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용자의 이용행태를 고려한 Social TV 컨트롤러 App 설계 및 구현

        김선용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V have changed a lot for 80 years since its first appearance in 1936. One of the changes is the change in color from black and white, and another is the change from analog to digital. In addition, as the penetration of digital TV has grown, content providers are competing to provide a variety of contents through the data broadcasting and the customized broadcasting service. These days, such TV is called IPTV (Internet Protocol TV) or Smart TV. Similarly to Smart phone users, Smart TV users are able to search and download any content, which they want to get, from the Internet. However, Smart TV's UI (User Interface)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as variety features are added to TV. Therefore, the research on UI of Smart TV needs to be conducted so that the users can easily use those new features. Social TV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categories among Smart TV applications, but it requires much effort to use SNS (Social Network Service) in Social TV because SNS was developed for users of PCs and Smart phones. For example, to use the social TV, user has to go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such as login. The login process requires the user's ID and password, but it takes a long time to type in all the characters in the user's ID and password. In addition, windows for the login process hide some part of video in Smart TV. Therefore, in this paper, we suggest a possible scenario in using Social TV, and based on the scenario, we analyze problems regarding inefficiency and inconvenience. 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e design and implement the Social TV controller App running on a Smart phone. We analyze the usability of the Social TV controller App by comparing it with the UI of Samsung Smart TV in terms of the complexity of input process and the frame complexity. TV는 1936년에 처음 등장한 이래로 80년이라는 시간동안 많은 변화를 겪었다. 첫째는 흑백에서 컬러로의 변화이며, 둘째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화이다. 디지털 TV가 등장하고 성장함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데이터 방송, 맞춤형 방송 등의 다양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현재에는 이러한 서비스가 IPTV(Internet Protocol TV)나 스마트 TV등을 통해 제공된다. 스마트 TV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선택하고 인터넷으로 다운로드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었고, 스마트 폰의 사용자와 유사하게, 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TV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수록 TV의 UI(User Interface)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 접근 및 사용에 적합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스마트 TV UI에 대한 연구가 선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소셜 TV는 스마트 TV의 응용프로그램의 대표적인 기능중 하나이다. 그러나 소셜 TV의 기능에 포함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PC나 스마트 폰에서 주로 사용되기 위해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스마트 TV에서 이용할 때 불편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셜 TV를 이용하려면 먼저 로그인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사용자 로그인은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필요로 하는데, 현재 상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스마트 TV용 리모콘을 이용하면 문자를 입력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에 추가로 로그인 인터페이스로 인한 화면 가림이 발생한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셜 TV 이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시나리오로 작성하고, 스마트 TV에서 문제점으로 제기하는 화면 가림으로 인한 불편함 및 비효율적인 입력 등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또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에서 동작하는 소셜 TV 컨트롤러 App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구현된 소셜 TV 컨트롤러 App의 사용 편의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입력 절차와 화면의 복잡도 관점에서, 상용 제품인 삼성 스마트 TV가 제공하는 소셜 TV UI와 비교 분석한다.

      • 平生敎育 敎·講師의 個人的 特性이 職務滿足度와 組織獻身度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大田地域 平生敎育機關을 中心으로

        김선용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에서 개인의 행위는 조직목표와 관련된 업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직무에 대한 불만족은 낮은 생산성과 이직률로 이어진다. 따라서 개인의 행위를 관리하는 것은 조직의 핵심과제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조직 내 개인은 무수히 많은 태도를 가질 수 있으나, 가장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는 직무 및 조직과 관련된 태도는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조직헌신이다. 평생교육 조직의 궁극적 목표인 평생학습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 현장에서 교수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평생교육 교?강사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고의 틀을 기반으로 대전지역 평생교육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평생교육 교?강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평생교육 교·강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를 극대화하고,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냄으로써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 주제와 관련 있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평생교육기관에 출강하는 교·강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요인을 5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이들 요인들 중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또한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 상호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모형> [표는 원문 참조]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14.0 및 AMOS 6.0을 이용하였고, 설문의 형식으로는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제외한 모든 설문항목을 리커트척도(5점척도)를 이용하였으며, 탐색적 요인 분석 및 각 요인에 대한 공변량 구조 분석에는 AMOS 6.0을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측정 결과 모든 요인이 일반적으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값 0.60과 0.40을 상회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각 요인에 대한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을 검증한 결과 성별, 나이, 결혼유무와 학력, 자격소지여부, 근무경력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나타났고, 근무환경, 급여수준, 복지수준과 동료강사와의 관계, 감독자와의 관계, 수강생과의 관계는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주도형과 민간주도형 또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정부가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정책사업은 첫째, 평생교육 교·강사 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 교·강사가 주도하는 학습자와의 평생학습동아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평생교육 교?강사 워크숍 등의 정기적 개최가 필요하다.