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elandrii Herba extract attenuates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rough NFATc1/c-Fos downregulation and prevents bone loss in OVX-induced postmenopausal osteoporosis rats

        김민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Introduction: Osteoporosis is a systemic skeletal disease characterized by reduced bone density, which leads to enhance the risk of fracture. As it is recognized as a public health problem, attention has increased worldwide. Bone homeostasis is associated with maintenance of the balance between bone resorption osteoclasts and bone formation osteoblasts. The increase of the osteoclast numbers and activity can lead to an imbalance of the bone remodeling. These results cause osteoclast-mediated bone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periodontal disease, Paget's disease and osteoporosis. Bisphosphonate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with estrogen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ostmenopausal osteoporosis treatments. However, long-term treatment with bisphosphonate is unsuitable in many osteoporosis patients owing to serious side effects. Melandrii Herba (MH), "Wangbulryuhaeng” in Korean, is the dried aerial part from Melandrii Herba Rohrbach, a member of Caryophyllaceae family and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gynecological conditions. However, the effect of MH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porosis is yet to be elucidated. Methods: In vitro, RAW 264.7 cells were stimulated with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RANKL) to 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MH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staining, actin ring formation and bone resorption assay were conducted. Also, the RANKL-induced expression of NFATc1 and c-Fos were measured using western blot and RT-PCR. I also studied the effect of MH on osteoclast-related genes. To further investigate the anti-osteoporosis effects of MH in vivo, an OVX-induced menopausal osteoporosis rat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Oral administration of MH was done every morning an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t 8 weeks after OVX. Femoral head was scanned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Results: TRAP staining showed that TRAP-positive multinucleated giant cells were inhibited by MH treatment.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TRAP staining, MH decreased TRAP activity in the differentiation medium. MH treatment reduced the actin ring and bone area in a dose-dependent manner. MH decreased protein and mRNA levels of NFATc1 and c-Fos. MH inhibited the RANKL-induced increase of mRNA levels of osteoclast-specific genes such as matrix metallopeptidase 9 (MMP-9), cathepsin k (CTK), carbonic anhydrase 2 (CA2),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ATPase Htransporting V0 Subunit D2 (ATP6v0d2), dendritic cell-specific transmembrane protein (DC-STAMP), osteoclast-associated receptor (OSCAR), c-Src and B lymphocyte-induced maturation protein-1 (Blimp-1)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OVX-induced rat models, oral administration of low dose MH prevented OVX-induced bone loss and improved bone microarchitecture quality. Low dose MH group had a decreased serum levels of alkaline phosphatase (ALP). Conclusion: In summary, MH may contribute to alleviate osteoporosis-like symptoms without side effects of estrog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H may have a potenti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Keywords: Osteoclast, RANKL, Melandrii Herba, NFATc1, c-Fos, ovariectomized ABSTRACT IN KOREAN 국문초록 王不留行 물 추출물의 RANKL 유도 파골세포 분화와 난소 절제 흰쥐 골소실에 대한 연구 김민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과학과 지도교수: 이향숙 연구배경 및 목적: 골을 흡수하는 파골세포와 골을 형성하는 조골세포에 의해 유지되는 항상성이 깨지면 다양한 골 질환이 유발되는데 이 중 골다공증은 골 양이 감소하여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는 전신 골격질환이다. Bisphosphate 및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는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장기간 투여 시,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고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왕불유행(王不留行)은 석죽과의 장구채 Melandrium firmum Rohrbach의 열매가 익었을 때의 지상부를 사용하며 여성질환에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폐경기 골다공증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왕불유행이 파골세포 분화 및 폐경기 골다공증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방법: In vitro실험에서 파골세포 유도제로 알려진 RANKL (100 ng/ml)과 왕불유행 물 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유도한 뒤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염색을 통하여 왕불유행이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F-actin ring과 pit assay를 통하여 왕불유행이 파골세포 골격 형성 및 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파골세포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 cytoplasmic-1 (NFATc1), c-Fos을 western blot과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하여 단백질과 유전자 발현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파골세포 분화관련 유전자들 중 골 흡수와 관련된 유전자인 matrix metallopeptidase 9 (MMP-9), cathepsin K (CTK), carbonic anhydrase II (CA2) 그리고 TRAP의 발현과, 골격형성관련 인자인 ATPase H+ transporting V0 Subunit D2 (ATP6v0d2), dendritic cell-specific transmembrane protein (DC-STAMP)의 발현 그리고 파골세포 분화 보조인자인 OSCAR, c-src 그리고 B lymphocyte-induced maturation protein-1 (Blimp-1)의 발현을 RT-PCR을 통해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In vivo실험에서, Sprague-Dawley 흰쥐의 난소를 적출하여 폐경기 골다공증 유사 모델을 이용하여 왕불유행 물 추출물을 8주간 투약 후, 대퇴골을 채취하여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을 촬영했다. 골 형성지표에서 왕불유행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 내 골 형성지표인 alkaline phosphatase (ALP)를 측정했다. 결과: In vitro 에서 왕불유행 물 추출물은 다핵의 파골세포의 크기 및 숫자 그리고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파골세포 분화에 있어 필수적인 F-actin ring 형성과 osteo-coated plate에서의 골 흡수능을 억제하였다. 왕불유행 물 추출물은 파골세포 분화의 필수 전사인자인 NFATc1과 c-Fos의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을 모두 억제하였다. 또한, 왕불유행 물 추출물은 파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 중 골 흡수관련 인자인 MMP-9, CTK, CA2 그리고 TRAP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파골세포 골격형성관련 인자인 ATP6v0d2와 DC-STAMP, 파골세포 분화 보조인자인 OSCAR, c-Src 그리고 Blimp-1의 발현을 모두 억제하였다. In vivo 에서 왕불유행 저농도 투약군은 폐경기 유사 골다공증 모델에서 난소를 적출한 대조군에 비해 골밀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혈청 내 ALP의 발현 또한 난소를 적출한 대조군에 비해 왕불유행 저농도 투약군이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결론: 왕불유행은 골다공증 유사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 단순 베이즈 분류에서의 범주형 변수의 선택

