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업고등학교 건축과 제도실습실 조명환경에 관한 조사 연구

        김상봉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식·정보화로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 산업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업계 고등학교는 이런 사회 추세와는 달리 현실적으로 실험·실습 기자재와 실습실의 내부 환경이 열악하다. 실내 공간은 본래의 기능과 함께 미적인 요소, 색채, 조명의 부차적 요소 등에 의해 규정지어지며, 그 속에서 생활하는 인간은 그들 조건에 의해 심리적, 신체적 영향을 받게 마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습실 환경 요소 중 하나인 조명을 중심으로 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실습실의 요소를 측정하고 그 실습실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반응은 어떤지 설문을 통해 의견을 조사하였다. 먼저 실습실의 조도에 영향을 주는 측정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조도 2. 조명의 종류 및 배치 방법 3. 실의 크기 및 배치 방향 4. 창문의 크기 및 방향 5. 실습실 내부의 색채 6. 커튼(블라인드)의 유·무 및 색채 7. 개인 조명의 유·무 설문은 실습실의 조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실제 측정치와 학생들이 조건들에 대해 직접 느끼는 반응을 알아보았다. 위의 실습실 요소 측정과 설문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습실 전체의 적합한 평균 조도를 얻기 위해 조명의 수를 늘리고 균일한 배치를 한다. 둘째, 질 좋은 확산광을 얻기 위해 규칙적인 청소를 한다. 셋째, 복도 쪽이나 벽 쪽의 빛 차단으로 인한 낮은 조도를 해결하기 위해 P.S.A.L.I.를 채택한다. 넷째, 맑은 날 직사광선의 직접적 유입을 막고 흐린 날 유리창에 의한 빛의 투과 손실을 막기 위해 커튼이나 블라인더를 설치한다. 다섯째, 창문 방향을 적절히 배치하고 규모를 크게 계획하여 최대한 자연광 유입을 유도한다. 여섯째, 실 내부의 색채를 명도가 높은 색을 채택하여 빛의 효율적 반사를 유도, 조명효과를 더욱 높인다. 일곱째, 정기적으로 조도를 측정하여 실습실에 적합한 조도를 확보하고 학생들의 시력보호를 위한 대책을 마련한다. Technical high schools aim at training the skilled laborers for industry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ut against this tendency of our society, the reality is not good to achieve that aim. For example, the equipment for experiments and practical training and the interior environment in a drafting room are so poor. We must think much of the secondary elements of the interior space like the aesthetic value, colors, lights, etc. as well as the primary functions. Because people living in it a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ose kinds of elements physically and emotionally. So in this research, I measured some factors of a drafting room affecting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centering around 'lighting' which is one of some environmental elements of a drafting room and investigated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who are using a drafting room by the questionnaire. First of all, some factors of the measurement affecting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in a drafting room are as follows. 1.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2. The kind of lighting and its arrangement 3. The size of a room and its direction 4. The size of a window and its direction 5. The color inside a drafting room 6. The existence of curtains (blinds) and their colors 7.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lighting. The questions laid stres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I investigated the actual measurement value and students' responses about the condi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from the above investigation, I'm going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ly, add to the number of lights and arrange them evenly to get an appropriate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at a whole drafting room. Secondly, do a regular cleaning of lights and you'll benefit from a diffusion of light. Thirdly, adopt P.S.A.L.I to solve the low intensity of illumination because of the intercepting of light at the hallway or the walls. Fourthly, furnish curtains or blinds to reduce 'the loss of transmitted light' (caused by the windows) on a cloudy day and to stop a direct ray of light on a sunny day. Fifthly, arrange the direction of windows properly and select the bigger size of them in order to induce the inflow of the natural light as much as possible. Sixthly, choose the colors of high brightness in a room to induce the effective reflection of light and to increase the lighting effects. Seventhly, take a regular measurement of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to secure the suitable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take necessary ac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student's eyesight.

