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몰입교육을 적용한 초등음악과 교육연구 : - 6학년을 중심으로 -

        김성미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캐나다를 비롯하여 여러 나라에서 시행한 몰입교육의 성공적인 사례를 근거로 음악과를 통한 영어몰입교수법 방안을 연구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의 음악교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6개의 제재를 가창, 기악, 감상, 창작의 네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 당 한 개씩 모두 4개의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였다. 교수학습과정안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작성하였다. 첫째, 몰입학습에 적합한 교수학습과정안의 체계를 갖추었다. 본 교수학습과정안은 본시 수업안, 교실영어, 단어, 단어게임 등 그 밖의 수업과 관련된 학습지와 참고자료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교수학습과정안에서는 학습 내용과 관련된 자료들만을 수록하지만 영어몰입교육 교수학습과정안에서는 영어라는 교수 매개체를 통해 학습해야 하므로 일반 교수학습과정안과는 다르게 학습과 관련된 영어 문장과 단어를 소개한 참고자료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에 있어서 거의 모든 부분을 영어로 작성하나 필요한 경우 참고자료나 활동지에 한하여 그 내용이 방대하거나 용어가 어려울 경우 우리말을 활용하는 것도 무방하겠다. 둘째, 명확하고 간결한 학습 목표를 설정했다. 학습목표는 그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학생들이 학습목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학습목표의 문장이 불가피하게 어려운 용어나 문법이 사용될 경우 아예 우리말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라 하겠다. 셋째, 충분한 자료를 제시했다. 영어로 실시하는 수업이다 보니 교사의 설명만으로는 수업에 대한 이해가 다소 힘든 부분이 있다. 특히 영어실력이 뛰어나지 못한 학생들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수업 내용 이해에 대한 결손을 최대한 줄이려면 교사의 설명과 함께 보충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자료와 참고자료를 제시하여야 한다. 넷째, 교수학습과정안에 제시된 교실영어와 단어에 대한 선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초등학교의 1차시 당 수업시간은 40분으로 정해져 있으며 음악과의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활동만으로도 빠듯한 시간이다. 그러므로 교실영어와 단어에 대한 선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료나 과제를 미리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겠다. 다섯째, 필요한 경우 학습내용을 재구성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필요한 경우 교사가 학습내용을 재구성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열어놓았다. 물론 이것은 그 제재의 학습목표의 달성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허락된다.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의 방법들이 계속 확장되고 심화되어 음악과와 영어몰입교육의 접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들이 계속 제시된다면 현장의 교사들의 교육현장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study examSecined an immersion English teaching method through music on the basis of successful cases in foreign countries including Canada. With music subject of the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the study chose 18 pieces except Korean traditional music out of 26 pieces as subjects of immersion education, and created four teaching-learning plans, one each for vocal, instrument, appreciation and creation, respectively. First of all, the study established systems of teaching-learning plans appropriate for immersion learning. The teaching-learning plans consist of the introduction of a theme piece, a lesson plan, classroom English, word game and other related worksheets and reference materials. Although general teaching-learning plans contain materials related with contents, the emers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s contain reference materials including relevant English sentences and words, differently from general teaching-learning plans because they should teach using English. And in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plans, almost all parts including reference materials and worksheets were written in English except the introduction of a theme piece. However, reference materials may be written in Korean if the content is too extensive and words are difficult. ondly, clear and explicit lesson goals were established. Students should understand lesson goals clearly because they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class. Therefore, if use of difficult words and grammar is unavoidable in sentences of the lesson goals, suggesting them in Korean will be active attitude toward effective class. Thirdly, the study provided sufficient materials. It is a bit difficult for a teacher to make student fully understand because a lesson is delivered in English. In particular, student with somewhat poor English can't understand the teacher perfectly. Accordingly, various visual materials and reference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to supplement the teacher's explanation in order to maximize students' understanding. Fourthly, the study conducted precedent learning for classroom English and words suggested in the teaching-learning plans. One class of elementary school is 40 minutes, which is quite short for learning activities to accomplish lesson goals of music only. Therefore, it will be effective to suggest materials or tasks in advance so that precedent learning for classroom English and word can be performed. Fifthly, the teaching-learning plans reorganized contents, if necessar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llows teachers to reorganize contents if they consider necessary. Of course, this is allowed as long as reorganization does not hurt accomplishment of lesson goals. If teaching-learning plans that can ensure effective combination of music and English immersion education will be suggested continuously by expanding this kind of researches, teachers can use them helpfully in their classroom.

