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분양아파트 적체지역의 주택수급에 관한 연구

        김병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비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미분양 원인이 지역의 수요량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 과잉공급 원인 이외에도 지역별 주택수요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주택공급에 기인한 ‘질적 수급불일치’에도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논지를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사대상 지역 주민 및 건설공급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에 따라 주택수요특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어 획일적인 주택공급에 대한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기 위함이고 이를 통해 향후 주택공급에 대한 개선방향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비수도권 미분양 적체 지역을 조사대상으로 한 세 지역 모두 실수요를 기반으로 주택을 인식하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주택구매를 위한 결정요인 과 제한요인이 달라 지역별 주택수요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공급자에 대한 인식 실태 분석 결과, 응답자 모두 지역별 수요특성 차이가 있다고 하였으나 지역별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는 약간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공급자가 지역별 수요특성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으나 세부적으로 파악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택수요특성 차이가 있는 것을 주택공급자가 인식하고 있음에도 현재의 주택공급이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지역별 주택수요특성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사회·문화·경제적 그리고 정량적·정성적 요소들로 이루어진 개인적 의사결정으로 정의된 ‘주거선택 의사결정’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 ‘지역적 특성’에 기인한다. 이러한 개인적인 의사결정 문제인 주택수요특성이 앞으로 더욱 다양해 질 것이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공급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그 기준으로서 주택의 특성 중 ‘고정성’ 및 ‘지역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에 따른 수요자 특성 구분을 통한 주택공급이 필요하다. 우선 정부는 해당 지역의 지역 주택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질적 중심의 정책을 계획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지역별 주택건설공급방향 지침서’마련과 ‘지역주택건설평가’ 제도 시행이 필요하다. 또한 인프라 조성 및 환경개선을 통해 주택 수요자의 잠재적인 수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주택공급자는 점차 다행해지는 수요특성을 심도 있게 살피고 팔릴 수 있는 시장지향적 제품을 찾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소비자 욕구를 연구하여 신제품 개발에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주택사업 계획당시 사업성분석 항목에 주택수요자의 요구를 충분히 헤아릴 수 있도록 수요자특성 분석을 위한 별도의 항목을 개설하고 그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설계 및 집행 예산안을 별도로 책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마다 주택구매를 결정하는 요인이 다를 수 있기에 수요층을 세분화하여 지역특성 및 지역 수요자특성에 맞는 공급 전략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argue that the 'qualitative demand mismatch' due to the housing supply, which does not reflect regional demand characteristics can be the cause,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supply and demand mismatch' due to the oversupply for the cause of unsold apart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acknowledges that uniform housing has problems by clarifying that the housing demand characteristics differ by regions through the survey for the local residents and construction suppliers and is to think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next housing supply. All three backlog regions of unsold apartments recognized housings based on the actual demand, but since determinants for house purchase and limiting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region, it was verif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demand differed by regions, but as it showed slightly different results from a survey targeting on local residents, providers recognized that the demand characteristics differed by region, but unable to understand in detail.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housing providers recogniz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haracteristics of housing demand, the current supply of homes does not reflect theses difference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housing demand characteristics by region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caused by housing selection decision defined as a personal decision which consists of social, cultural, economic,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onents and variety of reasons. Since housing demand characteristics of such individual decision-making problems will be more diverse in the future, the supply base in response to such should be prepared, and access to housings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local consumers is needed by considering properties of 'fixity' and 'locality' from characteristics of housing. First, the government should perform an active role of planning quality-oriented policies to reflect the need of local buyers in the area. To do so, preparation of 'guidelines of regional housing supply' and policy enforcement of 'regional evaluation of housing construction' are required. Also, they should lead out potential demand of housing buyers through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On the other hand, housing providers should check demand characteristics in-depth and ne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new products by continuing to study the consumer needs so market-oriented products can be found. To do so, separate items should be included in feasibility analysis items at the time of housing business plan to fully fathom the needs of buyers, and it is necessary to fix a design which fully reflects the views and executive budget separately. Also, becaus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housing purchase may differ in different regions, brand dissident policy is needed by subdividing expectations and establishing supply strategy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 로짓모형을 이용한 철강기업의 안전용 부품 MRO 관리에 관한 연구

