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민정의 피아노를 위한 Joy to the angel 분석

        김민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김민정의 피아노를 위한 Joy to the Angel (2000)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이 작품은 필자가 연세대학교 음악 대학원 재학 시에 작곡한 곡이며, 2000년 11월 21일 석사 졸업연주로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윤주용홀에서 초연되었다. 이 곡은 표제가 붙은 음악이지만 표제에 맞는 직접적이며 개념적 의미보다는 사랑하는 필자의 아기를 생각하며 느낌 위주로 작곡된 곡이며, 단악장 구성의 4부분 형식의 곡이다. 또한 피아노의 음역이 최대한 활용된 피아노를 위한 곡이며, 졸업연주용으로 작곡되었기에 구조적으로는 전통양식을 따르면서 좀 더 청중에게 다가가기 쉬운 현대적인 어법이 가미되었다. 즉 피아노를 통한 음색 변화의 추구보다는 현대적인 음악어법이지만 대중에게 공감이 갈 만한 선율과 화성으로 쓰여졌다. 빠르기, 박자, 선율, 음계, 화성, 리듬 구조적인 면으로 볼 때 A-B-C-A'의 4부분으로 나뉘는 이 곡은 전체적인 음형이나 리듬으로 음악적 통일성을 주고자 했으며 A로의 재현은 전통적인 형식으로의 복귀를 의미한다. 또한 각 부분마다 클라이막스 위치와 유도과정을 비슷하게 설정하여 통일감을 형성하였다. B와 C부분에는 선법과 온음음계의 사용으로 인한 새로운 화성과 리듬이 나타나 곡의 신선함을 더하며 마지막에는 생동감 있는 A부분이 A'로 회귀하고 짧은 도입부와 코다는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통일성을 갖추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analytical study of Joy to the Angel for Piano (2000). This is a work composed by the composer when she was in Graduate School of Music, Yonsei University. It was premiered on November 21, 2000 for a master's degree at Yoonjuyong Hall, College of Music, Yonsei University. Although it was entitled as shown in the title, it was composed principally based on the thinking and feelings of the loving baby of the composer, rather than on direct and conceptual significations fitted to the title, consisting of four sections in a single movement. Furthermore, this work is a composition for the piano that best used the range of the piano. In as much as it was composed for a master's degree, it complied with the traditional style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with the addition of a modern technique which provided an easier access to the audience. That is, it was composed with such melodies and harmonies as can be sympathized to the general public thought by a modern musical technique rather than in pursuit of changes in timbre through the piano. This composition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of A-B-C-A'when viewed from the structure of the tempo, time, melody, scale, harmony, and rhythm. It intended to present, however, a musical unity with the overall figures and rhythms, and reproduction to A' implies recapitulation to the traditional style. Moreover, the similar establishment of the position and introductory process of a climax in every section led to generate a sense of unity. In section B and C, there emerge new harmonies and rhythms using a mode and the diatonic scale, which adds freshness. Finally vital A return to A', the short introduction and coda represent a great unity in framework using the same material.

      • 김민정의 작업일지 : 흐린 풍경

        김민정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79

        When I look at the usual scenes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I could start to draw my artwork. They are based on vague perspective of real objects. As everyday objects I faced are blurred, I could have exited real world and had fallen into a daydream , only to feel relieved. At first, I focused on showing a vague scene with fog as it had existed. As time passed, I consciously tried to see the daily sights with a dreamlike and fantastic view. Through the process of the work, it was pleasant and could find a way out from monotonous, repetitive daily life even if my situation didn't change at all. I can feel that I am still living the same simple life but I have a wider and more open eye for reality. If you look around the world, there are various cultures, however, everyone has a similar way of life. When I see other people, their lives and situations are nicer and better than mine, but they also might feel duller and more boring with their lifestyl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how I felt and thought about my routine. I have a different point of view of my surroundings through this working. I could become satisfied with my situation and environment. However, as when the mist clears when the sun rises, at one point I also returned to the world and faced real situations with a lot of stress and pressure. That's why one can see depression and darkness in my works. I will be between reality and idealism just like as I am now. I will continuously pursue what I desire with an open mind and won't be afraid to face something new and unfamiliar.