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을 검증한 결과 성별, 나이, 결혼유무와 동료강사와의 관계, 감독자와의 관계, 수강생과의 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 자격소지여부, 근무경력과 근무환경, 급여수준, 복지수준은 조직헌신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주도형과 민간주도형 또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평생교육 교·강사의 조직헌신도를 높이기 위해서 우선 시행하여야 할 정책사업은 첫째, 평생교육 교·강사 자격증제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일정기간의 강사경력이 있는 교·강사를 대상으로 4대 보험 혜택 부여방안을 고려해 볼 수가 있다. 셋째, 평생교육 교강사 양성기관을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 평생교육 교·강사 전담기구와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 상호간 영향정도를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도는 조직헌신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로 조직헌신도는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dividual actions taken in an organization are linked with achievements related to organizational goals. The dissatisfaction of any given work duties is linked with low-quality productivity and departure rate. Therefore, managing individual actions can be one of the key tasks in any organizations. Each individual in every organization can have numerous attitudes. But, the attitudes, related to work duties and organizations becoming the subjects of the greatest researches, are "satisfaction of work duties", "commitment to work duties",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As a truth goes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does not exceed the quality of teachers, the qualitative levels of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must be raised, in order to promote the quality of permanent education and reinforce education activities. Under the framework of this thinking, the research thesis has carried out the research tasks necessary for enhance the "satisfaction of work duties",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among teachers or instructors, who were engaging in Permanent Education Institution in Daejeon province. To do it, this thesis has attempted to find out the effects on "satisfaction of work duties"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trying to maximize" satisfaction of work duties'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among such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and seeking ways for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required to raise the qualitative levels of permanent education. And, as part of a bid to make this research, the thesis has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 on the research subject. In the respect, the following research models have been presented. This research thesis has conducted a survey of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find out what factors would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of work duties"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To do it, this thesis has classified into the five sub-factors,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which had effects on "satisfaction of work duties"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five sub-factors. Also, it has attempted to examine how "satisfaction of work duties",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would be correlated. <The research models> [표는 원문참조] For statistical programs for substantiate analysis, SPSS 14.0 and AMOS 6.0 have been employed. For a survey form, Likert scales (five point scales) have been employed in survey categories all but demographical analysis. AMOS 6.0 has been used as to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n explorative factors and any other factors, According to the analytic measurement results 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all factors have exceeded the value of 0.60 and 0.40, which can effectively be used as a whole. The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n each factor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adequacy of the research models. The results has been proved adequate. The outcomes put forward through substanti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or preceding variables effects on satisfaction of work dutie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backgrounds, certificates and working experiences hav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of work duties, while, working climates, benefit and welfare levels, relations with colleague teachers, instructors, monitors and instruction takers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of work duties. Government and non-government-leading types have served as the significant variables effects. Accordingly, the government must implement the following three policy business activities, in order to heighten satisfaction of work duty among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Firstly, the management systems to manage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Secondly, the permanent education club must be built and connected with learners, under the leadership of such teachers or instructors. Lastly, regular workshops for teachers or instructors need to be held. With the respect to preceding variables effects on "devotion to organization", gender, age, marital status, relations with colleague teachers, instructors monitors, and instruction takers, have had significant effects. In contrast, education backgrounds, certificates, working experiences, working climates, benefit and welfare level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votion to organization". Government and non-government-leading types have had served as the significant variables effect.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strengthen "devotion to organization" among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the following policy business activities must be put as priority. Firstly, it needs to introduce certificate systems for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Secondly, it must be considered to offer the benefits of the four insurances to teachers or instructors, who have teaching careers for some period. Thirdly, it needs to build agencies where can foster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Lastly, it makes sense to attract organizations and human resources dedicating to teachers or instructors in permanent education. The result of the effects on correlations with "satisfaction of work duties" and "devotion to organization" reveals that "satisfaction of work duties" has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votion to organization", in contrast, "devotion to organization" has no had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of work duties".