        김민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Naive Baye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put variables are conditionally independent given output variable. The Naive Bayes assumption is unrealistic but simplifies a problem of high dimensional joint robability estimation into a series of univariate probability probability estimations. Thus Naive Bayes classifier is often adopted in the analysis of a massive data set such as in spam e-mail filtering and recommend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variable selection method for based on chi^2 statistic on input and output variables. While the proposed method retains the simplicity of Naive Bayes classifier in terms of data processing and computation,it can select relevant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our method can be useful in classification problems for ultra high dimensional or big data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diseases based on SNPs(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단순 베이즈 분류(Naive Bayes classification)는 출력변수가 주어졌을 때 입력변수들이 조건부 독립이라는 가정에 기반한다. 단순 베이즈 가정은 비현실적이지만 고차원의 확률 추정 문제를 일련의 일차원 확률 추정 문제로 단순화 시킨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스팸 메일 필터링, 추천 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 등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는 분야야에서 흔히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변수와 출력변수간의 카이제곱 통계량에 기반한 변수선택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단순 베이즈 분류의 장점인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의 단순성을 유지하면서도 설명력이 있는 변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에 의한 질병의 분류 등의 초고차원 혹은 빅데이터에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영향요인

        김민선 인제대학교 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영향요인 김민선 (간호학 전공) (지도교수: 김혜령)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임파워먼트,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중재 프로그램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H병원, P병원)에 근무하는 내과계, 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이에 동의한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41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임파워먼트,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 및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대한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 수집은 2020년 9월 14일부터 2020년 9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26∼30세가 70명(49.6%)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은 29.06세(±3.83)이었다. 중환자실 근무경력은 1∼3년 미만 43명(30.5%)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은 3.51년(±2.37)이었다. 성별은 남 28명(19.9%), 여 113명(80.1%)이었다. 학력은 전문학사 23명(16.3%), 학사 114명(80.9%). 석사 이상 4명(2.8%)이었다. 중환자실 근무만족도는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4명(2.8%), ‘만족하지 않는다’ 9명(6.4%), ‘보통이다’ 70명(49.6%), ‘만족한다’ 50명(35.5%), ‘매우 만족한다’ 8명(5.7%)이었다. 근무 시 담당 환자 수는 3명 116명(82.3%)으로 가장 많았다. 작년 한 해 다제내성균 환자를 간호한 경험은 ‘예’ 136명(96.5%), ‘아니요’ 5명(3.5%)이었다. 근무병원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지침 여부는 모두 있다고 응답하였다. 근무병원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지침 수행 시 적용하는데 만족 여부는 ‘예’ 107명(76.4%), ‘아니요’ 33명(23.6%)이었다. 최근 1년간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경험은 ‘있다’ 95명(67.4%), ‘없다’ 46명(32.6%)이었다. 2. 대상자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임파워먼트 점수는 60점 만점에 평균 44.06±6.57점 이었고,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 점수는 28점 만점에 평균 22.89±2.38점 이었고,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점수는 160점 만점에 평균 134.51±17.69점 이었다. 3. 대상자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임파워먼트는 일반적 특성에서 중환자실 근무만족도(F=3.70, p=.027)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지침 적용 만족 여부(t=2.43, p=.016)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직위(F=3.14, p=.046), 중환자실 근무만족도(F=15.96, p<.001),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지침 적용 만족 여부(t=3.83, p<.001),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 여부(t=2.33, p=.02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은 직위(F=4.68, p=.011), 중환자실 근무만족도(F=3.96, p=.02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임파워먼트(r=.46, p< .001)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r=.37, p<.001)에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임파워먼트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 간에도 정적상관(r=.33, p<.001)이 있었다. 5. 대상자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임파워먼트(β=.30, p<.001),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β=.29, p= .001), 직위(β=.24, p=.001)였고, 설명력은 30.6%이었다(Adj-R2=.306, F=11.28, p<.001). 결론: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위가 높을수록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았다. 따라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를 위한 적절한 환경조성을 기반으로, 직위에 따른 임파워먼트를 강조한 교육프로그램과 실무지침을 통해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높이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제어: 다제내성균, 임파워먼트, 환경안전성에 대한 인식, 수행자신감 Abstract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Confidence of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MDRO)s Infection Control among Registered Nurse in Intensive Care Unit by Kim Min Sun (Advisor : Prof. Kim Hye Ryoung,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empowerment and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management affects the performance confidence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management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used as basic data for an effective multi-drug resistant infection control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mong nurses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H Hospital and P Hospital), 150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who understood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141 copies of the dat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ols for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mpowerment,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intensive