        김병주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한국의 제조업은 코로나19의 장기화와 안전에 대한 기준 강화로 큰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의 장기화는 공급망의 붕괴로 인한 자동차용 반도체 부족으로 자동차 생산의 지연을 초래하였으며, 안전에 대한 기준 강화는 중대재해 발생 시 고용노동부장관이 작업중단 조치 취할 수 있어 제품생산의 차질이 발생한다. 이 연구는 철강회사를 기반으로 가스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안전용 소모자재에 대한 MRO (Maintenance, Repairs & Operations) 자재 관리를 분석하였다. 안전상의 이유로 정부가 제철소 작업을 중단할 경우 철강 산업은 기초 소재를 공급하기 때문에 국내외 물류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MRO 자재 공급에는 생산 장비 및 소모품에 대한 모든 예비 부품이 포함된다. 기업은 MRO 공급의 최적화와 더불어 재고 가용성을 보장하는 MRO 공급 방법을 모색하여 왔다. 특히, 반복적이고 사용량이 상당한 경우, 많은 기업들은 공급자 재고관리 방법과 위탁 재고관리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안전용 소모자재에 대한 MRO 자재의 공급방법에 개선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어려운 상황 하에서 공급자 재고관리 방법과 위탁재고관리 방법으로 물류 개선이 이루어진 사례이다. 자세하게는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여 안전한 제조현장의 구현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론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광양만권에 위치한 A사의 사업장에 설치된 고정식 가스검지기의 점검 및 교정 Data이다. 본 논문에 사용된 Data는 매월 단위로 실시하는 가스검지기의 검·교정 Data Sheet를 기반으로 조사하였으며, 가스검지기 테스트 결과를 통해 가스누설 감지기의 오작동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1월부터 2021년 4월까지로 2년 4개월간 장기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독립변수는 계절(season) 변수, 지역(area) 변수, 공정(process) 변수, 직무(duty) 변수, 감시 방법(HMI monitoring) 변수, 센서 종류(sensor type) 변수, 제조사(maker) 변수, 설치 환경(밀폐 공간) 변수, 개선 전/후 방법(method) 변수 등 9개의 변수가 사용되었으며, 종속변수인 센서 시험 결과(result)에 미치는 바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10개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센서 시험 결과 증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근본 원인 분석하였으며, 궁극적으로 MRO 자재의 공급방법 개선을 이루었으며, 개선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MRO 자재의 개선을 통해 안정적인 물류를 제공함으로써 제조현장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MRO 자재의 공급방법 개선을 통해 대형 사업장인 제철소 내에서 가스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공급망 개선을 통해 제철소뿐만 아니라 제조사업장 내에 가스 누출에 의한 중독, 질식, 폭발 안전사고 예방하여, 궁극적으로는 작업중지로 인한 물류에 큰 차질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철강뿐만 아니라 화학, 반도체, 조선 등 대형 제조사의 SCM(Supply Chain Management)를 개선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으로써 가동 중지로 인한 물류 차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is facing major change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and the strengthening of safety standards. or example, the prolonged COVID-19 has caused delays in automobile production due to a lack of semiconductors for automobiles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supply chain, In case of a serious accident, the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may take measures to suspend work, resulting in setbacks in production. This study analyzed MRO(Maintenance, Repairs & Operations) material management frequently used items for safety to help prevent gas safety accidents based on steel companies. This is because if the government suspends work at the steel mills for safety reasons, the steel industry supplies basic materials, which will cause major disruptions in domestic and overseas logistics. MRO material supply includes all spare parts for production equipment and consumables. Companies have been looking for MRO supply methods that ensure inventory availability along with optimizing MRO supp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petitive and heavy usage, many companies used the VMI(Vendor Managed Inventory) method and the consignment stock method.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improvement in the supply method of MRO materials for safety consumables. This study is a case of logistics improvement by VMI and consignment stock method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In detail, the implementation cases of safe manufacturing site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performe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ology,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inspection and calibration data of the stationary gas detector installed at Company A's workplace located in the Gwangyang Bay area. The data used in this paper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monthly gas detector calibration data sheet, and the malfunction of the gas leak detector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gas detector test results. The survey period was measured over a long period of two years and four months, from January 2019 to April 2021. Independent variables are Season variables, Area variables, Process variables, Duty variables, HMI HMI : Human Machine Interface Monitoring variables, Sensor Type variables, Maker variables, Confined space variable and before/after improvement method variable. The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ensor test result) was investigat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root cause of failure in 9 independent variables and sensor test result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and ultimately improved the MRO supply method, and the improvement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has been verified. As a result, it contributed to the stable operation of manufacturing sites by providing stable logistics through the improvement of MRO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gas safety accidents in the steel mills, which is a large business, in advance by improving the supply method of MRO materials. The purpose of supply chain improvement is to prevent poisoning, suffocation, and explosion safety accidents caused by gas leakage in manufacturing plants as well as steel mills, and ultimately to prevent major disruptions in logistics due to work stoppages. This will prevent safety accidents by improving SCM(Supply Chain Management) of large manufactures such as chemicals, semiconductors, and shipbuilding as well as steel to prevent logistics disruptions caused by the suspension of operation in advance.

