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조용 고효율 휜-관 열교환기의 응축특성에 관한 연구

        김명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2열의 슬릿휜 및 루우버휜-관 열교환기와 1열 열교환기를 조합하여 형상을 변화한 휜-관 열교환기에 냉매 R22를 적용하여 열전달 및 공기측 압력강하 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열교환기는 각각 슬릿휜, 루우버휜 2열 열교환기의 기본형과 1열 열교환기를 14 mm간격을 두고 나란히 세운 2열 열교환기의 조합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조합형은 다시 앞 열과 뒷 열의 휜 형상을 달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그 휜 형상의 조합은 슬릿휜-슬릿휜, 루우버휜-루우버휜, 슬릿휜-루우버휜, 루우버휜-슬릿휜으로 각각 조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매측 실험조건은 응축온도 50℃, 과열도 10℃, 질량유량 0.6 kg/min∼1.0 kg/min, 공기측 실험조건은 건구온도 35℃, 상대습도 50%, 공기유속 0.8∼1.6 m/s로 하였다. 실험은 공기유속을 일정하게 하고 냉매의 질량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열교환기의 출구의 공기온도와 공기 및 냉매측 압력강하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공기측 열전달량과 냉매측 열전달량은 ±5% 이내에서 일치하였고, 각 슬릿휜 및 루우버휜-관 열교환기의 기본형에 비해 1열 열교환기를 14 mm간격을 두고 나란히 세운 조합형이 높은 출구공기온도와 응축열전달량을 보였다. 질량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본형과 조합형의 출구공기온도와 응축열전달량의 차이는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공기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냉매의 응축으로 인하여 출구공기온도와 응축열전달량의 차이는 줄어들었다. 공기측 압력강하량의 경우 열교환기 사이의 14 mm간격으로 인하여 조합형이 기본형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경우 질량유량의 변화에 대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공기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기본형과 조합형의 차이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냉매측 압력강하량의 경우 기본형에 비해 조합형이 높게 나타났다. 각각의 조합형 네 가지 열교환기의 성능을 비교해 본 결과 열교환기를 지난 출구공기온도 및 응축열량은 슬릿휜-슬릿휜으로 조합한 열교환기가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슬릿휜-루우버휜, 루우버휜-슬릿휜, 루우버휜-루우버휜 순으로 나타났다. 공기측 압력강하량의 경우 슬릿휜-슬릿휜으로 조합한 열교환기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슬릿휜-루우버휜, 루우버휜-슬릿휜, 루우버휜-루우버휜의 열교환기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냉매측 압력강하량의 경우 루우버휜-루우버휜으로 조합한 열교환기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루우버휜-슬릿휜, 슬릿휜-루우버휜, 슬릿휜-슬릿휜의 열교환기 순으로 나타났다.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at transfer rate and air side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the modified fin-tube heat exchanger having same flow path as the two row slit fin and louver fin-tube heat exchanger using refrigerant R22. The heat exchangers used in the experiments are classified as two, one is fundamental type of slit fin, louver fin and two-row heat exchanger composed of slit fin and louver fin and the other is combination type of two-row heat exchanger which is consist of two one-row heat exchanger with intervals of 14 mm. The combination typ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changing fin shape of front and rear row. So experiments are carried out by using slit-slit, louver-louver, slit-louver and louver-slit combination heat exchanger. Experiments are carried out at conditions of condensation temperature of 50℃, degree of superheat temperature of 10℃ and mass flux varying from 0.6 to 1.0 kg/min for the refrigerant side, and dry bulb temperature of 35℃, relative humidity of 50% and air velocity varying from 0.8 to 1.6 m/s for the air side. With constant air velocity, the outlet air temperature, air pressure drop and the refrigerant pressure drop results are measured and compared for different refrigerant mass flux con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mbination type heat exchanger has higher outlet air temperature and condensation heat transfer rate than the fundamental type heat exchanger. However, The combination type has higher air pressure drop than the fundamental type. The difference of air pressure drop between fundamental type and combination typ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ir velocity. The combination type has also higher refrigerant pressure drop than the fundamental type. Among the results of the four combination heat exchanger, the slit-slit heat exchanger show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 outlet air temperature and condensation heat transfer rate. The slit-slit heat exchanger has the lowest rate in the air pressure drop. On the other hand, slit-slit heat exchanger has the highest rate in the refrigerant pressure drop. The louver-louver heat exchanger has the lowest rate in the refrigerant pressure drop.