care nurses were used,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4, 2020 to September 28,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window 25.0 prog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ge of 26∼30 was the most common with 70 persons (49.6%), and the average was 29.06 years (±3.83). The most frequent work experience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43 persons (30.5%) for less than 1 to 3 years, and the average was 3.51 years (±2.37). The gender was 28 male (19.9%) and 113 female (80.1%). The academic background was 23 persons (16.3%) with a College degree, 114 persons (80.9%) with a bachelor's degree and 4 persons (2.8%)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Work satisfa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not satisfied at all” with 4 persons (2.8%), “not satisfied” with 9 persons (6.4%), “normal” 70 persons (49.6%), “satisfied” 50 persons (35.5%), “Very satisfied” 8 persons (5.7%).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when working was the largest with 3 patients 116 persons (82.3%). Last year, 136 persons (96.5%) with ‘Yes’ and 5 persons (3.5%) with ‘No’ were Nursing experience of MDROs patients. They answered that they had all the guidelines for MDROs infection control in the hospital. When implementing the guidelines for MDROs infection control at the hospital, the satisfaction status was 107 persons “Yes” (76.4%) and 33 persons “No” (23.6%). In the past 1 year, the education experience of MDROs infection control was 95 persons with “Yes” (67.4%) and 46 persons with “No” (32.6%). 2. The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mpowerment score of the subject was an average of 44.06±6.57 points out of 60 points, and the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score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was an average of 22.89±2.38 points out of 28 points, and the performance confidence score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was an average of 134.51±17.69 out of 160 points. 3.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mpowerment in intensive care unit work satisfaction (F=3.70, p=.027) and satisfaction with the application of management guidelines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t=2.43, p=.016).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is based on position (F=3.14, p=.046), intensive care unit work satisfaction (F=15.96, p<.001), satisfaction with application of management guidelines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t=3.83, p<.001), and education experience on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t=2.33, p=.02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erformance confidence of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job position (F=4.68, p=.011) and intensive care unit work satisfaction (F=3.96, p=.021). 4. Performance confidence in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of the subjec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mpowerment (r=.46, p<.001) and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r=.37, p<.001).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r=.33, p<.001) between the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mpowerment and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5. I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subject's in performing confidence of multi-drug resistant infection control were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mpowerment (β=.30, p<.001),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β=.29, p=.001), and job position (β=.24, p=.001), and then explanatory power was 30.6% (Adj-R2 =.306, F=11.28, p<.001). Conclusion : I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igher empowerment of the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the higher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of the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the higher the position of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 was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confidence higher. Therefore, based on the creation of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a management strategy is needed to improve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management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and practical guidelines that emphasize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infection control empowerment according to posi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s: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MDRO)s, Empowerment, Environmental safety awareness , Performance confidence

      • 무용창작작품「상선약수(上善若水)」에 관한 연구

        김민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aper examines and analyzes the process of preparation, choreography, practice, and performance of the graduate dance work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created by the researcher presented at Ewha Womans University Hall Ⅰ on December 1, 2022.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a Korean dance work that inspired by Chapter 8 of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er Laozi's 『Tao Te Ching(道德經)』. This dance work embodies the attitude of human life to pursuit resembling water as the highest virtue. This study pursues to analyze the movements and artistic elements of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based on its content and to derive the significance of the choreographer's methodology. The study aims to achieve three main purposes: Firstly, to research the theme, creation process, and essential elements of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in order to leave a comprehensive text that goes beyond the temporal limitations of dance art. Secondly, through Practice-Based Research, to analyze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in a way that enables the choreographer to objectively reflect on the process and results. Thirdly, to organize the choreographic methods used in the creation process of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and to explore potential directions for future artistic dance works. This study methodology