      • 누드 이미지를 통해 바라본 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외설과 예술을 중심으로

        김병주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ppears a diversity of artworks which use the human body as a means or an object. Some of these are borrowing nothing but form without regarding the eroticism the sexual expressions should have. This may bring distorted images about the art and cause social matters. A photographer should present unique image by understanding and feeling an object from a new point of view rather than just describe as it is. Accordingly, the photographer comes to express his or her own feelings as the inner world image by the physical subject of the human figure. As for expression, the photographer should penetrate into himself or herself and identify himself or herself with the subject and then, the message of photograph should be delivered effectively by the method of expression which fits into his or her emotion and feeling. I have presented the inner world image through the women's figures. The nude picture is easy to bring up the misapprehension of the obscenity due to the pornographic matter of it. So there has been a constant argument about it. In this thesis, the introduction shows the background, purpose, art and obscenity of the nude pictures as the content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In the content of this thesis, the identity of human figure is covered and then the obscenity and art is distinguished based on the dictionary's definition. Besides, I looked for the artworks of famous photographers which have artistic values of the nude pictures and show the meaning of eroticism by the new vision for the nude. Furthermore, I put great emphasis on conducting research first as reaching for the modern eroticism standing above the inborn sexual instinct. I put some of my photos on the identity of the human figure and I appreciated that the beauty line of the human body and then I made it clear that the women's body is not just the human body but the best subject for presenting the eroticism. The human body can be abused in obscenity due to the biological traits. So it should be moved toward that photographers present the intrinsic nature of deep inside of the human by applying pornographic subjects to modern nude photography and this is the issue of bringing up the artistic identity of the human. Eroticism should be covered not onl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ut as the medium of showing the deep inside of the human and then developed as the means of presenting universal humanity through creating of art products to distinguish individuality. 예술표현에 있어 몸은 매혹의 대상이다. 육체는 인간의 정신력과 의지력을 세상에 드러내는 매체이며, 물질성을 넘어서는 의미를 생성하는 대상으로 작용한다. 몸은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면세계의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가 되며 작품 그 자체가 되기도 한다. 누드사진에 있어 예술의 세계로 들어가는 관문은 '몸'이다. 몸이 그 주체가 되기 때문이다. 성(性)적인 측면에서 육체는 단순히 생식능력만 뜻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의미의 성(性)적 개념으로서 자아개념을 뜻한다. 