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L 환경에서 문법 유형에 따른 입력처리 교수의 효과 차이 영어 의문사와 관계대명사 학습을 바탕으로

        김미사 연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 studies on grammar learning suggest that different teaching methods should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grammar type (Schenck, 2018; Kim Jeong-eun 2017; Cowan, 2011).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Processing Instruction(PI) compared with Traditional Instruction(TI) on two different grammar types in English - questions and relative clauses. Korean high school students (N= 58)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PI or TI group. Both groups received a four-session class on English question forms and another four-session class on English relative clauses over a month period. A pre-test was conducted a week prior to the first class session, a post-test was conducted immediately following the last session, and a delayed post-test was conducted a month after the first post-test.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emerge over time,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differ for each grammatical type. Accuracy i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in the PI group, whereas students in the TI group showed significantly slower accuracy in grammaticality judgment over time. Ther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learning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between the English questions and English relative clauses. While the PI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ffects than the TI group in learning English ques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I group and TI group in learning English relative clauses.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initial evidence for the advantage of PI for learning certain grammar type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how teaching methods should differ when learning various grammar types. 전반적인 문법 교육에서 학습자의 성취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최적의 교수 방법을 찾는 것은 언어 교육 연구의 핵심 주제이다. 최근 모든 문법에 동일한 교수법을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며, 문법의 유형에 따라 다른 교수법을 취해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하고 있다(Schenck, 2018; 김정은 2017; Cowan, 201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형태중심교수법(Focus on form) 중 입력처리 교수(Processing Instruction)가 문법 유형별로 다른 학습 효과를 도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구리시 S학원에 재원중인 58명의 학생들이었으며, 학생들은 입력처리교수를 받는 집단과, 전통적 교수를 받는 집단으로 나뉘어 각 문법유형 당 4차시씩 총 8차시의 수업을 들었다. 수업 일주일 전 사전평가가, 마지막 수업이 끝난 직후 사후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장기적인 학습효과의 차이를 보기 위해 수업 한 달 후 2차 사후평가가 실시되었다. 사전평가와 사후평가는 문장단위의 문법성판단테스트(Grammaticality Judgement Test)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시간에 따른 교수법 효과의 차이가 존재하며, 문법유형에 있어서도 더 효과적인 교수법이 존재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입력처리교수와 전통적 교수는 시간에 따른 변화의 양상이 달랐는데, 입력처리 교수집단의 경우 시간에 따라 학습효과가 상승했으나, 전통적 교수 집단의 경우 시간에 따라 학습효과가 오히려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문법 유형별로도 교수법의 효과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의문사 학습에서는 입력처리교수가 전통적 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효과를 보인 반면, 관계대명사 학습에서는 입력처리교수와 전통적 교수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자료는 문법 유형별로 적절한 교수법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

      • 정지용 시의 변모양상 연구

