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방향 재하시험을 통한 풍화암(IGM)지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 분석

        김선량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bearing capacity of drilled shafts socketed to the weathered rock ground through bi-directional load test by applying the calculation formula for the bearing capacity of drilled shafts socketed to bedrock and the calculation of IGM theory (FHWA, 1999). For this, the result of 6 drilled shafts socketed to the weathered rock being loaded up to 2 times of design load is used, and the calculation of drilled shafts socketed to the bedrock, and IGM theory suggested by FHWA (1999)'s design standard are applied to analyze the bearing capacity. As a result, the bearing capacity from the calculation of basic structure design standard and the other one from the calculation of IGM theory both are analyzed within the actual measurement values of the load tests. Although the calculation of IGM theory shows slightly higher bearing capacity than the existing calculation in this study, however, the factor of safety (F.S) of basic structure design standard applied to the comparison analysis is 3.0, and the F.S. of IGM theory is 2.0, which confirm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pplied safety 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calculation of IGM theory,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researches of safety factors considering properties of local ground and to carry out load test up to its ultimate load through constructing additional test shafts for more rational design. 본 연구에서는 암반에 소켓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 산정식과 IGM이론식(FHWA, 1999)을 적용하여, 양방향 재하시험을 통한 풍화암지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풍화암에 근입된 6본의 현장타설말뚝을 설계하중의 2배까지 재하한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암반에 소켓된 현장타설말뚝의 산정식과, FHWA(1999)의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IGM이론식을 적용하여 지지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구조물기초설계기준 산정식과 IGM이론식에 의한 지지력의 값은 모두 재하시험의 실측치 이내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IGM이론식이 기존의 산정식에 비해 지지력이 다소 높게 분석되었으나, 이는 비교 분석시 적용한 구조물기초설계기준의 안전율(F.S)이 3.0이며, IGM이론식의 안전율(F.S)은 2.0으로, 적용안전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에 대해 IGM이론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내지반의 특성을 고려한 적용안전율에 대한 많은 연구와,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 별도의 시험말뚝의 시공을 통한 극한하중까지의 재하시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공유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와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

        김선량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조직 내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헌신하는 조직시민행동을 도모하는 환경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인적자원 관리 방안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공유리더십, 조직시민행동, 직무배태성, 권력거리성향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공공기관에서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직무배태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개인의 권력거리 성향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지방공기업법」,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운영에 관한 법률」에 해당하는 종사자로 설문조사를 실사하였고, 총 327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불성실한 응답 또는 불완전한 응답 등 이상치와 결측치를 제외하고 총 32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에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3.0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공유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독립변인인 공유리더십이 종속변인인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이 높은 상황일 때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기관은 조직시민행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의 공유리더십 제고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조직에 높은 수준으로 배태할 수 있도록 일터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유능한 인적자원 확보 지속성을 담보하고 이들이 보유한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공유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의 권력거리 성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개인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 권력거리가 높은 사람들의 조직시민행동은 공유리더십에 영향을 받으므로 조직은 권력거리가 높은 사람들의 공유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what environmental factors indu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voluntarily exhibit and to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embeddedness, and power distance orientation for public sector workers was examined. Accordingly, the study wa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an individual’s power distance orientation by setting job embeddedness as a parameter that influences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verify the set research problem and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public sector workers as defined in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and the Act on the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Invested and -Funded Institutions. The survey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27 respondents, with the answers from 323 analyzed, excluding abnormal and missing values, such as insincere or incomplete respons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 statistical program,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shared leadership,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dependent variable. Seco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and tha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embeddednes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ower distance orientation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increased further when the power distance orientation was hig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and tha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ublic institutions should prepare measures to improve shared leadership of their memb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ecuring competent human resources and operate them to maximize their capabilities by establishing a workplace environment where members can be embedded in their organization at a high level. Third, since the impact of shar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ower distance orientation, individual ori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Sinc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eople with high power distance is affected by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s need to study and apply ways to increase the shared leadership of people with high power distance.