성(性)이란 육체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하는 환상과 상징의 복합물이며, 만족과 상실의 감각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다. 현대 예술가들은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고 분해하려는 의지를 에로티시즘으로 표출하고 있으며, 현대 문명으로 인해 물질화된 인간상을 고발하는 대상의 수단으로 몸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예술가의 무의식적인 성적 욕망이 발상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성(性)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것을 통해 보여 지는 인간의 근본적인 본성(本性)을 표현하고자 하기 위함이며, 인간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순수한 표현의지(表現意志)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사진이미지를 통해 사진가의 내면을 통찰하면서, 이미지에 담은 사진가의 의도된 감정은 작품과 자아동일성(自我同一性)을 갖는다고 인식했다. 사진가는 자신의 정서와 감정에 맞는 표현방법을 찾아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지표(指標)를 선택해야 한다. 그래서 사진가는 단순히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이고 내면적인 시각으로 대상을 바라보고, 그 대상을 통하여 독특한 상상이미지를 형상화(形象化)하여 영상화 작업을 통해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여체를 그러한 사진적 시각을 통해 바라봄으로서 새로운 의미와 예술적 가치의 누드이미지를 창출(創出)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여체(女體)라는 대상 속에 감정을 이입하여 대상의 본질과 생명을 교감하게 되었다. 대상과의 교감은 본인의 존재에 대해 깊은 내면적인 성찰을 하게 해주었다. 예술표현 방법으로 선택한 여체는 본인과 함께 이미지를 창조하고, 대화하면서, 내면적인 영혼을 감지하게 하여, 사진 속에 인간본연의 감성과 본질을 표출되게 하였다. 누드이미지에 예술성을 불어 넣는 것은 에로티시즘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달려 있다. 외형적인 육체를 통해 자신의 내면에 내재된 인간의 욕망을 어떻게 에로티시즘으로 풀어 갈 것인가 하는 문제는 작가 정신의 영원한 과제라고 본다. 에로티시즘은 그 어원에서도 볼 수 있듯이 원천적으로 인간의 성욕에서 비롯되어진 것이다. 성에 대한 표현이 다양해지자, 대중의 시선을 끌기 위해 표면적인 형식만을 차용한 작업들이 나오고 있다. 에로티시즘에 대한 이해 없이 성적 자극만을 목적으로 하는데 의미를 국한하면 또 다른 에로티시즘의 왜곡을 낳게 된다. 그러므로 누드이미지가 예술작품으로 인정받기 위해 누드의 핵심인 에로티시즘의 학문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에로티시즘의 본질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포르노그래피(Pornography)적인 소재를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작품의 예술성이 평가될 것이다. 누드가 예술인가 외설인가 하는 주제는 사진술의 발달과 새로운 표현방법의 출현으로 다양한 작품이 나타나게 되었지만, 역설적으로 첨단영상의 발전으로 만드는 사진이 가능해진 현대에는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현대는 오늘의 외설이 내일의 예술이 될 수 있는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는 시대이다. 이제 예술인가 외설인가를 구분하기 보다는 주어진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삶이 얼마나 아름다워질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할 때이다. 본 연구에서 생물학적, 사회적, 문화적 관점에서 몸의 정체성을 알아보고, 작품을 통해 몸의 정체성에 접근하면서 육체가 왜, 그리고 어떻게 상상되고 상징되는가를 표현하고자 했다. 전통사회에서 몸의 정체성은 사회적 의식이나 의례를 통해 자동적으로 주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자아정체성(自我正體性}은 각자 개인의 심사숙고 대상이 되고 있다.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에 대한 도덕적 기준도 없이 사회가 제공하는 복잡다단한 환경 속에서 자아정체성을 스스로 조성한다. 정체성은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을 지속적으로 정리하고 질문을 던지면서 성찰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자아정체성과 몸은 성찰로 이루어진 일체(一體)이기도 하다. 인간의 육체는 정치적, 사회적 관계들을 표현하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메타포(metaphor은유.隱喩)였다. 몸의 각 부분들은 상이한 사회적 기능을 상징해왔다. 성(性)은 아주 특수하게 몸의 영역에 거주하면서 향기나 소리처럼 발산된다. 육체는 정신적 갈등이 각인되는 장소임과 동시에 인간 상징의 원천이다. 카메라라는 기계적 장치를 통해 몸이 가진 정체성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에 대한 문제는 사진가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과제이다.

