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고체의 자유에너지 연구

        김민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Accurate values of the free energies of C60, C70 fullerene crystals and methane crystal are obtained using expanded ensemble method and acceptance ratio method combined with the Einstein-molecule approach. Both simulation methods, when tested for Lennard-Jones crystals, give accurate results of the free energy differing from each other in the fifth significant digit. The solid-solid phase transition temperatures of C60 crystal is determined from free energy profiles, and found to be 260 K, which is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 For C70 crystal, using the potential model of Sprik et al., low-temperature solid-solid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is found to be 160 K determined from the free energy profiles. Whereas this is somewhat lower than the experimental value, it is in agreement with conventional molecular simulations, which validates the methodological consistency of the present simulation method. The melting temperature of solid methane for five currently available potential models is determined from free energy profiles for each which the Einstein-molecule method together with the expanded ensemble method is used for the solid phase I and the thermodynamic integration method is used for the liquid phase, respectively. Among the potential models we studied, the OPLS-AA model gives the best results for which the melting temperature is predicted to be 92.6 K at ambient pressure, close to the experiment value of 90.6 K. While the most potential models studied in this thesis well predict the density of the solid phase I within a relative error of 5 %, most all-atom models give too low values of the melting temperature and a united atom model gives too high value. For the entropy change of melting, the OPLS-AA model predicts the most accurate value of 8.71 J/mol/K with an error of about 11 %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value of 10.36 J/mol/K. From the calculations of the free energies of C60, C70 and methane crystals, we note the significance of symmetry number for crystal phase needed to properly account for the indistinguishability of orientationally disordered states. 고체 fullerene (C60, C70) 그리고 고체 methane 의 정확한 자유에너지 값을 Einstein-molecule method 가 결합된expanded ensemble method와 acceptance ratio method를 이용하여 계산 하였다. Lennard-Jones 고체의 자유에너지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상당히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있었으며 이 두 방법의 결과값들은 유효숫자 넷째 자리까지 일치 하였다. 고체 C60 의 고-고 상전이 온도는 자유에너지 profile로부터 얻었고 그 값은 260 K 으로 실험값과 매우 일치 하였다. 고체 C70 의 경우, 저온 고-고 상전이 온도는 160 K으로 예측되었고 이 결과값 또한 자유에너지 profile로부터 얻었다. 이 결과값은 실험값에 비해 상당히 낮지만 NPT 분자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일치 하였으며 이는 이 연구에서 사용한 시뮬레이션 방법이 유효함을 입증 한다. 메탄의 녹는점은 고체 와 액체의 자유에너지 profile을 이용하여 얻었다. 또한 고-액 상 평형 계산에 사용된 다섯 가지 메탄 potential model들의 성능을 계산된 열역학적 물성들을 통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고체 methane의 자유에너지 경우 Einstein molecule method가 결합된 expanded ensemble method를 사용 하여 계산 하였고 액체 methane의 경우 thermodynamic integration method를 사용 하여 계산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potential model 들 중 OPLS-AA potential model을 이용하여 예측한 methane의 녹는점92.6 K이 실험값인 90.6 K과 가장 잘 일치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potential model들은 methane 고체 (phase I)의 밀도 값을 상대 오차 5% 이내로 예측 하였지만 all-atom potential model들은 메탄 고체의 밀도를 실험값 보다 낮게 예측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united-atom potential model의 경우 계산된 밀도 값이 실험값보다 높게 얻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액 상전이 에서의 엔트로피 변화 값은 OPLS-AA potential 이 8.71 J/mol/K으로 실험값인 10.36 J/mol/K 와 가장 비슷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유에너지 계산을 이용한 고체 fullerene 과 고체methane 의 고-고 및 고-액 상전이 계산을 통하여 우리는 입자의 구분 불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고체 상에서의 symmetry number의 중요성을 논의 하였다.

