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LL과 외란 관측기를 이용한 영구자석 동기모터의 센서리스 속도제어

        김민호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영구자석 동기모터(PMSM)의 센서리스 속도제어에 대해 다루었다. 영구자석 동기모터는 높은 효율, 체적 대비 큰 토크 성능 그리고 안전성을 갖추고 있어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영구자석 동기모터는 모터 내부의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진 회전자가 역기전력을 일으켜서 정상적인 전류제어를 방해한다. 그러므로 영구자석 동기모터를 정상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회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회전자의 위치 정보는 보편적으로 리졸버나 엔코더 등의 위치 센서를 사용하지만 위치 센서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실제 센서를 부착하게 되면 비용이 비싸지고 위치센서를 모터에 부착시에 여러가지 문제점 때문에 센서리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 동기모터를 센서없이 구동하기 위해서 상태관측기를 통해서 정지좌표계상의 역기전력을 추정하고, 추정한 역기전력으로 위상고정루프(PLL)를 통해 회전자의 위치 및 속도 정보를 추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추종한 위치 및 속도 정보를 속도 제어기를 통하여 속도 제어를 하였고, 외란 관측기를 사용하여 속도 제어의 신뢰성을 높였다. 그리고 3.0kW(4마력)의 6극 영구자석 동기모터와 Freescale 사의 MK60FX512VLQ15를 기반으로 한 모터 제어용 인버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속도 패턴 실험과 부하 실험을 수행하므로써 제안한 영구자석 동기모터의 센서리스 속도 제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드릴구멍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계측시스템 개발과 동적신호 분석에 관한 연구

        김민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hole manufacturing process occupies 30% in the industrial field. Drill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erations in machining industry and usually the most efficient and economical method of cutting a hole in metal. Producing high quality products with a fully automated machine tool system has been investigated in industry and academia for five decade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on-line evaluation and control of drilling processes. On-line tool wear monitoring and tool replacement at the proper time are important techniques, as it is necessary to prevent damage of cutting tool, machine, and workpiece. Unfortunately, past research has been superficial regarding the quality of a drilled hole. One of the cause is difficulty in determining hole quality. The measurement of hole location and diameter would be performed by CMM(Coordinate Measurement Machine). However, the usage of CMM requires much time and cost.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we have developed a hole location and diameter error measuring device using machine vision. The developed measurement device attached to a CNC machine can determine hole quality quickly and easily. In this dissertation,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regarding hole quality measured by developed device is also performed. Using standard twist drill, holes are dry-drilled on STS304 plate and measurement is carried out. The effects of drilling conditions(thinning, workpiece property, center-drilling, pecking, feed, and speed) work on the hole quality features of location error and oversize. The experimental result is analysed by an equal variances test. The analysed result shows that drilling conditions(thinning, workpiece, and center-drilling) affect the measured hole quality features. This dissertation is concerned with effective signal identification method for drill wandering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of cutting signal(thrust force, torque, workpiece vibration, spindle motor current, and feed motor current) in drilling operations. Wavelet method has the advantage of fast computation with localization in both space and frequency domai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velet transform can identify drill wandering with much greater sensitivity than frequency domain monitoring such as FFT.

      • 상·하부 발열량차 공법을 이용한 기초 매트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균열 저감

        김민호 청주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도심지의 건축물은 지가상승에 따른 토지의 효율적 활용 및 건설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점점 더 고층화하는 경향이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기초는 구조체의 안정성과 연관하여 두꺼운 매스콘크리트 형태의 매트콘크리트가 설계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매트 매스콘크리트는 건축물의 하부구조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역할에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800 mm 이상의 두꺼운 부재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수화열에 의한 균열이 문제점으로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사 아파트 기초 MAT 매스콘크리트 타설부에 상하부 콘크리트간의 응결시간 및 발열량차를 축소시켜 궁극적으로는 중심부와 상부표면과의 온도차이를 줄임으로써 온도차에 의한 인장응력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을 제어하는 3성분계 저발열배합 사용과 상·하부를 구분하는 수화발열량차 공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즉, 수화발열량차 공법적용에 대한 수화열 저감과 균열제어의 활용성 및 효율성을 검토하고,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수화열 해석과 실제현장에 적용된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이력 및 균열지수를 비교검토함으로써 효과적인 매스콘크리트의 균열 저감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Recently, a downtown structures tend to become more high-rise due to the efficient use of land and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due to the increase in land prices. Therefore, the foundation of constructions has been designed with a mat concrete in a form of heavy mass concrete in connection with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However, such a mat mass concrete may be positive for the role of supporting the substructure of the building safely, but cracks due to hydration heat have been issued due to the fact that it is often designed as a thick member of 800 mm or more.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minimize tensile strength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y reducing the difference of the setting time and the hydration hea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in the foundation mass concrete placement lifts of W company apartment. In other words, this study tried to apply ternary low heat mixture controlling the crack of mass concrete and hydration heat different Method that distinguishes the upper and lower plac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utility and efficiency of hydration heat reduction and crack-control for the application of hydration calorific value, and proposes an effective crack reducing method by hydration heat analysis using programming and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history and crack index of mass concrete applied in the field.