      •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 개발 연구 : 미디어 생태학과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김성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셜 미디어는 우리사회의 소통과 인간관계 형성, 삶의 형태 등을 바꾸어 놓았고 그 영향력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 환경 속에서 학습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되어 갈 것이며 그 핵심은 무엇인가를 주목해야 하며 확장적 학습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논의가 전개되어야 한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 대한 미디어 생태학과 활동이론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 모형의 개념적 구인을 관계망으로 제시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학습설계 원리와 구성요소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는 미디어와 인간, 문화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 이른바 ‘보이지 않는 환경’에 주목하는 미디어 생태학(Media ecology)의 관점에서 출발한다. 구체적인 분석은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학습자의 구체적인 활동(activity)에 핵심을 두고 활동 안에 여러 하위 요소와 관계를 구조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을 통하여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학습을 구체화시켰다. 이렇게 문헌 연구에 근거하여 제시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이 효용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 현장에 적용한 사례 연구와 전문가 검토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서 구체적인 시사점을 확보하고 최종적인 개념적 모형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은 이론적 논거 규명, 개념적 구인 도출을 통하여 모형을 개발과 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최종 모형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생태학과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하여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체의 과정을 담고 있는 소셜 미디어 활용 학습의 확장을 위한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면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학습의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구인간의 관계를 학습생태계의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의 체계 구분에 근거하여 구조화시켰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의 미시체계와 기존 미디어와의 상호작용하는 중간체계로써 소셜 미디어 학습 환경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구’는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하지만 구글독스나 프레지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유투브, 트위터, 블로그, 위키, 카카오톡, 네이트온, 스마트폰 검색, 스마트폰 등 관계형, 소통형, 협업형, 공유형 소셜 미디어가 연동된다. ‘주체’는 학습자과 교수자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온라인/오프라인 친구, 해당 과 조교, 본 연구의 공동 연구자, 본 연구자의 페이스북 친구들도 함께 주체로써 존재하고 참여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상의 ‘규칙’ 에 대해서 예를 들면, 페이스북에서 ‘좋아요’ 버튼에 대한 의무화와 같은 재정의, 활동 시간에 대한 제한 규정, 이벤트를 통한 반복적 공지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분업’에서는 교사-학습자, 탐장-팀원의 분할적, 수직적 구조의 기존 미디어 환경에 비해서 소셜 미디어 환경은 게시자-댓글 참여자-독자, 설계자-사용자로 구분되며 수평적이고 선택적인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 환경의 ‘공동체’는 보다 개방적이고 유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 활용 학습의 ‘목표’는 기존 미디어 교실 환경과 소셜 미디어 환경이 결합된 새로운 학습 목표와 학습역량이 제시한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의 중간체계로 이러한 과정은 단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 미디어 환경에서의 도구, 주체, 규칙, 공동체, 분업, 목표의 구성요소가 제2의 목표로 확장되게 된다. 둘째,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의 외체계는 미디어 생태학과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도출되었다. 학습설계 원리인 협력, 갈등, 정반합, 누적성, 총체성, 다양성의 원리는 외체계로써 학습 상황에 영향을 미치고 확장적 학습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된다. 갈등을 통하여 합의에 도출하기 위하여 상호작용은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학습의 과정이 사회적 과정으로 변화·발전된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학습은 기본적으로 협력과 갈등을 전제하여 학습설계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사회적 관계로서 보다 확장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원리가 더욱 요구된다. 이러한 갈등과 협력이 정반합의 원리에 따라 실행되고 이러한 학습설계와 실행이 모두가 총체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미디어는 독립적으로 홀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생태계의 일부로서 다른 미디어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는 가정 하에서 설계 및 분석의 단위가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의 결과는 최종적으로 도출된 결과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변화되는 일상적인 학습 과정을 누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셋째,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의 촉진 및 갈등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와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소셜 미디어 활용 학습의 촉진 요인으로는 소셜 미디어의 도구적 측면에서 시공간을 초월한 접근과 미디어간의 쉬운 연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구성요소 중 주체의 측면에서 친근감이 높아졌다는 점과 공식적인 학습자 외에도 다른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게 학습 기회의 개방성도 분석되었다. 또한 학습 목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중심의 실제적 과제제시가 가능해져서 학습 흥미가 높아졌다. 댓글과 같은 단문을 활용한 단순한 조작만으로 브레인스토밍할 수 있게 되었다. ‘좋아요’ 기능을 활용한 긍정적 상호작용을 유발시키는 점과 신기술에 대한 호기심도 소셜 미디어 활용 학습의 촉진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소셜 미디어에 대해서는 매우 일상적인 파악하나 학습으로 활용할 때는 자료의 검색, 업로드, 수정의 어려움, 알람기능으로 인한 잡음 증가, 영어 중심의 환경 불편과 같은 도구에 의한 요인, 온라인과 오프라인 자신의 일치와 노출의 사생활 침해와 관련된 주체 자체에 대한 요인, 온라인 주체와 오프라인 주체의 이질성의 주체로 인한 상호작용 비활성화, 구미디어에 대한 향수와 기계 소외와 같은 활동 시스템 전체에 대한 요인, 공동 활동에서 오는 무책임 등이 갈등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의 거시체계는 촉진 요인과 갈등 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토대로 확장적 학습의 목표이자 지향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집단지성을 핵심으로 하는 학습가치적 측면, 사회문화적 적실성을 강조하는 사회문화적 측면, 이러한 소셜 미디어 환경에 대한 새로운 리터러시인 학습역량적 측면에서의 논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소셜 미디어와 학습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연결하여 소셜 미디어 활용 학습의 구성요소와 촉진 및 갈등 요인을 제시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그치지 않고 개념적 모형의 형태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학습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여 연구 결과의 유용성을 지닌다. 