      • 피스보트 글로벌 평화교육에 관한 사례연구 : 지구대학을 중심으로

        김선용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서두는 9.11의 충격과 이어지는 아프간,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평화의 이슈’를 국제시민사회의 화두로 등장시켰다. 부시 행정부는 ‘안보적 평화’라는 이름으로 대테러전쟁을 선포함으로 국제사회를 이분화 시켰을 뿐 아니라 불특정다수를 겨냥한 테러를 증폭시켰다. 동북아시사 상황 또한 북핵문제로 인한 긴장과 일본정부의 우경화 강세와 더불어 과거역사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골이 깊어져가고 있다. 본 연구보고서는 이러한 국가간 분쟁을 출발점으로 평화문제를 접근하기 위하여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평화교육에 주력하고 있는 일본 시민단체인 ‘피스보트’를 연구대상으로 한 보고서이다. 본 연구보고서는 국가간 충돌에서 빚어진 폭력의 문제를 접근해 가는 과정에 있어 전쟁과 폭력을 정당화시키는 국가와 민족개념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과 더불어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가지고 글을 전개하였다. 첫째, 국가간 혹은 민족간 발생하는 폭력의 문제는 과연 국가간의 이해부족으로 기인하는 것이며 민족과 국가를 넘어 ‘타자의 문제’를 어떻게 나의 문제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 둘째, 신자유주의 흐름이 전 지구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평화, 인권,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적 이슈들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현실에서의 평화교육은 무엇을 의미 하는가 셋째, 현실문제에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교육은 무의미하다. 피스보트가 지향하는 글로벌 평화교육은 과연 현실을 변화시키는 교육인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피스보트가 지향하는 글로벌시민 평화교육을 관찰하였으며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평화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쉽게 우를 범하는 것 중 하나는 정치, 종교 혹은 문화차이 등 하나의 기제로 갈등을 바라보는 시각이다. 그러나 국가간 혹은 지역 내의 갈등은 지구화라는 흐름 속에 훨씬 복잡한 구조 가운데 일어나고 있다. 갈들은 서로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발생하기보다 오히려 관념화되고 추상화된 전쟁, 평화. 이데올로기 등이 실제의 문제를 외면하도록 만들고 있다. 피스보트 평화교육은 ‘국가간’ 이라는 국가 혹은 민족이라는 사고의 지평과 종교, 정치, 사회 등 범주화된 영역을 탈피하고 그 가운데 살아가는 사람들로부터 ‘문제 바라보기’를 교육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이러한 현장 중심적이고 관계형성에 기초한 평화교육은 국가간의 사회, 문화, 종교, 정치적 차이가 아닌 지구화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 유사한 문제에 직면하고 살아가는 ‘이웃’이라는 동질감을 얻게 되며 그들의 절박한 현실의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해 적극 활동하고 있다. 둘째, 피스보트평화교육은 이슈의 통합과 더불어 연대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경험적이며 실천적인 시민교육이다. 평화이슈가 인권, 환경 등 오늘날의 주요의제들과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사회 및 정치적 구조와 더불어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평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은 다양한 이슈들과의 통합적 관점을 가지고 사회정치적 구조에 대한 이해와 그에 해당하는 접근방법을 찾아야한다. 피스보트 평화교육이 지향하는 시민교육은 평화, 인권, 평등, 환경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이슈를 평화라는 확장된 개념 안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실례로 ‘팔레스타인 인권옹호 및 점령반대’ 캠페인을 위해 국제장학생 프로그램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평화활동가를 배로 초청해 점령지역인 가자지구와 서안지구 인권실태를 알리는 교육과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를 직접 방문하는 현장학습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에 참여한 시민들은 올리브 나무가 팔레스타인들의 생활 기반이자 유일한 경제활동이라는 사실을 깊이 깨닫고 올리브 나무가 뽑혀나가는 것에 반대하는 환경단체와 연대하여 ‘올리브나무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또한 평화헌법 개정반대와 무장해제 캠페인 활동과 연계하여 이라크 현지평화활동가들을 배로 초청해 이라크 민간인들의 피해와 자위대의 역할을 필름과 증언을 통해 전달해 줌으로 구체적인 반전교육과 자위대철수의 필요성을 알렸으며 고통 받는 이라크 시미들에게 의약품을 전달하기위한 모금활동도 전개했다. 이처럼 피스보트 평화교육은 인권, 환경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 등의 이슈들을 통합적으로 다루면서 지역현실과의 연결고리를 발견하게 하여 문제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구체적인 연대와 협력을 찾아가도록 격려할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셋째, 피스보트 평화교육은 여행 참가자들로 하여금 글로벌 시민의식을 가진 사회변화의 행위주체가 되도록 견인차 역할을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스보트 참가자들 대부분은 자신의 주변 이외에는 일반사회나 정치문제에 별로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평범한 일본시민들이다. 그러나 여행이 시작되면서 이들은 TV뉴스나 신문지면(대부분이 보수적인 언론기관을 통해)에서 접했던 정보들과 다른 목소리를 내는 활동가와 지역주민을 만나면서 사회에 대한 이전과는 다른 관점을 배우게 된다. 일본 자위대 파병이 이라크 주민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일본 정부가 아닌 이라크 주민의 목소리를 통해 들으면서 파병철회가 주장하고, 생존권을 위해 저항하는 팔레스타인들의 삶의 자리를 찾아가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그들을 위해 기꺼이 목소리를 높이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2차대전 중 일본군부가 한국 여성과 시민들에게 어떤 고통을 주었는지 알게 되면서 한국 ‘나눔의 집’을 방문하고 일본정부의 북한경제제제조치에 반발하여 북한을 향해 ‘어깨동무’라는 친구의 사인을 보내는 9.17 행사를 주도하고 참여하였다. 피스보트와 함께 한 여행은 우리 모두에게 마음과 생각을 덜어내는 여행이 아니라 어려운 과제를 던져준 여행이었지만 새로운 가능성을 함께 발견하고 확인한 사람들과의 약속과 결단이 있었기에 평화여행은 계속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보고서의 의의를 한마디로 정리한다면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한 평화교육이 주는 함의에 대한 가능성이며 우리와 이웃하고 있는 나라의 시민들이 적극적인 평화의 파트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는 점이다.