      •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응용분야 확장 및 실용화에 관한 연구

        김상봉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원격탐사에 있어서 그 응용범위를 넓히는 것과 원격탐사 이외의 타 분야로까지의 응용분야 확장 등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새로운 응용기술의 개발을 위해 수행해 온 연구내용 및 결과를 기술한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 기존에 개발된 해수면 염분농도 및 수온 원격탐사용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초기 시제품의 원격탐사용 실용화 연구에 대해서도 논한다. 먼저 응용분야 확장에 있어서, 첫 번째는 현재 주로 해양과 대기 관측에 국한되어 있는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원격탐사 분야에서의 응용범위를 육지 관측까지 확장하는데 있다. 그 대상은 지표면 복사지열의 원격탐사로 제작된 C-Band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초지와 아스팔트를 대상으로 지표면의 복사지열을 원격으로 측정하여 지표면 복사지열의 온도변화에 따른 라디오미터의 출력변화를 확인하였다. 측정결과, 온도 2℃변화에 따라 4mV의 변화를 보였으며 표준편차는 0.48mV로 측정감도는 0.98℃ 이하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에 의한 지표면 복사지열의 원격탐사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두 번째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수신기를 수신부로, 태양을 송신부로 이용하여 L 및 C-Band대역의 혼 안테나의 원거리 복사패턴을 측정하였다. L-Band(1.39GHz)와 C-Band(5.1GHz) 두 개의 측정패턴을 전파암실에서 측정하여 얻은 패턴과 서로 비교한 결과 side-lobe영역에서는 약간의 오차가 있으나 main-lobe패턴은 상당히 일치함을 보였다.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수신기를 이용하여 안테나 원거리 복사패턴 측정에 성공함으로써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전파통신 분야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실용화에 있어 관측대상과의 거리 증가 및 안테나의 소형화 등 실용화에 수반되는 입력전력 감소대책을 위해 기존 수신기의 이득을 높였다. 개선된 수신기는 기존 수신기보다 20dB 증가한 이득을 나타내었고 개선된 C-Band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수신기를 이용 C-Band 안테나의 원거리 복사패턴 측정결과, 기존 수신기에 의한 측정결과에 비교하여 side-lobe의 오차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수신기 입력전력의 감소대책에 대한 유용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실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expressed the development of microwave radiometer technologies for expending applications in remote sensing and another fields. And also, it is presented the study of the practice use for surface salinity of sea and water temperature remote sensing of microwave radiometer developed in the laboratory. First, in application of the remote sensing field, the geothermal temperature from ground surface is measured by C-band microwave radiometer. The results shows that the geothermal temperature variations are measured with the sensitivity of 0.96℃. The effectiveness of the microwave radiometer remote sensing in the monitoring the geothermal temperature can be conformed successfully. The second, far-field radiation pattern of L and C-band horn antenna is measured using the sun with transmitter. Microwave radiometer receivers are used for receiving. In compared with the L and C-band antenna pattern measured in the anechoic chamber, main-lobe pattern is showed the conformity. The application capability of radio wave communication field is conformed that measured far-field radiation pattern of antenna using microwave radiometer. Finally, the practice use of microwave radiometer, gain of receiver is higher in the cause of decrease of input power. Improvement receiver is presented gain that increase 20dB. The side-lobe error is conformed for decreased in compared with far-field radiation pattern of C-band antenna. Therefore, it is expected to useful method for decrease of receiver input power.

      • 제주도 연안해역의 폭풍해일고 산정

        김상봉 濟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results calculating the height of storm surge as performing the numerical model of storm surge(POM) experiment and analyzing and reviewing the wind field and the path after selecting the typhoons of which the dimension of damage were high and broke the disaster records among the past typhoons occurred at the coast sea area of Jeju Island. Of the typhoons for 16years(1987~2003) influencing our country, those caused the relatively great damage to Jeju Island were 8 (Maemi, Rusa, Prapiroon, Olga, Yanni, Janis, Gladys, Thelma). The height of storm surge as the result that simulating the storm of Jeju and of Seogwipo Port about these typhoons was realized to be rela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observed values. And the occurring times of the heights of storm surge were various but generally appeared a little bit later than the observed times. At the coast sea area of Jeju Island, Jeju Port showed higher height of wave than Seogwipo Port and the heights of wave were not over 1m at both Juju Port and Seogwipo Port. Of the selected 8 typhoons, Maemi showed 77.97cm of the height of storm surge at Jeju Port as the highest and Janis appeared 5.3cm at Seogwipo Portas the lowest. The Max. heights of storm surges at the coast of Jeju Island by each typhoons were appeared as 77.97cm for Maemi, 62.9cm for Thelma, 59.5cm for Rusa, 45.38cm for Yanni, 33.2cm for Prapiroon, 32.2cm for Olga, 24.15cm for Gladys and 6.44 for Janis. That Jeju Port appeared the higher height of storm surge than Seogwipo port is considered to be resulted from the path of typhoon, the topography and the depth of water, the waves, the seiche, sea state, etc. And that the height of Jeju Port and Seogwipo Port were appeared lower than the West coast or the South coast is why the coast line of Jeju Island is relatively simple, the depth of water of the coast sea area is relatively deep comparing to the South coast and the shape and the topography is V-letter shape or there is no topography where the long bay is developed. These study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forecast of flooded district of the coast region of Jeju Island in the fu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ast disaster prevention plan like the drawing up of storm surge map, etc. For the minuter calculation and forecast of the height of storm surge, the simulations considering the minuter depth of water of coast sea area, the data of topography, the wave and the sea state are required.