      • 중학생과 대학생의 블로그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김민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자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블로그를 많이 이용하는 중학생과 대학생이 어떠한 욕구나 동기를 가지고 블로그를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블로그 이용동기, 이용행태, 블로그에 관심 감소 이유의 하위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학생과 대학생의 블로그 활용도, 인터넷 중독정도, 정서안정도 정도, 내외향성 정도는 어떠하며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조사대상자의 블로그 이용동기와 이용행태에 따라서 유형별로 세분화하고 유형집단별로 인터넷 중독정도, 정서안정도 정도, 내외향성 정도, 블로그에 관심 감소 이유, 블로그의 활용도와 인구학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FGI와 설문지 조사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블로그에 대한 이용동기와 행태 그리고 관심 감소 이유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해 기존 선행연구를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1개교와 대학교 2개교의 남·녀 학생 4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요인 분석, t-test, K-Mean 평균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블로그 이용동기의 하위 요인으로는 자기표현 동기, 오락적 동기, 대인적 동기, 도피·습관적 동기, 학습·정보추구적 동기의 다섯 개의 요인이 파악되었다. 블로그 이용행태의 하위 요인으로는 자기표현과 친교 이용, 정보와 오락 이용의 두 개의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블로그에 관심 감소 이유의 하위 요인으로는 블로그의 내용상 실망, 관리부담·흥미감소, 부작용의 세 개의 요인이 파악되었다. 둘째, 블로그 이용동기, 이용행태, 관심 감소 이유간의 관계에서 모든 이용동기와 이용행태는 상호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인 블로그 이용자 거의 모두가 자신의 이용동기와 일치하는 이용행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자기표현과 친교이용유형은 블로그의 내용상 실망, 관리부담·흥미감소, 부작용과 상호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정보와 오락이용유형은 부작용과 상호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과 대학생의 블로그 이용 실태와 활용도, 블로그 이용동기, 이용행태, 관심 감소 이유에 대해서 빈도분석과 차이분석(t-test)결과, 조사대상자의 86.5%가 블로그를 이용해 보았으며, 블로그를 이용해 본 응답자 중 61.3%인 반 이상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블로그 이용여부”는 대학생이 높았으며, “운영 블로그 여부”에서는 중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학생과 대학생의 블로그의 이용동기, 이용행태, 관심 감소 이유의 요인의 차이 분석한 결과, 대학생이 중학생보다 “자기표현동기”와 “학습·정보 추구적 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와 오락이용”은 중학생이 높았고 “자기표현과 친교이용”은 대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블로그의 내용상 실망”과 “관리부담 ·흥미감소” 요인에서 대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은 중학생보다 블로그를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학업에 필요하고 관심있는 정보와 자료를 찾기 위해 이용하고 실제로는 친구들과 채팅이나 쪽지를 보내는 의사소통의 장으로 일상이나 생각을 기록하는 자기표현과 친교로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이 중학생보다 블로그에서 유통되는 정보의 신뢰성, 진실성, 전문성에 대한 불신이 늘어가고 무례한 댓글과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고 블로그의 관리부담과 흥미감소 때문에 블로그에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중학생은 실제로 블로그를 정보를 찾고 재미와 즐거움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중학생과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정도, 정서안정도 정도, 내외향성 정도의 특성은 어떠하며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반 이상이 비중독자이고 중독초기는 33.1%로 나타났다. 이는 서주현(2001)과 서영창(2006)연구에서는 결과보다 본 연구에서는 비중독자의 비율이 높았고 중독초기와 중독 중증은 비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중독 정도와 정서안정도 정도는 대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외향성 정도는 중학생이 대학생보다 더 외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블로그 이용동기와 이용행태에 따라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이용자들을 세분화한 결과 소극적 블로그 이용집단과 적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으로 유형화 되었다.적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이 236명, 소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이 169명으로 적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이 더 많이 속하였다. 적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은 소극적 블로그 이용집단 보다 자기표현 동기, 대인적 동기, 오락적 동기, 도피·습관적 동기, 학습·정보추구적 동기 모두 높게 나타나서 블로그 이용동기가 높은 집단이다. 그리고 블로그 이용행태의 하위 요인에서도 자기표현과 친교이용, 정보와 오락이용 모두 높게 나타나서 블로그 이용행태도 높은 집단이다. 이 유형은 블로그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모두 높은 블로그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집단이다.그리고 적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은 소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에 비해,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고 외향적이었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이 블로그의 내용에 실망하고 관리에 부담을 느끼며, 흥미가 감소하였고 부작용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블로그 이용집단은 블로그를 활용하는 정도가 높았고 여학생의 비율이 높았으며 대학생이 많이 속해 있었다. 본 연구는 복잡하고 급변하는 인터넷 소비행동에 전반적인 이해에 도움을 주며, 인터넷 중독자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블로그를 많이 이용하는 중학생과 대학생의 소비행동을 예측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중학생과 대학생이 블로그를 통해 “학습이나 정보동기를 유발”하고 블로그에서 유통되는 정보의 신뢰성과 진실성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블로그를 하면서 오는 부정적 경험을 낮추어서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고, 사생활 침해의 경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쉽고, 안전한 블로킹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on the motives and behaviors of Blog utilizing for middle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o were frequent users of Blog and high portion of internet addiction. I tried to find the sub-factors of the Blog using motives, the Blog using behavior, and the reasons for reduced interests toward Blog, and to fi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I investigated the tendencies of Blog utilizing degrees, level of Internet addiction, level of