      • Effect of carbon-iodine bond in CF3I for atomic layer etching

        김선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원자층 식각공정은 표면 개질 단계와 개질된 표면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원자층 식각 공정은 식각되는 박막의 두께를 원자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각 단계에서의 자기제한 특성으로 인해 반도체 미세공정에서 각광받고 있는 식각공정이다. 그러나 원자층 식각공정은 그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사용되는 CF4, C4F8 및 CHF3와 같은 식각가스들의 지구온난화지수가 매우 높고, 대기에서의 수명도 매우 길어 현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있는 지구오난화에 치명적이다. Trifluoroiodomethane (CF3I)는 지구온난화지수가 기준이 되는 CO2 보다도 작고 대기중에서 48시간안에 사라지는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어 앞서 말한 식각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여겨진다. CF3I는 탄소와 요오드 사이의 결합에너지 (2.4eV)가 약하기 때문에 CF3 라디칼이나 CF3+ 이온을 쉽게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라디칼과 이온은 폴리머 형성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이는 CF3I가 원자층 식각공정에서 표면 개질 가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CF3I는 식각하고자 하는 물질을 불소화시켜 휘발성 부산물을 만드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이는 CF3I가 원자층 식각공정에서의 제거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F3I 가스를 원자층 식각공정에서 식각할 물질에 따라 표면 개질 단계 또는 제거 단계에서 사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F계열 식각가스로 식각을 진행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SiO2의 ALE 공정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때 CF3I는 표면 개질 단계에서 이용되었다. CF3I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fluorocarbon polymer를 SiO2 표면에 증착하여 표면을 불화시킨다. 그 다음 O2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증착하였던 polymer를 제거하면서 불화시켰던 SiO2 표면까지 제거된다. 공정 전체의 플라즈마 파워가 300 W일 때, 최적화된 공정에서 한 사이클당 9.3 Å의 식각률을 보였다. 또한 CF3I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polymer를 증착하는 단계, O2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polymer를 제거하는 단계 모두 자기제한 특성을 확인하였다. 성공적인 원자층 식각공정 구현에도 불구하고 SiO2 표면에 아이오딘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이는 RIE 공정에 의해 두께 변화가 거의 없이 제거가 가능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CF3I가 SiO2 원자층 식각공정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두번째로, TiN의 원자층 식각공정 개발을 진행하였다. 원자층 식각공정은 O2 plasma로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와 CF3I로 산화된 표면을 불화시켜 휘발성 부산물인 TiF4를 형성하여 식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져있다. 산화단계와 불화단계 모두 자기제한 특성을 보였으며, O2 플라즈마 파워가 10 W이고 CF3I 플라즈마가 100 W일 때 3.0 Å/cycle의 식각률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식각률이 휘발성 부산물을 생성하는 CF3I 플라즈마 조건의 변화없이 O2 플라즈마 파워의 증대만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정이 진행된 후에 F 부산물이 남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축적되지 않았으며, SiO2 때와 달리 아이오딘 화합물이 형성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박막의 비저항을 확인함으로써 원자층 식각공정이 TiN 박막의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이는 CF3I가 TiN 원자층 식각공정에 사용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요약하자면, CF3I는 폴리머를 쉽게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물질을 불소화시켜 휘발성 물질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원자층 식각 공정에서 표면 개질 단계와 제거 단계에 모두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CF3I를 통한 폴리머 형성을 표면 개질 단계에 사용하여 SiO2의 원자층 식각공정을 구연했다. 