      • 로열티 프로그램을 통한 CRM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코레일 멤버십 운영을 중심으로

        김민규 忠南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CRM enhancement plan through loyalty program - Focused on the KORAIL Membergship mangement - Kim, min-Gyu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Hyung-Jun) With the opening of the Suseo High Speed Railway in 2016, the high-speed railway, which has been operating for a long time, has entered the era of competition. The Suseo High Speed Rail (SRT) is 10% cheaper than KTX, has a 10 minute operating time and threatens KORAIL with 10 differentiated services. Unlike in the monopolistic era, it is difficult to get a good selection of customers in the competitive age. Therefore, to minimize the churn of customers and to gain new competitive advantage, effective customer management that can utilize 12 million members' information and long accumulated performance data And how to provide customer service. In this study, the competition environment of high-speed railway was introduced in earnest, and the analysis of the member operation case of the domestic railway institution and the voice of the customer were analyzed comprehensively, and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KORAIL membership and a CRM program were suggested through the loyalty program. First, I propose ways to secure new members according to management goals and targets, to maintain existing members, and to minimize dormant and departing members by managing the members in detail. Also, the key suggestion factor is differentiation. The first is a differentiation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 only for members who are not available to non-members, suggesting a strategy to maintain long-term relationship with existing members. Secondly, we adopted the RFM method which can classify the KORAIL membership so that the members with high contribution to sales can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 compared to the members with differentiated membership by differentiating between members. In addition, we have tried to propose a strategy that can keep existing members in the long term and apply them to practical tasks such as campaigns to induce the re-use of departing members or dormant membership management programs. In terms of services, And suggest an alternative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Finally, I propose that the membership activities, which are currently focused on the management task, will gradually expand the scope and scope of work starting with small on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management plan of KORAIL membership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ition system of KTX. First, in analyzing the behavior of KORAIL member, it is limited to represent total KORAIL membership by analyzing about 270,000 members who are not 5 million members for one year.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ubdivision of membership through RFM analysis, which is widely used, is not suitable for KORAIL customer management.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 tick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chase decision proces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consumer goods, and the results of use differ In spite of the high sales volume, KORAIL can not be considered as a suitable method of subdivision because the rating may be lowered because it has not been used rec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odel to classify or predict the KORAIL membership level in the future. This study is not based on the long-term planning of the KORAIL membership system, but rather the short-term response to the Suseo high-speed railway opened in December 2016. Possible options were suggested. Therefore, future research suggests establishing a master plan in the long-term of the membership system.