emotional stability and level of internal·external tendency for middle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nd I tried to find the typology based on Blog utilizing motives and behaviors, an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such as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level of emotional stability, level of internal·external tendency, reasons for reduced interests for Blog, level of Blog utilization, sex and age. In order to accomplish above mentioned study objectives, FGI and survey research were simultaneously used during research process. Through in-depth interview I improved the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ward 475 male, female students of 1 middle school and 2 colleges located in Daegu and Kyungbuk areas. SPSS 1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cross-tabs, factor analysis, t-test, and K-mean cluster analysis for collected data. The research show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5 factors such as self expression, entertaining, interpersonal, evasive · habitual, and academic · information seeking of Blog utilizing motives were found. 2 factors such as self- expression · friendly relations, and information & entertainment of Blog utilizing behavior were found. 3 factors such as disappointment toward Blog contents, burden in management · reduced interest and side effects for the reduced interest toward Blog were found. Second, Blog utilization motives, Blog utilization behavior, and reasons for reduced interest have mutual direct influences. Most of Blog users experience correspondencies between using motive and behavior. Self-expression and friendly relation fact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disappointment in Blog contents, burden in management·reduced interest and side effect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factor showed mutual direct influence with side effects. Third, 86.5% had experience of using Blog and 61.3% of Blog users have their own Blog.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Blog usage rate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ve higher Blog operation rate. As a result of different factor analysis for Blog usage motive, usage behavior and reasons for reduced interest toward middle school and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showed higher "self-expression motive" and "Academic·information search motiv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lso college students showed higher "Self expression and friendly relation usage"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usage". College students showed higher "Disappointment on Blog contents", "Burden on management·reduced interest" factors. Therefore college students used Blog to mak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thinking and express themselves to others. In reality college students utilized Blog for communication purposes such as chatting and sending messages as well as recording of self-expression or friendly relations. Also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more lack of confidence on reliability, faithfulness and professionalism on information distributed on Blog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risks for impolite replies and violation of personal life, burdens on management and reduced interest result reduced interest in Blog. Middle school students utilized Blog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academic or interested areas as well as entertainment purposes. Fourth,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and 33.1% showed the initial addiction level. The rate of non-addiction showed higher than study of Joo Hyun Seo (2001) and Young Chang Seo (2006). For the level of internal-external tendenc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more external tendency than college students. Fifth, by Blog using motive and behavior of participant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for segregation of users, they were divided into passive Blog user group and active Blog user group. Active user group had 236 participants and passive user group had 169. Active user group has higher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had external tendency than passive user group as well as lower mental stability. Also active user group experienced more disappointment in Blog contents, felt more burdens in management, reduced interest and side effects than passive user. Active user group had higher Blog utilization, higher ratio of female students and mor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provided overall understanding of complex and fast moving internet consuming behavior especially to forecast consum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o are heavy users of Blog and have significant ratio of internet addicts. With these facts, companies must pursue higher reliability and faithfulness on information distributed in Blog. Also For reducing negative experiences in Blog they have to develop the systems for satisfying various desires of users and reducing violation of personal life.