      • HPLC-UV를 이용한 식육 중 Amprolium, Dicyclanil 및 Decoquinate 분석

        김병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물용의약품이란 동물의 질병 예방 및 치료, 성장촉진 및 사료효율의 개선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있다. 동물용의약품이 가축의 생체내로 투여되어 축산물에 이행, 잔류하게 되면 이를 섭취하는 사람들도 잔류동물용의약품에 노출된다. 이러한 동물용의약품은 식품의 안전성 제고 및 국민건강의 위해방지를 위하여 우리나라 및 세계 여러 기관과 나라에서 식품에 대한 잔류허용한계(Maximum Residue Limits, MRL)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축산물의 잔류물질 분석방법은 분석시료 자체가 동물성으로서 구성 성분이 매우 복잡하고 종류가 다양하며, 잔류허용한계(MRL) 이하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축산농가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식육 중 노출이 예상되는 항콕시듐제(Amprolium, Decoquinate) 및 살충제(Dicyclanil)의 분석을 위하여 시료 전처리방법 및 동시분석법에 대한 확립을 하였으며, 결과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회수율, 정밀도, 정확도,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현재 이들 3가지 동물용의약품을 동시에 분석한 문헌은 없으며 각각의 개별적인 분석에 대한 논문만이 제한적으로 있다. 식육(소, 닭, 양) 중 잔류하는 Amprolium, Decoquinate 및 Dicyclanil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방법의 연구를 한 결과, 통합 전처리 방법 및 동시분석법을 통해 이 세 동물용의약품에 잔류를 확인할 수 있는 스크리닝이 가능하였으며, 각각의 동물용의약품별 정성 및 정량 확인 실험을 위한 개별적인 전처리 방법 및 기기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식육에 잔류하는 동물용의약품의 효율적인 HPLC-UV 분석을 위하여 아세토나이트릴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HLB(Hydrophilic-Liphophilic Balance)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전처리 방법을 최적화 하였다. 확립된 분석 방법은 78.5∼107.1%의 우수한 상대회수율과 11.5% 이내의 정밀도(RSD%)를 나타내었으며, 0.051∼12.0 mg/kg (LOQ∼6MRL) 범위에서 검정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이때의 상관계수(r2)은 0.997 이상으로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0.015∼0.13 mg/kg 범위의 검출한계(LOD)와 0.051∼0.42 mg/kg 범위의 정량한계(LOQ)를 나타내었으며, 확립된 분석방법을 통해 식육에 존재하는 thiamine (Vitamine B1)과 분석물질인 Amprolium과의 분리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되어진 분석 방법은 동물용의약품 3종에 대한 동시 분석 및 개별적인 최적의 정량실험이 가능하며, 잔류허용한계(MRL) 수준(0.15∼2.0 mg/kg) 이하의 분석이 가능하여 차후 식육 중 잔류하는 동물용의약품의 조사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use of veterinary medicines is widespread in the agriculture industry. Coccidiosis is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several species of Elimeria and Isospora protozoa, causing serious economical consequences in animal production. These drugs are used for a number of reasons, including to prevent or cure disease, to reduce the potential for disease, or as a growth promoter to increase feed conversion. These medicines were restricted by MRL (Maximum Residue Limits) for safety of the food in several organization and countries. In this study, analytical methods for a determination of veterinary medicines (amprolium, dicyclanil and decoquinate) in food (cattle, chicken, and lamb's muscle) by HPLC-UV were established. Samples were extracted by a HLB (Hydrophilic-Liphophilic Balance) cartridge and acetonitrile. After sample preparation, mixture solvent (water : MeOH = 1:1) was used as a reconstitution solvent. Chromatographic separation was achieved by C18 column (4.6×250 mm, 5 µm), using gradient elution with 20mM HFBA and MeOH or MeOH : ACN (1:1.8). The calibration curves from the spiked blank matrix showed good linearities (above r2=0.997)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0.051∼12.0 mg/kg. The relative recovery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were the range of 78.5∼107.1% and 0.051∼0.42 mg/kg, respectively. The developed method can be used to determine under the MRL (Maximum Residue Limits) level of veterinary medicine and allowed to simultaneous analysis of amprolium, dicyclanil and decoquinate in several animal tissues.