        김미사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의 목적은 정지용이 근대 상황에 대처한 방법으로 선택한 시의 변모 양상을 각 시기의 특징을 중심으로 명확하게 규명하여 시의식의 변화 및 시세계의 전모를 추적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살펴 보면 정지용 작품의 어느 한 시기에 치중하여 연구한 것이나 전기적 사실에 치중하여 연구한 것들이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연구에 많은 아쉬움을 느껴 본고에서 정지용 시를 전체적으로 통틀어 변모 양상을 순차적으로 연구해 보는 것을 시도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정지용 시의 변모 양상을 그가 근대 상황과 근대적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대처했던 방법으로 인식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정지용의 시의식의 변화 및 시세계의 전모를 추적해 보기 위해서는 시대 구분이 필요한데, 본고에서 정지용 시에 대한 시대구분은 학자들의 보편적인 의견을 따른다. 따라서, 정지용의 작품에 대한 시대 구분을 초기시는 1926년 ~ 1932년, 중기시는 1933년 ~ 1935년, 후기시는 1936년 ~ 1950년 사이의 작품으로 한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방법과 연구사를 살펴본다. 본고에서 정지용의 시의식의 변화에 따라 각 시기의 특징을 연구한다는 목적을 명확히 제시한다. 또한 정지용의 작품을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그 시기의 특징을 작품 해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방법으로 한다. 연구사는 1930년대부터 지금까지 시대별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로 나눠서 살펴 본다. 연구사에서 아쉬운 부분을 보완하여 본고를 작성하였음을 알려둔다. 본론에서는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제시한 것을 토대로 정지용 시의식의 변화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고, 각 시기의 특징을 작품 해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먼저, 정지용의 초기시는 1926년 ~ 1932년 사이의 작품으로 선정하여 동시 · 민요풍의 시, 고향상실의식, 바다의 상징성을 알아본다. 동시 · 민요풍의 시는 어린 나이에 고향을 떠나면서 그가 고향을 생각하는 마음이 유년기의 동심과 조화되어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였다. 고향상실의식은 <고향>관련 시를 중심으로 정지용이 타국에서 겪은 외로움과 나라를 잃은 슬픔을 나타낸다. 바다의 상징성은 '바다'를 '근대'로 보고 '바다'를 매개체로 하여 '근대'에 대한 동경과 두려움을 드러내는 것을 살펴 본다. 중기시는 1933년 ~ 1935년 사이의 작품으로 선정하여 신의 세계 즉, 신앙시를 살펴본다. '영원을 추구한 신의 세계'와 '신에 대한 구원의식'을 살펴본다. '영원을 추구한 신의 세계'는 「臨終」,「또 하나 다른 太陽」을 통해서 신의 영원성으로 현실의 부정적인 것들을 없애고, 신에게 구원받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다. '신에 대한 구원의식'은 「나무」와「恩惠」을 통해서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은혜'로운 신에게 '구원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후기시는 1936년 ~ 1950년 사이의 작품으로 선정하여 시집『백록담』을 중심으로, '동양정신의 세계', '자연과의 합일의식'을 살펴본다. '동양정신의 세계'에서는 동양지향적 전통성을 '자연' 즉, '산'을 통해 한 폭의 동양화 이미지로 그려낸다. '자연과의 합일의식'에서는 인간들의 '자살' 즉, '죽음'을 통해서 세속적 현실로부터 떨어져 자아의 고립을 유지할 때 자연과의 조화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에서는 서론과 본론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정지용 시의 변모 양상은 각 시기마다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초기의 모더니즘적인 면에서 언어적 기교를 탈피하고자 중기에서 '신앙'을 통해 '구원의식'을 표현하였다. 또한 후기에서는 중기의 신앙시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산'을 통해 동양지향적인 전통성과 자연합일의식까지 접근한다. 감각적이고 참신한 언어 사용으로 외래적인 모더니즘 시는 물론 동양정신의 산수시까지 창작했던 그는 우리 한국 문학사의 정통성을 지키려 했던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This manuscript has its purpose in tracking the change of poetic consciousness and the whole picture of the poetic world by clearly examining the transfiguration conditions of poems based on each time phase characteristics which Jeong Ji Yong selected was a way to cope with modern situations. In pre-existing researches, a lot of them have emphasized on only a certain time phase of Jeong Ji Yong's work or former facts. Therefore, feeling a lack of state, this manuscript tried to research the transfiguration conditions as a whole in order, the poems of Jeong Ji Yong. Especially, this thesis acknowledges and emphasizes on the point that Jeong Ji Yong used his poem's transfiguration conditions as a method to solve modern situations and modern anxiety. In order to track the change of Jeong Ji Yong's poetic consciousness and the whole picture of the poetic world, classifying the era is needed,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time phase of Jeong Ji Yong's poems is based on general opinions of scholars. Therefore, the time phase classification of Jeong Ji Yong's work is as the following; the Early poems 1926 ~ 1932, Mid poems 1933 ~ 1935, and the Latter poems 1936 ~ 1950. In the introductory part, it explains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research. This thesis clearly indicates the purpose that the research is about the distinctiveness of each term in accordance with Jeong Ji Yong's change in poetic consciousness. Also, it has its method of examining and analyzing Jeong Ji Yong's work from each time period classified into Early, Mid, and Latter. The research approaches by classifying positive