      • 개인정보 침해의 구제에 관한 연구 : ADR을 중심으로

        김선량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개인정보침해의 경우, 피해를 당한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의 특성과 시간적․금전적․정신적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기존의 법원을 통한 피해의 구제를 구하기는 극히 어렵다. 따라서 위의 특성을 고려한 개인정보침해의 구제수단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개인정보보호법 제40조에 의하여 설치된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를 두고 있다. 하지만 그 이용은 현저히 저조하다. 그렇다면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의 이용이 저조한 이유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개인정보침해를 당한 정보주체의 보호적 측면뿐만 아니라, 자칫 사회적 현실과 정보사회의 특징을 반영하지 못한 조정제도는 현실과 괴리(乖離)를 가지고 옴으로써 정보주체이든 정보처리자이든 그 제도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규범력의 약화를 가져올 수 있고, 이렇게 제도적 틀로 끌여들이지 못하고 정보주체만 그 피해를 감수하게 되는 현실은 정보처리자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안전불감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결국 법적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침해의 특성과 우리나라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여 우리나라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정보주체의 실질적인 보호를 보장하고, 마지막으로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의 성립시 그 이행을 담보하기 위하여 정보처리자의 개인정보책임보험의 강제가입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In case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it is extremely hard for the injured party to get legal remedy through the traditional court system because of the peculiarity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case and relatively huge time, financial, and mental cost comparing to the result. Therefore, the injured party needs to seek relief not by the court system but by more flexible system which could provide and guarantee practical procedure and freedom of expression for them. In order to facilitate dispute resolution on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Personal Information Dispute Mediation Committee under Article 40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However the committee has been rarely used. Analysis on the reason why the committee has been ignored is important and necessary because if the committee failed to reflect reality and nature of information society, it would weaken the committee's regulatory power and could create a legal vacumm on protection of the injured party. Under frustration on legal system, the injured party may give up fighting for their rights. On the other hand, the infringer might be getting more insensitive to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Both might lead to the rule of law at risk. In this paper, problems and issues in rela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Dispute Mediation Committee will be identified from the view of nature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nd reality in Korea. Solutions ensuring protection of subject of personal information rights also will be suggested. As one of the solutions, introduction of mandatory liability insurance to potential infringer will be reviewed in order to ensure compensation of damages.

      • 공직선거법상 선거보도심의제도에 관한 고찰 : 선거보도의 공정성 심사방법을 중심으로

        김선량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참과 거짓이 존재하는 논리 영역에서는 결론이 참이든 거짓이든 논리적 증명을 거쳐 도달한 결론은 일견 공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공정성은 시대나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거나 복합적 개념이 아니다. 그러나 법학과 같은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절대적 진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론(異論)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의 주관이 개입되어 있기까지 하다. 이러한 분야에서 무엇이 공정한 것인가를 발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공정성 개념은 확정적인 개념 내용을 가지지 않은 매우 추상적인 것이다. 따라서 공정성이 행위규범이나 통제규범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정성개념을 규범적 내용으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선거보도의 공정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도 견해가 일치하지 않는다. 공정성 개념의 세부내용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는 것은 본 연구에서는 공정성이라는 개념이 갖는 개방적 특성 때문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공정성 개념의 개방적 특성 때문에 공정성은 어떤 불가변적인 내용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구체적 상황에 따라서 새로운 내용이 수용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거보도의 공정성의 필요적 세부요건으로 ① 사실성, ② 다양성, ③ 균형성, ④ 객관성(중립성)으로 보았다. ① 사실성은 진실과 거짓에서 보도 내용의 진실을 의미하고, ② 다양성은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쟁점 중 기사거리로서 보도된 주제의 선택에 있어서의 다양성(외부적 다양성)과 그 선택․보도된 쟁점에 대한 내용의 다양성으로서 가능한 모든 관점에서 경우의 수를 따져 분석하고 평가하여 보도하는 것을 의미하는 접근의 다양성(내부적 다양성)을 의미한다. 그리고 ③ 균형성은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주제의 선택이나 여러 관점에서 분석․평가한 다양한 내용을 양(量)적인 측면에서 균등한 분배를 의미하며, ④ 객관성(중립성)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보도하면서 질(質)적인 측면에서 중립적․무가치적 태도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 공정성의 요건들은 한꺼번에 등위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적용된다는데 특징이 있다. 예컨대 사실성을 충족하는 경우에 다양성을 검토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사실이 아닌 경우에 다양성을 검토할 수는 없다는 의미다. 사실성과 다양성을 충족하게 되면 균형성 충족여부를 검토한다. 사실성과 다양성, 균형성을 충족하게 되면 객관성(중립성)을 심사하게 된다. 또 모든 매체에 있어서 공정한 보도가 되기 위해서 이 세부요건들을 모두 충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보도매체에 따라서 그리고 판단하여야 하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서 이 4가지 요건들 중 일부가 요구되지 않거나 강조될 수도 있다. 그런데 공정성 판단에 있어서 주의해야할 하나는 이 4가지 세부요건을 모두 충족하였다고 하더라도 공정성이 부인 될 수 있다. 그것은 공정성이 갖는 개방성 때문이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새로운 세부요건이 공정성 요건에 추가될 수 있고,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위의 4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불공정할 수 있다는 의미다.