      • 편의점 고객의 소비행동이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편의점(Convenience Store)은 주변 지역의 생필품 또는 식품니즈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현대 사회의 주요한 유통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오프라인(OFF-LINE)중심의 유통환경에 온라인(ON-LINE)유통이 등장하면서 온-오프라인이 융합하는 새로운 유통환경으로 급속하게 변화가 진행 중이다. 보편적으로 유통업은 경기변동과 소비자 심리에 민감하게 반응지만, 편의점은 소용량 식품과 더불어 생활필수품 등을 주로 판매하는 구조로써 고가의 상품을 취급하는 타 유통업태 대비 경기에 둔감한 특징을 보인다. 이 때문에 최근 오프라인(OFF-LINE) 소매 유통 성장이 미비한 가운데 유일하게 성장하는 소매 유통채널이다. 또한 사회, 기술, 환경, 경제, 정치 각각의 측면에서 일어나는 메가트렌드 분석을 해보니, 사회적 측면에서 인구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기술적으로는 ICT 확대와 핀테크 확산이 주요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환경적으로는 친환경·웰빙·힐링 트렌드, 경제적 측면에서는 불안정한 고용·소득에 대한 우려와 부의 양극화가 주요 메가트렌드로 분석됐다. 마지막으로 규제 완화와 자유무역주의 확산이 정치적 측면에서 주요한 메가트렌드이며, 이것이 소비패턴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편의점이 우리나라에 최초 소개 되었을 때에는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체계적인 선진 경영 기법을 기반으로 소비패턴,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면서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편의점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편의점 고객만족이나 편의점 입지, 일부 상품군(PB상품중심) 연구에 집중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이런 부분을 기초로 하여 최근 유통관련 규제와 저성장의 경제여건에 따라 소매업 전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오프라인 업태 중 유일하게 성장하는 소매업인 편의점만의 특징을 살펴보고 편의점 고객의 소비행동과 소비 만족도가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을 위해, 편의점 고객의 소비행동요인(상품품질경쟁력, 생활 서비스 다양화, 상권)과 소비 만족도가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결과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편의점을 이용한 소비자 250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2일부터 5월 10일까지 9일 동안 진행하였다. 질문지법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10부 중 불성실한 응답자 10부를 제외하고 2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점 고객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을 선정하는데 있어 무작위 표본추출(Random sampling) 및 확률표본추출(probability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지 않고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중 편의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편의추출방법은 무작위표본, 또는 확률적 표본을 추출하지 않고 연구자가 확보 가능한 표본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실증연구에 있어 무작위 표본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부분의 조직행동연구에서는 편의추출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론적으로는 무작위표본 또는 확률적 표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편의표본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연구대상인 조직체로부터 연구에 대한 협조를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과 연구전략상의 이유 때문이라고 지적되고 있다(Bryanman, 1989).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21.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검사(Reliability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분석은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①고객의 소비 행동이 종속변수인 상품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Simple-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②고객의 소비 행동이 매개변수인 소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Simple-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③독립변수인 고객의 소비행동과 매개변수인 소비 만족도를 함께 투입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위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소비행동의 상품품질경쟁력은 생활 서비스 다양화, 소비만족도, 상품 포트폴리오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정(+)의 방향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행동의 생활 서비스 다양화는 소비만족도, 상품 포트폴리오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정(+)의 방향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만족도과 상품 포트폴리오는 정(+)의 방향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상품 품질 경쟁력이 상품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설1-1 “상품 품질 경쟁력이 소비 만족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생활 서비스 다양화가 상품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므로 가설 2-1 “생활 서비스 다양화가 소비 만족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편의점 상권이 상품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선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근거로, 편의점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상품 품질 경쟁력확보 및 다양한 생활 서비스 확대를 통해 소비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편의점 내 신규브랜드 런칭, 신규상품 도입을 중심으로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이 지속적으로 유지·발전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편의점 이용 형태 실태 설문자료를 기초로 하여 신규 상품군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편의점 상권이 상품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있어,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과 편의점 상권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편의점을 이용하고 있는 각 계층에 대해 고객 관점에서 소비행동, 소비 만족도와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관계를 파악하고, 이 요인들의 상호 인과관계를 규명함에 따라 연구결과에 대한 객관성과 실용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편의점 이용고객들의 소비행동과 소비 만족도 관계를 명확히 규명함으로써 기존 대형유통업체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새로운 상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데 있어 상품 운영전략 수립 시 시행착오를 줄이고, 사회·기술·환경·경제·정치측면에서 변화하는 편의점 고객 소비 패턴 변화에 대응하는 상품 포트폴리오를 개발하여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Convenience stores have emerged as a significant distribution base, beyond being a simple solution for needs on local daily necessaries or food. As the online distribution appeared in the offline-centric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rapidly changed into a fusion of online and offline. In such a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industry usually responds very sensitively to business fluctuations and consumer sentiment, while the convenience store is relatively insensitive to business fluctuations compared to other distribution channels that deal with expensive products. The convenience store is the only retail distribution channel that grows even in the slow growth trend of the recent offline retail distribution since it sells small-volume food and life necessitie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of megatrend in each aspect of society, technology, environment, economy and politics are as follows: The society shows a trend of aging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the technology shows a major megatrend of expansion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pagation and FinTech acceleration trend; the environment shows a trend of eco-friendly, well-being, healing and pursuit of personality; the economy shows the anxiety in employment and income and the polarization of wealth; finally, the politics shows a major megatrend of deregulation and expansion of free trade. These megatrends lead to a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s. When a convenience store was introduc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t failed to get a result. However, now the channel is rapidly growing while responding to changes of consumption patterns and market