둘째, 미디어 생태학과 활동이론은 소셜 미디어의 등장에 따른 교육 미디어 환경의 변화 그리고 학습 패러다임과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는 매우 적절한 이론적 근거가 된다. 두 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간 연구로 접목될 때 인식의 틀을 제공해 주는 특징이 있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학습은 미디어, 학습, 사회의 분야가 융합된 것으로 실태를 분석하고 확장적 학습을 제시하는데 미디어 생태학과 활동이론이 상호보완적으로 논리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 셋째,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하여 이론적 근거 제시와 분석된 결과 도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이 되어가는 전체 과정에도 주목하고 지향해야 할 방향을 총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론과 모형 그리고 실천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이다. 이론은 실천을 기반으로, 모형은 이론을 기반으로, 실천은 다시 모형을 통해 현실로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이론, 실천, 그리고 모형의 전체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개념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확장적 학습을 위한 개념적 모형이 학습 현장에서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 구체적인 처방적 지침과 단계적 실행절차를 포함하는 절차적 모형으로 후속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concerns about social media in our society is hot. Many issued articles are pouring form the press and media turning people on social media greatly. Like this, social media affects various field in our society, as well as attracting many experts and corporations' interest, and the same is true of economic, industrial, cultural and educational fields. Social Media is the open online tool and media platform for sharing and participation of users opinion, experience, viewpoint, so general situation that is one-side flowing from production to consume doesn't act, and while use of two-way, user create contents use of sharing and participation. This social media include Blog, Social Network Service(SNS), Wiki, User Create Contents(UCC), Micro Blog, 5 types. In broad terms, Social Learning is self-learning that user sharing with cooperation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Social Media, and in few wards Social Learning is learning for Social Medi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for expansion of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focused on Media ecology and Activity theory in social media environmen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major concepts and theories of media ecology and activity theor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trend of the media studies as environment, namely ‘Media ecology’. On the assumption that media is the main cause of the social change, Media-ecology focuses to examine the impact of media on the society. Media-ecology concentrates on the invisible environment formed by the intrinsic character of media. It provide macroscopic, holistic viewpoint that catch on synergy effect arise from integrated use of various media and on experience as a whole bring from virtual reality. Also it helped awareness of latent influence on learner bring from usual use of social media. It is recently drawing full attention because of introduction of Social media and media study trend shift. Activity theory is a psychological and multidisciplinary theory a set of perspectives on practice that interlink individual and social level. Focused on the above two theories, I analyzed holistic situation of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from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process, and to learning overcomes. Media ecology and activity theory in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appear to be constructive in the sense that learners build their own understanding of knowledge while learning. In other words, it is a way of examining phenomena in the world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of agents, objects, means, and in the case of human collective activity, with naturalistic emphasis that offers a framework for describing activity and provides tools, subject, objectives, community, rules, and division of labor. It allows a variety of ways of analyzing phenomena and suggests import information to the analyst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ontradictions. Contradictions reveal themselves as breakdown, conflicts, problems, tensions, or misfits between elements of an activity or between activities. The tensions have critical implications for tools, practices, and division of labor for the staff members.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on for social media(especially facebook) using learning by applying the effect obtainable through the application of social media to educational environment to actual class. This study picked out the class term of one semester(16 weeks case 1, 15 weeks of case 2) classes(blended learning) of 2 groups, one of each is A(teaching profession class) at H university and B (major class) at D university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then collected, analyzed and carried out the data from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ith questionnaire, depth interview, and learners' reflection notes and observation. In doing so, elements of activity system in activity theory were identified subject, object, mediation tools, rules,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and analyzed facilitating factors and conflicting factors and finally suggested learning using conceptual model. Th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by qualitative study and , s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regarded social media as a routine essential tool or medium in their life as well as they firmly expressed their concern on addiction of using social media.