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생인권조례 제정에 따른 두발 자유화와 헤어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묘진 남부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중, 고등학교 에서는 두발규제로 학생들은 한정된 교칙에서 헤어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12년부터는 학생인권 조례제정으로 학생의인권이 학교교육과정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의 존엄과 가치 및 자유와 권리를 보장한다는 내용아래 중,고등학교 학생의 두발자유화가 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인권조례 제정에 따른 두발자유화에 대한 남녀 성별에 따른 학생들의 생각과 헤어스타일 선호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의 미용구매 행동 특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두발자유화가 시행되고 있는 광주지역 고등학생의 미용관심 및 태도, 헤어스타일 선호도의 상관관계와 각 변수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새로운 수요층에 대한 대처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있는 고등학교중 학생인권조례제정으로 두발자유화가 시행중인 고등학생을 선정하여 2012년 3월 22일부터 4월 5일까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설문 회수된 230부의 샘플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낮다고 생각되는 47부의 샘플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93부 샘플을 실증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PASW statistics 18.0K for Windows를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여 판단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학생들의 전반적인 미용관심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남녀에 따른 헤어디자인 선호도 경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교차분석을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자 38명(19.7%), 여자 155명(80.3%)으로 나타났고, 한 달 용돈은 3∼5만원 미만이 55명(28.8)으로 가장 많았고 5∼8만원미만 45명(23.68%), 1∼3만원 미만 33명(17.3%), 기타 32명(16.8%), 8∼10만원 미만 26명(13.6%) 순이었다. 최대 관심사는 진로결정 77명(43%), 성적향상 54명(30.2%), 교우관계 24명(13.4%), 외모관리 20명(11.2%) 순이며, 이들 관심사에 대한 대화 상대로는 친구 102명(58.3%), 부모님 29명(16.6%), 스스로 해결 23명(13.1%)으로 외모에 관한 관심사 또한 친구들을 통하여 전파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외모에 관심을 보이는 정도는 11.2%였으나 이에 반하여 170명(89.0%)의 학생이 두발자유화를 지지하였고, 과반수 이상이 어떠한 규제도 없는 완전한 두발자유화를 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전반적인 미용관심 및 태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결과, 미용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용 인지도, 미용 활용도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 관심도에 대한 차이비교 검정 결과, 성별, 한달 용돈, 관심사 대화 상대, 두발 자유화, (여) 학교 두발 규제정도에 따른 미용 관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자의 경우, 용돈이 많을수록, 관심사 대화 상대가 친구일 경우, 두발 자유화를 찬성할 경우, 어깨에 닿으면 묶는 정도의 규제일 경우에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 활용도에 대한 차이비교 검정 결과, 성별, 한달 용돈에 따른 미용 활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자의 경우, 용돈이 많을수록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 인지도에 대한 차이비교 검정 결과, (여) 학교 두발 규제정도에 따른 미용 인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길이 상관없이 단정한 정도, 파마, 염색만 안하는 정도의 순으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2. 남녀 성별에 따른 헤어디자인 선호도 경향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녀에 따라 헤어스타일 변화 시도 계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남자의 경우 43.2%가 지저분해서라고 응답했고, 계절변화(심리), 주위 권유, 유행에 맞추어 순으로 응답했다. 여자의 경우 32.2%가 계절변화(심리)라고 응답했고, 지저분해서, 연예인을 보고 순으로 응답했다. 미용실 선택 고려 요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남자의 경우 52.8%가 가까워서라고 응답했고, 여자의 경우 가격이 저렴, 가까워서, 서비스가 좋다 순으로 응답했다. 남녀에 따라 헤어스타일 결정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남녀 모두 얼굴형에 가장 많이 응답했지만, 남자의 경우 계절, 기타, 유행경향 순으로 응답했고, 여자의 경우 기타, 유행경향 순으로 응답했다. 선호하는 헤어 길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남자의 경우 67.6%가 커트, 귀밑단발을 선호하였고, 여자의 경우 가슴, 가슴아래, 어깨길이 순으로 84.1%가 어깨길이 이상의 긴 머리를 선호하였다. 남녀에 따라 선호하는 커트 형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to select their hair style within limited school regulations under the hair style regulations. However, since 2012 when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was enacted to realize students' rights in a curriculum and secure students' dignity, value, freedom, and rights, hair styl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s become fre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opinions about free hair according to the enactment of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and hair style preference in high school girls and boys and investigate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products purchase in depth.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interest in beauty, an attitude to beauty, and hair style preference and effects of each variable in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wangju where free hair has become effective, and examine coping methods for a new demand group. Using convenience sampling,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in Gwangju where free hair became effective according to the enactment of the students' rights ordinance from March 22 to April 5, 2012.