivo and in vitro. An animal model of colitis was established in mice by oral administration of 3% dextran sulfate sodium (DSS). DDZ (1, 10, 50 mg/kg per day) was administrated to the mice for 11 days. After the mice were sacrificed, colons and serum were collected for analysis. DDZ administration restored DSS-induced body weight loss, colonic shortening, intestinal mucosa injury and inflammation scores. Furthermore, DDZ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sease activity index (DAI), histopathological scores in colon tissu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DZ o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in were studied. Treatment of DDZ dose-depende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pro-inflammatory mediators TNF-α and IL-6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Our results showed that DDZ treatment ameliorated DSS-induced colitis in mice, suggesting that DDZ might be a potential effective drug for UC.

      • Comparison of Blood Biochemical Values between High and Low Producing Holstein Cows : 젖소에서 고능력우와 저능력우의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김성선 Graduate School,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0 국내박사

        RANK : 247615

        젖소의 혈액화학치를 조사하여 산유량 증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유량에 따른 Holstein 젖소의 혈액화학치를 비교하였다. 공시동물은 건강한 3-5산차의 Holstein 젖소 30두로 하였으며 사양관리는 농후사료 1일 6kg을 급여하고 방목시켰다. 실험군의 유량을 분만후 15, 30, 60, 90일에 측정한 후 평균 유생산량을 기준으로 평균 27kg 이하(그룹 A)와 평균 30kg 이상(그룹 B)으로 나누었다. 혈액은 분만 예정 15일전, 분만 당일, 분만후 15일, 30일, 60일, 90일에 경정맥을 통하여 채혈하였다. 각 시기별 유량에서 유량이 적은 그룹A가 유량이 많은 그룹 B 보다 분만후 60일에 급속히 감소하였다. 혈액검사 결과에서 적혈구수, 백혈구수. 적혈구용적 및 총단백질은 유량이 많은 그룹 B가 유량이 적은 그룹 A보다 높았다. 특히 적혈구는 분만당일에(p<0.05), 적혈구 용적은 분만 예정 15 일전에(p<0.01), 백혈구수는 분만 예정 15일전(p<0.05), 분만후 15일(p<0.01), 분만후 90일(p<0.05)에, 총단백질은 분만후 90일에(p<0.05)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섬유소원은 분만전후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분만 당일부터는 유량이 적은 그룹 A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며 분만후 15일에는 매우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미량원소인 마그네슘과 칼슘은 실험 전기간 동안 그룹 B가 높았다. 특히 마그네슘은 분만 예정 15일전 (p<0.05), 분만 당일(p<0.05), 분만후 15일(p<0.05). 분만후 60일(p<0.01)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칼슘은 분만 예정 15일전, 분만 당일, 분만후 30일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1). 무기인은 분만 전후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분만후 15일과 30일에는 유량이 높은 그룹 B가 유량이 낮은 그룹 A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혈청검사에서 콜레스테롤 농도는 분만 당일에만 두 그룹간에 비슷하였고 그 외의 시기에서는 그룹 B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분만후 90일에는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BUN과 글루코오스는 유량에 따른 그룹간 차이가 없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비타민 A는 분만 예정 15일전과 분만후 15일에는 그룹 B가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p<0.01) 그 이후에는 그룹간에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비타민 E는 유량에 따른 그룹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임상증상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모든 공시동물에서 Therleria sergenti가 관찰되었고 적혈구내 원충의 감염율은 유량에 따른 그룹간 차이가 없이 비슷하였다. 그리고 두 그룹에서 모두 분만 당일에 높은 수치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는 유량에 따른 그룹간 혈액화학치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blood biochemical values between high and low yielding daily cows, in order to suggest a means for the improvement of milk production. A total of 30 Holstein cows (3rd to 5th of parity) were used and assign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milk production levels at 15, 30, 60 and 90 days postpartum. Milk production in each of the two groups was less than an average of 27 kg/day (group A) and more than an average of 30 kg/day (group H).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y jugular venipuncture from each cow six times at 15 days before the anticipated calving date, within 12 hours postpartum (0 days) and at 15, 30, 60 and 90 days after calving. In hematological values group B was consistently higher than group A in average of RBC, WBC, PCV and total protein. But the level of fibrinogen showed a little fluctuation between the groups at antepartum and 0 days but group A is consistently higher than group B in early lactation. In serum mineral concentrations, group S was consistently higher than group A in both Mg and Ca. Inorganic phosphorus concentrations showed a little fluctuation between the groups at antepartum and at postpartum, but group B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A at 15 and 30 days after calving (p<0.05). 1n serum biochemical values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consistently higher in group B except at 0 days. BUN and glucose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In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A group B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A at 15 days before the anticipated calving date and at 15 days postpartum (p<0.01) but at 30, 60 and 90 days postpartum both groups are similar. Vitamin E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Parasitemia-level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at all tunes. It was especially notable that both groups showed highest levels of parasitemia at calving tim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aising the levels of Mg, Ca, Pi and vitamin A in serum w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milk production of low producing c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