또한 산화된 표면을 CF3I로 불소화하여 휘발성 물질인 TiF4를 형성하는 것을 제거 단계에 사용하여 TiN의 원자층 식각공정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가 SiO2, TiN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질에 대한 원자층 식각공정에서의 CF3I 이용의 가이드 라인이 되기를 기대한다. Atomic layer etching (ALE), consisting of surface modification and removal the modified surface, is one of the promising etching technology owing to its possibility of atomic-scale control and self-limiting characteristic. Although ALE is one of the promising etching process, the etching gases used in ALE process, such as CF4, C4F8 and CHF3, have extremely high global warming potentials. Also, those gases have long lifetime in the atmosphere. Due to their high GWP values and long lifetime, those gase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greenhouse effect observed in the Earth’s atmosphere. Trifluoroiodomethane (CF3I)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substitutes due to its low GWP (<1) and its short lifetime (<2d). Since the bonding energy (2.4 eV) between carbon and iodine in CF3I is weak, it is expected to form CF3 radicals and CF3+ ions easily. Those radicals and ions might facilitate the polymerization, which means that CF3I has a potential to be used for surface modification. Additionally, CF3I might be possible to be used to make volatile byproducts of fluorides, such as SiFx, by fluorination. It means that CF3I can be used in removal step of ALE to produce volatile byproducts by chemical reactions. Therefore, in this thesis, CF3I gas was used for the ALE process as modification gas or removal gas depending on the materials to be etched. First, the SiO2 ALE process, which is a representative material for etching with an F-based etching gas, was performed. In this process, CF3I was used as surface modification gas. Fluorocarbon polymer was deposited using CF3I plasma to fluorinate the SiO2 surface. And then, the deposited polymer and fluorinated SiO2 were removed using O2 plasma. By optimizing various process variables, an etch rate per cycle (EPC) of 9.3 Å was obtained with a controlled source power of 300 W. In addition, a self-limiting characteristic was confirmed during the CF3I exposure for the polymer deposition in the first step, as well as during the O2 exposure for polymer removal in the second step. In spite of successful development of SiO2 ALE process, iodine compounds were generated on the SiO2 surface during the SiO2 ALE process. Nevertheless, it was confirmed that iodine compounds were removed by a simple RIE process, confirming that CF3I is suitable for use in SiO2 ALE. Secondly, ALE of TiN was conducted with using CF3I gas as a removal gas. The ALE process consisted of repeated (cyclic) oxidation and fluorination: (i) oxidation step, in which the TiN surface was oxidized using O2 plasma, and (ii) fluorination step, in which oxidized surface was removed by forming volatile TiF4 using CF3I plasma. A cycle of the oxidation and fluorination steps is self-limited the film removal process. 3.0 Å/cycle of EPC was shown with 100 W of O2 plasma and 10 W of CF3I. Interestingly in the oxidation step, the etch rate of ALE could be controlled by changing only the conditions of oxidation step. Based on the results of X-ray photoelectron analysis, this could be attribute to the difference in oxidation degree according to the O2 plasma power. After fluorination step, the amount of fluorine remaining on the etched substrate was detected similar to that when using other fluorine-based gases. However, accumulation of the fluorine was not observed after the etching process, because it could be removed immediately after the ALE was completed. Notably, iodine compounds were not detected during the ALE process. Also, it was confirmed by measuring resistivity that surface reaction of ALE process had little effect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iN. All the results mean that CF3I is suitable for use in TiN ALE. In conclusion, CF3I is expected to be easily polymerized or to fluorinate the other materials, showing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for both modification gas and removal gas in the ALE process. Using surface polymer deposition with CF3I and removal of polymer with O2, ALE of SiO2 was carried out. In addition, using surface oxidation with O2 and the removal of oxidized surface with CF3I, ALE of TiN was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guideline when applying CF3I gas to ALE process of various materials.