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ut finally 139 sampl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except 47 because they included insincere or unreliable responses. PASW statistics 18.0K for Windows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0.05.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struments respectively. Independent Samples t-test, ANOVA, and one-way ANOVA analysis were done to examine students' general interest in beauty and attitude to beauty. Duncan test was performed for pos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lso,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 in hair design pre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using SPSS v. 12.0 statistics package. As a result, boys were 38(19.7%) and girls were 155(80.3%). Monthly allowance was less than ₩30,000∼50,000(n=55, 28.8%), less than ₩50,000∼80,000(n=45, 23.68%), less than ₩10,000∼30,000(n=33, 17.3%), and others(n=32, 16.8%), and less than ₩80,000∼100,000(n=26, 13.6%). Subjects' greatest concern was determination of career(n=77, 43%), followed by grade improvement(n=54, 30.2%), peer relationship(n=24, 13.4%), and appearance care(n=20, 11.2%). Subjects talked about their concerns with friends(n=102, 58.3%), parents(n=29, 16.6%), and themselves(n=23, 13.1%), which indicated that concerns about appearance could be transmitted via friends. Although the level of concern about appearance was 11.2%, 170(89.0%) students supported free hair and a majority of students wanted completely free hair without any regulation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Difference in students' general interest in beauty and attitude to beauty was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est in beau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beauty recognition and the use of beauty. The results of comparing difference in interest in beauty sugges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monthly allowance, talk-partner for concerns, free hair, and a level of hair style regulations in a girls' school(p<.005). In girls, large amount of allowance, talking with friends, agreement to free hair, and a regulation of binding hair if hair touches the shoulder were related to high interest in beauty. The results of comparing difference in the use of beauty sugges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nd monthly allowance(p<.005). In girls, large amount of allowance was related to high use of beauty. The results of comparing difference in beauty recognition sugges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 level of hair style regulations in a girls' school. The highest recognition was found in a level of cleanness and neatness irrespective of length, followed by no permanent wave and no dyeing (p<.005). 2. The results of difference in hair design preference according to sex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 chance to change hair style between girls and boys(p<.005). While boys responded untidy(43.2%), seasonal change(feelings), advice, and trend, girls responded seasonal change(feelings)(32.3%), untidy, and star performe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ideration for choosing a beauty parlor(p<.005). While boys considered a close distance(52.8%), girls considered a moderate price, a close distance, and a good servic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air style determinants(p<.005).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was a face shape in both boys and girls, followed by season, others, and trends(boys) or others and trends(gir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hair length(p<.005). While boys preferred short cut and short hair(67.6%), girls preferred long hair below the shoulder(breast>below breast>shoulder)(84.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cut shape(p<.005). While boys preferred increase layer and uniform layer, girls preferred increase layer and solid lay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cut style(p<.005). The most preferred cut style was shaggy cut in both boys and girls, followed by stroke cut(boys) or disconnection cut(girl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dyeing style(p<.005). The most preferred dyeing style was light brown in both boys and girls, followed by black(boys) or brown(girl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permanent style. While boys preferred a volume permanent(29.7%), girls preferred a natural permanent(28.5%) and