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media is one of character on social media and it has represent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ir life because of technical development of smartphone. Second,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has some types of online interaction-focused on learning resources upload, class guide, affirmative communication, one to one interaction with function of chatting/ message, and interaction with link share. I suggested 6 elements on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based on activity theory. It has two activity systems; focused on offline classroom environment and social media one. The previous one is related to traditional learning setting. I introduced elements with contrasting the two activity system. 'Tool' on social media expanded all types social media of relation,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sharing as well as related application, and mobile technology. 'Subject' also has been wider and facebook friends accepted can be a learner or researcher eventually.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need require a new rule such as redefinition of 'like' button, time limit, and guide on technology and class news. 'Division of labor' on class has traditionally 'teacher-learner' and 'team leader-team member', which is virtual and divisional relation. However,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is different that the relation changes horizontal and circular mode following by 'writer-comment participant-reader' and 'designer-user'. In doing so, community on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represent more open and flexible. Finally, I suggest learning capacities as 'Object' of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Third,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facilitate and disturb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Learners answer it has positive effect on technology interest, self-expression, respond speed, information share, familiarity with teacher and other learners, personal relation, respond amount, and interest on social issue. Facilitating factors on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based on results analysis represent easy connection between media, ubiquitous access, rule for familiarity improvement, learning opportunity open, performance with practical problem, role as brainstorming with short comment, positive interaction with like button, and curiosity on rapid progress of digit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conflicting factors are consist of hardship of resource search, upload, revise, save, information noisy with easy connection between media, unfamiliarity of unclear information of learning participant, invasion of privacy, evasion of responsibility with common sharing and creation, and unfamiliarity and refusal of rapid progress of digital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conceptual model for expansion of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with instructional principles and learning capability. Instructional principle have ‘coexistence’, ‘confliction’, and ‘collaboration ’with traditional educational media environment and social media one. Moreover, ‘totality’, ‘thesis-antithesis-synthesis’, and ‘accumulation’ are suggested as macroscopic level of instructional principle for expansion of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Learning capacities consist of three sub factors: 'construction skill' which is creativity to identity themselves and appropri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influence skill’ which is skill to communicate with other through interac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and to diffuse the result to the society, and ‘reflection skill’ which is ability of analyzing credibility of reference source and suggest critical alternatives for problem-solving of themselves and their community. The abov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on and design and practic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on the data through 6 component- tool, subject, rules, community, division of labor-and their relation, and facilitating factors and conflicting factors, conceptual model for expansion of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included in learning capability-construction skill, influence skill, reflection skill-were suggested to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As a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develop instructional designs addressing specific learning settings to facilitate learning by using social media.

