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Population genetic study on the Korean tideland snail, Batillaria cumingi and complete mitochondrial DNA sequences of three octocorallian species (Nephtheidae)

        김보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양 복족류인 댕가리 (Batillaria cumingi) 는 동북아시아의 조간대 지역에 서식하는 종이다. 일본에서 진행되었던 선행 연구는 일본열도를 따라 분포하는 댕가리 집단의 ‘지리적 요소’ 와 ‘해류 흐름’ 에 의한 유전적 구조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의 제 1장 에서는 한국해역 조간대에 서식하는 댕가리 개체군의 유전적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지리적, 역사적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해, 남해, 제주도 지역에 걸쳐 총 16 지점의 분포지역에서 199 개체를 채집하여 미토콘드리아 COⅠ 유전자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개체군의 ‘유전적 구조’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분화’ (differentiation), ‘선택의 중립성’ (selective neutrality), ‘개체군 크기변동’ (mismatch distribution) 등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개체군이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고, 분포 지역에 따라 묶여진 그룹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유전적 구조 (genetic structure) 가 관찰되었다. 개체군 크기 변동을 알아보기 위한 mismatch distribution 분석을 통해 댕가리 개체군에 급격한 팽창이 일어났었다는 증거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이 시기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였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 2장에서는 한국산 연산호류 3종, 큰수지맨드라미 (Dendronephthya gigantea), 밤수지맨드라미 (Dendronephthya castanea), 분홍바다맨드라미(Scleronephthya gracillimum)의 전체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PCR 실험 기법을 이용하여 약 19 kb 길이의 DNA (각각 18,842 bp, 18,842 bp, 18,951 bp) 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모두 14개의 protein-coding 유전자와 2개의 rRNA 유전자, 1개의 tRNA 유전자로 구성되며, 기존에 연구된 팔방산호류와 동일한 유전자 배열(gene order) 을 나타내었다. 또한 연산호 세 종 간의 상호 염기 차이는 매우 적은 것으로 분석되어, 이배엽성인 산호류의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이 느린 진화양상을 보인다는 기존의 보고들과 일치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종의 수지맨드라미류인 큰수지맨드라미 (D. gigantea) 와 밤수지맨드라미 (D. castanea)는 놀랍게도 완전히 동일한 미토콘드리아 DNA 서열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종에 대해 핵 유전자인 18S rRNA 염기서열 또한 분석하여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간에 나타난 염기차이보다 더욱 낮은 차이를 관찰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두 종의 수지맨드라미류인 큰수지맨드라미와 밤수지맨드라미는 18S rRNA 염기서열 역시 완전히 동일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The marine snail, Batillaria cumingi, inhabits intertidal area of northeastern Asia. A previous study on the species in Japanese Islands showed distinct population genetic structures which were mainly affected by a geography and ocean currents, the Kuroshio and Tsushima current in this region. Chapter 1 examines factors that affect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B. cumingi from the Korean Peninsula. DNA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gene were analyzed to infer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differentiation, selective neutrality and change of population size. A total number of 199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sixteen populations that cover the distribution area of this speci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analyses, Korean populations of B. cumingi showed lower genetic diversities than those of Japanese ones. A clear genetic structure among groups of local populations was detected by the test of population differentiation. In addition, a probable population expansion of Korean B. cumingi after the last glacial period was detected by a mismatch distribution analysis. Chapter 2 characterizes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genomes of three species of soft corals (Dendronephthya gigantea, Dendronephthya castanea, Scleronephthya gracillimum). A serie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s and sequencing method were applied to determine whole mitochondrial DNA sequences. According to the result, lengths of the complete mitochondrial DNA sequences were about 19kb (18,842 bp, 18,842 bp and 18,951 bp). The mitochondrial genome consists of fourteen protein-coding genes and two ribosomal RNA genes, only one transfer RNA gene. The gene order of them is the same as the octocorallians reported previously by Medina et al. (2006). Pairwise DNA sequence comparisons among three anthozoans in our taxon sampling showed extremely low divergence, confirming slow mitochondrial DNA sequence evolution in the Anthozoa. Unexpectedly, two Dendronephthya species completely exhibited the same mtDNA sequence. I also determined 18S rRNA sequences of above three species for an additional phylogenetic analysis and these showed much lower pairwise divergences than those of mtDNA sequences. Two Dendronephthya species have the same 18S rRNA sequences like as mtDNA sequences.