      • 남성들의 피부미용 관심도와 화장품 사용에 관한 연구

        김민정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남성들의 피부미용 관심도와 화장품 사용에 관한 연구 김민정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오늘날 사회변화 중 가장 큰 것은 남성들이 외모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외모를 가꾸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여성의 전유물로만 여겼던 피부미용을 이제 남성들도 공유하게 되었고 남성들의 삶에 외모는 능력과 더불어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사회ㆍ문화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패션과 미용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그루밍 족’이란 신조어가 널리 쓰이고 남성들의 위한 다양화되고 세분화된 제품 등 남성을 위한 피부미용 및 화장품시장이 더욱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피부미용분야의 주요한 소비 세력으로 주목 받고 있는 남성들의 피부 미용관심도에 대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화장품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하여 남성들의 피부미용과 화장품에 대한 인식변화와 남성화장품 시장의 급속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광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이상 남성 296명을 2013년 1월15일∼2013년 2월28일까지 45일 동안 임의 표집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성들의 피부 관리에 대한 관심도와 화장품 사용 실태 및 구매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Chi-square)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첫째,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 정도를 살펴본 결과 보통이라는 응답이 38.2%로 가장 많았고, 약간 관심이 있다가 23.3%, 거의 관심이 없다가 21.6%, 매우 관심이 있다가 10.5%, 전현 관심이 없다가 6.4% 순으로 나타나 남성들이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타입은 건성피부25.7%, 복합성 피부 25.3%, 지성피부 20.3%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지성피부의 분포가 높아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피부를 고려하여 제품을 구입하는 여부는 50.3%가 자신의 피부를 고려하여 제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하였고, 연령별로는 20대(65.6%)와 30대(52.8%)는 제품 구입 시 자신을 피부를 고려하여 구입한다고 응답하였고, 40대 이상 66.4%로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자신의 피부를 고려하지 않고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다. 피부상태에 대한 고민 중에서 건조ㆍ당김(44.9%), 각질(34.5%), 모공(33.4%), 칙칙한 피부 톤(34.5%), 주름(39.5%)에 대해서는 고민정도가 보통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기미,ㆍ잡티(31.8%),로 심각하지 않다고 대답하였고, 검버섯(37.5%), 여드름(39.9%)은 전현심각하지 않다고 대답하였다. 최근에 느끼고 있는 피부고민에 대해서 어떤 해결 노력을 하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 55.1%가 자연치유 한다고 응답하여 피부고민을 해결 데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들이 피부미용관련 정보는 TV와 인터넷(23.3%)으로 정보를 얻는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화장품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들의 보통 기초화장품 사용단계를 분석한 결과 65.5%가 클렌징(세안)+스킨+로션까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들이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 남성이 58.1%로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남성 41.9%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응답자에 한해서 기능성 화장품 사용하는 정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미백관련제품과 주름관련제품, 자외선 차단제품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력관련 제품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기능성화장품을 사용에 관한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 주름관련기능성화장품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차이를(p<.05) 보였다. 셋째, 화장품 구입형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50.3%가 본인스스로 구입한다는 응답하여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 남성이 다른 남성보다 본인이 직접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고, 40대남성은 다른 남성보다 부인이 많이 구매하는 해주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화장품을 직접 구입 시 판매처에서 얼마나 자주 구매하는가에 대해 연령에 따라서 조사한 결과 화장품 전문점에서 주로 30대(41.2%)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고, 홈쇼핑에서 주로 20대(60%)가 자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으로는 20대가 55.6% 자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0대는 41.5%가 구매하지 않는다고 대답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기초화장품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브랜드 이미지와 유명도 40.5%, 제조사의 신뢰 38.2%, 가격 37.8%, 향 31.1%, 디자인 36.8%, 샘플 39.5%로 보통이라고 응답하는 응답자가 많았으며, 광고, 광고모델 35.5%, 가족, 친지,ㆍ친구의 권유는 29.4%로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하였고, 피부