      • 조직 건강 진단 모델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조직 건강 진단에 관한 연구

        김명회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8년 신호창이 개발한 조직 건강 진단 모델을 활용하여 진행된 연구로서 해당 모델은 소통의 자유, 합리적 의사결정, 조직과 구성원의 목적정렬, 조직건강 전략적 구축 4가지 차원으로 구성돼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A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와 비교하여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조직 건강 진단 모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2019년과 비교하여 각 차원별 수준은 어떠한지, 직급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2019년과 동일하게 조직 건강 진단 모델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각 차원별 수준은 2019년과 비교해볼 때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며 A 기업의 조직 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직급에 따른 차이에서는 2019년과 동일한 직급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별 차이에서는 2019년과 비교하여 연령별 평균값의 차이가 줄어들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is model developed by Shin, Hochang in 2018, which consists of four dimensions: freedom of communication, rational decision-making, alignment of objectives of organizations and members, and strategic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health. In this work, we valid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mmunication-level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is model compared to 2019 and compare the level with each dimension and how it differs according to rank and ag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bot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is model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ame as in 2019. However, each dimensional level represents an overall lower value compared to 2019, suggesting that activities are needed to improve organizational health for company A. Differences between positions showed the same differences between positions as in 2019, while differences between age decreased compared to 2019.

      • 중부지방에 있어서 상록지피식물의 조경적 이용 : 광과 습도가 월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김명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Six evergreen ground-cover species were tested and evaluated for cold acclimation with various different light and relative humidity treatments among different regions in central Korea to enrich the varieties of ground cover plants for over-wintering. 1. During winter, half-evergreen species, Abelia grandiflora, was stable in two different locations in Seoul, Banpo, and Jamsil, respectively. This species had higher chlorophyll unit in Banpo with shade condition than with full sunlight condition. 2. Nandina domestica which recently started to be planted in central Korea had high chlorophyll unit with shade condition in both locations, Banpo and Gwacheon during winter. Light condition had no influence on chlorophyll unit in Banpo after April, meanwhile full sunlight condition decreased chlorophyll unit significantly in Gwacheon, which is exposed to cold wind from north. 3. Ophiopogon japonicas had more than double chlorophyll unit in shade condition compared to that in full light condition in all evaluation sites in Februar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lorophyll unit with light condition within Banpo in April. However, leaves in Gwacheon were de-colorized with full light over the winter. 4. To compare the climates between southern and central area of Korea, annual mean temperature (AMT) and relative humidity (RH) data were collected from Jeonju and Wando for southen Korea and Seoul for central Korea in 2008 and 2009. 5. Compared to Jeonju and Wando, AMT in Seoul was 7.75 and 9.30℃ lower, respectively, in 2008 and was 5,43 and 10.85℃ lower, respectively, in 2009. Likewise, the RH mean across year in Seoul was 10.17 and 18.64% lower in 2008, and 4.92 and 9.84% lower in 2009. However, the variation of RH between south and center was high in January and February in both years (RH in Seoul was 33.13 and 23.78% lower in 2008, and 20.89 and 20.02% in 2009, respectively). 6. All species had no direct damage from coldness although they had differences in L, a, and b value. However, leaves of Nandina domestica turned red or fell down in Seoul but not in Jeonju and Wando. Interestingly, Ophiopogon japonicus with shade in Seoul was not damaged although it was known to be susceptible to coldness. 