      • 解說서비스 品質이 祝祭訪問客 滿足과 支拂意思에 미치는 影響

        김묘진 木浦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경우 역사문화와 향토문화, 음식문화 등 풍부한 관광자원을 지녔음에도 해당 상품의 매력에 비해 안내체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방문객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역축제는 그 지역의 문화를 주제로 하기 때문에 연행되는 그 자체만으로 이해가 어려워 무엇보다도 해설서비스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부분의 축제장에서 해설서비스는 방문객들과 접점하기에 아직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존 관광지 안내는 외국인을 위한 관광통역 안내원과 내국인을 위한 국내여행 안내원, 해당 관광지의 자원봉사자 그리고 일부 관광지의 전문안내요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의 해설체계는 팜플렛에 있는 관광상품의 내용들을 주입식 안내방법으로 관광자원전달에 효과적인 설명이 미흡하여 방문객 만족 증대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무리 훌륭한 관광자원이 있고 많은 방문객을 유치하더라도 방문객이 관광지의 환경을 제대로 지각하지 못한다면 양질의 관광경험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문화관광 해설은 관광 수요층에게 단순히 볼거리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볼거리를 교육적으로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의 하나이다. 특히 방문객은 문화관광의 해설 기능을 통해 단순히 보고 즐기는 단계에 머물지 않고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견하는 단계로까지 나아갈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관광상품을 방문객들에게 제대로 설명해 줄 수 있는 안내체계가 잘 이루어져 양질의 경험을 제공해준다면 재방문의 지속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관광지를 방문한 방문객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해설서비스 품질과 축제방문객 만족 요인에 근거한 행태변화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하겠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에 많은 방문객들이 축제장 방문과 인근 연계관광지를 방문하는 사례가 많다고 판단하여 축제방문객을 중심으로 해설서비스를 제공받은 방문객의 해설서비스 품질이 축제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방문객들의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관광지에서의 해설서비스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지역문화관광지에서 방문객들에게 제공되는 해설서비스의 품질을 구성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해설서비스 품질 요인이 관광지를 방문한 방문객의 만족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규명해 내기 위하여 5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을 추진하였다. 설정된 가설 H1 : 해설서비스 품질(해설의 전문성, 해설의 내용성, 해설사의 외형성)은 각각 해설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 축제해설 만족은 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 축제해설만족은 축제방문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 해설서비스 품질은 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 해설서비스 품질은 축제방문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분석을 위하여 관광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설사와 해설사 교육을 전담하고 있는 전문가그룹 등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조사를 거쳐, 관광지에서의 해설서비스의 구성영역 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는 강진청자문화제의 축제장소와 많은 방문객들이 찾는 강진군 주변 관광지를 축제일정에 맞추어 선정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편의추출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인구통계적특성, 해설서비스품질, 해설만족, 지불의사 및 축제방문 만족 등으로 구분하였다. 조사실시기간은 2008년 8월 9일부터 2008년 8월 17일까지, 총 9일 동안 400부의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중 378부의 유효 표본을 획득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분석의 방법으로는 응답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측정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측정변수 간의 관련성 파악을 위한 상관분석, 지불의사에 따라 해설서비스 품질요인 및 축제방문객 만족 요인의 차이분석을 위한 독립표본 t-test, 해설서비스 품질요인이 축제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여 살펴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지불의사에 대한 영향력 검증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하여 분석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설서비스 품질인 ‘해설의 전문성’, ‘해설의 내용성’, ‘해설사의 외형성’ 등 3개요인 모두에서 ‘해설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설서비스 품질 중 ‘해설의 내용성’만이 지불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설서비스 품질 요인인 ‘해설의 전문성’, ‘해설의 내용성’, ‘해설사의 외형성’ 3개요인 모두 축제방문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해설의 전문성’, ‘해설의 내용성’에 의한 해설만족이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축제해설만족이 축제방문만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것이 축제방문만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가설의 검증 결과, 해설서비스품질은 해설만족과 축제방문만족에 중요한 영향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해설서비스품질 중 일부, 해설서비스에 의한 해설만족이 일부 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 반드시 해설만족이 지불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설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각 요인들이 축제방문객의 만족과 지불의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냄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관광지에서 해설서비스품질이 지닌 중요성에 대하여 다시 한 번 밝혀냄으로서 향후 해설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학문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었다. Korea has abundant tourism resources such as history, culture and great food. However, many festival visito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interpretation service toward related products. Many local festivals have a theme related to their own culture.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local culture as a theme of the festival, visitors are having difficult time to find an interpretation service. It is difficult for visitors to receive satisfying experiences if they do not have right perception toward tourist surroundings as it is. Therefore, the cultural tourism interpretation is the service not only will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what to see but also to transfer information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changes in visitors’ behavior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lso, the study examined how an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can affect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y. Finally, to improve an interpretation service, the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interpretation service. The study has five hypotheses. They are: H1: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Expertise, Contents, and External Factors)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H2: Satisfaction in interpretation about the festival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ay. H3: Satisfaction in interpretation about the festival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H4: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ay. H5: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t Kangjin Gun region and other tourism destinations close to Chung-Ja cultural festival site. The study utilized a convenience sampling. The target population was visitors who received interpretation servic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9th, 2008 to August 17th, 2008. Of the 400 visitors that responded to the survey 378 survey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examined by using frequencies to investigat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 factor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hypotheses proposed in this study were tested using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data analyses were : First, all factor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have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econd, among factors regarding an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only “content”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ay. Third, all factor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Fourth, among three factor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expertise” and “content”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ay. Fifth, the data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interpretation did not represent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can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interpretation and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However, satisfaction did not affect intention to pay directly. The study does have limitations; however, it contributes to the tourism field in tha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service quality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y.