environment based on the systematic advanced management techniques. The recent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convenience store are focused on the convenience store consumers’ satisfaction, its location or research on some product categories (focusing on private label brands products). However, based on these researches,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ail business with convenience stores as the only growing retail channel among the offline channels while the overall retail business is in trouble due to recent regulations related with distribution and economic conditions of slow growth; and it figures out the impact of convenience store consumer behaviors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to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For research and analysis, a survey was implemented to 250 consumers, who visited convenience stores, for nine days from May 2 to 10, 2017 so 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nvenience store consumer behavior factors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and trade area)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to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The survey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200 survey resul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0 results by insincere respondents among the retrieved 210 questionnaires. The survey subject of this study is customers of the convenience store. This study used convenience sampling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instead of using random sampling and probability sampling method in selecting a sample. Convenience sampling means utilizing the sample that an investigator can acquire instead of extracting random samples or probability samples. In the empirical research, it is desirable to use random sample, but many studies in organizational behavior use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study points out that it is theoretically desirable to use random samples or probability samples, but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s commonly used because it is not easy to secure cooperation by a study subject, an organization, on the study, and because of the reason on the research strategy (Bryanman, 1989). It used SPSS V. 21.0 (IBM, Amonk, NY, USA) to analyze so a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e study, and its analysis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t implemented reliability analysis to measure a reliability of questionnaires. Second, it implemented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general matters of a research target.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examines the mediated effect of consumer satisfaction, it implemente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three-step process as Baron and Kenny (1986) suggested like follows: ①It implemented simple-regression analysis so 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stumers’ consumption on the dependent variable, product portfolio; ②it implemented simple-regression analysis so 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stumers’ consumption on the intervening variable, consumption satisfaction;③it implemen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by inputting customers’ consumption behavior, an independent variable, along with consumption satisfaction, an intervening variable.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of consumption behavior has correlations with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product portfolio, and all appeared to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of consumption behavior appeared to have a correlation with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product portfolio, and all of them had a positive (+) correlation. Finally,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product portfolio appeared to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First, the mediated effect of consumption satisfaction appeared to be big when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had an impact on product portfolio. Therefore, the hypothesis 1-1 is that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works as an affirmative factor to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it has a positive (+) impact on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Second, the mediated effect of consumption satisfaction appeared to be big when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has an impact on product portfolio. Accordingly, the hypothesis 2-1 is that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works as an affirmative factor to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it has a positive (+) impact on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Third, it appeared that there is no mediated effect in consumption satisfaction when trade area of convenience store has an impact on product portfolio, hence, it is not selected as a hypothesis. For this reason, if consumption satisfaction is improved by securing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and expansion of diverse living services in order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a convenience store, development of product portfolio shall be consistently maintained and developed by focusing on launching new brands and introducing new products in convenience stores. In addition, based on the questionnaire materials about convenience store user’s behavior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new product category. However, since consumption satisfaction has no mediated effect when trade area of convenience store has an impact on product portfolio, it is thought to be no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and trade area of convenience store. This study grasped the relation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with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in a customer’s point of view about each class of customers who use a convenience store in reality. It secured objective and practical values of the study result by investigating reciprocal causation of these factors. It suggested the potential of reducing trial and error when establishing a product management strategy with setting a new product portfolio based on product portfolio of the existing large-scale distribution businesses by clearly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convenience store users’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it also suggested the potential of continuous growth by developing a product portfolio in response to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store customers in terms of society, technology, environment, economy and politics.

