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건소의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이 주민 신뢰도와 애호도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민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주민 지향적인 관계마케팅 실행 요인에 대한 주민의 지각이 주민 신뢰도와 애호도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보건의료 행정서비스의 발전과 행정서비스에 관계마케팅 적용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관계마케팅과 행정서비스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이 인정된 측정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2006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 까지 광주광역시 D 보건소를 이용한 주민 297명에게 직접 설문조사하였다. 보건소의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을 관계지향성, 약속이행성, 마케팅활용성, 응답성, 유인성, 주민 정보이용성등 6가지 요인으로 설정하여 보건소 관계마케팅 실행요인과 주민 신뢰도, 주민 애호도 및 재이용의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민 신뢰도, 애호도, 재이용의사에 대한 상관관계는 요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581 이상)를 보였다(p<.001). 주민 신뢰도, 주민 애호도, 재이용의사에 대한 상관계수가 높은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은 유인성과, 정보이용성으로 나타났다. 보건소의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이 주민 신뢰도와 애호도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민 신뢰도에 영향이 높은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은 관계지향성, 마케팅활용성, 유인성, 주민 정보이용성으로 나타났다. 보건소를 이용하는 주민 애호도에 영향이 높은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은 관계지향성, 응답성, 유인성, 주민 정보이용성이었다. 보건소를 이용하는 주민이 보건소를 재이용하고자 하는 의사에 영향이 높은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은 관계지향성, 주민 정보이용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행정기관에 관계마케팅을 도입 적용할 경우에는 행정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인 일반주민과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방향과 보건소 등 행정기관에 대한 이용 특성을 고려한 유인성 전략을 추진한다면 주민의 신뢰도와 애호도가 증대되어 보건소 등 행정기관의 재이용으로 이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 목표위치에 따른 볼링투구동작 분석

        김민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목표위치에 따른 볼링투구동작의 패턴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볼링경력이 4년 이상의 여자 고교 선수 4명을 대상으로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영상을 통해 볼링투구동작을 분석하였으며, 근전도를 이용하여 투구동작과정에 나타나는 근육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번 핀을 처리할 때는 스트라이크존을 겨냥하기 위하여 스탠스위치를 가운데 위치하여 투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구하는 오른쪽 어깨축에 대하여 전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대상자는 핀의 처리보다 스트라이크존의 정확한 투구를 위하여 신체중심위치의 좌우이동이 낮게 나타났고, 릴리즈구간에서 수직속도가 낮게 나타났다. 목표위치를 향하여 고관절회전각은 다운스윙에서 백스윙정점까지 크게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번 핀을 처리할 때는 스트라이크를 겨냥하여 던졌던 1번 핀의 스탠스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대각선방향으로 투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구하는 오른쪽 어깨축에 대하여 7번 핀은 좌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대상자의 신체중심위치의 좌우이동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릴리즈구간에서 소요시간과 수평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어깨기울기각은 백스윙정점에서 릴리즈구간으로 갈수록 크게 증가하였으며, 좌측방향으로 투구동작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어깨회전각이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육 동원양상을 보면, 비복근이 백스윙구간에서 릴리즈시점까지, 삼각근, 상완삼두근은 팔로우드로우구간에서 높은 근 활동량을 보였다. 10번 핀을 처리할 때는 스트라이크를 겨냥하여 던졌던 1번 핀의 스탠스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대각선방향으로 투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구하는 오른쪽 어깨축에 대하여 10번 핀은 우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1번 핀처럼 목표위치를 겨냥할 경우 대부분 거터에 떨어지기 때문에 연구대상자들은 스트레이트에 가까운 구질을 사용하였고, 신체중심위치의 좌우이동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릴리즈구간에서 어깨회전각과 동체뒤틀림각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육 동원양상을 보면, 상완이두근이 릴리즈구간에서 높은 근 활동량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는 볼링투구동작은 어깨축을 중심으로 목표위치가 좌·우측에 위치하여 신체중심위치, 속도와 상체의 어깨, 고관절회전각이 릴리즈구간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어 목표위치는 볼링투구동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위치에 따른 방향조절능력을 높일 수 있는 일관된 투구동작 패턴을 극대화 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row mo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target position in bowling. Four female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with more than four years of bowling experiences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Their bowling throw motions were analyzed through three-dimensional images using video cameras and muscular activities in their throw motions were analyzed through the electromy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a subject treats the 1st pin, she throws a ball locating the stance point into the middle to aim at the strike zone. As the 1st pin exists in front of the right shoulder axis of the thrower, the movement of the body center from side to side is low and the horizontal speed appears low in the release section. This is because the thrower aims at throwing correctly into the strike zone rather than treating pins. The spin angle of a coxa for the target position is largely kept from the downswing to the backswing peak point. When a subject treats the 7th pin, she throws a ball diagonally moving on the right side at the stance point of the 1st pin that aims for a strike. As the 7th pin exists at the left side for the right shoulder axis of the thrower, the movement of the body center of the thrower from side to side is the largest. In addition, the time required and horizontal speed appear the highest in the release section. The slant angle of a shoulder is largely increased as she moves from the backswing peak point to the release section. The twist angle of a shoulder also appears small as a throw motion is made toward the left side. In the muscles mobilization aspect, the gastrocnemius from the backswing to the release section, the deltoid muscle and the upper triceps in the follow-throw section show high muscular active mass. When a subject treats the 10th pin, she throws a ball diagonally moving on the left side at the stance point of the 1st pin that aims for a strike. As the 10th pin exists at the right side for the right shoulder axis of the thrower, in case the target position just like the 1st pin is aimed, most balls falls into the gutter. So, the subjects of this study choose the ball direction similar to the straight and then the movement of the body center from side to side appears the lowest. The spin angle of a shoulder and the twist angle of a body in motion appear the largest in the release section. In the muscles mobilization aspect, the upper biceps in the release section show high muscular active m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uggestion can be made: The target position has influence on the throw motion in bowling, being located on the right or left side for the thrower's shoulder axis and causing the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body center, the speed, and the .00spin angle of a shoulder or a coxa in the release section. Therefore we should maximize the consistent throw motion patterns to enhance the ability of direction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target position.