primarily revolves around ‘Practice-Based Research (PBR)', coupled with concurrent literature review during the exploration of the artwork's theme. PBR is a method enabling artists to objectively analyze their own work, creating discourses that incorporate original scholarly evidence and creative practical data to broaden study. In the first phase, during the proposal stage, an investigation into Chapter 8 of Laozi's 『Tao Te Ching(道德經)』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theme of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The second phase involved building practice materials by documenting practice time, location, choreographic method, content, and reflection on dance experiences in a practice journal. In the third phase, the live performance of the work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was recorded via video and photos to gather performance data. Finally, in the fourth phase, an analysis of the entire creation process of the work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consists of three parts: Chapter 1 <Ming Cheng 明澄>, Chapter 2 <Quan Quan 曲全>, and Chapter 3 <Wu Wo 物我>, depicting the progression from 'aspiring to be the highest virtue of water' to 'becoming like water'. Each section not only utilizes movement but also auditory elements like music and visual aspects such as objects, costumes, and lighting to strengthen the thematic consciousness. The choreographer developed three choreographic methods based on Kim Young-hee's 「Basics of Breath」, emphasizing ‘Inhale-exhale’ breathing principles, and Lim Hak-sun's 「Taeguk Structure Basic Dance」, which revolves around the circular principle of 'point(•)-line(⎟)-circle(O)-point(•).' These methods include 'Using imagery,' 'Structuring spontaneous movements into movement phrases,' and 'Transforming imagery into textual elements' to create the work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organized own choreogtaphic methods by refering priciples from Kim Young-hee's 「Basics of Breath」, emphasizing ‘Inhale-exhale’ breathing principles, and Lim Hak-sun's 「Taeguk Structure Basic Dance」, which revolves around the circular principle of 'point(•)-line(⎟)-circle(O)-point(•).' Furthermo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knowledge related to Practice-Based Research (PBR) and explored the concept of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from Laozi's 『Tao Te Ching(道德經)』. This process allowed for an objective reflection on the entire dance creation process, forming a meaningful basis for the choreographer's future artistic values and the establishment of choreographic method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its attempt to extend the philosophy of Laozi within the principles of Korean dance. By choreographing and analyzing Laozi's concept of 「Shang Shan Rou Shui(上善若水)」 into a Korean dance work, it expanded the meaning of 'the highest virtue resembling water' into the context of modern life.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PBR dance research case that logically explains an artistic creatio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dance art. It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studies that reinterpret Korean dance methods to transform classical Eastern philosophical concepts into artistic. 본 논문은 2022년 12월 1일 이화여자대학교 홀 Ⅰ에서 발표한 본 연구자의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졸업 무용창작작품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준비, 안무, 연습 및 공연까지의 과정을 분석하고 연구한 것이다. 「상선약수(上善若水)」는 중국 고대 사상가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8장 내용을 모티브로 하여 최고의 선(善)인 물(水)을 닮아가고자 하는 인간의 삶의 태도를 표현한 한국무용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작품 내용에 따른 움직임 및 예술적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본 안무자의 안무 방법을 정리하여 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주제, 창작 과정, 핵심 구성요소를 연구하여 무용 예술의 시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텍스트로 남기는 데에 있다. 둘째,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으로 「상선약수(上善若水)」를 분석함으로써 안무자가 객관적인 시각에서 과정 및 결과물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상선약수(上善若水)」 창작 과정에서 활용한 안무자의 안무 방법을 정리하고 향후 작품 창작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 이하 PBR)’을 중심으로 하며 작품의 주제 탐색 과정에서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PBR은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독창적인 학문의 증거와 창작 실기 자료를 동시에 포함하여 연구를 확산시키는 담론들을 생성시킨다. 1단계 연구제안(proposal) 단계에서는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8장 연구를 진행하여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컨셉과 주제를 정하였다. 2단계 연습자료 구축 단계에서는 연습 시간, 장소, 안무 방법 및 내용, 춤 체험을 통해 느낀 점을 기록하여 작업일지를 작성함으로써 연습자료를 구축하였다. 3단계에서는 작품 「상선약수(上善若水)」의 공연 실황을 영상과 사진으로 촬영하여 공연자료(performance data)를 확보하였다. 4단계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기반으로 작품 창작의 전 과정을 분석(analysis)하였다. 「상선약수(上善若水)」는 1장 <명징 明澄>, 2장 <곡전 曲全>, 3장 <물아 物我>로 구성되어 ‘최상의 선(善)인 물(水)을 동경하는 나’에서 ‘물(水)이 된 나’로 나아가는 과정을 표현하였다. 각 장에서는 움직임 외에도 청각적 요소인 음악과 시각적 요소인 오브제, 의상, 조명을 활용하여 주제의식을 강화하였다. 본 안무자는 김영희 「호흡기본」의 ‘맺음·풀음’호흡 원리와 임학선의 「태극구조 기본춤」의 ‘점(•)-선(⎟)-원( ⃝)-점(•)’ 순환 원리를 기반으로 ‘이미지 활용하기’, ‘즉흥적 움직임을 동작 프레이즈로 구성하기’, ‘이미지 텍스트화하기’의 세 가지 안무 방법을 개발하여 작품 「상선약수(上善若水)」를 창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김영희 「호흡기본」의 ‘맺음·풀음’호흡 원리와 임학선의 「태극구조 기본춤」의 ‘점(•)-선(⎟)-원( ⃝)-점(•)’ 순환 원리를 활용하여 안무자만의 안무 방법을 정리하였다. 더불어 PBR 및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상선약수(上善若水)’ 개념에 대한 지식을 탐구하였으며 무용 창작 과정 전반을 객관적으로 성찰하였다. 이는 연구자의 향후 예술적 가치관과 안무 메소드 정립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춤 원리를 기반으로 노자(老子) 철학의 확장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노자(老子)의 ‘상선약수(上善若水)’ 개념을 한국무용작품으로 안무하고 분석하여 ‘최상의 선(善)인 물(水)’의 의미를 현대인의 삶으로 확장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예술작품을 논리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무용 예술의 한계를 극복한 하나의 PBR 무용연구 사례로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한국무용 메소드의 재해석을 통한 동양 고전 철학 작품화의 선행 연구가 될 것이다.

      • 동백나무 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 및 유지력에 관한 연구