      • 컨벤션센터의 브랜드 개성 및 자아 동일시에 관한 연구

        金妙眞 翰林大學校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competitions among enterprises become fiercer and the conditions in marketing fields have changed. It is mainly due to the share of common functions within rival products, which is made possible by the advance technology, and the easy reach of products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by the consumers. In such condition, the marketing strategy has diverted its focus from function to image of products. By branding itself, it is one of the ways to differentiate from the others and indirectly gain trust from the consumers. Consumers usually choose to express their status by purchasing Brand Self Identified goods or services. The more exclusive it is, the more attractive it will be. There is always a floating question on how to build a strong image to impact the public. One of the approved methods is to have a distinguished icon created to impress the consumer through definite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A distinction usually provides more prominent position for the enterprise than their competitors. It displays its heterogeneous characteristic intangibly and inseparably. The domestic convention industry has shown its current growth in the region. The competition is getting keener with many new centers, which similar services and images. It is difficult to find a challenging center to prove their distinction. There is no further progress on their brand pursuit in this field. In the literature study, it illustrates Brand Personality, Brand Self Identification, Brand Equity and condition with example of convention centers. On the ground of this study, it derives the theoretical model of relationship among Brand Personality, Brand Self Identification and Brand Equity. In this article, I verify that the Brand Personality and Brand Self Identification are efficient marketing communication tool to the convention center. To achieve this aim, I have chosen Coex as my survey destination. Coex became a mega conventional center after reconstruction in year 2000. It also has a multi purpose complex image due to its diversity of facilities like department stores and aquarium. I categorize the visitors into 2 groups as Convention Center and Mall visitors, and find the differences of their recognition for Brand Personality. The result shows the Brand Personality of Coex which base on the Aaker's 5. It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recognitions about Brand Personality between the 2 groups of visitors. It also tested the hypothesis of Brand Personality and Brand Identification Satisfaction. Consequently, in the case of convention center, modern factor is not applicable while entertainment factor is valid affecting the Brand Self-Identification, whereas the Mall visitors showed positively with the 2 factors. The theory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Brand Personality of convention centers, which is also a first attempt in this trade. It also indicates the differences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convention center and product. The convention center has 2 personalities while the product has 5. This model that has proven in other industry shall be implemente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suggest efficient management of Brand Personality of convention center may increase its Brand Equity, which also implies that strategic facilities with various Brand Personalities are required. We expect every convention center to be differentiated with a strategic and consistent communication to shape their Brand Personality.

      • 지역축제 프로그램 차별화를 통한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함평 나비 축제이미지를 중심으로

        김묘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분 연구는 지역축제에 참여하는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축제에 대한 이미지가 무엇인가를 연구하여 이러한 이미지를 지역의 장소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하여 쇠퇴해가고 황폐화되어 가는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지역축제이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항목 30개를 함평나비대축제에 적용하여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4개의 이미지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지역축제 이미지를 중심으로 장소마케팅 하는데 객관적이고 일반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4개의 이미지에 대하여 관광객들의 지각차이를 검증 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적분석을 병행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에 있어서는 국내/국외 연구자들이 제시한 관광지이미지와 지역축제 이미지항목을 면밀히 검토/분석하여 함평나비대축제에 적용할 수 측정척도항목 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실증분석의 대상축제로는 우리나라 2003년도 문화관광 부가 선경한 7개 예비문화관광축제의 하나인 함평나비대축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평나비대축제에 참여하는 관광객들은 함평나비축제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 및 교육성/향토성/체험성/신기성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4개의 함평나비대축제 이미지는 인구통계적/관광행태적특성에 따라 관광적들의 지각수준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함평나비대축제에 대한 이미지를 장소마케팅의 전략으로 활용함으로써 목표시장을 설정하고자하는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본 논문의 한계점을 제시함으로써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는 제언들 하였다. I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wants to be listed as a typical festival by the Culture and Tourism Ministry, many aspects should be improved especially in terms of programmes, Many of them are so similar that after the festival few participants are impressed, not knowing what the festival wants to display. So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existing programmes management by the one with striking programmes. Unlike Na-Ju Yeong-Gwang and Muan, neighbours of Hampyeong, who all have their own special local products, Hampyeong has no such things that can symbolize it, which makes pecple unfamiliar with it So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Hampyeong people to develop its economy under such a circumstance, In spite of this,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was selected as a typical festival. From now on the festival will make Hampyeong a place of interest To achieve this aim, the author suggests that Hampyeong employ new market strategies and improve its imag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struct a new market strategy different from other festivals on the basis of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evious butterfly festivals of Hampyeong.