      • 적층복합재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전처리방법 개발에 대한 연구

        김민호 경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Carbon fiber has a stable non-polar chemical structure and a poor interfacial adhesive strength. It causes low fiber matrix affinity in carbon/epoxy composite. Thus, carbon/epoxy prepreg which is used to laminated composites also shows hydrophoicity and low adhesion between its surfaces, which affects to decrease the durability of laminated composites. In this study, plasma modification method on surface of carbon/epoxy prepreg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carbon/epoxy laminated composites A low vacuum plasma device by microwave source was used to modify surface of carbon/epoxy prepreg. Vacuum pressure in the chamber was maintained to 2.0 kPa to minimize evaporizing of matrix resin on the prepreg. Ar, N₂ and O₂ gas was used as a plasma carrier gas and its flow rate was fixed to 3.15 × 10^(-5) ㎥/s. Contact angle was measured to compare the hydrophilicity before and after plasma treatment on prepreg surface. Carbon/epoxy prepreg was treated by every 10 seconds up to 60 seconds in the plasma chamber. As the result of contact angle measurement, maximum values of hydrophilicity were showed up to 20, 30 and 50 seconds for Ar, N₂ and O₂ plasma treatment, respectively. Peel test by adhesive tape was also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result showed O₂ plasma treatment was superior to the other plasma treatments. Adhesive strength on prepreg was increased from 260 mN/㎜ to 330 mN/㎜ after O₂ plasma treatment. XPS result showed that the increase of adhesive strength on prepreg was mainly affected by forming of polar chemical functions after plasma treatment. Especially, O₂ plasma was outstanding to create polar functional group as carbonyl and carboxyl groups compared to the other plasmas. Its values were increased to 5.83 at.% compared to the value of untreated specimen. DSC analysis also showed that this increase of polar chemical functions affected to cross-link of cured epoxy resi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by 4 ℃ after O₂ plasma treatment and it meant cross-link of prepreg was increased during curing proc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O₂ plasma treatment on the durability of carbon/epoxy laminated composites,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test was carried out. Unidirectional ([0]_(10)) DCB specimens were used for the fracture tests and its energy release rate was calculated as a crack length increased. The test result showed that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was increased after O₂ plasma treatment. The energy release rate at room temperature(25℃) was varied from 480 kJ/㎡ to 620 kJ/㎡ and its value was also increased from 330 kJ/㎡ to 470 kJ/㎡at low temperature(0℃). It was concluded that O₂ plasma treatment on carbon/epoxy prepreg was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carbon/epoxy laminated composites. Single lap shear test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an effect of plasma treatment for shear strength. The result showed that shear strength was improved from 23.97 MPa to 25.86 MPa after O₂ plasma treatment. As a result of SEM analysis, this improvement was caused by better interlayer adhesion between fiber and matrix. Tensile fatigue test was performed by applying a fatigue load up to 100,000 cycles in order to investigate an effect of plasma treatment on residual strength of carbon/epoxy laminated composites. Tensile specimen was fabricated by stacking unidirectionally and the load ratio (σ_(min) /σ_(max)) and the frequency of the fatigue load applied were 0.1 and 5 Hz, respectively. As the result, although the residual tensile strength decreased with increasing fatigue cycle for both type of specimen, the amount of decrease was not significant for either type of specimen. It was analyzed as fiber fracture was more dominant factor than interlaminar adhesion for the fracture of unidirectionally fabricated tensile specimen. Low vacuum plasma treatment with oxygen gas by microwave source is effective method to form polar functional groups and it affects to the enhancement of hydrophilicity of prepreg surface and the improvement of interlaminar adhesion for laminated composites. As the conclusion, this method is effectiv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carbon/epoxy laminated composites. 