      •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미술 융합교육이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에서는 수학 학습상황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흥미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2012년 교육과학시술부에서 발표한 수학 선진화 방안의 내용 중에서 수학과 타 교과간의 통합교수학습을 바탕으로, 미술교과와의 통합 수업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미술 융합교육을 위한 교재를 개발한다. 둘째,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미술 융합교육에 의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 및 호응도를 조사한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융합인재교육 즉, STEAM교육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선행 연구된 자료를 통해 교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의 중요성과 미술교과와의 통합 수업을 통해 배우는 수학적 가치와,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교재들에 대하여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스팀교육을 위해 수학과 교육과정과 테셀레이션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개발된 학습 자료를 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원리를 탐구라는 시간을 가지고 직접 체험 활동을 통하여 작품 속에서 스스로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수학적 아름다움을 느끼고,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테셀레이션을 만들어 보는 직접적인 활동을 통하여 다각형의 각과 모양, 대칭변환, 규칙과 패턴 등의 수학적 개념을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수학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켜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article, the research is focused on the way to enhance interest which is important when learning mathematics. In the Mathematics Advanced Pla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2, based on the combined learning and teaching among subject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attract students' attention through a class that was combined with the subject of ar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substance of the research was set up. First, development teaching material for Mathematics & Art convergence education employing Tessellation Second, survey students' recognition and the rate of hailing each other on mathematics by Mathematics & Art convergence education employing Tessellation For the research, STEAM was surveyed first, mathematical value through the importance of attracting attention on the subject and convergence education with art was studied, and so was ancient texts on the teaching materials employing Tessellation through the materials of preceded researches.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Tessellation for STEAM was analyzed with this theoretical review.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set up with the review of preceded researches. Students themselves can have time to research the principles through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to understand mathematical notions, to feel mathematical beauty, and to attract the interests to mathematics in direct experience activities. Students can naturally learn the mathematical notions such as angles and shapes of polygons, conversion of symmetry, and rules and patterns through direct activities which makes Tessell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learning with an interest on mathematics.

      • 경로점을 고려한 우주비행체의 스킵 궤적 최적화

        김민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주비행체가 스킵 비행을 하면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경로점을 고려하여 스킵 궤적을 최적화하였다. 스킵 궤적 최적화 문제는 하강제어단계, 임무 단계 및 상승제어단계로 구분하였다. 하강제어단계에서는 비행체가 대기권 진입을 시작으로 경로점 1로 하강하여 첫 번째 임무를 수행한다. 임무 단계에서는 경로점 1에서 경로점 2로 고도를 유지하여 비행하며 지정한 임무를 수행한다. 상승제어단계는 비행체가 임무를 모두 수행한 후 스킵아웃하여 궤도요소로 지정한 최종 궤도로 상승하는 단계이다. 비행체가 스킵 단계 후에 다음 임무나 기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행체의 연료 소비를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비행체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열 유속, 동압, g-load와 같은 경로구속조건을 설정하였다. 또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계 조건을 지정하였다. 임무 프로파일은 우주비행체가 스킵 단계를 수행하면서 각 경로점을 경유하며 무기투하와 같은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정하였다. 스킵 궤적 최적제어문제를 수치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hp-adaptive Radau 유사 스펙트럴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상용 최적 제어 소프트웨어인 GPOPSⅡ를 이용하여 스킵 궤적을 최적화하였다. 최적화한 결과로 최종 궤도의 경사각의 크기에 따른 연료소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kip trajectory optimization problem for a spacecraft considering waypoints is divided into a down-control phase, a mission phase, and an up-control phase. The down-control phase descends to the waypoint to perform the mission. During the mission phase, the aircraft maintains the altitude and passes through the waypoint. At each waypoint, the aircraft can perform missions such as dropping weapons and strike at desired area. In the up-control phase, the aircraft performing all missions uses the thrust to ascend to the final orbit specified by the orbital element. In addition, path constraints such as heat flux, dynamic pressure, g-load and boundary conditions for each phase were set. Changes in the trajectory and mass of the spacecraft were confirmed by varying the magnitude of the inclination in the final boundary conditions. The skip trajectory optimization problem was solved numerically using GPOPSⅡ based on the hp-adaptive Radau pseudospectral method.

      • 초등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김민정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he understanding and the recognition of transition education among teachers for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 successful switch of disabled students to junior high schools or to the community. The data for this study was gathered via a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175 of the teachers for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30 questions about understanding, practice, and tasks of transition education. All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17.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understand transition education relatively well based on their purposes of education, adapting and integrating their students to the community, and their exertion to trying to execute transition education. Second, the level of their recognition of transition education is relatively low, and they don't execute it systematically because of the absence of various programs which are targeted to teachers. Third, opening some training for transition education or including transition education to existing special classes will help disabled students to switch much successfully.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s are suggested to expansive understanding of transition education for teachers for special class in elementary school. First, the sufficient equipment, and the development of some programs for transition education are needed. Second, quality research for the process of transition education is needed. Finally, to understand the general tendency of the practice and understanding of transition education, any comparison research or more wide research subjects are needed.