      • 호텔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선용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비스지향성을 높이기 위해 호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고, 호텔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서비스지향성의 관계를 파악하여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서비스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 중대한 영향임을 도출하며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미래에 호텔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원인임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에서 호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 서비스지향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이론적 개념과 틀을 적용하는데 노력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서적, 논문, 기타 각종 간행물 및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대상호텔로 선정된 호텔들에 대한 기본 자료를 수집을 위한 조사 시기는 2005년 8월부터 9월까지 약 30일간에 걸쳐 설문지 배포 및 회수작업을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 중 269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누락항목이 많은 3부를 제외한 266부의 유효 표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기대되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12.0 for Window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종사자의 연령이나 근무 년수가 많거나 직급이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긍정적인 면으로는 연장자나 장기근속자의 애사심 등을 경영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지만 이에 반대의 종사자들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호텔 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지향성 수준 차이 결과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 서비스 지향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별로는 연령 및 근무 년수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높을수록 근무 년수 별로는 2년 미만의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 종사자의 전체적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서비스지향성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호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지향성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토의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활동 전략을 제시하면, 첫째,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활동 개선방안으로 투명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부서간 상호협력, 워크샵, 친선모임, 자매결연 등을 활용하여 부서간의 업무 정보교환, 업무 협조 등을 이루어냄으로서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사내 제안제도 실시를 통해 건의사항,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아이디어 등을 제안 받아 포상하고 핫라인(인터넷, 전화, 메모) 개설을 통해 호텔에 대한 관심 및 자유로운 대화 채널 개설 등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하여야 한다. 셋째, 호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환경개선으로 기존의 수직적 커뮤니케이션을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으로 개선, 조직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신속화, 상사의 지시, 명령 등의 권위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변화를 통해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의 해결이 필요하다. 더불어 정확하고 신속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현재는 변화가 경쟁력인 시대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관광자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호텔 조직의 서비스지향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영향 요인을 발취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따라 성공이 좌우된다. 호텔 조직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변화적이고 혁신적인 직원간, 부서간의 모임, 야유회, 동호회, 사내 동아리 활성화, 아이디어 제안 핫라인 설치 등을 통해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이루어 질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여섯 가지 형태로 살펴보았는데, 향후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호텔 특성에 맞는 조직 부서, 직급별 종사자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방안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는 서울지역 특 1급 8개, 특 2급 1개 호텔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호텔별로 만족도가 높은 호텔과 만족도가 낮은 호텔이 있어 표본의 대표성 문제가 제시될 수 있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각 호텔 별로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서비스지향성 수준평가 및 만족과 불만족의 원인 분석을 통해 서비스 경영 성과를 위한 서비스지향성 수준을 향상시키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근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udy has a purpose of verifying that communication satisfaction is one of the positive effects for the future success of a hotel.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hotel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service orientation and ensured that smooth communication satisfaction is a very important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ervice orientation.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an empir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the study tried to apply theoretical concepts and basis by collecting data related to hotel organiza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ervice orientation. For the investigation, the study used relevant books, theses, publications and statistical data.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done for 30 days from August to September, 2005 in order to collect the basic data about hotels. Out of 300 questionnaires, 269 copies were collected back and 266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3 ineffective copies. In order to draw the expected result,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and the followings show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investigation. First, employees with older age, longer working experience or higher position showed a high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 positive side, it can be thought that the love of long-term employees for the company can be applied to management bu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arch for plans that can increase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employees who are young and new. Second, the study looked into the level of service orientation depending on the employees' demographic features and in general, they showed a high level of service orientation.