      • Performance Improvement on Path following and Autopilot of ship using Unknown Disturbance Estimation and Separation Principle

        김민규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hip operation is to assure the stability of ship from sinking or collision that may occur during navigation, and is for ship to follow the designated route accurately even when environmental disturbances (current, wave, and wind) are applied. Accurate path following minimizes the loss of propulsion energy of the ship and allows it to reach the destination in the shortest time. The PD type autopilot system, which is widely used in ships, has an overshoot when the rudder angle is large and acts as a cause that the position of ship deviates from the route. And also, the change of the rudder angle becomes rough so that energy loss of the ship is increas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 velocity type fuzzy PID autopilot system is applied. However autopilot system is affected by noise,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utopilot system is degraded. To compensate for this, the separation principle using the Kalman filter is appl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the way, in actual navigation of the ship, if the forces and moments generated by environmental disturbances are applied to the ship, the ship can not follow the designated route correctly and deviates from the rout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f the existence of unknown disturbances are judged by using the innovation characteristic of the Kalman filer, the forces and moments are estimated in the fuzzy disturbance estimator and converted into the thrust and rudder angle controlling the ship. 선박 운항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항해중 발생할 수 있는 침몰 또는 충돌로부터 선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환경적 외란(파도, 바람, 해류등)이 인가된 경우에도 정해진 항로를 정확하게 추종하는 것이다. 정확한 항로 추종은 선박의 추진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 하며 목적지까지 최단시간에 도달하도록 한다. 현재 선박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회두각 유지 제어기로서 PD형 제어기는 변침각이 큰 경우 오버슈트를 발생시켜 항로에서 벗어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또한 잦은 조타와 변침각의 변화가 거칠게 일어나 선박의 에너지 손실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속도형 퍼지 PID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또한 실제의 오토파일럿 시스템은 잡음의 영향을 받아 성능이 저하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Kalman 필터를 이용한 분리원리를 적용하여 성능을 개선시켰다. 그러나 실제 선박이 운항함에 있어서는 환경적 외란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과 모멘트가 선박에 인가되어 선박은 정해진 항로를 정확하게 추종할 수 없고 항로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Kalman 필터의 이노베이션 특성을 이용하여 미지의 외란의 존재가 판단되었으면 이를 퍼지 외란 추정기에서 힘과 모멘트를 추정하고, 이를 실제 선박을 제어하는 추력과 타각으로 변환하여 선박이 정해진 항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추종하도록 하였다.

      •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 모의수업을 위한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 개발과 적용효과

        김민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arrang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introducing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to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s a new instructional medium for community participation and adapt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to examine the production principles, effect, and social validity for allow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utilize the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as the instructional medium for the community simul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comparative observations were employed, and social validity was verified. FGI was conducted with 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who had 10 years or more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nts developed three times the features of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for the community simulation from October to November, 2017. We made contents for the community simulation from October 21, 2017 to October 30, 2017 by applying the features developed. We then applied the contents to the community simulation in social studies from November 16 to November 22, 2017, which was observed and compar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with those of 2D video contents which was based on the identical contents, operational definition and observation sheets were developed.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toward objectives and the effect of task concentration, using the ones developed. 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examined the social validity and re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contents developed. With the help of seven FGI participants, it was possible to develop making model of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and video shooting principles. After applying those to the field, it might conclude that they were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dium which was applicable to the class with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community adap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king model of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for community simulation consisted of five categories, including analysis of learning activities, context setup, context factor analysis, storyboard writing, and video shooting. Second, the video shooting principles for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was what considered when video shooting. and was composed of two categories like length of contents(size of shots) and height of camera(angle) with four sub-categories like size of shot, composition and angle, view point, and image options. Si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not experts in video shooting techniques, these categories were reconstructed into four categories to help them understand like video length, composition and camera operation, viewpoint, and task presentation strategy. Third, by observing and comparing the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and the existing video contents, the forme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atter on both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toward objectives and task concentration. Fourth, with the social validity, 20 special education teachers highly rated social importance, social acceptance, and social meaning. The overall mean of the social validity was 97.4% and the value of 5-point scale was 4.87, which meant the social validity was relatively high.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medium for community simulation with the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the effectiveness as a instructional medium, and social validity.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were effective for the field as a instructional medium for community adaptation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so, by deriving the natural languag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reedom of viewpoint, interaction, and five senses of the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even the possibilities as digital instructional media for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individualization were verifiable. Key words: community simulation, 360 degree virtual reality video, instructional media.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참여와 적응을 위한 새로운 교수매체로써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를 특수교육현장에 도입하기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현장의 특수교사가 지역사회 모의수업의 교수매체로써 360도 가상현실 영상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특징을 탐색하고 제작 원리와 효과, 사회적 타당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FGI, 비교 관찰, 사회적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경기도 지역, 10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7명의 현장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3차에 걸쳐 지역사회 모의수업을 위한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의 개발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2017년 10월 2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지역사회 모의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였으며, 2017년 11월 16일부터 11월 22일까지 사회과 지역사회 모의수업에 적용, 비교 관찰하였다. 제작된 가상현실 영상과 동일 내용의 영상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조작적 정의와 관찰 기록지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행목표 도달도와 과제 집중도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지역의 특수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타당도 조사하여 적용 가능성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FGI 참여자 7명과 연구자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의 제작 모형과 촬영 원리를 개발하였으며, 지역사회적응을 위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교수매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모의교수를 위한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의 제작 모형은 5개의 범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 활동 분석, 상황 설정, 맥락 요소 분석, 스토리보드 작성, 촬영 단계이다. 둘째,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의 촬영 원리는 촬영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콘텐츠의 길이(쇼트의 크기)와 카메라의 높이(앵글) 2개 범주와 쇼트의 크기, 구도와 앵글, 시점, 영상 선택권 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범주는 카메라 촬영 기술에 속한 영상문법으로 특수교육 전문가인 특수교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상의 길이, 구도와 카메라의 운용, 시점, 과제제시전략’ 4개의 범주로 재구성하였다. 셋째,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와 기존 영상 콘텐츠의 비교 관찰에서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가 수행목표 도달도와 과제 집중도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넷째, 이 연구의 사회적 타당도에 대해 20명의 현직 특수학교 교사들은 사회적 중요성, 사회적 수용성, 사회적 의미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사회적 타당도 문항의 전체 평균값은 백분율 97.4%, 5점 척도값 4.87점으로 이 연구의 사회적 타당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의 지역사회 모의수업을 위한 교수매체의 개발 특성, 교수매체로써의 효과성, 사회적 타당도를 알아봄으로서 최종적으로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는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 교육을 위한 교수매체로써 현장 적용에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360도 가상현실 영상 콘텐츠가 가진 시점의 자유, 상호 작용, 오감을 기반으로 하는 자연 언어적 특성을 도출함으로서 UDL과 개인화에 필요한 디지털 교수매체로써의 가능성까지 확인 할 수 있었다.