opinions and negative opinions by time periods from 1930 to today. This research manuscript is created by supplementing the lacking aspects from former researches. In the main subject, Jeong Ji Yong's change in poetic consciousness is classified into Early poems, Mid poems, and Latter poems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and method mentioned in the introductory part, and approaches his work through interpreting his work by each time phase. First, Jeong Ji Yong's Early poems are work during 1926 ~ 1932 and is about children songs · folksongs, hometown loss, and symbolism of the sea. Children songs· folksongs poems expresses thinking of home and missing his family when leaving the hometown at a young age mixed with the heart of a child. Hometown loss consciousness is expresses the sadness and loneliness of Jeong Ji Yong being in another country based on poems about <hometown>. The symbolism of the sea uses 'sea' as a metaphor for 'modern' and expresses the aspiration and fear of 'sea' towards 'modern'. The Mid poems of 1933 ~ 1935 mainly looks on the world of god, of religious belief poems. It reviews 'The world of god pursuing eternity'와 'Salvation from god'. Through 'The world of god pursuing eternity'「臨終」,「Another different 太陽」, the negative aspects of the present world are vanished by the eternity of god, and expresses the will for being saved from god. 'Salvation from god', through「Tree」and「恩惠」, shows the 'salvation will' from the 'graceful' god in order to get away from the pains of reality. In the Latter poems during 1936 ~ 1950, based on the poetry book『Baek Rok Daam』, they express 'The world of the Eastern mind', and 'Unification with Nature'. 'The world of the Eastern mind', draws an eastern image through an eastern traditional pursue of 'nature', expressed as 'mountains'. 'Unification with Nature', shows the harmony with nature by being apart from reality through 'death', or 'suicide'. The conclusion part shortly summarizes the subjects from the introductory part, and the main part. The transfiguration conditions of Jeong Ji Yong's poems ar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by time periods. To escape literal techniques in modern terms during the early time, the 'salvation consciousness' was express through 'religious beliefs'. Also, in the latter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ligious beliefs in the mid poems, it approaches eastern tradition and unification with nature through 'mountains'. Jeong Ji Yong who created nature poems mirroring the eastern mind as well as modernism poems using sensuous and original words, has great meaning in trying to maintain and protect the Korean traditions of Literature.

      • 예술가 지망생들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김미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다양한 배경의 예술가 지망생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예술가 직업정체성을 형성하는지, 그리고 그 직업정체성이 지망생들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심층면접을 통해 알아보았다. 예술의 특성상 지망생들도 전문 예술가 직업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지망생들이 예술가라는 직업을 선택하고 인식하는데 있어서 정체성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망생들에 따라 예술가 직업정체성 형성 수준과 그 내용이 상이하였다. 지망생들이 예술가로 사회화되는 과정에서 주요 사회적 요인들의 유무 혹은 영향 정도가 달랐기 때문이다. 예술가 직업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준 주요 사회적 요인들로는 지망생들의 성별, 학벌, 장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의 예술적 소양 등의 지망생들의 배경요인들과, ‘기대지평’ 개념을 변형시켜 적용한 예술적 재능, 지식, 경험, 능력 그리고 예술 세계의 ‘의미 있는 타자’들의 ‘인정’을 제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예술가 지망생들에 따라 예술가 직업정체성 형성 수준에서 차이가 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안정추구형, 만족추구형, 명예추구형, 자포자기형으로 귀납적으로 개념화한 다양한 타입의 직업정체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예술가 직업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 즉 예술가가 탄생하는 과정이 단순히 한 사람의 재능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