      • 수치경사영상을 이용한 3차원 객체모델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상봉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항공기에 탑재되는 새로운 센서로 라인스캐닝 방식 디지털카메라 또는 면형방식의 디지털카메라, 5방향의 수직·경사영상 센서 등이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GPS/INS를 통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기존의 항공사진측량용 카메라는 1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연직방향으로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입체감이 떨어짐에 따라 일반인들이 업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지식에 대한 교육과 훈련 과정이 필요하다. 수치경사영상카메라는 여러 개의 렌즈(사진기)로 연직방향, 비행방향의 전후, 비행방향의 좌우를 동시에 촬영하여 1개의 지점에 대해 근수직영상과 4방향 경사영상을 제공한다 기존의 입체항공사진에 비해 3차원 도시모델 구축에 필요한 가시화정보 등 다양하고 정확하게 초기 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이 외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어 경사영상 관련 기술과 알고리즘의 분석이 국내엔 전무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치경사영상시스템의 기초자료를 검증하고 국내환경에 맞는 수치경사영상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정확한 3차원 건물객체모델과 Ture 정사영상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실험대상지역에 수치경사영상촬영을 실시하고 수직영상과 4방향 경사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였으며 건물객체모델과 True 정사 영상 처리 를 위해 이용될 것이며 항공라이다촬영은 건물객체모델의 높이 정보와 Ture 정사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수적인 수치표면모형과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였고, 3차원 객체모델 알고리즘은 건물객체 중심의 투영 점 을 이용하여 건물모델을 이루는 독립폴리곤의 중심영상 상응벡터를 적용하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건물객체모델과 True정사영상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실험 자료 는 정량적인 분석과 정성적인 분석을 통해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40도 경사촬영이 수직영상에 비해 물체식별 능력이 좋아 물체형상 묘사능력이 뛰어 났으며, 위치오차 검증 결과 정밀측량관측이 가능하여 대축척 영상지도와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수치경사영상을 이용한 3차원 객체모델 알고리즘은 이론적 정립과 정량적 분석을 통해 위치정확도를 비롯한 3차원 객체구현 능력이 뛰어난 알고리즘임을 알 수 있었다. 객체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True정사영상의 경우 대축척 수치지도와 동일한 오차를 갖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건물객체모델의 분석 유형은 건물특성별로 6개의 대항목과 각각의 5개 소 항목 을 대상으로 정성적 분석 을 실시하였으며, 속성정보인 가시화 정확도 비교는 기존 객체모델과 비교하고 저고도 무인촬영데이터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건물객체모델의 의 비교 항목은 소방방재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층정 보, 난간정보, 출입구정보 등 속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검증한 결과 매우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기존 3차원 객체모델의 속성에 비해 3배 이상의 정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new aerial sensors such as line-scanning digital camera, frame digital camera, 5 direction-oblique and nadir sensor have been developed. These sensors are operated of the base on integrated GPS/INS. Existing aerial camera has one lens capturing nadir photos, which represent features with less stereoscopic effect. Digital oblique camera has 5 lenses capturing nadir, forward, backward, left, right images at once. So this camera can provide a nadir and 4 oblique images of a target point. Though these images can be used for texturing 3D urban models and can provide various and accurate initial data, most oblique camera and solutions have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Because enough study on oblique image processing have not been done in the internal situation, this paper intends to verify fundamental data and to develop object modeling algorithm for construction of accurate building object model and true orthoimage. In this study, digital oblique images of study area were captured, which were used to generate building information and true orthoimage, and airborne LiDAR data were used to create DEM and DSM which were essential data for generating true orthoimage. The algorithm of creating 3D model by calculating vectors corresponding center texture image of individual polygons of building object, and with this algorithm building information and true orthoimage were generated. This algorithm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se data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blique imagery captured at 40 degrees were assessed that it had better capacities of identifying and delineating features than nadir imagery. Positioning accuracy were assessed that it could be used to create image map and digital map at the large scale. Therefore, the building object modeling algorithm was proved that it had outstanding ability of building information by theoretical and quantitative analysis. Also true orthoimage created by this algorithm was proved to be as accurate as large scale digital map. 3D model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in 6 main items and 5 sub items. The visualization accuracy of modeled building was assessed by comparing to existed building model and data acquired using low-altitude unmanned airplane. By comparing visual information such as story, parapet, entrance and exit of buildings which can be useful in facility management and emergency management, the attribute satisfaction was proved to be 3 times higher than that of existing building model.