탄소섬유는 안정적인 비극성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는 섬유/수지간 낮은 결합력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적층복합재용으로 사용되는 탄소섬유/에폭시 프리프레그 역시 소수성 표면을 나타내며 적층복합재의 층간 결합을 저하시켜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층간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탄소섬유/에폭시 프리프레그의 소수성 표면을 개질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표면처리에는 극초단파 방식(2.45GHz)의 저진공 플라즈마 장비가 사용되었으며, 프리프레그의 변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챔버 내부의 진공도는 2.0 kPa로 유지하였다. 플라즈마 유도를 위해 Ar, N₂, O₂ 가스를 사용하였으며, 가스 투입량은 3.15 × 10^(-5) ㎥/s로 고정하였다. 각 플라즈마 가스별로 최대 1분까지 10초 간격으로 표면처리한 후, 접촉각 측정을 통해 표면의 친수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대의 친수성을 나타내는 표면처리 시간은 Ar, N₂, O₂ 플라즈마에 대해 각각 20초, 30초, 50초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결과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된 프리프레그의 접착강도시험을 수행한 결과, O₂ 플라즈마가 접착강도 향상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처리 전의 접착강도는 260 mN/㎜였으며, O₂ 플라즈마 표면처리 후에는 330 mN/㎜로 가장 크게 상승하였다. XPS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표면 접착강도의 상승에는 표층의 극성기 생성이 주도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₂ 플라즈마의 경우 다른 플라즈마에 비해 카보닐기와 카르복시기이 생성이 두드러졌으며, 표면처리 전에 비해 5.83 at.% 증가하였다. DSC 분석에 의하면 이러한 극성 화학기 생성은 프리프레그 경화 과정의 수지 가교에도 영향을 주었다. O₂ 플라즈마 표면처리 후 유리전이온도는 표면처리 전에 비해 4 ℃ 가량 상승하였고, 이는 수지 가교도가 증가하였음을 뜻한다. 이러한 프리프레그 표면처리가 적층 복합재의 내구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층간파괴인성시험이 수행되었다. 일방향 배열로 제작된 DCB 시편에 대해 층간 열림 방향으로 하중을 부여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 방출율을 계산한 결과, 상온(25℃) 시험에서는 표면처리 전 480 kJ/㎡에서 620 kJ/㎡로 층간 파괴인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저온(0℃) 시험 역시 330 kJ/㎡에서 470 kJ/㎡로 층간 파괴인성이 증가하여, 프리프레그의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층간 내구성 향상에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전단 방향 하중에 따른 파괴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방향 배열로 적층 성형된 SLS 시편에 대한 전단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단파단강도가 표면처리 전 23.97 MPa에서 표면처리 후 25.86 MPa로 증가하였으며, 파단면의 SEM 분석 결과 표면처리 시편은 파단 후에도 섬유/수지 계면의 접착이 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처리가 반복하중에 대한 잔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방향 적층된 인장 시험편에 대한 잔류 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인장 시험편은 프리프레그를 일방향 배열하여 제작되었다. 그리고 최대 10만 회까지 5 Hz 속도로 정현파 피로하중이 부과되었으며, 이때 응력비(σmin/σmax) R은 0.1이었다. 시험 결과에 의하면 피로하중 증가에 따라 인장 강도는 감소하나 그 변화량은 미미하며, 표면처리 전후에 따른 차이 역시 미소한 수준이었다. 이는 일방향 배열 시험편의 인장 파단은 층간 결합력 보다는 배열 섬유의 파단이 보다 지배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탄소섬유/에폭시 프리프레그에 대한 저진공 O₂ 플라즈마 표면처리는 표면의 극성 화학기 생성 및 친수성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프리프레그 적층 시 층간 결합력이 상승하며, 결과적으로 적층복합재의 층간 내구성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HVPE법을 이용하여 성장한 고품질 (10-10) 비극성 및 (11-22) 반극성 GaN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민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측면성장기술을 이용해 고품질의 (10-10) 비극성 및 (11-22) 반극성 GaN를 성장하고 이 박막의 특성분석을 수행 하였다. 일반적으로 m-면 사파이어 위에 (10-10) 및 (11-22) 면의 비/반극성 GaN박막을 성장할 경우 기판에 대한 GaN 박막의 이방적인 격자상수 및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서 극성 GaN 박막의 성장 시 보다 더 많은 결함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함들의 감소를 위해 SiNx mask, in-situ 열에칭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를 통한 결정성 향상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으로 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인 선형 패턴을 이용한 측면성장 방법과 패턴 방향에 따른 (10-10) 및 (11-22)면 GaN의 결함감소 효과를 관찰하고, 성장거동과 특성분석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 열 및 방사선 열화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용 난연성 케이블의 연소 및 독성가스 배출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민호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and toxic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non-class 1E cables and a class 1E cable, which are flame-retardant cables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rmal and irradiation degradation. Thermal and irradiation degradation are reproduced through the accelerated aging method. The combustion and toxic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via