      • GPS-SBAS 기반 저궤도위성의 궤도결정 기법

        김민규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활용한 위치추정 기법은 항공기 및 선박의 항법뿐만 아니라 저궤도위성의 궤도결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GNSS 신호에 포함된 항법메시지의 갱신 주기가 길어서 갱신 주기 내의 전리층 변화를 반영할 수 없으며 수신된 정보만으로 고장 감지와 같이 신호의 신뢰성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갱신 주기 이후부터 시간이 지날수록 신호 오차가 급증한다. SBAS(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는 위성항법시스템을 보강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SBAS는 GNSS 신호에 포함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정보와 추정된 보정정보에 대한 오차 정보인 무결성정보를 제공한다. SBAS 보정정보로 위성 신호의 오차 요소를 보정하여 위치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무결성정보는 추정된 위치해에 대한 오차 한계치 정보를 계산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GNSS 단독으로 측위를 수행하는 것보다 정확도가 높으며, 각 GNSS 위성의 신호에 대한 오차 공분산 값으로부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SBAS는 지상/항공기 사용자를 기준으로 개발한 시스템으로, 지상 환경으로 한정된 정보가 제공되므로 저궤도위성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저궤도위성에서 SBAS를 사용하기 위해선 지상 환경으로 한정된 정보를 저궤도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저궤도위성 환경에서는 대류층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리층에 의한 신호 지연도 지상 환경보다 작다. 따라서 SBAS를 저궤도위성에서 사용할 때 대류층에 관한 정보는 모두 0으로 사용해야 하며, 전리층 관련 정보는 지상과 저궤도위성 환경에서의 전리층 지연의 비율을 팩터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지상/저궤도위성 환경의 전리층 지연 비율을 계산하는데 3차원 전리층 모델이 필요한데, 실시간으로 3차원으로 모델링된 전리층 정보를 제공하는 모델인 NeQuick G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NeQuick G 모델로부터 전리층 지연 비율을 계산하여 전리층 보정정보 및 무결성정보에 적용하면 저궤도위성에서도 SBAS 전리층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저궤도위성은 지구 전역을 비행하므로 한정된 SBAS 영역을 비행하는 시간이 매우 짧다. SBAS 보정정보를 저궤도위성용으로 변환하여도 SBAS 정보 가용 구간이 짧으므로 이를 온전히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저궤도위성의 SBAS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궤도/시계 보정정보는 시계열 추정기법으로, 전리층 보정정보는 공간외삽기법을 사용하여 SBAS 정보를 확장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BAS 정보를 저궤도위성용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저궤도위성용으로 변환된 SBAS 보정정보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SBAS 궤도/시계 및 전리층 보정정보를 각각 확장하여 확장 성능을 분석하고, 확장 전/후 SBAS 가용성의 변화도 확인하였다. GPS 신호와 저궤도위성의 동역학모델을 결합한 위치추정 필터인 GPS 항법필터에 SBAS를 결합한 GPS-SBAS 항법필터를 개발하고 항법필터 및 SBAS 적용에 따른 저궤도위성 위치추정 결과도 비교하였다.