      • 전자상거래시 소비자 정보탐색과 구매 후 만족에 관한 연구

        김선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off-line)에서 이루어져 온 정보탐색과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전자상거래로 옮겨서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소비자의 정보탐색이 사회인구학적 변수, 환경 변수들에 따라서 어떻게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변수들과 정보탐색요소, 소비자의 전자상거래 이용태도에 따라 소비자의 만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연구에서는 유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20~30대 남녀 45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총 426부의 표본이 사용되었고,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정보탐색에 있어 여러 가지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환경 변수에 따라 정보탐색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소비자의 정보탐색과 사회인구학적 변수, 환경 변수에 따라 구매 후 만족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소비자의 전자상거래 이용태도에 따라 구매 후 만족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있어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정보탐색량과 상품속성탐색에 차이를 보였으며 환경 변수에서는 인터넷 사용시간, 구매경험 횟수 등이 공통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변수였다. 둘째, 편의성관련 만족에 있어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수에서는 소득, 환경 변수에서는 인터넷 사용기간, 인터넷 사용시간, 구매경험 횟수에서 편의성관련 만족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보탐색 중 정보 탐색량 변수에 있어서는 구매사이트방문 횟수, 정보탐색 소요시간, 탐색상표 수, 탐색모델 수, 최종제품선택 소요시간에 따라 만족에 차이를 보였다. 상품 속성 탐색에 있어서는 기능적 속성, 상품가격에 따라 만족에 차이를 보였다. 전자상거래 이용태도에 있어서는 사업자신원 확인, 주문내역확인업체 선택, 대금관련 보안시스템업체 선택, 개인정보보호업체 선택, 무료서비스/과다경품현혹여부에서 만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관련 만족에 있어서 사회인구학적 변수에서는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환경 변수에 있어서는 인터넷 사용기간, 인터넷 사용시간, 구매경험 횟수에서 제품관련 만족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정보 탐색량에 있어서는 구매사이트 방문횟수, 정보탐색 소요시간, 탐색모델 수, 최종제품선택 소요시간이 상품속성 탐색에 있어서는 상품가격, 상표 명성에 따라 제품관련 만족에 차이가 있었다. 전자상거래 이용태도에 있어서는 사업자신원 확인, 거래ㆍ이용약관 확인, 주문내역확인업체 선택, 대금관련보안시스템업체 선택, 개인정보보호업체 선택에 있어 만족에 차이를 보였다. 넷째, 거래시스템관련 만족에 있어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수에서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환경 변수에서는 인터넷 사용시간에서 만족에 차이가 있었다. 정보 탐색량에 있어서는 탐색사이트 수, 구매사이트방문 횟수, 정보탐색 소요시간, 탐색상표 수, 탐색모델 수에 따라 만족에 차이를 보였으며 상품속성 탐색에 있어서는 상품외관, 상표명성, 애프터서비스에서 만족에 차이를 나타냈다. 전자상거래 이용태도에 있어서는 사업자신원 확인, 무료서비스/과다경품 현혹여부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거래 후 관련 만족에 있어서 사회인구학적 변수에서는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환경 변수에 있어서는 인터넷 사용시간, 구매경험 횟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보 탐색량에서는 정보탐색 소요시간, 탐색상표 수, 탐색모델 수에 따라 만족에 차이를 보였다. 상품속성 탐색에 있어서는 상품가격, 상표명성, 애프터서비스에서 만족에 차이를 보였고, 전자상거래 이용태도에 있어서는 주문내역확인업체 선택, 개인정보보호업체 선택, 무료서비스나 과다경품 현혹 여부에서 만족에 차이를 보였다.