7. Treatments with different light conditions from February to May in field indicated that the survival rate among each species varies tremendously. With full sun, the survival rate of Hedera helix and Pachysandra terminalis were extremely poor, while those of Ajuga reptans and Sedum rupestre were over 60%. However, with shade condition, those of Hedera helix ‘Ivalace’, Pachysandra terminalis, and Sedum rupestre especially increased as light weakened. 8. Treatments with two different RH at 25℃ for three species, Ajuga reptans, Hedera helix ‘Ivalace’, and Pachysandra termnialnis, showed that low RH (30%) desiccated above-ground part and that moderate RH (50 to 80%) influenced the survival rate of species differently. In this condition, Pachysandra terminalis had the best survival rate, which had the lowest ratio of fresh weight to dry weight, and Ajuga reptans had the lowest rate. With high RH (80%), the survival rate of Ajuga reptans (26.82% in ratio of fresh weight to dry weight) was highest and the other two had similar rate although the survival rate of all those species were relatively high.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서 동절기간에 적용 가능한 상록지피식물의 이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다양한 광과 습도조건에서의 생장변화 및 생존율을 조사하고 지역에 따른 생육을 비교·평가하였으며 여기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수도권 아파트의 광조건에 따른 지피식물의 생육 첫째, 서울의 반포와 잠실 아파트에 식재되어진 반상록성의 꽃댕강나무(Abelia grandiflora)의 동절기간 동안 생육을 조사한 결과, 엽록소 값이 반포아파트의 경우 양지조건보다 음지조건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두 지역 모두 상록을 유지하였다 둘째, 남천(Nandina domestica)은 광조건과 지역에 관계없이 음지에서 높은 엽록소값을 나타냈다. 이후 4월에는 반포지역에서 엽록소 값이 광조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북서풍에 노출되어 있는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낙엽이 졌다. 셋째,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은 지역에 관계없이 2월에 양지보다 음지에서 엽록소값이 두 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4월에는 반포지역에서 광 조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동절기 동안 엽색이 탈색되었다. 2. 차광처리가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 2010년 2월부터 5월까지 노지에서 차광처리 후 식물종별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무차광 조건에서 이바라체 아이비(Hedera helix ‘Ivalace’)와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는 생육이 극히 불량한 반면, 아주가(Ajuga reptans)와 세덤(Sedum rupestre)은 6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한편 차광조건에 따른 생존율은 식물종별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어서 이바라체 아이비(Hedera helix ‘Ivalace’)와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세덤(Sedum rupestre)은 광조건이 낮아질수록 생존율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종들은 광조건과 무관하였다. 특히 수호초(Pachysandra termnialnis)와 이바라체 아이비(Hedera helix ‘Ivalace’)의 생존율이 현저히 높았다. 3. 지역별 습도조건에 따른 상록지피종의 생육 첫째, 2008년과 2009년 서울을 기준으로 전주와 완도의 기상을 비교하였을 때 서울에 비하여 온도는 2008년도에는 각각 7.75℃, 9.30℃ 높았으며 2009년도에는 각각 5.43℃, 10.85℃ 높았다. 상대습도는 2008년도에는 각각 10.17%, 18.64%, 2009년도에는 각각 4.92%, 9.84%씩 높았으나 1월과 2월을 기준으로만 보았을 때 상대습도의 증가폭은 2008년도에 각각 33.13%, 23.78%, 2009년도에 20.89%, 20.02%로 높은 상대습도의 비율을 보였다. 둘째, 조사한 6종 모두 지역에 따른 L, a, b 값에 차이가 있었으나 직접적인 저온피해를 입은 종은 없었다. 그러나 남천(Nandina domestica)의 경우 전주와 완도지역과 달리 서울지역에서는 양지에 식재된 종의 잎이 낙엽 지거나 붉은 색을 띠었다. 내한성이 다소 약한 종으로 알려진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은 조사된 서울지역의 음지조건에 식재되어진 종은 남부에 식재되어진 종에 비하여 피해는 적었다. 4. 습도조건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30일(2010년6월) 동안의 아주가(Ajuga reptans)와 이바라체 아이비(Hedera helix ‘Ivalace’), 수호초(Pachysandra termnialnis)를 25℃의 생육상에서 습도별 처리 후 생육을 조사한 결과 3종 모두 30% 조건에서 지상부가 완전히 탈수되면서 고사되었다. 그러나 50% 이후의 조건에서는 종별로 생육에 차이가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의 비율이 제일 낮은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가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으로 이바라체 아이비(Hedera helix ‘Ivalace’)와 아주가(Ajuga reptans) 순이었다. 80% 조건에서는 다른 습도조건보다 3종 모두 양호한 생육상태를 나타냈으나 50% 조건과 달리 아주가(Ajuga reptans)가 생체중과 건물중이 26.82%로 가장 낮은 비율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이바라체 아이비(Hedera helix ‘Ivalace’)와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서 동절기 녹색경관 창출을 위하여 상록성 지피식물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습도와 광조건이 내한성 증진효과를 나타내는데 효과가 있음을 구명하였다. 