      • 정부 관리자 역량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중앙행정기관 고위공무원을 중심으로

        김민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공공 성과관리 이론은 정부 관리자의 역할을 중시해왔다. 공공 성과라는 것이 결국 관리 행위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데, 관리의 주체인 정부 관리자에 대해서는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전략적 인적자원 관리를 비롯한 여러 이론적 성취를 통해 정부 관리자로 하여금 역량을 향상함으로서 조직 성과와 연계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음으로 중요한 문제는 첫째, 정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경력개발은 어떠한 특징을 나타낼까, 둘째, 그들이 형성한 역량은 실제 성과와 관련성이 있는가, 셋째, 그렇다면 어떻게 그들의 역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논의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현상과 자료에 근거해 정부 관리자의 역량과 성과와의 관계 규명을 위해 노력했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도 한국 현실에 적합한 정부 관리자의 역량 변수의 발굴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데이터 확보가 필요했다. 본 논문에서 새로이 제시한 독립변수들은 학·석사간 전공 이동, 정부 관리자의 부처이동, 학연, 대통령(비서)실 근무 여부이다. 이러한 새로운 독립변수들은 기존 공공 성과관리 연구에서 이미 조직 및 사업 특성 등 영향력이 확인된 요인들과의 관계에서 어느 정도 설명력을 나타낼 수 있을지에 대한 염려가 있었다. 또 본 논문은 객관적 자료와 대표본을 사용해 정부 관리자 역량과 성과와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정부 관리자가 형성한 각 역량 변수가 중앙행정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성과는 재정사업 평가점수, 평가등급과 예산증가율로서 측정했다. 이를 위해, 40여개 중앙행정기관의 2,456개 단위사업(중복 포함)을 대상(2008년~2015년)으로 했으며, 데이터는 주로 정부기관, 언론사 등에서 공개적으로 제공하는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정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성과 연구의 대부분이 설문에 기반을 둔 다소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을 토대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나, 본 논문은 재정사업자율평가와 같은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했다. 이러한 형태의 정부 관리자의 성과에 대한 실증 연구는 일부 미국 등 해외사례를 제외하면 아직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재정사업 평가점수와 평가등급을 종속변수로 한 정부 관리자의 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부 또는 일부에서 가설이 예측한 방향대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사고 역량에서는 전공이동이, 업무 역량에서는 부처이동이, 관계 역량에서는 대통령(비서)실 근무여부 변수가 가설의 예측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음 예산 증가를 종속변수로 한 분석결과 사고 역량 중 전공이동에서, 관계역량 중 대통령(비서)실 근무에서 가설과 일치하는 방향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만 예산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 역량은 본 논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변수는 본 논문에서 새로이 제시한 수평적 차원의 경력개발 변수들로서 학력수준과 재직기간과 대통령(비서)실 근무와 같은 변수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목해온 변수의 효과가 크지 않거나 혹은 드러나지 않는 가운데 효과를 나타낸 것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다. 사고 또는 업무 역량의 일부 수직적 차원에 해당하는 변수들은 한국과 같이 경제 및 사회가 발전한 상황에서 역효과를 갖거나 유의미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는데 본 논문에서 이러한 예상에 기반을 둔 효과가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The topic of government manager’s competence is related the theory of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where the role of management in government has been taken as central issues. Most of previous studies did not fully focused on government manager’s role itself and they relatively neglected on how government manager’s traits are effect on governmental performance. Although some studies tried to include them in their research model just as control variable, these are not sufficient to explain performance due to limited usage such as demographic traits. Also these variable is not effective because they are failed to explain performance based results or reflect changing current policy environment. This thesis focused on the government manager’s competence within Korean governmental context and using three competence factors which is thinking, work, and relation competence. These factors leads to explain two important governmental performance, program and budget. In this thesis, these new factors of competence are vital one to explain the governmental outcomes and these variable would be distinguishable compared to other variables already proven in the previous studies. For this, this thesis prepared data for 2,456 units of programs from 2008 to 2015. Especially data for senior executive members is gathered diverse sources including governmental archive, news agencies, and private data bases. Some hypothesis in this thesis are proven as expected. Specifically, major mobility in thinking competence, organization mobility in work competence, and presidential office experience in relate competence were shown as effective independent variables to explain governmental performances. In addition, these results not only applicable to expand coverage of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theory but also to helpful to understand how to manage and nuture governmental managers as valuable assets in the context of Korean Central government.