      • Peroxidase 활성에 의한 ROS 탐침의 산화

        김민수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세포들은 정상적인 신진대사뿐만 아니라 pathological 상태에서 활성산소종(ROS)과 활성질소종(RNS)을 생성한다. 따라서 ROS와 RNS의 정확한 정량은 세포의 생리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2’, 7’-dichlorodihydrofluorescein(DCFH₂)와 dihydrorhodamine-123(DHR-123)은 ROS와 RNS를 측정하는 탐침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 두 물질은 산화에 의해서 강한 형광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ROS와 RNS에 의해 탐침이 산화되는 상세한 mechanism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우리는 세포들 내에서 생성되는 주요 ROS와 RNS인 hydrogen peroxide(H₂O₂), superoxide(O₂??), nitric oxide(NO?), 그리고 peroxynitrite(ONOO-)와 탐침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Peroxynitrite만이 DCFH₂와 DHR-123을 직접 산화시켰다. Hydrogen peroxide는 단백질이 존재하고 peroxidase 활성이 있을시에만 탐침을 산화시켰다. Horseradish peroxidas(HRP)는 가장 효과적인 촉매제이다. Cytochrome c는 탐침의 peroxidatic 산화에 좋은 촉매제이고, peroxynitrite가 처리되었을 때 활성이 증가된다. HRP의 Compound Ⅰ 과 Ⅱ는 탐침을 산화 시킬 수 있으며, cytochrome c에서는 매우 불안정하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탐침의 산화에서 항산화제의 효능을 조사하였다. Peroxynitrite만이 catechin과 quercetin을 직접 산화시켰다. 항산화제는 다른 ROS와 RNS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그 대신 그들은 탐침에 대한 peroxidase 활성과 경쟁하여 탐침의 산화를 저해한다. Cells produce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ROS and RNS) not only during normal metabolism but under pathological conditions. Thus accurate quantitation of ROS and RNS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cellular physiology. The two most widely used probes for ROS and RNS are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CFH₂) and dihydrorhodamine-123 (DHR-123), both of which become strongly fluorescent upon oxidation. However, a detailed mechanism by which ROS and RNS oxidize the probes is not identified yet. We reacted the probes with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nitric oxide, and peroxynitrite, the major ROS and RNS produced within cells. Peroxynitrite was the only species that could directly oxidize both DCFH₂ and DHR-123. Hydrogen peroxide oxidized the probes only in the presence of proteins and chemical species with a peroxidase activity. Horseradish peroxidase (HRP) was by far the most efficient catalyst. Cytochrome c was a good catalyst for the peroxidatic oxidation of the probes and its activity was greatly enhanced when treated with peroxynitrite. Both Compounds I and II of HRP were able to oxidize the probes although they were too unstable to be detected in cytochrome c. Fin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probe oxidation. Only peroxynitrite could directly oxidize catechin and quercetin. The antioxidants could not efficiently scavenge the other ROS and RNS. Instead they inhibited the probe oxidation by competing for the peroxidase activity with the probes.