특히, 내음성이 강한 식물일수록 음지조건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겨울철 이후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도출했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중부지방에서 상록성 지피식물을 조경용 소재로 이용 시 내음성이 강한 수종을 중심으로 북서쪽이 막혀서 건한풍(乾寒風)을 피할 수 있는 장소에 식재하는 것이 월동과 상록의 엽색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동해로 고사율을 줄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노인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김명회 한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 자아통함감을 알아보고, 죽음불안과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노년기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당진시와 서산시 소재 노인대학에 재학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불안은 75점 만점에 평균 43.24점으로 중간 수준의 죽음불안을 보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최종학력,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 종교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학력이 낮을수록, 건강이 안 좋을수록, 개신교가 아닐수록, 신앙심이 낮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았다. 둘째, 죽음준비도는 평균 27.32점으로 중간 수준을 나타냈다. 항목별로는 ‘죽음이 오면 언제라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 ‘영정 사진을 미리 준비해 주었다’, ‘죽음에 관한 중요한 사항들에 관하여 미리 가족들과 의논해 두었다’, 그리고 ‘유언장을 미리 준비해 두었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준비도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연령, 배우자 동거 여부, 생활수준, 정신적 건강상태, 신앙심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배우자와 함께 살지 않을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신앙심이 높을수록 죽음준비도가 높았다. 셋째, 자아통합감은 평균 33.27점으로 중간 범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통합감 차이 분석 결과, 성별, 연령, 생활수준,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여성일수록, 80세ㅔ서 84세일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정신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신앙심이 높을수록 자아통합감이 높았다. 넷째, 죽음불안, 죽음준비도, 자아통합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 간에는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또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통합감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죽음불안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정신적 건강상태, 성별, 생활수준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이 여성일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정신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죽음불안이 낮을수록 자아통합감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덧붙였다. 첫째,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긍정적 자아상을 확립하고 죽음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 개선을 위한 단계적인 평생교육이 필요하다. 먼저 지역사회에서의 생명존중문화 확산운동이 필요하고 노인들이 죽음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청소년기, 중. 노년부터 꾸준한 교육과 상담을 통하여 죽음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죽음준비 교육이 요구된다. 넷째, 죽음준비를 통하여 아름다운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교육과 전문상담이 필요할 것이며 인적자원도 투자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 for senior life quality improvement.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ath anxiety, death preparation, and ego-integrity of seniors, and indicated how death anxiety and death preparation influences the ego-integrity. 344 seniors in commun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death anxiety score was 43.24 out of 75, which is moderate level. By analyzing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death anxiety was higher when the participant was low in education level, bad in physical condition, not protestantism, and low in regional piety. Second, the average death preparation score was 27.32 out of 45, which is moderate level. By analyzing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death preparation was higher when the participant was older, not living with partner, high in standard of living, high in regional piety. Third, the average ego-integrity score was 33.27 out of 45, which is moderate-to-high level. By analyzing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ego-integrity was higher when the participant was female, 80 to 84 year-old, high in standard of living, high in physical condition, high in mental condition, and high in regional piety. Finally,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eath anxiety and ego-integrit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ego-integrity was death anxiety, and the mental condition, sex, standard of living was also influential in order, afterwards. In other words, the ego-integrity was high when the participant was female, high in standard of living, fine with mental condition, and low with death anxiety. The result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programs in order to establish positive self-image and release death anxiety in social welfare fields. Seco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s of death with stepwise lifelong education. To be concrete, it is needed to carry out consistent education and counselling from adolescence in order to establish accurate understanding of death. Third, more practical and concrete death-education is need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sufficient human resource and enhance institutional education in order to support preparation for death.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자습용 문법 학습 교재 모형 개발 연구