        김민선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동백나무 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 및 유지력에 관한 연구 김민선 지도교수 : 한진섭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고품질 지방과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그 열매에서 추출한 기름을 오래전부터 화장유의 원료와 머릿기름으로 사용되어왔던 동백나무의 잎과 줄기에서 추출한 천연물을 사용하여 손상된 모발의 개선효과와 트리트먼트 유지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건강모발에 대하여 탈색을 1회, 2회, 3회 시술하여 모발에 손상을 준 후 손상정도를 연구하였으며, 동백나무 유기용매 추출물과 대조군 트리트먼트제의 총 4종으로 트리트먼트 처리를 하여 손상모발의 회복효과를 비교하였으며, 트리트먼트 유지력은 트리트먼트 처리 모발에 대하여 1회, 5회, 10회 각각 샴푸 시술한 모발에 대하여 유지력을 연구하였다. 모발의 손상도 및 회복력, 트리트먼트 유지력을 모발의 형태, 모발의 굵기, 모발의 인장강도 변화의 3개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모발의 형태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모표피 변화와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모피질과 모수질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모발의 굵기는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직경 측정과 광학현미경과 마이크로 메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발의 인장강도는 인장강도기(Rheo Meter, COMPAC-100II, Sun Scientific, japan)를 사용하여 시료 당 10가닥 씩 측정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 한 모발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측정 속도는 60 ㎜/min, 파지거리는 99.9 ㎜, 실험실의 온도는 인장강도의 실험조건인 25℃, 습도는 60%를 유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모발의 직경은 평균 0.1 ㎜로 나타났으며, 인장강도는 14.5∼15.2 g/d로 나타났다. 2. 모발에 대한 탈색 시술 후 모발직경 감소는 탈색 1회 시 19.0% 감소, 탈색 2회 시 25.0% 감소, 탈색 3회 시 31.6%로 나타났으며, 인장강도 감소율은 탈색 1회 시 8.2% 감소, 탈색 2회 시 21.7% 감소, 탈색 3회 시 26.2%로 나타나 탈색을 진행 할수록 모발의 손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탈색모발에 대한 트리트먼트 시술 후 모발직경 증가는 탈색 1회 모발에서 대조군 트리트먼트제는 증가율이 13.1% 동백나무 추출물은 20.2% 증가하였으며, 탈색 2회 모발은 대조군 증가율이 13.7% 동백나무 추출물은 25.0% 증가하였고, 탈색 3회 모발의 경우 대조군 증가율이 14.4% 동백나무 추출물은 25.0% 증가하였다. 4. 탈색모발에 대한 트리트먼트 시술 후 모발의 인장강도 증가는 탈색 1회 모발에서 대조군 증가율이 16.2% 동백나무 추출물은 18.1% 증가하였으며, 탈색 2회 모발은 대조군 증가율이 22.5% 동백나무 추출물은 26.6% 증가하였고, 탈색 3회 모발의 경우 대조군 증가율이 22.9% 동백나무 추출물은 28.7% 증가하였다. 5. 탈색모발에 트리트먼트 시술 후 샴푸 횟수별 모발 직경 변화는 탈색 1회 모발의 경우 샴푸 1회, 5회, 10회 후 모발 직경 감소율은 대조군은 각각 9.2%, 10.5%, 15.8%로 나타났으며, 동백나무 추출물의 경우 각각 5.9%, 9.8%, 9.8% 감소로 나타났다. 탈색 2회 모발의 경우 샴푸 1회, 5회, 10회 후 모발 직경 감소율은 대조군은 각각 5.8%, 9.6%, 13.7%로 나타났으며, 동백나무 추출물의 경우 각각 3.1%, 4.2%, 9.9% 감소로 나타났다. 탈색 3회 모발의 경우 샴푸 1회, 5회, 10회 후 모발 직경 감소율은 대조군은 각각 4.8%, 7.4%, 13.0%로 나타났으며, 동백나무 추출물의 경우 각각 0.0%, 4.4%, 10.5% 감소로 나타났다. 6. 탈색모발에 트리트먼트 시술 후 샴푸 횟수별 모발 인장강도 변화는 탈색 1회 모발의 경우 샴푸 1회, 5회, 10회 후 인장강도 감소율은 대조군은 각각 7.2%, 19.5%, 23.0%로 나타났으며, 동백나무 추출물의 경우 각각 2.8%, 13.7%, 17.5% 감소로 나타났다. 탈색 2회 모발의 경우 샴푸 1회, 5회, 10회 후 인장강도 감소율은 대조군은 각각 8.2%, 19.0%, 27.3%로 나타났으며, 동백나무 추출물의 경우 각각 4.7%, 9.9%, 9.9% 감소로 나타났다. 탈색 3회 모발의 경우 샴푸 1회, 5회, 10회 후 인장강도 감소율은 대조군은 각각 7.7%, 20.9%, 26.3%로 나타났으며, 동백나무 추출물의 경우 각각 5.5%, 8.0%, 9.8% 감소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동백나무 추출물의 모발 클리닉 효과와 유지력이 대조군 트리트먼트제재 모두에서 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동백나무 추출물의 손상 모발 클리닉 효과가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결과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트리트먼트 제품의 개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향후 동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관련제품 개발을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

      • 메타분석으로 보는 문화사 교육의 교수학습적 적절성

        김민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화사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기존의 문화사 교육이 교수학습에 적절한 지 밝혔다. 분석 대상은 단행본, 박사학위논문, 8개의 선정된 학회지, 교사들의 수업실천 연구가 수록된 발행지와 자료집이다. 분석기준은 문화사 내용 구성, 문화사 서술 형식, 교수학습 자료 기능의 3개의 카테고리로 하였다.첫째, 문화사 내용 구성을 고찰한 연구들은 주로 구성 체제와 관점에 대한 것이었다. 구체적으로는 분야사적 구성과 문화의 관점과 주체, 문화・역사 지리적 관점 등에 관해서 논하고 있다.둘째, 문화사를 서술 형식 측면에서 논의한 연구들은 크게 서술의 응집성 및 수사적 표현의 강조와 문화사 내러티브 서술의 제안으로 나눌 수 있다. 셋째, 문화사의 교수학습 자료의 기능을 논하는 연구는 주로 본문과 자료의 연계성을 강조하거나 문화재 자료를 활용한 탐구 활동의 효용성을 살피는 흐름이 주를 이루었다. 메타 분석 결과 문화사 내용 구성에 대한 논의가 전체의 74%, 교수학습 자료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16%, 문화사 서술 형식을 논한 연구는 11%를 차지했다. 23%의 연구가 전체사와 분야사로서의 문화사를 논하고 있었고, 24%의 연구가 중화주의 및 유럽중심주의적 관점을 비판했으며, 15%의 연구가 민족주의적 관점에 대해 논하고 있었다. 문화 주체의 다원성에 대한 연구도 11%를 차지했다. 이중 분야사적 구성에 대해서는 전체사 지향성과 맞물려 많은 비판이 있었다. 이는 문화사 내용이 나열식이며 양식사나 문화재사로 흐르는 경향으로 인해 기피학습대상이 되고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의식에 기반한다.문화사를 구성하거나 서술하는 관점에 대한 연구는 민족주의, 중화주의,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많았다. 문화 주체의 다원성을 강조하는 연구는 지배층 중심의 문화를 주로 다루어온 기존 문화사를 비판하거나 문화의 발전 단위를 민족이나 국가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상호교류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사 교육에서 교수학습 자료의 기능을 논하는 연구는 전체 16%를 차지했다. 교수학습 자료의 기능을 논한 연구의 다수가 문자 사료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비문자 사료가 많은 문화사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외되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들은 주로 본문과 자료의 연계성을 강조하거나 탐구 자료로서 문화사 자료의 효용성을 강화시킬 것을 주장한다. 문화사 교육에서 서술 형식을 논하는 연구는 비록 전체의 11%의 비중이지만, 문화사 교육의 실질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출발했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독자의 이해를 돕고 독자와의 거리를 좁히는 구조로 문화사를 서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에 공통점이 있다. 응집성 및 수사적 표현과 문화사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가 국어영역과의 간학문적 연구라고 한다면 문화・역사 지리적 관점은 지리와의 간학문적 경향을 촉구한 관점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각의 연구는 아직 소수이지만 문화사 연구의 시각 자체의 확장을 요구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 연구는 문화사를 전체사적인 맥락으로 이해해야하며 문화사 교육을 학습자 입장에서 재구성해야함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학습자 인식의 자율성과 구성적 지식 형성이 강조되는 최근 역사교육계의 흐름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문화사 교육의 지향점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지역출연기관의 전략적 성과관리체계 도입에 관한 연구

        김민선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ddresses a strategic decision making method for the introduction of a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tool, BSC (Balanced Score Card). Today, systematic tools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PM) are required as the management method of a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getting important. PM methods for industrial scopes are popularly spread into public sectors these days, especially,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M tools such as MBO (Management by Objective) and TQM (Total Quality Management). Thus, PM for a public organization has been enhanced through BSC that is widely being employed into public sectors. For the validity test of the BSC introduction into a case corpora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customers was defined and verifie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ustomer survey data.