      • 중학생직업체험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민수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 and career maturit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ttended in work experience program, to find the effects of the work experience program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recommend the way to attract talented studen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For the objectives,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method were adopted. The population for survey was attendents of the work experience program opened on Kwangju Natural Science High School during 2012. 284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returned. 257 questionnaires excluded 27 questionnaires which has insufficient answers were analyzed by SPSS WIN(Ver19.0). The main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was 40.5% to 59.5% amo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work experience program. Second, the majority of schools which join in work experience program were placed near Kwangju Natural Science High School. The number of schools at Buk-gu were 19(54.3%) among 35 schools. Third, career decision was affected most by favorite subjects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work experience program. Favorite subjects wer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physical education, art, music, so on. And the most affected subjects on career decision are physical educati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music, art so on. The results were similar to each other. Fourth, jobs which were suitable for themselves in the future were self-employe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job, professions, office worker.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want to be a self-employee due to the nature of the major. Fifth, 42%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affected by teachers to decide career, 30.7% by friends. Schools were important place to decide career. Sixth, 44.3% of students found the information about career decision on the internet. It seems to reflect smart generation. Seventh, as for career maturity, the most students belonged to the middle group. Career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needed to be systematized and advanced. Eighth, as for satisfaction of work experience program, most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higher group(73.5%) were satisfied. The more satisfied maturity was, the better satisfaction of work experience program was. Ninth, 70.8%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work experience program want to enter the Kwangju Natural Science High School. The more students had high satisfaction, the higher possibility to apply the school was. Work experience program in high school had a effect on career decision. Tenth, work experience program was required to deal with more interesting, simple topics and have more chances to do. One of important factor for vocational schools to advance was to get superior freshmen through successful work experience program for junior high school. The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in an educational plan with an educational goal, a practical method and evaluating method. Then, a will of a principal was significantly important. The will leaded for instructors to be more active and for the program to advance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rough a better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 국내외 지하수관리 분석과 적정 개발가능량 산정을 위한 실용적 방법 개발

        김민수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차원에서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탑다운 방식으로 지정하고 관리하지만 미국과 일본에서는 소규모 지역 단위에서 대규모 유역까지 범위를 확장하며 관리하는 차이가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지표수와 지하수를 하나의 연결된 수자원으로 파악하고 수량과 수질을 동시에 관리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지하수위 변동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분석대상 지역이 관측정 중심 영향반경으로 한정되어 있어, 전체 유역으로 환산하는 데 있어 정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저유출분리법 혹은 지하수위 변동법과 병행하여 대상지역의 소유역별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계산할 수 있는 분포형 장기유출모형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의왕·과천·성남시를 대상으로 분포형 수문모형 SWAT-K를 사용한 함양률을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행정구역을 포함한 소유역내에서 실제로 관측한 수문곡선 자료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법을 이용하여 함양량 산정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시 강수량의 경우는 10년 최소강수량을, 함양률의 경우에는 10년 평균 함양률 값을 사용하고 있지만 함양률은 강수량이 작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평균 함양률을 사용하게 되면 현재 지침에 나와 있는 10년 빈도 갈수시의 함양량 보다 큰 개발가능량이 산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규모를 고려한 함양량으로 함양률을 재산정하여 개발가능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발가능량 산정 방법을 적용한 결과 소유역별 개발가능량은 기존 방법 대비 55.5~77.6%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지하수 개발·이용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해도 지하수의 보전·관리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In Korea, the exploitable groundwater is designated and managed in a top-down manner at the national level, but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from small regional units to large basins are managed according to the scale. In addition, in Europe,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are identified as one connected water resource, 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are simultaneously managed. Although the groundwater fluctuation method is the most widely adopted in Korea,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accuracy of converting to the entire watershed may be degraded because the area to be analyzed is limited to the influence radius of the center of the observation well. Therefore, in parallel with the baseflow separation method or th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apply a distributed long-term runoff model that can calcul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he recharge amount in subwatershed units in the target area. In this study, the recharge rate using the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SWAT-K was presented, and to support this, the feasibility of the calculation of the recharge amount was evaluated by using the baseflow separation method using the hydrograph actually observed in the watershed. In addition, when calculating the exploitable groundwater, the 10-year minimum precipitation rate is used for precipitation and the 10-year average recharge rate value is used for the recharge rate. If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xploitable groundwater will be calculated larger than the recharge amount at 10 years of drought frequency specified in the current guidelin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alculated the exploitable groundwater by recalculating the recharge rate with the recharge amount considering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ethod to Uiwang, Gwacheon, and Seongnam-si, it was found that the exploitable groundwater for each subwatershed in the region decreased to 55.5% to 77.6%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Although the improvement method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groundwater development and use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it can be said to be a desirable method in terms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groundwater.