the cone calorimeter-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NES 713 test. When comparing fi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rmal degradation, the risk of heat release at early stage tends to decrease as thermal degradation progresses. This is because the volatile components in the cables evaporate as thermal degradation progresses. However, the risk of heat release at mid-late stages increase as thermal degradation progresses. It can be judged that as the thermal degradation progresses,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deteriorates. This caused the unstable formation of char layer, thereby generating constant pyrolysis and combustion of insul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oxic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the three gases, CO, CO2, and HCl, show the most noticeable change according to thermal degradation. In particular, the CO values of aged cables are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twice higher than non-aged cable. The HCl rapidly decrease in the beyond 20-year aged cables. When comparing the fi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rradiation and thermal degradation, higher heat emission and mass loss are confirmed in the irradiated cabl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according to irradiation degradation.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irradiated cables according to the thermal aging period,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due to irradiation degradation is more pronounced than the deterior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due to thermal degradation. In the case of toxic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CO is measured above critical factor in all cables. In the case of sheath, HBr emission of irradiated cables is lower than that of non-irradiated cable. However, HBr and HF emission of insulation increased more in irradiation and thermal degradation cables. Through these test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reflected in the evacuation procedure in consideration of the emission of toxic gases in cable fire or suggested a method for establishing the safety codes and standards of cable for limiting toxic gases. In future research, we will aim to build a database according to cable materials so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on the cable fir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fire propagation scenarios when developing fire simulations and codes.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난연성 케이블인 비안전등급 케이블 2종과 안전등급 케이블 1종에 대해서 열 및 방사선 열화에 따른 연소 및 독성가스 배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열 및 방사선 열화는 가속열화 방법을 통해 재현하였다. 연소 및 독성가스 배출 특성은 콘 칼로리미터-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시험 및 NES 713 시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열 열화에 따른 화재 특성 비교 시, 열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열 방출의 위험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케이블 내 휘발성 물질이 열 열화가 진행될수록 증발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중기, 말기의 열 방출 위험도는 열화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는 열 가속열화 과정에서 케이블의 난연성능의 저하로 인하여 char layer의 형성이 불안정해져 절연재의 열분해 및 연소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독성가스 배출 특성의 경우, CO, CO2, HCl 3가지 가스가 열화에 따른 변화가 가장 두드러졌다. 특히, CO 가스는 열화 케이블이 비열화 케이블보다 약 2배 높게 측정되었으며, HCl 가스는 20년 이상의 열화 케이블에서 값이 급격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열화 및 열 열화에 따른 화재 특성 비교 시, 방사선 조사에 따른 난연제의 성능 저하로 인하여 방사선 조사 케이블에서 더 높은 열 방출 및 질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 케이블의 열 열화기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며, 열 열화에 따른 난연성능 저하보다는 방사선 조사에 따른 난연성능의 저하가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독성가스 배출 특성의 경우, 모든 케이블에서 CO 가스가 치사농도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피복재의 경우, 방사선 열화 케이블의 HBr 방출량은 비방사선 열화 케이블보다 적었으나, 절연재에서는 HBr과 HF 방출량이 방사선 열화 및 열 열화 케이블에서 더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활용하여 케이블 화재로 인한 독성물질 방출량을 예측하여 대피절차서에 반영하거나 독성물질 제한을 위한 케이블 안전 기준을 수립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 및 코드 개발 시 화재 전파 시나리오에 필요한 케이블 화재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케이블 재료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수행할 예정이다.