      • 미술교육에서 아동미술치료의 활용에 관한 연구

        김성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 단계에 따른 아동 심리를 이해하고 미술 교육이 갖는 심리 치료적 특징을 이해한다. 그리고 아동미술치료를 교육적 입장에서 접근하여 미술치료를 학교 미술교육에 활용·적용하고,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은 그림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가 하면 자신의 내면에 감추고 있던 감정, 생각들을 표출해 내기도 한다. 이러한 감정들을 표현해고 내면 자신도 모르게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도 하고, 완성된 그림을 보면서 자신감도 생기게 된다. 그러나 점차 성장하면서 그림이 아닌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고 정보를 얻기 시작한다. 그러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의식을 통제하는 방어기제가 작용한다. 인간이 갖는 경험과 내면의 표현은 언어적인 형태가 아닌 시각적 형상으로 기억된다. 시각적 이미지를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본래의 것이 수정되고 변화하며 때로는 사라지기까지 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심리치료 과정에서는 심상의 표현이 가능한 미술을 활용하여 치료한다. 즉 미술 활동을 심리 치료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로 미술치료(Art Therapy)이다. 미술치료는 인간 내면의 갈등을 미술이라는 행위 또는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인간의 자아확립을 구축해 나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또한 언어를 사용하는 심리치료보다 두려움을 적게 주어 자기방어기제의 영향을 적게 받아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미술치료의 자유로운 표현을 통해 감정 표현,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감정해소를 위한 정화의 기능을 수행하고 정보전달에도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 갈등이나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에게 건강한 아동으로 성장 할 수 있게 하며, 예방적 차원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미술교육의 목표는 표현력의 향상과 조형능력의 향상만이 아니다. 미술을 이용한 감정표현은 인간의 감성을 일깨우고, 정서를 순화시키며 내면의 마을이 투영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심리치료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미술치료의 진단 및 치료 도구를 ‘미술에 의한 치료’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학교 미술 수업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수업시간에 적용, 교사가 학생을 이해하는데 어떠한 도움을 주며 학생 역시 교사와의 관계 개선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아동들의 정서 안정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를 객관적으로 증명하지 못하는 제한점과 학생들의 결과물이나 학생 관찰의 분석 역시 주관성을 가지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연수와 지속적인 관심,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 psychology according to stage of child development, to understand psycho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to apply art therapy on school’s art education, to develop and to use available education program in class. Child may express information, feeling and thinking in their mind through drawings. These kind of emotional release can be cathartic for them, and they can have self-confidence through finished painting. But as they grow up, they would communicate and get information in languages, not painting. Then defense mechanism which control consciousness work in spite of themselves. human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inner consciousness is remembered as visual image, not language. And it is modified, changed and disappeared to express visual image in language. To complement this kind of changes, Painting is used as one of psychotherapy treatment technique. Namely, Using art activity for psychotherapy treatment is ‘Art Therapy’ Art therapy is to help human self-establishment through art activity or medium. It also enhance effectiveness of treatment because art therapy has less of an effect on defense mechanism than language therapy. Through free expression of art therapy, Functions of emotion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relief are performed. This is very helpful for child who has a mental conflict or emotional trouble. So, It is necessary to perform art therapy preclusively in real class. The object of art education is not only to improve expression and artistic abilities, but also to arouse human sensibilities, to purify emotions and to show their mind.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how to use diagnosis and therapeutic tool of art therapy which is one of psychotherapy treatment technique. And There are positive effects, which a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eacher’s understanding student emotion, student’s emotional stability, when applying in real class. But difficulty of objective proof and subjective analysis of student’s output or behavior observation are limitations. Therefore, Thecher training, continuous interest and development of proper program are needed for applying on real class.