      • 게임이론적 접근을 통한 수도권 광역폐기물매립시설의 비용 배분

        김민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도권매립지의 대체 매립시설이 될 수도권 광역폐기물 매립시설의 향후 10년 간의 총 매립용량과 건설비용 및 운영비용을 서울, 인천, 경기와 이들로 이루어진 연합별로 각각 추정하였다. 추정한 건설비용과 운영비용을 바탕으로 수도권 광역폐기물매립시설의 설치와 운영에 있어 규모의 경제가 있음을 밝혔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비용 배분 게임이 하위가산성을 만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게임이 균형게임이자 오목게임이라는 것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코아가 공집합이 아니며 샤플리밸류가 코아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샤플리 밸류, 중핵, 비례배분법, 그리고 분리비용 잔여편익법에 의한 배분안을 제시하고 이를 비교하였으며, 제시한 네 가지 방법에 의한 배분안이 모두 코아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cost allocation for a new landfill, planned to be construc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use by three municipal agents: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projected capacities, costs of construction, and operating costs of the new landfills for the next ten years are estimated for all possible coalitions of the three relevant agents. Based on this estimation I conclude that there exists economy of scale in the cost of building the new landfill, which implies the game is subadditive. Moreover, the game is balanced and concave. Finally, this paper compares the cost allocations using the Shapley value, Nucleolus, proportional, and separable costs-remaining benefits (SCRB) methods. I determine that all four cost allocation options are in the core.