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age and working years. Employees who are old and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2 yea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ervice orientation. Third, it can be said that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ervice orientation of hotel employee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he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creases, the service orientation also increase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strategies were produced. First, the employees should make a clear and free environment so that all the departments can share information and help each other through mutual cooperation, workshop and affiliation in order to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among the departments. Second, the employees should be able to suggest different ideas and rewarded for the suggestions they've made. Also, they should open a hot-line(internet, telephone, memo) so that they can talk about their interests in the hotel and talk freely. Third, the communication in the hotel organization should be improved. Vertical communication should be changed to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the authoritative communication such as orders and commands from the superiors should be changed to free communication. Furthermore, more communication channels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have more precise and faster feedbacks. Lastly, today change is the competitive power. In order to satisfy the tourists' desires that are changing rapidly, the service orientation level of the hotel organization should be increased. Success depends on how you deal with the elements that affects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e hotel and the employees should have various and innovative non-official communication activities such as meetings, parties and clubs. Through this, they should develop a program that can promote active and free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followings show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First, the study looked into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6 forms but it is suggested there should be studies on new plans that can draw satisfaction of employees from different departments and positions. Second, the empirical study of the study was done on employes from 8 five-star hotels and 1 four-star hotel. The results were different by hotel so the representative of the samples can be a problem. Therefore,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each hotel should be analyzed and compared with others. Along with this, there should be a fundamental study that can analyze elements that has effects on the level of service orientation for the achievement of service management through an evaluation on the level of service orientation and an analysis on the cause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 대학 블렌디드 PBL을 위한 LMS 로그데이터 지표 개발

        김선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에서는 21세기의 사회적 요구에 부합한 창의력,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력 등과 같은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왔다. 이런 사회적 변화에 따른 교육환경에는 구성주의가 주목받으면서 구성주의의 대표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있다. PBL은 자지조절학습,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도, 학습내용 이해 및 적용, 협동성 등 다양한 이점이 있지만 시공간 및 물적자원을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어 교육현장에서 PBL을 적용하거나 확대하는데 쉽지 않다. 이에 새로운 기술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면서 블렌디드 러닝과 PBL을 접목시킨 블렌디드 PBL이 전통적인 면대면 PBL의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온라인에서의 PBL 맥락을 학습자의 학습참여 형태를 양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질적으로 분석하고 학습의 개선점을 언급한 연구는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LMS의 데이터를 통해 학생이 학습함에 따라 본인의 사고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도표화하는 학습발달과정과 교수학습 도중에 질문, 관찰, 과제 출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학생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적절하게 해석 및 평가한 후, 시기적절하게 피드백을 주며 교수학습방법을 교정하는 형성평가를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의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블렌디드 PBL을 위한 LMS 로그데이터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블렌디드 PBL의 교수학습모형, 대학 LMS의 로그데이터 유형과 블렌디드 PBL에서 주로 사용되는 LMS 로그데이터 유형, 학습발달과정, 형성평가, 자기조절학습과 관련된 LMS 로그데이터 유형을 문헌 분석하여, 대학에서는 블렌디드 PBL의 절차/단계는 어떠하며, 블렌디드 PBL에서 유용한 LMS 로그데이터는 어떠한지 예상할 수 있는 로그데이터 지표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지표 초안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대학 PBL과 LMS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는 전문가 20인을 대상으로 2차에 거쳐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블렌디드 PBL의 절차/단계는 4단계로 구성되며, 총 26가지 세부 활동이 도출되었다. 