      • 市民による居住環境施設管理運營に關する基礎的硏究 : A study on the managing of urban living environment facility by citizen

        김상봉 東京工業大學 1996 해외박사

        RANK : 248639

        오늘날 일본의 지방공공단체의 자치행정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즉 지역사회 가 복잡화, 다원호하는등 사회변동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국제화, 고령화 현상의 진전과 함께 도시경영에 있어서 자치체는 다양화하는 대개인, 대기업의 공공서비스를 효율화하고 탄력적인 욕구(need)대응에의 관리방업을 탐구할 노력이 불가결하게 되고 있다. 여기에 시민으로부터의 보다 질 높은 공공서비스 요구와 다양한 욕구와의 대 응, 이들의 질적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재정적 부담, 즉 시민의 세 부담을 올 리지 않은 세의 형태가 아닌, 정책전개로서 시민과 행정에 있어서 자치체 공 공서비스의 공급.관리를 둘러싼 새로운 의미형성을 토대로 한정된 자원에 자 치의 이름에 걸맞는 도시경영을 행하는 방법의 모델을 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본 논문은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거주환경시설의 정비와 관련시설정비 사업에 의한 자치체 後年度負擔(사회적 비용부담)과 상당한 규모에 이르는 입거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의한 신규행정수요에의 대응을 위한 자치행정의 과 제로서 시민관여에 의한 행정서비스시스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일본의 현대 도시개발사업의 모델로서 계획되어 지금까지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 지역으로서 쯔꾸바 연구학원도시와 다마(多摩)뉴타운지역을 선정하고 있다. 쯔꾸바는 국가에 의해 다마(多摩)는 일본주택도시정비공단과 동경도에 의해 사업이 행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도시개발 과정에 있어 1960년대가 신도시 건설의 개발붐에 의한 대규모 개발, 정비의 새대라고한다면 현재는 그 관리경영의 문제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 져야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대규모 택지개발에 따른 도시자치체의 재편과 단지개발 관련 사회적 비용부 담 및 편익의 배분이란느 시점에서 금후의 자치체 서비스 관리상의 과제를 도시경영의 문제로서 고찰하였다. 즉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자치체가 황금 의 알을 낳는 거위를 즉이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기 위한 단지건설에 따른 질 높은 거주환경시설의 관리와 재정수지의 회복을 위한 사회적 비용의 재분배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신규 입거의 시민이 과연 어느정도의 사회적 합의를 얻어 지역커뮤니티 를 형성하며, 거주환경시설의 관리행정에 주체적인 역할을 행할 것인가에 착 안, 효율적 자치관리와 도시관리체제의 재편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로써 논의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의 논의를 첫째 관련법적분석과 실태조사, 둘째 실제 의 관리행정활동과 관계 및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동경도시급(13도시) 자치체의 행정측정조사, 셋째로 관련시민단체의 의식조사 등 3측면에서 실증조사, 해명하고 있다. 본연구의 전체적 결론으론느 자치체 거주환경시설의 관리와 관련, 시민관리 영역과 자치행정의 기본관리모텔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실 제의 자치제 공공서비스 공급 관리의 면에서 오늘날 일본의 지방분권 및 자치라고 하는 새로운 의미에서의 큰 과제를 보다 구체적인 실체에서 다루어 도시경영에 적용하는 지견을 구하고 있다