      • 공익 연계 제품 소비가 지위 추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타주의 인식과 도덕적 정체성의 상징화 효과를 중심으로

        김보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사람들이 제품의 소비를 보고 지위를 추론하는 과정에서, 사치재가 아닌 공익 연계 제품이 지위에 대한 신호(Signaling)를 보낸다고 주장한다. 선행 연구들은 사람들이 소비자의 지위를 평가할 때 제품의 가격과 브랜드가 잘 알려진 정도로 추론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공익 연계 제품의 이타주의적 속성이 지위의 상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이 연구는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도덕적 정체성 상징화( Moral identity symbolization)가 높을수록 이러한 신호를 더 예민하게 받아들이며, 반면에 도덕적 정체성 상징화가 낮은 개인들은 이러한 신호를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험 1과 2를 시행하였다. 실험 1과 2 모두 공익 연계 제품 소비가 지위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H1), 공익 연계 제품 소비가 지위 추론에 미치는 관계에서 이타주의 인식의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고(H2), 마지막으로 도덕적 정체성 상징화의 높 낮음이 H2에 미치는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H 3). 실험 1의 결과는 공익 연계 제품이 지위 추론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지만(H1), 이타주의 인식의 간접 매개 효과(Indirect Mediation Effect)(H2)와 도덕적 정체성 상징화가 공익 연계 제품 소비와 이타주의 인식의 관계에서 미치는 조절 효과가 검증되었다(H3 일부 지지됨).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제한점을 수정하여 실험하였고, 모든 가설은 지지되었다는 점에서 주장을 일반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와 다르게 공익 연계 제품이 지위를 높게 추론한다는 것을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케팅 영역에서 사치재(Luxury products)가 아닌 공익 연계 제품이 지위 추론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없었으며, 높은 지위 추론에 대한 근거로 이타주의를 다룬 연구도 없었다. 또한, 선행 연구들이 주로 다루었던 도덕적 정체성의 내면화(Internalization)와 공익 연계 제품의 관계가 아닌 상징화(Symbolization)와의 연관성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연구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cause-related product consumption as a costly signal that can imply positive status to others. While existing research typically investigates status consumption for luxury products, this study proposes that cause-related products have become a status symbol. Two studies demonstrate that people confer higher status to cause-related product consumption rather than general product consumption. These positive inferences are driven by perceived altruism and moderated by individual differences in moral identity symbolization in the observers.