      • 도덕수업에서 자기관련성에 기반한 탐구학습이 내재화, 수업참여, 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민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덕 교과는 학교 인성교육의 핵심 교과로, 학습내용에 대한 학생의 내재화가 중요한 교과이다. 그러나 도덕 교과의 학습내용은 가치나 덕목 등 추상적인 내용이 많고 이를 실천 중심으로 다루기 때문에 학생들이 이를 쉽게 내재화하기 어렵다. 일반적인 강의(설명)식 도덕수업을 통해서는 학생들이 학습내용인 가치나 덕목을 자신의 삶의 맥락에서 이해하기 보다 단순히 지식의 습득 차원인 피상적인 학습으로 그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Self Determination Theory)을 바탕으로 학생의 도덕수업 내재화를 촉진하기 위한 수업을 설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B 중학교 1학년 118명을 대상으로 도덕수업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자기관련성에 기반한 탐구학습 수업과 강의(설명)식 수업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분하였고, SPSS를 활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ANOVA)으로 사전·사후 측정 변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교집단의 내재화 수준은 낮아지는 양상을 보인 반면 실험집단은 내재화 수준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수업참여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전 내재화 수준이 낮은 집단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 나은 수업참여를 보였다. 성취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학생의 도덕수업의 내재화가 촉진되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도덕적 앎과 실천의 연계라는 도덕 교과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교과의 내용이 이미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수업이 교사 중심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내재화 측면에서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때 교사는 외적 지원 및 환경 조성으로 과제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의 내재화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도덕 교과뿐만 아니라 그러한 교과 및 교육상황에서 학생의 내재화를 촉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식물장식을 활용한 식공간연출 선호도-만족도 연구

        김민호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 발전으로 인해 전보다 인간으로써의 높은 가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막연하게 기능적인 공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체험과 경험을 제공하며, 독창적인 높은 부가가치를 느낄 수 있는 감성의 시대에 돌입하였다. 자연소재 활용을 통해 감성적인 공간을 제공하며 감성자극을 주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차츰 이런 사례는 외식공간을 포함한 식공간에서도 적용되어 식물장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과거에는 맛과 합리적인 가격이 선택을 하는 요인이 되었다면 최근에는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마케팅으로 감성을 자극하는 외식 공간 내 연출이 부각되고 있다. 식물의 유무로 인해 식공간의 분위기를 다르게 표현할 수 있으며, 공간장식의 조화와 분위기는 소비자들에게 추가적인 만족감을 주며, 현대의 경영 방향은 개발주의 시대를 지나 그린시대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외식업체의 다양한 경쟁에서 식물장식은 마케팅 도구로써 고객을 유입을 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식물장식을 활용한 식공간연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실내식물의 현대적 감성과 가치를 발견하는 것인 동시에 자연친화적 생활문화를 선도하여 식공간연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장식을 활용한 식공간의 선호도-만족도로 분석하고 파악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물장식을 활용한 외식업체 이용자를 대상으로 , 이용 시 선택하는 선호 요인과 만족 요인을 파악하여 운영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한다. 식물장식을 활용한 외식업체를 이용할 때, 이용자가 선호 요인과 만족 요인은 무엇인지 규명하여 요인에 따라 선호도-만족도 차이분석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운영 활성화에 필요한 정보로 제공 한다. 문헌적 조사 방법은 선행 연구 및 관련 학위 논문 및 서적을 통하여 식물장식 및 식공간연출 기본개념과 선호도와 만족도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실증조사 분석은 SPSS 18.0통계프로그램을 활용 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빈도분석 실시하였고, t-test를 이용하여 선호도-만족도 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물장식을 활용한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고객은 여성이며 30대의 직장인이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업체의 규모와 공간 등을 고려하여 시각적으로 선호하는 식물장식의 이미지와 식물장식의 효과인 정서적, 환경적, 미학적인 기능성과 더불어 고객의 특성을 분석하여 고객의 욕구에 부합되는 공간을 구성하고 연출하여 쾌적한 식공간을 고객에게 제공해야 할 것 이다. 둘째, 선호도와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식물장식을 활용한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고객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식물장식의 종류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식물장식의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자가 선호하는 부분에서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이 증명 되었다. 그러므로 이용자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식물장식이 필요하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인 감성마케팅이 시도 되고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Ever since the economic development, people began to focus more on higher value of life as human beings. Stepping out of simply functional spaces, we are now in the age of sensibility which provides us new experiences and a sense of unique and higher added value. There are many increasing cases of creating emotion stimulus through providing affective spaces using natural resources such as plants, which are also applied to many dining spaces including restaurant business. While the taste and the reasonable price were the major factors of customer’s choice in the past, today it is emphasized that providing an atmospheric and affective dining space is important as a marketing strategy. Adding plants to the space can effectively change the mood and provide customers additional satisfaction. Thus, its management is shifting from the era of development-oriented to that of green-oriented. In this respect, the pla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attract more customers in the competitive business market, thus the necessity is raised for the research on dining space design with plants. In doing so, not only we can find the modern sense and the value that plants can provide us, but also improve the value of making an dining space more eco-friendly. Thus,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ustomer’s satisfaction on the dining spaces with plant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ill be carried out targeting customers of the restaurants with plant ornaments to find out the factors of their choice and satisfaction. Also a difference analysis will be conduct between the two, and the collected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for vitalization of the management. The notion of the plant decoration and the dining space design, and the theoretical grounds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ere give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practical survey. Also,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o rais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showed that the main customers of the restaurants with plant decoration are females and majority of them are office workers in their thirties. Thus, it is advisable that a restaurant should analyze the preference and the emotional, environmental and esthetic functions of the plants in order to provide customers a pleasant dining space to meet their needs. Secondly,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ence and the satisfaction. The item that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was the type of the plant, and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its shape. Last of all, it was proven that the customer’s prefere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Thus, it is recommended to be in customer’s position when choosing plant decorations, and a strategic, emotional marketing plan must be developed and tried.