1단계(사전활동)의 세부 활동들과 관련된 학습행동 로그데이터는 주로 ‘공지사항 확인, ’강의계획서 확인‘, ’강의자료 확인‘이 대다수였으며 이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중에서 메타인지의 계획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문제해결을 위한 일련의 활동)의 세부 활동들과 관련된 학습행동 로그데이터는 ’공지사항 확인‘, ’강의자료 확인‘, ’강의자료 다운로드‘, ’캘린더 작성‘, ’학습과정현황 확인‘, ’채팅하기‘, ’토론 게시글 확인‘, ’토론 게시글 작성‘, ’토론 답변 등록‘, ’ 위키작성‘, ’파일확인‘이 있었으며, 이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중에서 메타인지의 계획 및 모니터링과 학습전략의 정보공유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결과 정리 및 발표)의 세부 활동 중에서 ’결과물 정리 및 보고서 작성‘만 관련된 학습행동 로그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활동은 학습행동 로그데이터 중에서 ’과제확인‘, ’과제제출‘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중에서 메타인지의 계획과 학습전략의 예습 및 복습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4단계(성찰 및 평가)의 세부 활동들과 관련된 학습행동 로그데이터는 ’다른 학생 과제물 확인‘, ’동료평가하기‘, ’팀별 평가‘, ’개인별 평가‘였으며, 이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중에서 메타인지의 성찰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At universitie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higher thinking skills such a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that meet the social needs of the 21st centur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companying such social changes, there is PBL (Problem Based Learning), which is a typ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onstructivism while attention is paid to constructivism. PBL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learning content, cooperation, etc., but there is a limit to support space-time and physical resources, so PBL is applied in spot of education It's not easy to do or expand. It is expected that this new technology will continue to appear and that blended PBL, which combines blended learning and PBL, will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of traditional face-to-face PBL. However, research that substantially analyzes the online PBL context based on quantitative data on the form of learner's learning participation and Suggestion of improvement points in learning is still in its infancy. Therefore, using LMS data, students can use various methods such as learning progression and questions, observations, and assignments during teaching and learning to map how their change of thought as they learn. After gathering information about the trait and properly interpreting and assessing it, it can provide timely feedback to help formative assessment to improve teaching learning methods. It is also expected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ir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metrics of LMS log data blended PBL in higher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 teaching learning model of blended PBL, the type of LMS log data mainly used LMS log data types in higher education and blended PBL, learning progression, formation assessment, and LMS log data related to self-regulated learning. After analyzing the types in the literature, I have created a draft log data metrics that can predict what the procedures/steps of blended PBL are and what LMS log data is useful in blended PBL. The draft metrics was examined by experts, and Delphi survey conducted twice was conducted on 20 experts with expertise in PBL and LMS in higher education. In the study, the procedure/step of blended PBL in higher education consisted of step 4, and all 26 types of detailed activities were derived. Most of the learning behavior log data related to the detailed activities of step 1(preliminary activities) are ‘view notifications’, ‘view syllabus’, and ‘view lecture materials’, which are planning among the constituent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Related to meta-cognitive. The learning behavior log data related to the detailed activities of step 2(a series of activities for problem solving) are ‘view Notification’, ‘view lecture materials’, ‘Download lecture materials’, ‘Create calendar’, and ‘view Learning process’, ‘view the current status', chatting','view discussion', 'create discussion', 'register answer in discussion', 'create Wiki', 'view files', which is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above, it was found that it is related to information sharing, planning, monitoring and strategies of meta-cognitive. It was found that there is related learning behavior log data only for "organizing results and making reports" in the detailed activities of 3 step (summary of results and presentation). It was found that this activity is related to "view assignments" and "submit assignments" from the learning behavior log data. This was found to be related to plann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e preparation and review of meta-cognitive among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ory learning. The learning behavior log data related to the detailed activities of the 4 step(reflection and evaluation) are "view other student assignments", "evaluation of peers", "evaluation by team", and "evaluation by individual", which are self-regulated learning. It was found that it is related to the reflection of meta-cognition among the constituent factors of.

      • 예배의 회복을 통한 선교적 교회 모델 연구 : 두바이한인교회를 중심으로

        김선용 장로회신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필자는 10년 동안 두바이한인교회 교역자로 섬기면서 역동적인 예배가 얼마나 선교적 교회를 세워나가는데 중요한 동력이며, 뿐만 아니라 선교적 교회로 세워져 가는 것이 얼마나 역동적인 예배를 드리게 되는 이유가 되는 지를 가장 가까이에서 목도했다. 이것은 단순히 예배를 선교적 도구로 전락시키거나 반대로 선교가 예배의 도구가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차원이 아니라 예배와 선교가 신학적으로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래서,이러한 선교적 교회에서 드리는 선교적 예배를 통해, 한국 교회와 온 열방에 흩어진 디아스포라 교회 안에 선교적 예배가 회복되고, 더 나아가 일상에서 드려지는 예전적 선교가 살아나게 될 것이고, 우리 주님 다시 오시는 선교 완성의 그 날에 온 민족과 족속과 방언이 드릴 바로 그 예배(계 7:9)를 더욱 사모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바로 그 예배만 영원히 남게 되는 그 날(V-day)은 반드시 올 것이다. 그 날이 오기까지 선교적 교회의 심장은 뛰기를 멈추지 않고 신랑을 기다릴 것이다. 마라나타. 주 예수여, 속히 오시옵소서. 마란아타. 우리 주님 지금 오고 계시는 중이시다(계 22: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