      • 게임 구독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 연구

        김보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domestic game industry exhibits an increasing tendency in its scale every year, various problems are becoming serious internally. The revenue model of the game business has been consistently changed and once being confirmed that the partially paid business model can bring in a large profit, the existing games with flat rates moved to the free to play business model. As an increased number of games adopting the free to play paid model, problems including unfair gameplay, biased genre, and polarization between the major and the minor game companies have deepened. In short, the scale of the game industry expanded, but no balanced growth has achieved. Under such a circumstance, the game subscription services were launched, thereby demonstrating a likelihood as a new revenue stream by proving profits. This study aims to seek and establish the strategies that can activate the game subscription services through business model analysis.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examined precedent studies with regard to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the business model for establishing a framework to analyze the business model. In this study, the business model was defined as a description of the logical system that generates and delivers the mutual values, thereby creating profits, in the network of participants who involve in the overall process of businesses in order to operate a corpora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common factors of the business model include 1) core resources and capabilities, 2) revenue source, 3) target customers, 4) value proposition, and 5) value networks. This study applied those factors to the game subscription services and presented a model for analyzing the game subscription services by elucidating the sub-factors through an analysis of core strategies in the contents subscription service. The case analysis was proceeded by selecting the different types of corporations such as Apple Arcade, Microsoft GamePass, and EA Play of Electronic Arts. Through such analyses, it was possible not only to confirm how each corporation delivers its cor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target customers within the value network but also to find that the analysis model can be applied to actual cases of corporations.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 necessity in the followings in order for activating the game subscription services; 1) securing killer contents through an analysis of customers’ data, 2) providing optimized experiences, 3) presenting exclusive quests and in-game challenging tasks for continued subscription, 4) establishing a profit-sharing policy between game developers and service companies for a virtuous cycle of game produc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the necessity of the model for a new revenue stream through examining the diachronic changes in a profit model of the game business, and suggested an activation plan by analyzing the business model of game subscription services.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and valuable because it is the very first step of game subscription services, as well as, it can be served as a rudder for subsequent studies. The game subscription market is growing, and under such an environment, the game subscription services are trying to stabilize the cloud services and to increase the portion in the game industr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future updates continuously, and it is expected to conduct a more in-depth study on game subscription services through the analysis of additional factors. 국내 게임 산업의 규모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다양한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게임의 수익모델은 지속적으로 변화해왔고, 부분유료화 모델을 통해 큰 수익을 거둘 수 있음이 확인되자 기존의 정액제를 채택하던 게임들은 부분유료화 모델로 옮겨가게 되었다. 부분유료화 모델의 게임이 늘어남에 따라 게임플레이의 불평등, 장르의 편중화, 대형게임사와 중소게임사 간의 양극화 등의 문제가 심화되며, 게임 산업의 규모는 증가하였지만, 균형적인 성장은 끌어내지 못했다. 이러한 시점에서 게임 구독 서비스가 출시되었으며, 수익을 입증해 보이면서 새로운 수익모델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통하여 게임 구독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위한 기준틀 마련을 위해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확인하였고,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 사업 전반에 참여하는 사업 참여자의 네트워크에서 상호 간 가치를 창출・전달하고 이를 통해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는 논리적 체계에 대한 설명이라 정의하였다. 1) 핵심 자원 및 역량, 2) 수익원, 3) 목표 고객, 4) 가치 제안, 5) 가치 네트워크가 비즈니스 모델의 공통적인 구성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게임 구독 서비스에 적용하고, 콘텐츠 구독 서비스의 핵심전략 분석을 통해 하위 구성요소들을 규명하여 게임 구독 서비스의 분석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사례 분석은 서로 다른 유형의 기업인 애플 아케이드, 마이크로소프트 게임패스, 일렉트로닉아츠의 EA 플레이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진행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각 기업이 가지고 있는 핵심 자원 및 역량을 가치 네트워크 안에서 목표 고객에게 어떻게 전달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석 모형이 실제 기업의 사례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통해 게임 구독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1)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한 킬러 콘텐츠 확보, 2) 최적화된 경험의 제공, 3) 구독의 지속성을 위한 독점 퀘스트 및 인게임 도전과제 제공, 4) 게임제작의 선순환을 위한 게임 개발사-기업 간의 수익배분 전략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게임 수익모델의 통시적 변화를 살피며 새로운 수익모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게임 구독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함으로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게임 구독 서비스에 대한 시초 연구임에 의미가 있고, 이후 연구에 대한 선행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에 가치를 가진다. 구독 시장은 성장하고 있고, 그 속에서 게임 구독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안정화하며 게임 산업 내에서 비중을 늘리려는 시도를 진행 중이다. 그렇기에 추후 업데이트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추가적인 요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 게임 구독 서비스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미치는 영향 :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김보아 건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women suffering from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due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developed by Dr. Jeffrey You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19-year-old female BPD patient who has been diagnosed by a psychiatrist at an unnamed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beginning with a pre-interview and client screening session conducted on Dec. 23, 2014. The program involved a total of 33 sessions which lasted for 120 to 150 minutes each, excluding pre-tests, post-tests and follow-up tests. These sessions were conducted two to three times a week from Jan. 2, 2015 through April 25, 2015.