      • 에드가 드가(Edgar Degas, 1834-1917)의 발레리나 이미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민선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의 목적은 드가의 발레리나 이미지를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신체의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에 있다. 1970년대 이전까지 드가 작품에 관한 연구는 주로 독특한 구성이나 화려한 색채, 작가의 표현력과 같은 형식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1971년부터는 논의의 범위가 확장되어 마르크시즘, 사회사 그리고 페미니즘에 기초한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이와 같은 주요 연구의 맥락에 기대어 드가의 작품에 둥장하는 인물은 오늘날까지 남성과 여성, 주류와 비주류, 상류층과 하층민이라는 이분법에 의거한 폐쇄적 담론으로 해석되어 왔다. 드가는 인상주의자였으나 인상주의자가 아니었다. 또한, 순수 미술을 지향했으나 동시에 새로운 매체에 대한 도전을 서슴치 않았다. 한편으로는 부르주아 계급의 삶을 살면서 무정부주의적 사상을 지지했다. 이렇게 다채로운 드가의 삶과 성향은 그의 예술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재고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운동성을 내포한 신체를 향한 드가의 탐구에 집중한다. 그 탐구에 있어 19세기 프랑스의 부르주아였던 드가에게 가장 적합한 소재는 발레하는 여성들이었다. 본고는 동시대 프랑스 발레에서 일었던 커다란 변화와 그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드가가 발레리나를 주제로 신체의 운동성을 표현하는 작업에 몰두한 궁극적 의도를 유추한다. 나아가 드가가 회화, 소네트, 사진, 조각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묘사했던 발레리나 이미지에 표현된 신체의 특징들을 살펴본다. 지각하고 있는 신체에 의해 발현되고 있는 익명적이고, 실존적이고, 감각적이고, 가변적인 특징들은 현상학적 신체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는 객관적인 토대가 된다. 이 지점에서 사유의 자기 주체를 해체하면서 몸을 주체로 하는 메를로-퐁티의 이론은 드가의 발레리나 이미지 해석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될 수 있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에서 실존의 최초 형태는 자신의 몸이다. 그는 과학과 철학 이론들에 의해 분석 대상이 되기 이전의 전-객관적 세계의 현상을 이야기하고 있다. 세계와 관계를 맺는 원초적인 형태의 주체를 몸으로 설정하여 기술하는 것이다. 나아가 메를로-퐁티는 사유에 의한 관념으로 정의되었던 시간과 공간에 반하여 그 저변에 있는 ‘고유한 몸(Corps Propre)’의 운동을 통한 시간성과 공간성의 개념을 정립한다. 드가의 발레리나들은 묘사된 신체의 특징들을 통해 세계와 관계하며 더불어 존재한다. 또한, 세계의 중심으로 설정된 신체는 ‘몸의 운동성’과 결합하며 가능한 ‘몸의 공간성’과 ‘몸의 시간성’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분석의 과정을 통해 드가의 발레리나 이미지가 담고 있는 궁극적인 주제는 세계를 살고있는 신체 자체였다고 말할 수 있다. 즉, 드가의 발레리나 이미지는 세계 속에서의 체험하는, ‘살아있는 몸(Corps Vivant)’의 현상을 기술하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다.