      • 자아노출, 인상관리동기,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대인관계 조화에 미치는 영향

        김민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인을 대상으로 개인의 자아노출, 인상관리동기, 친밀감두려움이 대인관계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인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아노출, 인상관리동기, 친밀감두려움 모두 대인관계조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아노출은 모든 요인이 대체적으로 대인관계 조화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자아노출의 의도 요인이 대인관계 조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상관리 동기는 자기의식 요인과 타인의식 요인 중 자기의식 요인만 대인관계 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 조화의 요인 중 대인행동과 대인정서가 자기의식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친밀감 두려움은 개방 요인과 두려움 요인 중 개방 요인이 대인관계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고 개방요인은 대인정서 대인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신을 의도적으로 노출하고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자 하는 마음이 크며 친밀한 사람과 가까워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회인이 일반적인 대인관계에서도 조화롭게 잘 지낸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사항들을 제시하였다.

      • 시멘트사업장 인근 주거지역에서의 악취특성

        김민규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멘트제조시설인 소성로의 연료 및 원료로 고형폐기물(SRF : Solid Reuse Fuel)을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악취원인물질의 배출과 현황을 파악하고 오염물질의 확산에 따른 경로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적인 범위로는 3개 지자체에 6개 시멘트 사업장(20여개 소성로)이 밀집되어 있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곳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에 위치하는 시멘트 사업장의 배출구 및 주거지역에서의 악취성분의 농도를 측정·분석함으로써, 배출되는 악취원인물질의 거동과 악취활성값에 의한 기여도 평가를 통해 악취원인물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각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용해성, 비용해성, 분자량, 흡착특성 등)을 조사하여 해당 악취원인물질의 제거기술을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멘트 사업장 배출구 및 주거지역에서 복합악취 및 22개 지정악취물질을 측정 분석 한 결과 사업장주변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와 뷰티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등 알데하이드류가 94.3~95.8%의 구성비를 차지하였으며, 주거지역의 경우 알데하이드류의 구성비 또한 타 지역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채취지점은 전형적인 농촌형으로, 소규모 주거지역이 형성된 곳이기 때문에, 검출된 지정악취물질(알데하이드류 및 황화합물류 등)의 특별한 배출원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발생된 악취물질은 인근지역에 위치한 시멘트 제조 및 생산 공정중 소성로 가동을 위한 연료 및 원료투입에 의해 발생된 것이라 추측되었다. 연구대상지를 중심으로 J시 3기, Y군 5기, D군 13기의 소성로가 가동 중이며, 소성로에서 발생하는 악취원인물질이 인접 시·군 주거지역 및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J시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시멘트 사업장이서 발생된 악취물질이 이동·확산에 의해 시멘트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 뿐 아니라 인근 지역의 주민들에게까지 영향을 주고, 이로 인해 민원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시멘트 소성로에 보조원료 및 연료 투입 시 관리기준 마련과 배출구에 대한 지정악취물질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고, 악취영향권역을 파악하여 발생원처리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인접 시군 주민들의 의견수렴을 통한 민관협의체를 구성하며, 악취민원 발생 시 사업장통보, 공정 개선 등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