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based on Dr. E. Jeffrey Young’s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on a BPD patient’s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s, questionnaires were built accordingly to examine maladjustment schema. In addition, the House-Tree-Person drawing test (HTP), the Scale of Suicide Identification, and the Scale of Suicide Impulse were conducted prior to, post-, and following the program. To further evaluate the results, a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each session on the symbols and changes occurring during each phase during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maladjustment schema tests prior to, post-, and following the program were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a BPD patient’s maladjustment schem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dropped significantly across the board in five sub-sectors. In the follow-up tests compared to the post-therapy tests, the total scores went from 243 to 172. This implies a positive effect of art therapy in mitigating maladjustment schema of women with BPD. Moreover, when the results of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of the HTP Test are compared, the pre-test showed strong pen pressure, unstable lines, and a lack of detail. This signified anger, impulsiveness, and vulnerability, judging from the positioning of the drawings in the given space, as well as the harsh brush strokes used to create the drawings. In contrast, in the post-test, the pen pressure and lines stabilized, and the maladjustment schema that was depicted through the usage of space lessened. This trend continued in the follow-up tests, and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Second, the pre, post, and follow-up scores of the Suicidal Ideation Scale sheet were compared to scrutiniz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elf-destructive behavior of female BPD patients. While the pre-test showed a score of 36, the post and follow-up the total change score decreased by 12, with a score of 24 points each. This shows a reduction of suicidal inclinations, and a lessening of self-destructive tendencies in female BPD patients. Additionally,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 post and follow-up The Suicidal Ideation Scale sheet, the scores of all four sub-areas showed a general trend of decreasing. The scores of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showed that the total score of suicidal ideation declined from 119 points to 71 points. This shows the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self-destructive behavior in women with BPD. Third, when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of female BPD patients were examined, they showed a penchant to improve in each stage of treatment. The symbols and expressions these patients used in their work, writing, and speech shifted. In the early stages, patients used symbols and expressions that displayed the typical subsectors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In contrast, in the later and final stages, the mode of expression shifted to a much more relaxed tone with fewer indicators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is indicates a positive impa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listed above, it can be ascertained that art therapy based on Young’s Theory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sychological Schema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itigation of maladjustment sche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of women suffering from BP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aspiration of helping to create a new foundation for art therapy being used to treat BPD patients. Hopefully this will lead to art therapy being actively carried out and widely used as a practical measure of psychotherapy for BPD patients. 본 연구는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모 대학병원 정신과에서 경계선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만 19세 여성으로 2014년 12월23일 초기 면담 및 내담자의 사전면담을 시작으로 2차례에 걸친 면담 후 2015년 1월 2일부터 2015년 4월 25일까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를 제외한 총 33회기로 주 2회~3회씩 120분~150분간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적응도식 질문지,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 자살사고 척도, 자살충동 척도 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치료과정에서의 단계별 변화와 상징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적응도식 검사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추후검사에서 총 5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 부적응도식점수가 243점에서 172점으로 감소하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의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강한 필압, 불안정한 선, 세부묘사 결여 등의 표현에서 충동성, 분노, 내성취약과 같은 표현 상징이 두드러졌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안정된 필압과 선, 공간사용으로 사전검사에서 나타났던 충동성, 분노, 내성취약의 표현이 완화되었고 이는 추후검사 결과에서도 변화 없이 이어져 부적응도식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살사고 척도지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점수는 36점에서 사후점수 24점, 추후점수 24점으로 총 변화점수는 12점 감소해 자살생각의 감소를 나타내어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살충동 척도지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추후검사에서 총 4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 자살충동 점수가 119점에서 71점으로 감소하여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에 있어서 회기별 치료과정의 단계별 표현과 상징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작품, 글쓰기, 대화내용 등의 단계별 표현 및 상징들이 초기단계에서는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하위영역의 양상들이 드러났다면 종결단계로 갈수록 점차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하위영역이 완화된 표현 및 상징들이 나타나며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Young의 경계선 성격장애 심리도식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여성의 부적응도식과 자기파괴성의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경계선 성격장애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의 심리치료 일환으로 미술치료가 널리 사용되길 기대해 본다.