      • 서울시 자치구의 문화행정 발전방안 연구 : 서울시 서대문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민호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f the UNESCO the 20th century is time of enormou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ique, 21st century the century of culture becoming is it foresees. From infinite competition and speed warfare of the superhigh spe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represented with well-being, and downshift becomes the subject where the happiness pursuit of quality of life improvement and the individual it leads the mental healthy artificial flower the moderns is new, recently the culture is not only for life of the individual, it directly effect social development, local creation, national competitive, in all territories. Our country was executed chief of organization and local assembly member of the Assembly election 1995 local self-governing and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which is real was started, recently to a cultural policy and it stands but the decentralization painter it is emphasized and as the support subject which cultural policy is substantial each region government is embossed. But the cultural policy of the region government is staying to the event dimension which wears an event element, the activation of cultural administration with preference of chief of organization autonomy is the actual condition which depends on a large scale in prop.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region governmental cultural administration it leads concept, preceding research and cultural administration of culture and cultural administration. And most is central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utonomy which is a local self-governing group function, specially cultural administrative present condition and politic direction, and instance analysis of the enterprise which is individual of Seodaemun it led from problem point, and it present a developmental plan in about Seoul autonomous cultural administration. It indicated problem point of Seoul autonomous cultural administration is the organized system where the business is repeated, professionalism tribe of cultural administrative charge manpower, point symptoms attention budget organization, Cultural administration in supplier center, tribe of cultural base facility and it present in about problem point plan is organization systematic maintenance in business center, co-production with the specialty manpower security which leads a liberal personage system and the NGO, ZBB budget organizations, 1 characteristic annual event sublation which is exhaustive and the cultural program establishment which is continuous. Specially, also present that the low of the fragrant develops art the cultural citizen continuously to form the atmosphere which is the possibility with plan of the spectator development for and civil education the citizens in the book and the library easily polyvalence of going, the base facility creation, not only for one time to contacting, visiting and viewing. The recently many region government is making with core aim that advancement of culture great sorrow cultural material of citizen, economic use characteristic, area economic activation. But the cultural administration is not creat added value and economic use characteristic because the cultural administration's has public reconsideration character, but still we need administration mind whom with the long view it invests in erecting and civil education of cultural facility. Culturenomics where it is emphasized recently, stroy-telling, image and brand constructions when the cultural painter of cultural base facility and life it was established, with the fact that it accompanies naturally. It is difficult to alternative of optimum escape because of this problems, must respect a individuality and a variety point, the territory to be wide and recently the current of the times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fter that very the point which is easy movement, and popularity and picked attention appropriately, must harmonize, with etc. Hereafter it needs continuous Policy development, analysis, evaluation and instance analysis. Keyword : Seoul, autonomous district, Seodaemun, culture administration, civil education, culture infrastructure 유네스코(Unesco)는 20세기가 과학과 기술의 거대 발전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문화의 세기가 될 것이라 예견한 바 있다. 