        김명회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재 개발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고 그 중에서도 학습자의 주도적 한국어 문법 학습과 관련된 자습서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기존 문법·교재 연구의 성과물을 바탕으로 최근 언어 교수 이론의 상황 안에서 비교적 그 역할이 줄어든 문법 교육의 유용론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는 외국어 교육 이론과 문법 교육의 관계를 살펴본 뒤문법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교재의 설계와 개발에 관한 이론적인 정리를 통해 기존 교수-학습 교재의 문법 모형과 연습 유형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선택한 분석교재의 선정은 국내에서 단행본 교재로 출판된 문법 학습서를 우선으로 선정하였고 정규 교육 기관의 초급 교재와 그에 포함된 학습장까지 포함하였다 단 정규 교육 기관의 . 교재는 언어 기능통합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교재 내용 중 문법 교수-학습과 관련된 부분의 모형을 비교적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문법 제시 · 학습 모형과 연습 유형 분석 항목은 기존의 교재분석 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교재의 크기, 용도, 이론과 구성 원리,문법 규칙의 제시 · 설명,연습 유형, 미디어 자료의 첨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재 분석에 따라 자습용 한국어기본 문법 교재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의 분석 자료를 통해 자습용 한국어 기본 문법 교재의 구성 방향을수립한 뒤 기존 문법·교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습용 한국어 기본 문법 교재 모형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고 미흡하나마 교재 모형의 틀을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기존의 연구 성과와 결과물을 토대로 학습자의 학습 취향이나 성격을 고려한다거나 여러 관점에서 제작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교재 개발 연구가 좀 더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연구가 결실을 맺어 그 결과물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선택되고 활용되어 학습자에게 더 많은 교재 선택의 폭과 학습의 기회를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sider the various aspects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especially, to suggest the necessity of textbook development, which is related to a learner-oriented grammar education in Korean. Ahead of this,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which its role had been decreased because of the speaking-oriented teaching, based on the result on the existing grammar textbooks.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grammar teaching. Then the need of grammar education is emphasized and suggests a grammar model of the existing materials for teaching-leaning. Also, it provides an analysis standard of practice type through theoretical explanation on the plan and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selec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in the study considered grammar study books that were primarily published as a separate volume in Korea, and materials of elementary level from the legal education agencies along with their workbooks were involved. But, the teaching materials from the legal education agencies had the integrated function in language, thus, the models that were related with grammar teaching-learning were distinguished and analyzed separately in the contents. The introducing models and teaching models of grammar and the analysis of practice type were set based on references from the existing study on teaching materials analysis and itemized into the size, purpose, principles and structure, introduction and explanation of grammar rules, practice types, and appendix of media sources. Fin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self-teaching material for the basic Korean grammar was discussed. In order for this, the considerations to develop a self-teaching material for the basic Korean grammar model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existing grammar teaching materials after the direction of thebasic Korean grammar book for self-teaching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zed data from the study. Also, a frame of model for teaching material was introduced even though it was not sufficient. Through the result that wa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there should be more considerations on the taste of a learner’s learning tendency and be more study and development on the necessary teaching materials to instruct Korean that reflects dynamic point of views. Also, I hope to get results from such dynamic studies to apply the results in the real educational setting, thus, give more opportunities of selecting study materials and studying to learners.