      • 중국의 산업구조조정과 지방정부의 인센티브 연구 : 철강 산업 구조조정을 중심으로

        김보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지난 30년 간 공업 발전, 도시화 등을 통해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과잉생산설비, 지방 부채 증가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누적되어왔으며 강력한 산업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중국 정부는 2016년 새로운 경제 개혁 정책을 통해 강력한 산업 구조조정을 단행하였다. 그 중 철강과 석탄 산업을 대상으로 한 과잉생산설비 해소는 가장 핵심적인 정책이었다. 과잉생산설비 해소 정책의 시행 결과, 지난 십 여년 간의 구조조정 정책과 달리 소기의 성과를 가져왔다. 특히 지방 정부가 이전과 달리 적극적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지방 정부의 경제 성장에 대한 높은 인센티브가 그 동안 구조조정을 지연시킨 원인으로 지목된다는 점에서 이들의 행위 변화는 흥미로운 현상이다. 특히 철강산업은 중국 경제에 대한 파급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업 대다수가 고용, 세수, 소비, 투자 등 지방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지방 국유 기업이다. 이 때문에 지방 정부의 기존의 인센티브 구조 하에서 설비 과잉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예측하기 가장 어려운 사례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철강 산업을 사례로 지방 정부가 지난 십여 년과 달리 2016년 이후 과잉생산설비 해소 정책에 적극적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2016년 이후 과잉생산설비 해소 정책이 성과를 낼 수 있었던 원인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일부 연구는 중앙 정부의 강력한 경제 개혁만을 언급한다. 시진핑 정부는 재중앙집중화를 통해 중앙 정부의 권력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력한 경제 개혁을 시행했다. 이는 지방 정부가 강력한 산업 구조조정을 시작하도록 추동하였다. 하지만 중앙 정부의 경제 개혁 정책 분석만으로는 과잉생산설비 해소 정책의 성과를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지방 정부는 기층에서 실제 정책을 실행하고 성과를 만들어내는 주요한 경제 주체이며 인센티브에 따라 움직이는 전략적 행위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부의 경제 개혁 뿐만 아니라 지방 정부의 인센티브에 영향을 주기 위한 중앙 정부의 전략도 함께 분석해야 한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산업 구조조정에 대한 지방 정부의 인센티브를 바꾸기 위한 중앙 정부의 전략이 효과적으로 지방 정부의 행위를 변화시켜 과잉생산설비 해소 정책이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특히 중앙 정부의 전략으로서 관료평가제도의 변화와 보조금 정책이 중요한 변수였다고 본다. 즉, GDP위주의 관료평가제도의 수정으로 경제 성장에 대한 정치적 인센티브를 낮추고 대규모의 보조금 정책을 활용하여 지방 정부가 더욱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설 수 있었다. 2016-2017년 많은 양의 철강 설비를 퇴출한 허베이 성의 경우, 중앙 정부의 관료평가제도를 수정 의견에 따라 2016년 GDP의 비중이 줄어든 새로운 관료평가제도를 발표했다. 또한 2016년 이후 중앙 정부로부터 받은 보조금 액수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 이를 봤을 때 기존의 지방 정부의 인센티브를 바꾸기 위한 중앙 정부의 전략이 과잉생산설비 해소 정책이 성과를 내는데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 경제에 매우 큰 중요성을 가지지만 연구가 미흡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철강산업 구조조정에 대한 학술적 공백을 메울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특히 지방 정부의 인센티브 변화에 영향을 미친 중앙 정부의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2016년에 진행된 중국의 경제 개혁에 대해 복합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GDP위주의 관료평가제도가 변하는 것은 무리하게 공업 국유 기업을 보호하던 지방 정부의 인센티브가 낮아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시진핑 정부가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진행 중인 국유 기업 개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 권위주의 분석을 통해 권위주의 국가에서 개혁의 진행과 결과가 최고권위자의 의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 중복피해 관점에서의 청소년기 폭력피해 경험과 성피해 경험과의 연관성 분석

        김보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폭력피해 경험과 성피해 경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사회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2018년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15,65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조사대상자 중 2.65%(411명)가 성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폭력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은 성피해 노출에 대한 위험이 더욱 높았다. 이는 한 유형의 폭력에 노출되면 다른 유형의 폭력과 피해에 더 취약해질 수 있는 중복피해(polyvictimization)와 맥락을 같이한다. 셋째, 폭력피해와 성피해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로는 또래 보호요인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영향은 오히려 부정적인 방향으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미 폭력과 같은 부정적인 경험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고, 이미 노출된 아이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나쁜 또래관계의 질이 피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또래관계의 질 관리 및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청소년기 아이들의 부정적인 경험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 모색은 앞으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 신도시 근린생활권 변화와 거주자의 생활영역 인식에 관한 연구 : 분당신도시를 사례로