      • 정족수 감지 억제 물질 바닐린이 황산염환원균 Desulfovibrio vulgaris Hildenborough의 물질대사 및 생물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naerobic reactors are used widely in the sewage treatment because they produce small amounts of surplus sludge and can produce energy through methane and hydrogen. Although the application of domestic anaerobic reactors is increasing year by year, sulfate reducing bacteria (SRB) should be controll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reactor. SRB are obligate anaerobes that reduce sulfate to hydrogen sulfide. SRB compete with methanogens and hinder methanogen activity, resulting reduction of methane and reactor energy efficiency. SRB produce toxic and corrosive hydrogen sulfide gas and hinders the reactor’s microorganism and corrodes the metal parts of the reactor. If the SRB activity can be regulated, efficiency of the anaerobic reactor can be enhanced. Microorganisms express group behaviours such as biofilm formation and pathogenicity through quorum sensing (QS). Quorum sensing inhibition can interrupt the group behaviours while not inhibiting the growth of organism. Vanillin is the main chemical of the extract of vanilla bean and has been proved to work as a quorum sensing inhibitor in several kinds of bacteria. However, there is yet no study of vanillin applied on SRB. In this study, Desulfovibrio vulgaris Hildenborough was used as a model microorganism of SRB and the effect of vanillin on growth of strain, sulfate reduction, biofilm formation, N-acyl homoserine lactone (AHL) production an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batch test. Vanillin in the concentration of 0.4 ~ 1.2 m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ell growth while 3.3 mM of Vanillin inhibited the growth of D. vulgaris. All concentrations of Vanillin reduced biofilm formation, inhibited sulfate reduction and AHL secretion. Impact of 0.4 mM of Vanillin on gene expression were shown in this study. Genes included in the nitrogen fixation pathway were assumed to contribute to the inhibition of sulfate reduction, and genes included in the biotin production pathway were assumed to contribute to the inhibition of biofilm.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ontrolling the harmful impacts of SRB on anaerobic bioreactors and consequently enhancing the energy yield of anaerobic reactors. 혐기성 반응기는 낮은 바이오매스 수율에 의해 잉여 슬러지 생산이 적고, 메탄 생산을 통해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하폐수처리 공정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혐기성 처리 공정에서는 황산염환원균의 활동으로 인한 공정 효율의 저하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황산염환원균은 기질 경쟁을 통해 메탄생성균의 활동을 저해하여 메탄 생성량을 감소시키고 반응기 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유독하고 부식성 가스인 황화수소를 생성하여 반응기 내 미생물 활성을 저하시키며 금속 부식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황산염환원균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기술은 혐기성 반응기의 효율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미생물은 정족수 감지 기작(quorum sensing, QS)을 통해 생물막 형성, 병원성 등의 단체행동을 발현시키는데, 다양한 공정에서 이의 조절을 통해 원치 않는 단체행동을 억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QS 억제는 미생물 성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QS를 통해 일어나는 생물막 형성 등의 단체행동만을 저감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살균제나 항생제보다 지속 가능한 미생물 제어 기술로 알려져 있다. 바닐린은 특정 미생물에 QS 억제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에서 증명되었으나 아직까지 황산염환원균에 미치는 효과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Desulfovibrio vulgaris Hildenborough을 모델 황산염환원균으로 이용하여 batch test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바닐린이 균주의 성장, 황산염환원, 생물막 형성, N-Acyl homoserine lactone (AHL) 생성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바닐린 주입시 0.4 ~ 1.2 mM 농도 까지는 균주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3.3 mM 농도에서는 크게 저하시킴을 확인하여 QS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에 적절한 주입 농도 범위는 0.4 ~ 1.2 mM 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된 모든 농도(0.4 ~ 3.3 mM)에서 바닐린은 생물막 형성, 황산염환원, AHL 생성을 저해하였다. 미생물 증식은 저해 받지 않고 AHL 생성량은 낮아진 것을 통해 바닐린이 QS를 억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중 바닐린을 0.4 mM 농도로 주입했을 때 차등발현유전자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DEG) 분석결과 황산염환원 저해에는 질소 고정 pathway의 유전자가 관여한 것으로, 생물막 형성이 저해된 것은 비오틴 pathway 의 유전자가 관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바닐린이 황산염환원균 모델 미생물인 D. vulgaris Hildenborough 의 물질대사와 생물막 형성, AHL 생성에 끼치는 영향과 DEG 분석을 통해 0.4 mM의 바닐린이 유전자 발현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바닐린과 같은 정족수 감지 억제제가 황산염환원균의 활동 저해를 통해 혐기성 소화 반응기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생협 조합원이 지각하는 관계편익이 전환장벽 및 장기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성미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점점 더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관계편익이 전환장벽 및 