      • 청소년이 지각하는 체험활동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적 영향력 및 공동체 의식 매개효과

        김민선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al assets model of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theor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between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Studies so far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have been mostly conducted in cross-sectional studies, so there has been a limit that cannot explain the change in School Adaptation that covers the entire adolescenc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endency over time and changes in adaptation through longitudinal data, since School Adaptation is not a one-time occurrence at any point in adolescence, but a continuous and developmental concep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longitudinal analyses with 6 years' panel data of 1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from Korea Children & Young Panel Survey using STATA 15.0 program which is a statistical package. In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t first to determine general trends of main variables over time, and how they were related. Next, Latent Growth Modeling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each variable and to verify any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impact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as a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utilized to identify how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each variable affects each other variable's. Finally,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in a relationship where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ffected School Adapt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were found to increase gradually as the grade of students went up, and they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Each variable showed a steady increase with time and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econd,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showed linearly increasing developmental trajectory over time,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The linear change model was the most suitable among no change, linear change, and quadratic change model, the variance estimates of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level and change rate. Third,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precedently affect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Community Spirit precedently affect School Adaptation. The result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confirmed the direction of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variables. Fourth, the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of each variable affect those of other variables depending on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with time. The initial value of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ense of Community and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The change rate of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The initial value of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chool Adaptation. The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chool Adaptation. Fifth, it emerged that there was the mediation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where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ffected School Adaptation. The initial value of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 initial value of Sense of Community, and the change rate of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lso affected the change rate of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analyzes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theory which focuses on the Developmental assets that promote adaptation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with being away from the focus of the existing pathological and negative factors of School Adaptation, so that it adopted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aptation as factors that affect School Adaptation, and that it verifies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m. Also,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the purpose of improving School Adaptation can be maximized when pursuing to foster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to enhancing Experie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that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experience activities should not only take into account School Adaptation but also develop Sense of Community while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activation and practice direction of youth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Sense of Community. In further studies, longitudinal researches on School Adaptation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School Adapt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with more diverse approaches and various methodologies. While it is important that various studies for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are actively carried out, efforts should be also made so that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se studies lead to actual policy reflection and produce effective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청소년발달(Positive Youth Development) 이론의 발달자산(Developmental assets) 모형에 근거하여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체험활동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동안 청소년 학교적응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횡단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중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청소년기 전반을 아우르는 학교적응에 관한 변화관계를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학교적응은 연속적이며 발달적인 개념으로 학교적응이 청소년기의 어느 한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일회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단적인 자료를 통해 시간에 따른 변화경향 및 영향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dren & Young Panel Survey) 중 중학교 1학년부터 6차 연도의 반복 측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패키지 STATA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주요 변수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떤 일반적 경향을 나타내고 변수 사이에 어떠한 관계성을 가지는지 파악하고자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각 변수의 발달궤적을 파악하고 변화의 개인차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해 변수들 사이에 영향관계의 방향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모형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각 변수들의 발달궤적이 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험활동 만족도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매개역할을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각 변수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서로 간에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각 변수들은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발달궤적을 보였으며 초기치와 변화율에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변화, 선형변화, 2차변화 모형 중에서 선형변화 모형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각각 초기치와 변화율의 분산 추정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해 초기 수준과 변화 속도에 개인차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체험활동 만족도가 공동체 의식과 학교적응에 선행하고, 공동체 의식이 학교적응에 선행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결과를 통해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 학교적응의 주요 변수들 사이에 종단적 인과관계의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각 변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시간에 따른 종단적 인과관계에 따라 다른 변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활동 만족도의 초기치는 공동체 의식의 초기치, 학교적응 초기치에 각각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체험활동 만족도의 변화율은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공동체 의식의 초기치는 학교적응 초기치에 정(+)적인 영향을, 학교적응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은 학교적응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체험활동 만족도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활동 만족도의 초기치가 공동체 의식의 초기치를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 초기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체험활동 만족도의 변화율이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교적응에 대해 기존의 병리적이고 부정적인 요인 위주의 연구 초점에서 벗어나 청소년의 적응 및 성장을 촉진하는 발달자산에 중점을 둔 긍정적 청소년발달(PYD) 이론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체험활동 만족도, 공동체 의식을 채택하여 이들 사이의 종단적 관계성을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또한, 체험활동 만족도 증진과 더불어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추구할 때 학교적응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과, 체험활동의 내용 및 구성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고려함 동시에 그 안에서 공동체 의식을 키워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가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한 청소년 체험활동의 활성화와 실천방향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추후 연구에서는 학교적응에 대한 종단연구가 좀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다각적인 접근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학교적응과 그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 학교적응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구들에서 제시하는 내용이 실제적인 청소년 정책 반영이라는 실효성 있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오프라인 매장의 고객 체험 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 O4O(Online for Offline)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face-to-face contact is limited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which has spread globally, the industry has been talking about the 'Retail Apocalypes', but due to the recent transition to with Corona (step-by-step