      • 도자 유물의 부착장식을 모티브로 한 백자등잔 제작연구

        김묘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은 과거에는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이는 사물이었으나, 현대에는 과학의 발전과 생활양식의 변화로 역사적 가치가 높은 미적 탐구의 대상으로 변모하였다. 옛 도자 유물에 나타나는 부착장식을 미적 대상으로 삼아, 역사 속 유물로 기억된 백자등잔을 현대 생활공간에 맞도록 용도와 활용가치 면에서 새롭게 제작하고자 하였다. 우리의 역사 속 오랜 기간 어둠을 밝히는 조명기구로 사용되었던 등잔(燈盞)은 현대에 이르러 불빛이 주는 옛 정취와 더불어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사색의 도구, 혹은 실내공간을 돋보이게 하는 리빙소품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등잔은 오랜 세월 사용되었음에도 석유를 원료로 하는 기존의 호형(壺形)등잔에서 유형이나 형태적 변화는 거의 없으며, 연료의 개선과 보조 등기구 사용을 통해 활용도를 높여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옛 백자등잔이 가진 원형(原型; 기본형)은 유지하되 현대의 실내공간에서 사용하기 불편한 구조적 형태를 보완하고, 옛 도자 유물의 기능적 부착장식인 고리장식과 양이(兩珥)장식을 조형 요소로 접목하여 현대에 변화된 등잔의 역할에 적합한 백자등잔을 제작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전통등잔의 시대별 유형과 사용된 연료에 따른 형태적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등잔과 함께 사용된 보조 등기구를 용도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 호형등잔의 구조적 불편함과 실내공간에서 등잔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3가지 개선 방향을 도출하여 등잔의 기능적 형태연구를 시도하였다. 등잔의 장식으로는 시대별 고리형태의 부착장식이 나타나는 유물의 과거 사용방식과 조선시대의 양이잔 손잡이의 조형적 특징을 고찰하여 등잔에 심미적 효과를 높이는 장식 요소로 적용하였다. 백자등잔의 제작방법으로는 등잔의 형태연구를 시도함에 있어 시작품의 다양한 형태적 변용에 유리하고, 등잔과 심지꽂이의 유격을 정밀하게 맞추기 적합한 물레성형 기법을 이용하였다. 부착장식의 경우 고리장식과 양이장식의 조형적 특성에 적합하도록 판 성형 기법과 소형 압출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부착장식의 형태를 표현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백자등잔을 중심으로 현대인이 여가생활에서 즐겨 사용하는 소품들과의 세트 구성을 통해 전통등잔의 새로운 사용방식과 현대적 활용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Artifacts displayed in museums were useful real-life objects in a prior era, but in the present, lifestyl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science have caused them to become objects of aesthetic inquiry which only carry historical meaning. Using functional decorative attachments to ceramic relics as aesthetic objects, this study aimed to reproduce white ceramic lamps, which are remembered in terms of their use and value as historical relics, and make them suitable for modern living spaces. Historically, oil lamps have long been used for illumination, but in modern times, they are emerging as “thinking tools” that provide a feeling of emotional stability along with the effects created by the light or decorations that complement the interior. Although lamp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lmost no change has been made in their design from the original arc-shaped petroleum lamps, while their use has increased in response to changes in fuel or demand for accessori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duce a white ceramic lamp that was suitable in different roles in the present age by modifying their structure, which was inconvenient for use in modern indoor spaces, and attaching decorative rings and handles, which were functional and decorative attachments to ceramic relics, as modeling elemen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functional form of traditional lamps by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by era and types by fuel used, classifying accessory lamps by use, and deriving three improvements to address the structural inconveniences and ensure the safe use of the original arc-shaped lamps in indoor spaces. With regard to lamp decoration, the use of relics with ring-shaped decorative attachments by era and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handles of double-handled cups from the Joseon Dynasty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create decorative elements that increased the aesthetic effect of the lamps. Jiggering, which is advantageous when performing various morphological alteration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functional form of lamps and suitable for accuratel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lamp and the wick holder, was used to produce white ceramic lamps. For the decorative attachments, a slab building technique and a shaping technique using a small extruder that were appropriate for shaping decorative rings and double-handled decorations were used to represent the shapes of various decorative attachments. Based on the white ceramic lamp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present new ways of using traditional lamps in a modern setting by creating sets that are appropriate for contemporary leisure activities.