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소비자 만족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보다는 인터넷 이용과 관련된 환경 변수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자상거래에 있어 소비자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는 인터넷 사용환경과 구매경험이 중요하므로 다양한 정보탐색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어 현명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하며 나아가 실제로 소비자에게 주어지는 정보가 소비자로 하여금 유용하게 사용되도록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보탐색을 위해 소비자 교육기회의 증대와 함께 정부의 적절한 정보규제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amount of information search,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influenceing factors to amounts of information search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e-commerce. The research issue are as follows :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formation search of consumers according to the variables?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of consumer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arch and variables?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of consumers according to the e-commerce using attitu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umers(450) who had shopped in the e-commerce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urvey questions. They were individuals from 20 to 39 years old and resided in Seoul. It was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 age, academical background, income, internet using time, purchasing experience and information search.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come, internet using period, internet using time, purchasing experience, information searching time, brand of searching frequency, model of searching frequency, choice of product time, price and satisfaction of convenienc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 academical background, income, internet using period, internet using time, purchasing experience, information searching time, model of searching frequency, choice of product time, price, fame and satisfaction of product.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 age, academical background, income, internet using time, searching site, information searching time, brand of searching frequency, model of searching frequency, fame, after service of product and satisfaction of system.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ademical background, income, internet using time, purchasing experience, information searching time, brand of searching frequency, model of searching frequency, price, fame, after service of product and satisfaction of after-purchase. In conclusion, the consu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more socioeconomic variable than internet-related variables. the consumer needs learn how to find useful information and wise application of information. Moreover, government needs settle the increase of consumer educational opportunity and enact relative law. Specially thanks to Jung Soon Hee professor who supervise me with enthusiasm and Moon Sook Jae professor, Hur Kyung Ok professor, and department of consumer studies colleagues. Most of all, I would like to appreciate my family especially Husband for support and encouragement.

      • Cavity detection under road based on deep learning models with ground penetration radar data