      • 관세법상 실질과세원칙의 적용에 관한 연구 : -납세의무자를 중심으로-

        김민정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one of controversial issues about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in the Customs Act of Korea is who a taxpayer is when an import declarer is different from the person that an effect of import belongs to. The current Customs Act stipulates a taxpayer as ‘the owner of goods who imports the goods’, however there is still a gray area because a taxpayer will be changed according to interpretation of this article. In addition, as a fundamental matter,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whether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can be applied in customs law. Although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s that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s can be applied customs law, some scholars still argue that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must be applied very narrowly because the Customs Act of Korea itself doesn't have provision on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and a tariff is imposed on imported goods and considered as an indirect tax. Moreover, district and appeal courts apply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in the Customs Act on a case-by-case basis, thus it hinders legal stability. However, first of all, natures of tariff, a tax on goods and an indirect tax, are not reasonable grounds to rule out application of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in customs law. In terms of tax on goods, taxable capacity on profit of acquisition of goods can be recognized because actual belonging of goods isn't different from that of income in view of the fact that an actual payer for tariff is a person. In terms of an indirect tax, it is no sufficient ground to limit application of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that a tariff is supposed to be shifted onto others because a shifting and incidence of tax among parties depends on their economic circumstances. Furthermore, even though the Customs Act of Korea itself doesn't have provision on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this principle must be naturally recognized in customs law because it is a fundamental doctrine of tax and its contents are not different from domestic tax and local tax. However, absence of provision of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adds confusion to application of this principle in the Customs Act, therefore, it is more desirable to definitely stipulate this article in the Customs Act of Korea. Lastly, a current provision in the Customs Act, which is stipulated as ‘the owner of goods who imports the goods’, may act as to limit application of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however the person that an effect of import actually belongs to must be considered as a taxpayer in order to achieve goals of customs law, such as securement of financial revenue and protection of domestic industry. This interpretation also corresponds with legislative's intent to recognize a taxpayer substantially rather than superficially. Moreover, in terms of legislation, it is desirable to revise this clause from ‘the owner of goods who imports the goods’ to ‘the importer of goods’, so it helps to impose tax according to economic substance. 관세법상 실질과세원칙이 주로 문제되는 경우는 수입신고인과 실제 수입의 효과가 귀속되는 자가 다를 때, 누가 납세의무자인가에 대한 것이다. 현행 관세법의 법문언상에는 납세의무자가 ‘수입물품의 화주’로 규정되어 있으나 해석에 따라 그 주체가 달라질 수 있어 혼란의 여지가 있다. 그에 앞서, 더욱 근본적인 측면으로 들어가 관세법에 실질과세원칙이 적용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대법원에서 실질과세원칙이 적용된다고 했음에도 수입물품에 대하여 부과되는 대물세․간접세인 관세의 특성과 관세법에 실질과세원칙 규정이 없는 점에 비추어, 그 적용범위를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고, 일선 법원에서도 관세법상 적용되는 실질과세원칙의 의미를 사안에 따라 달리 보고 있어 법적 안정성이 저해되고 있다. 그러나 먼저, 관세가 대물세․간접세인 특성은 실질과세원칙의 적용범위를 달리 볼 근거가 될 수 없다. 대물세 측면에서 보면, 물건에 담세력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세금을 내는 것은 개인이므로 그 물건의 실질귀속은 소득의 실질귀속의 문제와 다르지 않다. 간접세 측면에서 보면, 부과된 세금이 어떻게 전가되는가는 당사자 사이의 경제적 조건에 달려있는 것이므로 전가가 예정되어 있다는 이유로 실질과세원칙의 적용을 제한하여야 한다고 볼 수 없다. 다음으로, 관세법에 명문의 규정이 없다고 하더라도 실질과세원칙은 조세법의 기본원칙으로서 관세법 영역에 당연히 적용되는 것이므로, 그 내용도 내국세나 지방세의 경우와 같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규정형식의 특수성으로 인해 관세법상 실질과세원칙의 의미에 대해 혼란을 겪고 있으므로 입법론으로는 관세법에 국세기본법상 실질과세원칙 규정을 준용하는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현재 법규정상 납세의무자가 ‘화주’로 규정되어 있음으로써 실질과세원칙의 적용 한계로 작용하고 있으나, 재정수입확보와 국내산업보호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관세제도의 목적상 수입의 효과가 귀속되는 자를 납세의무자로 보아야 한다. 이와 같이 해석하는 것이 납세의무자를 형식적인 수입 신고인에서 실질적인 수입의 효과가 귀속되는 자로 결정하고자 개정한 입법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것이다. 입법론으로는 납세의무자 규정을 ‘물품을 수입하는 자’로 개정하여 경제적 실질에 따른 해석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