      • 시설경영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대학 시설관리 항목 분석에 관한 연구

        김민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University facilities require the provision and maintenance of a certain or more physical environment as a spatial background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which the purpose of operation is to operate. In the case of university facilities, facility management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se specialities are more necessar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general office facilities that provide functions for simple purposes and residential facilities that are primarily designed for residential life.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achieving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university, it is urgent to develop a facility management plan that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a university facility, but in Korea,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reflects the needs of users as well as independent measures for managing university fac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pare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to reflect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data that can be referenced in the preparation of futur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plans through methods such as priority analysis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tems.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e spatial scope of research was limited to the basic education facilities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35 survey items, or survey tools, were developed to collect and integrate students' opinions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prior research and facility management manuals applicable to university facilities management. Afterward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tems were investigated to derive the results of prioritization and dimension reduction and causative relationship analysis that reflected the students' opinions. Further, the Act provided that these differences could be considered in the preparation of future plans for facility management by setting up eight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objectives by analyzing prior research and assessment manuals related to assessment indicators related to university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ems related to safety, crime prevention and security, and items related to hygiene and water supply showed high importance values, indicating that users had a high level of expectation in using university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only items related to security and indoor environment maintenance showed high satisfaction and fell short of the required level and requirements of th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tems required by studen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riticality responses related to the purpose of managing university facilities showed that two of the eight items showed high importance values and that students had high requirements related to cost reduction and utilization safet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university facilitie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tems, we found that the overall value of the IPA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value, resulting in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required level, that is, of the total 35 items, high input of human/physical resources to the level of importance, five items with excessive input of human/physical resources, and five items with low importance. Fourt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35 university facilities management items was grouped into total seven factors,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was presented by deriving items and objectives that affect the overall level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using those seven factors in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overall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n the future. Fifth, we looked at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to students and facility managers, considering that the causes of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facilities that are currently not being effective may have resulted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facility managers. As a result, overall,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rs was high in all areas, particularly for public-cost activities, with the largest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students and managers in terms of costs. In the case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efficient execution of post-conservativ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without systematic planning, and further investig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administration staff and professors will be conducted through complementary research to develop basic data on the universal application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methods. 대학시설은 대학의 운영 목적인 교육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인 배경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물질적 환경의 제공과 유지보수관리가 요구된다. 대학시설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순한 목적의 기능을 제공하는 일반 사무시설과 주거 생활을 주 목적으로 하는 주거용 시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한 시설경영관리 방안 마련이 더욱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고 대학 설립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대학 시설의 주이용자인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시설관리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지만 국내의 경우 대학 시설관리를 위한 독자적인 방안의 마련은 물론, 이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연구조차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효율적인 대학 시설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이었으며, 이에 따라 대학 시설관리 항목의 우선 순위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향후 대학 시설관리 방안 마련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교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교육기본시설로 한정하였으며, 기존 선행 연구 및 대학 시설관리에 적용 가능한 시설관리 매뉴얼 등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공간적 범위에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시설관리 항목의 수집 및 통합 작업을 거쳐 학생들의 의견을 수집할 수 있는 설문항목, 즉 조사도구 35개를 개발하였다. 이후 대학 시설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한 항목 간 우선순위 선정 및 차원축소, 인과관계 분석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추가적으로 대학시설 관련 평가지표 관련 선행연구 및 평가 매뉴얼 등을 분석하여 8개의 대학 시설관리 목적을 설정하여 학생들과 시설관리자 간의 인식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시설관리 방안 마련 과정에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 관련 항목, 범죄 예방 및 보안 관련 항목, 위생 및 물 공급과 관련된 항목의 경우 높은 중요도 값을 보여 이용자들이 대학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높은 수준의 기대 수준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만족도의 경우 보안 및 실내환경 유지보수관리와 관련된 항목들만이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학생들이 요구하는 대학 시설관리 항목의 요구 수준 및 요구 범위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 시설관리 목적과 관련된 중요도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총 8개의 항목 중 운영 비용 및 안전성관리 두개의 항목이 높은 중요도 값을 보이며 학생들이 대학 시설 운용과 관련하여 비용 절감 및 이용 안전과 관련된 요구 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 시설관리 항목의 결과를 바탕으로 IPA를 진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도 값에 비해 중요도 값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모든 항목에서 요구 수준 대비 낮은 만족도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35개의 항목 중 중요도 대비 높은 인적/물적 자원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즉 과다하게 자원이 투입되고 있는 5개 항목과 중요도 대비 낮은 인적/물적 자원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즉 지나치게 적은 자원이 투입되고 있는 5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35개 대학 시설관리 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총 7개의 요인으로 그룹화 할 수 있었고 향후 전반적인 대학 시설관리의 목적에 대한 회귀분석을 진행함에 있어 해당 7개 요인을 사용하여 대학 시설관리의 전반적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 및 목적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섯쨰, 마지막으로 현재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대학 시설관리의 원인이 학생들과 시설 관리자들의 인식차이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생들과 시설관리자들에게 대학 시설관리 목적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동일하게 진행하여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대학 시설 관리자들의 중요도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공공비용 관련활동의 경우 가장 큰 차이를 보이며 비용과 관련된 항목에서 학생들과 관리자들간의 인식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경우, 체계적인 계획 수립 없이 사후 보수식으로만 운영되고 있는 대학 시설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보완 연구를 통해 더 많은 공간적 배경과 행정 직원, 교수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대학 시설관리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여러 가지 정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민수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 과학 및 공학의 배경에는 미적분과 더불어 이산수학의 영역이 있는데, '이산수학'을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에서 이산적인 내용의 학습을 경험하고자 하는 모든 학생이 선택하여 이수하기에 알맞은 심화 선택과목이며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은 이산적인 상황에 맞는 이산적인 상황의 문제를 쉽고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생활을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어 학생들로 하여금 쉽게 흥미를 유발하여 접근할 수 있는 학습내용을 선택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이산수학의 중요한 주제인 알고리즘 영역 중 정렬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고 지도하는 방안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분야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응용되는 알고리즘이 정렬 알고리즘과 탐색 알고리즘이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정렬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The technological advances of the digital computer over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have resulted in several changes in all parts of the mathematical sciences. And discrete mathematics has now become a major area of mathematics in its own right. Discrete mathematics is a developing subject, owing to its links with computer science, statistics, and algebra. Discrete mathematics is the part of mathematics devoted to the study of discrete objects. Discrete mathematics is an optional subject in the high school under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a central theme in Discrete mathematics is algorithmic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ference book for mathematics teachers and students who need information about some interesting sorting algorith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