        김보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산업화로 인한 도시문제의 해결방안 중 대도시의 인구와 기능을 분산시키기 위한 정책인 신도시 건설 중 신도시의 근린생활권 계획에 관해 알아보고 더 나은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신도시 근린생활권 계획은 1929년 미국의 페리가 주장한 근린주구론을 도입해 신도시의 근린생활권 계획의 근간으로 삼아오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신도시인 분당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근린생활권의 유효성과 한계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근린생활권 계획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진행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근린주구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에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상지의 분당의 근린생활권 계획을 살펴본 후 분당의 초입과 중간부분, 끝부분의 근린생활권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각각의 근린생활권 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근린생활권 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는 첫째, 실거주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근린생활권의 중심이 아직도 초등학교인가에 대한 설문과, 둘째, 실거주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근린생활권의 영역이 계획 시 근린생활권과 일치하는가에 대한 설문, 셋째, 근린생활권 안에서 실제 생활에 필요한 모든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설문, 넷째, 실제 거주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근린생활권의 영역을 결정짓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현시대에 있어서 근린생활권의 중심은 교통의 요충지와 오픈스페이스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실제 거주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근린생활권의 영역 또한 계획 시 근린생활권과는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것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근린생활권 주변의 도시기반시설(지하철역, 공원, 오픈스페이스, 대형할인점등) 유무에 따라 인지하고 있는 근린생활권의 영역이 달라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지하철역과 대형할인점등의 도시기반시설들과 인접한 근린생활권의 경우 실거주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근린생활권의 영역과 실제 생활에 필요한 활동이 일어나는 영역이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근린생활권의 경우 실제 거주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근린생활권의 영역과 실제 생활에 필요한 활동이 일어나는 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분당의 근린생활권 계획 시 주변의 도시기반시설과 각각의 근린생활권의 개성을 고려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률적인 근린생활권을 계획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근린생활권의 인지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결과 경제적인 요소들에 의해 근린생활권으로 인지하고 있는 영역이 달라진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다양한 소비와 문화생활, 여가활동을 원하는 욕구가 커지고 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활동을 하면서 그 활동이 이루어지는 범위 전체를 근린생활권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신도시에 도입된 페리의 근린생활권은 더 이상 유효한 계획이 될 수 없으며 향후 신도시 근린생활권 계획에 있어 일률적인 근린생활권 계획보다는 각각의 주변시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현시대와 우리나라 실정을 고려한 근린생활권 계획과 현대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근린생활권 계획을 해야 한다.

      • 박물관 관람객으로의 청년 연구

        김보아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arget audience for young people visitors and to inform them of the need for a program for young people in the museum centered on consumer needs by looking at programs operated for the youth visitors in the museum. Therefor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museum young people program were presented through a survey of young people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ypes of programs for young people who are changing society and markets. The museum has become a popular space for everyone. However,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actively on finding visitors than now and interpret visitor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museum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more active museum that divides the audience and recognizes young people as participants in the museum and actively accepts their opinions. Museums should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o analyze and grasp the needs of young people who are cultural leaders and be willing to accept new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It was intended to promote young people discourse in the museum and develop programs for young people visitors by emphasizing the need for programs young people in the museum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programs for young people to participate. 본 연구는 국내 박물관에서 청년 관람객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용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박물관이 사회와 시장을 변화시키는 주체로의 청년을 대상으로 어떤 유형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청년들에게 설문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관람객 중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박물관에서의 청년 담론 활성화와 청년 대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프로그램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박물관은 과거의 유물중심으로부터 탈피하여 대중화를 추구하며 관람객을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이행하고 있다. 박물관의 역할이 변화하면서 박물관과 관람객의 관계의 구조와 박물관의 관람객을 보는 관점 또한 생애주기별 접근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의 생애주기에서 ‘청년’은 청소년과 성인 중간 단계에 위치하여, 그 경계에서 성인과 청소년의 혼재된 정체성을 기반으로 올바른 성인이 되기 위한 여러 발달과업을 경험하며 청소년과 성인을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대이다. 현재 청년에 대한 관점에 있어 ‘성인전기’ 단계보다 더욱 세분화 된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라는 새로운 생애 발달 단계 도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정부 차원에서도 청년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 문제로 보고 청년 정책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고 있다. 박물관 또한 청년을 박물관에서 적극적인 참여 주체로 인식하여야 한다. 그간 박물관에서 성인이라는 큰 범주에 포함되어 통계적으로 비-관람객 상태에 있었던 청년을 구분하고 관람객 통계 범위에 청년을 포함하여 그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듣고 반영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박물관은 문화주도층이자 중요한 관람자층인 청년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파악해야 할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고 기꺼이 새로운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