장기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생협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유용한 단서를 제공하기 위한 학문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의 지속적인 관계유지는 매우 중요하며, 관계마케팅은 중요한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생협은 불특정 다수를 주주로 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일반기업과 다르게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조합원 소유의 협동조합 기업으로 조합원과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생협을 이용하는 조합원을 대상으로 관계마케팅의 핵심 변수인 관계편익, 전환장벽, 장기관계지향성을 이용하여 생협의 조합원들이 무엇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관계편익이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협의 조합원들은 사회적 편익, 확신적 편익, 특별대우 편익, 공유가치 편익을 지각하고 있었으며 모두 전환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확신적 편익, 특별대우 편익, 공유가치 편익은 매개변수인 전환장벽을 통하여 장기관계지향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편익은 전환장벽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환장벽은 장기관계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협 조합원들 공유가치 편익을 직・간접적으로 가장 높게 지각한다는 것은 생협의 특성인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해 추구하는 생협 조직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경쟁이 치열해지는 환경에서 생협이 조합원에게 제공하는 관계편익을 통해 전환장벽을 높임으로써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장기적으로 관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주로 일반기업에서 연구되었던 관계편익과 전환장벽 및 장기관계지향성의 개념을 소비자가 주인인 생협에 적용하였다는 것과 생협의 특성과 관련된 공유가치 편익을 포함하여, 관계편익이 전환장벽 및 장기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provide useful clues to service providers of co-op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nefits on transition barriers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in a situation of increasingly fierce competition. Maintaining a lasting relationship in a fiercely competitive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and relationship marketing is an important strategy. Unlike a for-profit corporation that pursues profits with an unspecified majority as shareholders, a co-op is a member-owned cooperative enterprise that pursues the interests of various stakehold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its members is more important. Theref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what and how members of the co-op are perceived and how they perceive it was examined by using the relationship benefits, conversion barriers,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which are key variables of relationship marketing for members using the co-o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lationship benefit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to prevent customer churn and activate long-term relationship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op members perceived social benefits, certain benefits, special treatment benefits, and shared value benefits, all of which were found to affect conversion barriers. Second, it was found that certain benefit, special treatment benefit, and shared value benefi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through the conversion barrier, which is a parameter, and social benefit only indirectly affects through conversion barrier. appeared to be Third, it was found that barriers to transition affect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In particular, the fact that co-op members directly or indirectly perceive the benefits of shared values ​​as the highes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op organizations that pursue both social and economic value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ops. Based on this, we establish 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to build long-term relationships by raising conversion barriers through the relationship benefits provided by the Coop to its members in an environment of intense competition, and present directions for long-term relationship building.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In addition, the concept of relationship benefits, conversion barriers,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which were mainly studied in general companies, was applied to the co-op where the consumer is the owner. Scholarl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y revealing whether it affects. Key words : consumer co-operatives, relationship marketing, relationship benefits, benefits of shared values, switching barriers,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김성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on-line community activities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the voluntary works. Concretely, the factor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factors related to the vlountary and on-line community activities and the effect of the factors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in the voluntary works was observed.