      • 친환경 난연 폴리우레탄 복합소재 합성

        김병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loisite 30B가 박리, 분산된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다. 먼저, Cloisite 30B에 치환된 2-hydroxyethyl기를 가진 4급 암모늄염을 과량의 adipic acid와 130℃에서 반응시켜, 에스테르기로 연결되고 양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ethyl-ester adipic acid 암모늄염으로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Cloisite 30B의 실리케이트 층간 간격이 18.4Å(2θ=4.9°)에서 58.3Å(2θ=1.5°)보다 넓게 확장되었다. 층간 간격의 확장은 분자크기가 작은 adipic acid(d≈3.0Å, L≈9.3Å)가 Cloisite 30B의 층간에서 Cloisite 30B의 2-hydroxyethyl기와 반응하여 분자크기가 커졌기 때문이다. Cloisite 30B가 박리/분산된 adipic acid를 과량의 diethylene glycol과([COOH]/[OH]≈0.6) 140℃에서 반응시켜 diol을 합성하였다. Acid value로 측정한 전환율은 95%였다. 합성한 diol을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반응하여 최종적으로 Cloisite 30B가 박리, 분산된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의 합성결과 반응시작 2시간 후 전환율은 72%에 도달하였고 6시간째 최종 전환율은 95%로 측정되었다. GPC로 측정한 폴리우레탄 생성물들의 값은 ∼4190, PDI 값은 2.94이다. Cloisite 30B를 첨가하지 않은 polyurethane은 유리전이온도가 -22.5℃로 측정되었고 Cloisite 30B를 박리시킨 polyurethane은 유리전이 온도가 6℃로 열적 특성이 향상되었다. Polyester-diol containing Cloisite 30B was synthesiz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ols. The synthesis of the polyester-diol was performed two steps. First, esterification was conducted with excess adipic acids and two 2-hydroxyethyl groups of the tertiary ammonium tethered to Cloisite 30B silicate layer. Due to the small molecular size of adipic acid (d ≈ 3.0 Å, L ≈ 9.3 Å), it penetrated into the interlayer of Cloisite 30B, reacted with the 2-hydroxyethyl groups, and produced the tertiary ammonium that has the two ethyl-ester adipic acid groups, one methyl group, and one hydrogenated alkyl group. Through the esterification, the molecular size of the tertiary ammonium increased and as the result, the basal space of Cloisite 30B increases from 18.4 Å to more than 58.3 Å, which suggests Cloisite 30B was exfoliated. The second esterification was carried out between the produced ethyl-ester adipic acid with unreacted adipic acid and excess diethylene glycol ([COOH]/[OH] ≈ 0.6) to prepare polyester-diol. The COOH conversion calculated from the acid value of the reactant mixture was 94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PDI of the produced polyester-diol were 860 g/mol and 1.2, respectively. The polyurethane conversion rate was 72% after 2hours and final conversion rate was 95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n-treated polyurethane was -22.5 ℃ and polyurethane/Cloisite 30B composite was increased to 6 ℃.

      • 대표입경별 수치모의를 통한 합류부 하상변동 연구

        김병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ivers in natural conditions are not simple as just one river. They are connected with various tributaries and main streams. Among them, combining points have very complicated flow characteristics. Flowing in sand creates sand bars. If plants settle on the bars at combining points, water flow space decreases and creates backwater effects at the main stream and the tributa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hanges in river bed at combining points. Nakdong and Keumho rivers' combining point was selected to conduct numerical analysis based on 2 dimensional SMS model. Also, the representative grain diameters of major SED2D inputs which will allow us to simulate changes of bed in the SMS model were diversified by 3 types: Case 1 to 3. To analyze the effects of bed change according to the grain diameter of bed materials, comparisons and analysis on bed change elevation and minimum bed elevation per measuring point were made to reach the below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representative grain diameters had critical impact on bed changes. Thu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model analysis on various grain diameters selected by an analysis on grains of bed materials will result even more credible result in the future.

      • 소형고분자연료전지 스택의 운전특성에 관한 연구

        김병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가 당면한 기술적인 문제들의 대부분은 반응의 생성물인 액상의 물로부터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분리판 설계, GDL 선정, MEA 선정 등을 포함하는 스택 설계 단계에서 이러한 물의 효과적인 제어가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택의 연료공급 방법, 가습의 영향, 체결압력에 따른 소형 스택의 민감한 성능 변화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유효면적 5, 10cm2와 같은 소형 분리판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대형 스택에 비하여 스택의 체결압력, 가습의 영향, 연료공급방법에 따라서 성능 및 안정성이 보다 민감하게 변화되었다. 또한 소형 스택의 성능을 향상을 위한 스택의 성능 특성 및 제어 방안 등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소형 연료전지 시스템 구성을 위한 각 스택의 기본 운전 특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