      •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임상 및 정신 생리학적 분석

        김상봉 한림대학교 199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directed to clinical and pscychosomatic analysis in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and control group, using various test batteries, such as temporomandibular disorder chart,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coping strategies of Weisman, a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of Linn, Zung's self-rating scale of depression and MMPI. 67 subjscts(33 of TMD patients and 34 of controls) who visited our dept, were evaluated and analyzed through SPSS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M.D. patients included more female than male and mean age was below 20 years old, education level was generally low and had many students & housewives. 2. A half of the T.M.D. patients had combined diseases, two-third had predpitating factor and all had two or three type of clinical symptom. 3. In T.M.D.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somatic analysis whether they had any precipitating factor or not. 4. In the T.M.D. patients, the group with combined diseases seemed to be more sensitive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illness and to have higher tendency to depression than the group without combined diseases. 5. T.M.D. patients seemed to have more stress in SRRS, less responsive to the pressure from financial difficulties and unfamiliar with the three coping strategies, namely shared concern, redefinition, and acting-out.

      • 수치항공영상의 공간해상도별 지형지물 판독 및 묘사 가능성 분석

        김상봉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항공사진에 의해 제작된 영상정보는 도시현황 파악이나 무허가 건축물 판독 등의 정성적인 용도뿐만 아니라 국가기본도나 각종 주제도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정량적인 자료처리 과정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지형자료를 제공하는 주요 정보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축척 1/20,000 항공사진과 대축척 1/5,000 항공사진을 해상도 1,200dpi, 2,000dpi로 스캐닝하여 내 · 외부표정작업 수치표면자료(DSM)제작 및 3차원 도화를 실시하여 각각의 정확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현재의 영상지도제작에 관한 작업규정에서는 최적해상도를 1,2000pi로 항공사진을 독취하여 정량적 목적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캐닝해상도에 따른 후속공정작업의 기하학적 결과를 검증하여 문제점을 사전분석 할 수 있도록 작업단계별로 정확도를 비교 · 분석하였다. 수치영상의 표정 결과 축척과 해상도에 상관없이 조정 후 지상기준점의 잔차가 1화소 이내의 정확도로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3차원 도화는 대축척(1/5,000촬영축척) 영상일 때 해상도가 높을 경우 정확한 도화묘사를 할 수 있었으며, 중축척(1/20,000)영상의 경우 해상도에 의한 도화묘사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대축척 수치지도제작을 위한 항공사진 스캐닝은 1,200dpi에서 2,000dpi로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화뿐만 아니라 묘사를 위한 주위 환경을 판단하기에는 2,000dpi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사투영영상제작을 위해 영상정합에 의한 수치표면자료(DSM) 제작 후 분석한 결과 1,200dpi영상보다 2,000dpi영상 상에서 좀더 나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자료의 관리, 제작 시간을 판단할 때, 정사투영영상제작을 위한 DSM은 1,2000dpi에서 제작하여도 기하학적인 요소를 만족할 수 있으나, 정밀한 정사투영영상제작을 위해서는 1,200dpi영상보다 2,000dpi 영상을 이용하여 DSM를 제작하는 것이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erial photographic Imagery has been used for both quality aspects such as analysing urban form or identifying unauthorized buildings; and quantity aspects including production of digital maps through stereoscopic plotting, The central aim of this thesis is therefore to identify an optimal resolution of aerial photographic imagery in the process of stereoscopic plotting from digital imagery. This thesis draws on the results of a comparison research project examining the accuracy of Interior and exterior orientations in producing Digital Surface Model (DSM) and 3D stereoscopic plotting. For this study, two different resolutions (1,200dpi and 2,000dpi) obtained from scanned aerial photographs of 1:20,000 and stereo aerial photographs of 1:5,000 have been used. The current mapping regulations in Korea states a resolution of 1,200dpi for stereoscopic plotting from digital imagery. This study, therefore, has implemented systematic evaluation in terms of accuracy in each phase of mapping process in a stereoscopic plotting from digital imagery. The results showed that accuracy of orientations in comparing fiducial points has presents within tolerance of one pixel in different scales and resolutions. In 3D stereoscopic plotting, higher resolution helped better quality plotting in the scale of 1:5,000, however, the resolution of image did not influence in stereoscopic plotting in the scale of 1:20,000.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resolution of 2,000dpi resulted better quality in not only stereoscopic plotting but also description of feature than the one of 1,200dpi. The results found that a 1,200dpi dataset can be used in building DSM for production of orthogonal imagery considering difficulties in data dealing and time-consuming process of 2,000dpi dataset. It has been seen however that processing the 2,000dpi dataset is necessary in building DSM requiring higher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