        김선량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최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공동현상은 도로 및 인도의 지반침하로 이어져 국민의 안전과 생명, 물적 피해를 동시에 발생시키며 사회적 재난의 한 형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재난으로부터 사전에 예방하기위한 조치로 국토교통부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지난 2016년 개정하여,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안전관리항목으로 계측관리방안과 지하탐사항목으로 도로 하부공동 및 지하매설물 위치파악에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on Radar)탐사 방법 등이 명시되었다(국토교통부, 2022). 하지만 GPR 탐지 후 수동처리(인력에 의한 분석)는 노동 집약적이며,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Hou, Feifel, et al., 2021). 최근까지도 전문분석가에 의한 경험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동의 의심·추정·판단 및 그 결과를 도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탐지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GPR 데이터를 통해 공동을 탐지하는 딥러닝 모델을 제안하는 것으로, 정확한 탐지성능과 인력분석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공통탐지 오류를 최소화하고, 공동탐지에 따라 서울시 공동등급 분류기준(2019)에 따른 공동등급 및 관리방안의 매뉴얼에 따라 신속한 보수 보강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GPR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도로 하부 공동탐지 모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국내에서도 대두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최근 지하에 설치된 지하매설물 탐사분석에 있어 해외에서는 CNN 기반의 다양한 모델을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교량 상판의 철근 배근 확인 등 딥러닝 모델을 통해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Faster R-CNN을 통해 도로포장 균열 자동탐지 소프트웨어 개발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모델을 통해 공동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공동데이터를 학습해야 탐지성능을 높일 수 있기에, 확보된 소량의 GPR 공동데이터를 증강하기 위해 AutoEncord와 Dual-GAN을 통해 증강한 결과 Dual-GAN의 품질이 우수한 증강을 나타낸 Dual-GAN을 적용하였다. 딥러닝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첫 번째 모델로 분석속도가 우세한 One stage Architecture의 YOLECT(You Only Look At CoefficienTs)과 두 변째로 정확도에서 우세한 Two stage Architecture의 R-CNN 계열인 Faster R-CNN과 세 번째로 Faster R-CNN 모델의 확장된 모델인 Mask R-CNN을 적용하여, 공동을 탐지하는 실험을 통해 Mask R-CNN이 가장 우수한 탐지성능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속하게 판독 및 공동의 유무를 판정하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탐지모델을 제안하였다. GPR 데이터 구축은 향후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에 필요한 후보 과제이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딥러닝(Deep Learning) 모델을 적용하여 지하의 공동탐지를 하였다는 것은 기술의 융합이란 점에서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산업계에서도 탐지를 위한 활용방안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With recent active pace of urban development, cavity phenomenon arising from various causes leads to ground subsidence of roads and sidewalks, posing risks to people's safety, life as well as material damage at the same time, and is recognized as a type of social disaster. In an effort to establish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uch social disaster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amended the Special Act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in 2016 and the amendment took effect as of January 1, 2018. In the clause on safety management, measures of monitoring and management were stipulated, and in the clause on underground surveying, methods of Ground-Penetrating Radar(GPR) surveying were specified for locating cavities underneath urban roads and underground facilities(MOLIT, 2022). However, manual data processing(analysis by manpower) of GPR scan data after GPR detection is labor-intensive and prone to human errors(Hou, Feifel, et al., 2021). Until recently, it has been still time-consuming to derive results from data suspected of cavities based on experience of and data analysis by human expert analysists, there may still be detection errors. This study proposes a deep learning model for cavity detection based on GPR data, aiming to achieve accurate detection performance and minimize time required for analysis by human inputs and errors in cavity detection.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increasing emphasis on necessity of research on deep learning-based models for cavity detection underneath urban roads using GPR data that enables prompt decision-making on repair and rehabilitation for detected cavities based on cavity grades according to Cavity Grade Classification Standards, City of Seoul(City of Seoul, 2019) and manual of management method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in the field of inspection and analysis of underground facilities, studies using various CNN-based model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overseas cases as well as continuous research with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model such as detecting rebars in bridge decks. In the case of South Korea, relevant studies include research on software development for automated crack detection in road pavements using faster R-CNN. In this study, in order to perform cavity detection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he model needs to be trained with a large amount of cavity data to improve detection performance. Therefore, to perform data augmentation with a small amount of cavity data acquired with GPR, autoencoder and dual-GAN were used, and dual-GAN that showed high quality data augmentation performance was applied. In order to propose a deep learning model, cavity dete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ree different models for comparison of detection performance: The first model was YOLACT(You Only Look At CoefficienTs) with one-stage architecture with superior analysis efficiency; the second model was faster R-CNN, a type of R-CNN model with two-stage architecture with superior accuracy; and the third model was Mask R-CNN, an extended version of faster R-CNN. The results of cavity detection experiments showed that Mask R-CNN had the best detection performance out of the three models. In this way, we proposed a deep-learning based cavity detection model, capable of fast reading and classification of cavity status. Construction of GPR dataset is a candidate task required for future projects on construction of data for AI training, and the representative achievement of this study, which is performing underground cavity detection with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models, a core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erms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of great use for cavity detect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