recovery of daily life), people are looking for offline spaces that provide practical experiences and direct communication. Offline is 'evolving' through 'reinterpretation' rather than the 'end' as O4O strategies are newly emerging to meet social change and people's diverse needs. O4O is an abbreviation of 'Online for Offline', and it is a business model that uses customer information and data built online to expand business areas and create new sales. It enhances brand loyalty through interaction with customers, collects real customer data, and increases online and offline sales, there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O4O has proven its effectiveness as a successful case of domestic and foreign large companies, and is being actively tried in various business field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customer experience elements that can be used in actual offline stor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ccess cas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perience elements applied in offline stores, and to present the customer experience elem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business fiel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O4O' and 'offline experience' were reviewed, and the customer's 'purchasing journey stages' and 'experience factors' were described. To analyze the success cases, eight domestic or foreign cases were selected among the experience-type offline stores newly launched by famous companies with an O4O strategy. These stores were confirmed to have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company's high sales, operating profit, and growth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or the previous quarter for the past seven years from 2016-2022 after they are operated. First, Display Using Local Data The past stores offered the same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out the region using a multi-store strategy, but as online market takes over the place, customers no longer have a reason to visit stores that only display products. In order to attract customers, the store needs to be localized and the right products should be display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ere the store is located and customer preferences, customers feel like curation and are very satisfied. Second, Online-Connected Shopping Customers seek the same convenience in offline as online. No more pushing or lifting a cart, online should be able to take over the place. Detailed information, review, and purchase of all products in the store should be made possible online, and furthermore, a better shopping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to customers. Third, Customized Recommendation/Consulting Service As the technology and quality of products are upgraded and various new products are rapidly launched,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customers to choose. In particular, the longer the replacement cycle and the more expensive the product, the more careful the customer's purchase. In such a situation, by providing customized recommendations or expert consulting services for customers, customers are helped with their choices and driven to purchase. Fourth, Relaxation and Cultural Contents Rest areas such as cafes and gardens in the store have a positive contribution to sales by encouraging customers in need of refresh to visit and stay in the stor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By providing not only furniture and space for customers to sit, but also cultural content that fits the brand identity and trend, the five senses of customers are pleased and the brand value is naturally conveyed to them. Fifth, Visit Rewards Rewards may be provided to all customers who have visited the store, or rewards may be provided to membership members or customers who have signed up for membership. The former provides unexpected pleasure to everyone who visits the store, while the latter gives members a sense of belonging and a special feeling, increasing loyalty and converting shoppers into members.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brands and products encountered by customers is overwhelmingly increasing, building good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is a key competitive advantage. In order to achieve such a purpose, a company must continuously identify customer needs and provide experiences and products and content must be updated in line with changing trends. It can provide a novel experience by introducing cutting-edge technology to arouse customers' curiosity, or it can provide lectures or classes where customers can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Customers watch the company with interest to check for regularly updated products and content, which in turn increases the company's online and offline traffic. This study is considered meaningful as a study that attempted to analyze customer experience factors that can be directly used in offline stores. If an intensive analysis is made on the experience elements for each business field after the O4O strategy is further activated later, it is judged that specific data related to this can be present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companies that are considering new contact points with customers in offline stores. 세계적으로 확산한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대면 접촉이 제한됨에 따라 업계에서는 '소매의 종말(Retail Apocalypes)'이 거론되었지만, 최근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로 전환되면서 사람들은 실제적 경험과 직접적인 소통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공간을 찾아 나서고 있다. 사회적 변화와 사람들의 다양한 체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O4O 전략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오프라인은 '종말'이 아니라 '재해석'을 통해 '진화'하고 있다. O4O란 'Online for Offline'의 약자로, 온라인에서 구축한 고객의 정보와 데이터를 활용해 오프라인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신규 매출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는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실제 고객의 데이터를 수집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매출을 증대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높인다. O4O는 국내·외 대형 기업들의 성공 사례로 그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현재에도 다양한 사업 분야에 활발히 시도되고 있지만, 실제 오프라인 매장을 재단장하거나 통합·확대할 경우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고객 체험 요소'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O4O 전략으로 오프라인 매장에 적용된 체험 요소에 주목하여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다양한 사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고객 체험 요소와 특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O4O'와 '오프라인 체험'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고객의 '구매 여정 단계'와 '체험 요소'를 기술하였다. 성공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7년 이내 유명 기업이 O4O 전략으로 새롭게 선보인 체험형 오프라인 매장 중, 매장이 운영된 이후 기업의 전년도 또는 전분기 대비 높은 매출과 영업이익 및 성장률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확인되는 국내·외 사례 8곳을 선정하였다. 각 사례에서 도출한 고객 체험 요소는 '구매 여정 단계'와 '체험 유형'을 통해 분석했으며, 사례 3곳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체험 요소를 종합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사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섯 가지의 특징으로 정리하고 추가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 데이터를 활용한 진열 과거 매장은 다점포 전략을 취하며 전 지역에 동일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온라인이 그 역할을 대체하면서 고객들은 더 이상 제품만 나열한 매장을 방문할 이유가 사라졌다.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매장을 현지화 시키고 적합한 제품으로 진열해야 한다. 매장이 위치한 지역의 특성과 고객의 선호도 등을 반영함으로서 고객들은 마치 큐레이션과 같은 느낌을 받으며, 만족도를 높인다. 둘째, 온라인 연계 쇼핑 고객은 오프라인에서도 온라인과 같은 편의성을 추구한다. 더 이상 카드를 밀며, 장바구니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온라인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야 한다. 매장 내 모든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와 리뷰 확인, 구매를 온라인으로 가능하게 하여 고객에게 더 나은 쇼핑 환경을 만들어 준다. 셋째, 맞춤형 추천/상담 서비스 제품의 기술과 품질이 상향 평준화되고 다양한 신제품이 빠르게 출시되어 고객의 선택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특히 교체 주기가 길고 높은 금액의 제품일수록 구매는 신중해지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고객에게 맞춤형 추천 또는 전문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선택을 돕고 구매를 유도한다. 넷째, 휴식과 문화 콘텐츠 매장에 구성된 카페와 정원 등의 휴식 공간은 리프레시가 필요한 고객의 방문을 유도하고 매장에 더 오래 머물게 함으로써 매출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 고객이 앉을 수 있는 가구와 공간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과 트렌드에 맞는 문화 콘텐츠를 함께 제공하여 고객의 오감을 즐겁게 하고 자연스럽게 브랜드의 가치를 전달한다. 다섯째, 방문 리워드 매장에 방문한 전체를 대상으로 리워드를 제공할 수도 있고, 멤버십 회원 또는 회원가입한 고객 대상으로 리워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는 매장을 방문한 모두에게 예상치 못한 즐거움을 제공하며, 후자는 회원에게 소속감과 특별한 기분을 제공하여 충성도를 높이고 매장에 방문한 고객을 회원으로 전환시킨다. 고객이 접하는 브랜드와 제품의 수가 압도적으로 쏟아지는 지금,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핵심 경쟁력이 된다. 그러기 위해서 기업은 고객의 니즈를 계속해서 파악하여 체험을 제공해야 하며,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제품과 콘텐츠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이는 최첨단의 테크를 도입하여 고객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색다른 경험을 줄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강연이나 클래스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제품과 콘텐츠를 확인하기 위해 고객들은 해당 기업을 관심 있게 지켜보고, 이는 기업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트래픽을 증가시켜 준다. 또한 일시적인 체험이 아닌, 계속적인 고객과의 접점을 만들면서 브랜드에 대한 충성심을 높이고 실제 고객의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오프라인 매장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객 체험 요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추후 O4O 전략이 더욱 활성화된 후, 각 사업 분야별 체험 요소에 대해 집중 분석한다면 관련한 구체적인 자료가 제시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오프라인에서 고객과의 새로운 접점을 고민하는 기업들에게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