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veye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who are working in the on-line community of the voluntary organization, and the study was proceeded based on the responses of 309 volunteers. The data was dealt with various statistic analys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uing SPSS/WIN 13.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the voluntary work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s was observed i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the voluntary works according to the activity area, the number of participation and the form of participation. Second, it was presented that the willingness to continue the voluntary works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social recognition, selfish motives , the sense of on-line community, the form of participation, the activity area, the loyalty on the on-line community, altruistic motives.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willingness to continue the voluntary works made based o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agers of voluntary organization a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an incentive system using social recognition. It is critical to provide incentives that are mostly wanted by volunteers and to furnish volunteers with incentives by utilizing various incentive support method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stant attention, support and encouragement. Second, Managers of voluntary organization are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Participation motive of volunteers. They should make an effort to offer an opportunity for getting various experience and amusement. Third, Managers of voluntary organiz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form the sense of on-lin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needs of volunteers registered for the on-line community and to provide suitable information and service. Forth, Managers of voluntary organiz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form the loyalty on the on-line community. For this, it'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and skills required to operate the on-line community. 본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들 중 특별히 대학생 자원봉사단체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에 초점을 두고,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특성과 봉사활동 특성,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기업의 대학생 자원봉사단의 온라인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에 응답한 3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을 활용하여 분석·처리되었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하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보다 그 외 지역들에서 활동하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지속의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2주에 1회 이상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이 월 1회 이하로 참석하는 자원봉사자들보다 지속의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참여형태에서는 혼자 참여하는 봉사자들의 지속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 봉사활동 특성,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인정, 이기적동기, 온라인 공동체의식, 참여형태, 활동지역, 온라인 충성도, 이타적동기가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관리자는 사회적 인정을 이용한 보상체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모임이나 행사에 초대, 자원봉사자간의 친목 기회 주선, 업무 분장과 직책 부여,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 자원봉사확인증서 발급, 인터뷰 및 활동 소개 등을 통하여 자원봉사자들에게 사회적 인정과 지지, 격려가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 자원봉사단체의 관리자들은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지속의지를 높이기 위해 자원봉사단체는 새로운 경험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대학생들의 동기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경험을 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등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생 자원봉사단체 온라인 커뮤니티 관리자들은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과 관련하여 온라인 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관리자는 회원들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회원들의 의견이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에 잘 반영되고 게시판에 글을 올리거나 이메일을 주고받는 등 상호작용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정서적 유대감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자원봉사단체의 온라인 커뮤니티 담당자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생 자원봉사단체 온라인 커뮤니티 관리자들은 온라인 공동체의식과 더불어 온라인 충성도에 관심을 갖고 온라인 충성도 형성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즉, 온라인 커뮤니티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회원들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홍보하고 가입을 권유할 수 있도록 만드는 관리자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세련되고 편리한 웹디자인 구축, 기술적인 부분의 투자 등이 필요하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