      • 가격 경직성과 통화정책의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김명회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Price Rigidity and Effects of Monetary Policy Kim, Myung Hoey Majoring in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Kwan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eong, Ugyeong Price rigid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macroeconomics. Until recently this topic have been much attention to researchers. This dissertation analyzed patterns of price rigidity and its relationship to monetary policy effects focusing on 13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from 1985 to 2012 using monthly and quarterly data. Main empirical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are the followings. First, price change shows significant asymmetry in price increase and decreas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ce rigidity exist across manufacturing industries. Third, inflationary process shows high persistence Fourth,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lation volatility and persistence. Fifth, there is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ice rigidity and inflation rate Sixth, non-neutrality of monetary policy holds in most of manufacturing industries. Lastly, price rigidity and monetary policy effects shows weak positive correlation. This result support weakly support the traditional Keynesian non-neutrality hypothesis of money. key words: price rigidity, staggered pricing, asymmetry of price change, inflation persistence, inflation volatility, frequency of price change, non-neutrality of money

      • ARM CPU 가상 가속화 기능을 이용한 가상 인터럽트 애뮬레이션 구현 방법 및 성능평가

        김명회 국민대학교일반대학원 컴퓨터공학과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가상화 기술은 x86 서버 환경뿐만 아니라 최근 ARM프로세서 기반 임베디드 환경에서도 널리 연구되고 있다. 이를 반영 하듯이, ARM에서도 가상화를 지원하는 armv7 아키텍쳐를 발표하였다. ARM 아키텍쳐에서의 하드웨어 가상화 기능은 크게 두 가지 장치에서 지원 한다. 첫 번째는 ARM CPU이며, CPU에서는 커널모드(kernel mode) 보다 권한이 더 많은 하이퍼 모드(hyper mode)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CPU는 하이퍼바이저가 가상 머신의 메모리들을 하드웨어적으로 쉽게 관리하기 위해서 중간 주소(Intermediate Physical Address) 기능이 추가된 2단계 주소변환을 제공해준다. 두 번째는 제 너럴 인터럽트 컨트롤러(GICv2)이며, 가상 머신에게 가상 인터럽트를 전달하기 위해 virtual CPU(VCPU) interface이란 새로운 하드웨어 컴퍼넌트를 제공하고 있다. 이 두 개의 장치의 하드웨어 가상화 가속 기능을 활용하여 현재 개발 중 이거나 공개된 하이퍼 솔류션들은 크게 XEN-ARM, KVM-ARM, Khpyervisor, Xvisor 가 있으며 이를 hardware Acecelerated Hypervsior라고 부른다. 그러나 SOC 중에서 GICv2를 사용하지 않는 저가형 SOC 들이 있다. 이와 같은 SOC에서는 가상머신에게 가상 인터럽트를 하드웨어적으로 전달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하이퍼 솔류션들은 GICv2가 없는 SOC를 지원하지 못한다. 가상 가속화 기능이 없는 SOC에서 가상화 방법은 반 가상화 또는 에뮬레이션(QEMU) 방법이 있다. 반 가상화은 가상머신의 게스트 운영체제를 고쳐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개발 시간이 투입해야 한다. 에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하이퍼바이저의 바이너리 이미지보다 5배 크고 속도 또한 매우 느리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CPU에는 가상화 가속기능이 있지만 GICV2가 없는 저가형 SOC에 CPU 가상화 가속 기능을 최대한 이용하여 가상머신에게 가상 인터럽트를 전달 할 수 있는 EmuICV 프레임워크를 제안 한다. 실제 라즈베리파이2 보드에 EmuICV기능을 적용한 하이퍼바이저를 구동시켰으며 두 개의 가상머신이 올바르게 작동하고 인터럽트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2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하나의 가상머신과 싱글코어 환경에서 EmuICV의 가상 인터럽트 전달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GICv2에 비해 오버헤드가 14% 발생하였지만 이는 단지 1~2ms 시간 차이이다. 두 번째 실험은 LMbench 벤치마크 성능분석 툴로 지역 통신 지연시간을 비교하였으며 차이는 0.3% 이내로 동등한 지연시간을 보여줘 EmuICV로 인한 전체적인 성능 하락이 없음을 확인 하였다. Keywords: Hypervisor, ARMv7, ARM Virtualization Extension, Generic Interrupt Controller, Virtual Device, Raspberry Pi 2. Real Time System Model, EmuICV

      • 대류와 복사 냉방시스템의 실내환경 및 에너지 소비량 비교 연구

        김명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environmental and energy consumption of convective and radiative cooling systems, the simulation target building as well as its convective and radiative cooling systems were modeled using a dynamic analysis code, the TRNSYS simulation program.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duration of the cooling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nalysis of indoor environments in convective/radiant cooling systems, and PMV/PPD simulation in response to temperature change showed that PMV values were (-0.1 ~ 0.5) at indoor set temperature of 24℃ ∼ 26℃, from 13:00 to 17:00 in August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is high. Because PPD correlates with PMV values, numerical results varying from 5% to 8% for PPD were obtained depending on the set temperature. Through these results,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showed a slightly hot PMV 0.4 when the room temperature was 26℃, and a PMV –0.2 to 0.2 value near the comfort condition when the room temperature was 24℃ to 25℃. Through these results, the radiant cooling method showed PMV 0, which is the most comfortable value when the room temperature was 26℃, and the PMV value was -0.3 to 0.6 when the room temperature was 24℃ to 25℃.