초고속 정보화사회의 무한경쟁과 속도전쟁에서 웰빙(Well-being)과 다운시프트(Downshift)로 대표되는,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개인의 행복 추구가 현대인의 새로운 화두가 되었으며, 이제 문화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발전, 국부창출, 국가경쟁력 향상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원 선거가 실시되면서 본격적인 지방자치제가 시작되었는데, 최근에는 문화정책에 있어서도 지방분권화가 강조되어 문화정책의 실질적인 지원주체로서 각 지방정부가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정부의 문화정책은 이벤트적 요소를 띤 행사 차원에 머무르고 있으며, 문화행정의 활성화는 자치단체장의 선호와 의지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지방정부 문화행정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문화와 문화행정의 개념, 선행연구, 문화행정의 새로운 경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추적인 기능을 하는 지방자치단체인 서울특별시의 자치구, 특히 서대문구의 문화행정 현황, 정책방향, 그리고 개별적인 사업의 사례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서울시 자치구 문화행정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자치구 문화행정의 문제점으로 업무가 중첩·분산되는 조직체계, 문화행정 담당인력의 전문성 부족, 점증주의적 예산편성, 공급자 중심의 문화행정, 문화기반시설의 부족을 지적하고, 업무 중심의 조직체계 정비, 개방적인 인사제도를 통한 전문인력 확보 및 NGO와의 공동생산, ZBB 예산편성, 소모적인 1회성 연례행사 지양 및 지속적인 문화 프로그램 개설을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했다. 특히, 1회적인 접촉, 내방, 관람이 아니라 예술을 지속적으로 향유하는 문화시민을 개발하기 위한 관객개발과 시민교육의 방안으로 시민들이 책과 도서관에 손쉽게 다가갈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하고 그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최근 많은 지방정부가 문화의 선진화를 통한 시민의 문화복지, 경제적 효용성, 지역경제 활성화를 핵심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문화행정은 공공재의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부가가치와 경제적 효용성이 창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장기적인 안목으로 문화시설의 건립과 시민교육에 투자하는 행정 마인드를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강조되고 있는 컬처노믹스, 콘텐츠, 스토리텔링, 이미지, 브랜드 구축은 문화기반시설과 생활의 문화화가 확립되면 자연스럽게 수반되는 것으로 보았다.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점, 그 영역이 광범위하고 지식정보사회 이후의 최근 시류가 매우 역동적이라는 점, 그리고 대중성과 정예주의가 적절하게 조화되어야 한다는 점 등으로 인해 문화행정 발전에 있어 최적의 대안을 도출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향후 지속적인 정책개발, 분석, 평가, 그리고 연구 분석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 : 서울시, 자치구, 서대문구, 문화행정, 시민교육, 문화기반시설

      • 회귀나무 구성에서 변수선택 편의에 대한 연구

        김민호 水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Breiman, Friedman, Olshen and Stone (1984)의 전체탐색법에 의한 회귀나무는 분리가 가능한 점이 많은 변수를 분리변수로 선택하려는 편의 현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변수선택편의가 없는 회귀나무를 만들고자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노드의 분리변수를 선택하는 단계와 그 선택된 변수에 의해 이진분리를 위한 분리점을 찾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변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연속형 예측변수에 대하여 스피어만의 순위상관계수에 의한 검정을 실시하고 범주형 예측변수에 대하여 크루스칼-왈리스의 통계량에 의한 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한 변수를 선택하였고, 분리점을 찾는 단계에서는 선택된 변수에만 Breiman et al. (1984)의 전체탐색법을 적용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변수선택 편의, 변수선택력, 그리고 평균제곱오차 측면에서 Breiman et al. (1984)의 CART와 제안한 알고리즘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두 알고리즘을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효율을 서로 비교하였다.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Algorithm which uses an exhaustive search method proposed by Breiman, Friedman, Olshen, and Stone (1984) has the so-called variable selection bias problem toward a variable that has many possible splitting points as a splitting rule of a node (Loh and Shih, 1997; Lee and Song, 2002). We propose an algorithm for constructing unbiased regression tree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wo steps which select a variable which is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target variable and then find a binary split rule based on only the selected variable. In split variable selection step, both a test based on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the Kruskal-Wallis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are applied to measure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each predictor variable and the target variable. In split point determination step, we apply the exhaustive search method of Breiman et al. (1984) to only the selected variable. We compare CART with the proposed algorithm in terms of variable selection bias and variable selection power on the root node of trees and mean squared error as a measure of accuracy of trees through simulations. Finally, we illustrate the proposed algorithm with real data s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