      • 누구세요?

        김묘진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족, 강한 이끌림의 또 다른 이름. 세상에는, 이런 우연이 있을까 하는 일이 많지만, 오랫동안 헤어져 살아서 얼굴조차 기억하지 못해도 가족이란 강한 이끌림이 우연을 만드는 게 아닐까? 기억 속에서 사라진 어린 시절, 엄마와 함께 했던 곳으로 향하는 아들과 기다리면 언젠가는 아들이 자신을 찾아 올 것이라는 마지막 희망을 갖고 같은 곳으로 향하는 엄마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가족의 소중함을 말하고 싶다.

      • 박완서 에세이 연구

        김묘진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Wan Seo Park was recognized as a writer at age forty and wrote more than one hundred novels and short stories in thirty years. She also wrote ten collections of essays, beginning with her first collection, "Cheers to the Last". While the novel suggests or implies a world of vision, describing themes which are supposed to be, it can be said that an essay is written through remembrance, reflection, and the contemplation of certain objects of our daily life as personalized by philosophic view, penetration and deep understanding. She says in the preface of a collection of essays that "I have two desires which I want to describe by novels and essays. I have paid attention to these two desires equally to write my literary works". We can read her mind in these comments that she tried to describe her literary works by her essays, different from her novels.What was her intetion trying to show her mind in her essays and devoting herself to write her essays? One characteristic in her novels is the theme of war and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ut She does not mention the war and the partition in her essays.The issues are different from the novels, more open-hearted and real. There are diversified themes in her essays but we can pick two characteristics out of them. One is "Beauty of Contemplation and Self-reflection" which she saw and felt from her daily life, and the other one is " The Critical Terms from her Real Life". Her themes in her essays are what happens on bus, articles of newspapers, a lady passing by when she looks down from the veranda or replacing the pot soil-an image from normal daily life. The themes of her essays are especially based on her personal life experiences. Her essays begin with her way of life with a common event or thing she confronted in daily life. The most common theme of her essays is her youth, longing for it in her consciousness. Some essays are remembrance of her youth and her happiness from that time and the criticism of reality is based on her personal life experiences and touches the readers a lot. In her essay "A Playground of Youth" she describes the customs of her hometown "Gaesung" like a detailed landscape. It is a means of a historical datum for her hometown. "The Finding of Happiness in her Daily Life" in her essays is a longing for a return to nature, otherwise even though living in the inner city. It brings happiness to us that we could not find in daily life. In her essay "Self-reflection of the Aged" she tells the feelings of humanity based on love and understanding under the beauty of contemplation. The recognition of reality in her essay "Critical Terms in Reality" diversifies but she writes clearly about it as a woman. The critical consciousness in her essays is not stronger than it was in her novels, but it seems that this is mostly from her daily life. Her social criticism of real consciousness engages with that of women's problem and those two themes arise simultaneously. Her themes are sometimes inattentive and desultory. Sometimes she reinterates with a few themes in some works and a unity of the work is indicated on the whole. One of her weaknesses is that she repeats the same stories in her other literary works. The themes are mostly ambiguous in her recent essay collection "Bean Curd". The things may happen because of her old age, but her literary styles look better and offset her weakness. When we read her essays, we sometimes forget the theme because of her fluent literary style. In a word, her essays are written by her pen, not by her intention. When we read the masterpieces of her essays, we recognize the flying time and our emotion is touched and pleased. Even though she wrote many masterpieces of the novel, her essays are ambiguous in penetrating her sincere and serious life rather than in her novels. There are many theses about her novels, but only a few about her essays. Accordingly, I want to understand the aspect of her literary works by analyzing the themes of her essays and devote myself to Korean modern literary essays by examining diversified aspects of her essays that make a range of her literature in my thesis "A Study of Essays written Wan Seo P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