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and the radiant cooling system, the radiant cooling system shows excellent comfort conditions at a higher temperature when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is 25℃. 2.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during the cooling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by convective and radiative cooling systems showed that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consumed approximately 30% less energy on average than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This indicates that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utilizes water as the heat source when cooling, which is more efficient than the air-cooling type, and it was determined to be energy-saving as the operating frequency during cooling is less than that of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lower the set temperature, the less the energy saving effect. It was determined that the energy saving rate is reduced as the set temperature is lowered because the lower the set temperature, the less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n/Off. Analytical results of the energy consumption of convective and radiative cooling systems showed that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is superior in terms of energy-saving under the identical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3. In order to prevent condensa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the system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dehumidifier is used to keep the indoor environment pleasant when the floor surface temperature is below the dew point temperature. Compar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dehumidifier with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saved approximately 30% on average. In addition, when the energy saving rate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with 37.0% at 26℃, 32.4% at 25℃ and 22.4% at 24℃, the energy saving effect of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was excellent even though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dehumidifier was increased in order to prevent condensation. Whereas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utilizes air as the heat source,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utilizes water for its heat source. Thus, it wa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results that energy is saved because heat transfer efficiency and cooling system efficiency are superior than the air-cooling type. 4.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of convective and radiative cooling systems in pleasant conditions for PMV and PPD showed that the most favorable indicator was observed at 26℃ for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and 25℃ for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with energy usage of 2,889 MJ and 2,825 MJ respectively during the cooling period. Even when th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adjusted to 26℃ for the radiative cooling system and 25℃ for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and analyzed in terms of pleasantness, the convective cooling system was found to have an energy saving effect of approximately 2.2%.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nvironmental and energy consumption of convective and radiative cooling systems using TRNSYS simulation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empirical tests and additional measures applicable to the field. 본 연구에서는 대류 냉방시스템과 복사 냉방시스템의 환경 및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동특석 해석코드인 TRNSYS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대상 건물 및 대류냉방 시스템과 복사냉방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냉방 기간(6월 ∼ 9월) 동안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대류 냉방시스템과 복사 냉방시스템의 실내환경 분석결과 대류 냉방시스템의 외기온도가 높은 8월 오후 13:00 ∼ 17:00의 시간 때 실내 설정 온도 24℃ ∼ 26℃ 온도변화에 따른 PMV 및 PPD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PMV –0.1 ∼ 0.5 수치를 나타냈고, PPD는 PMV 수치와 상호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설정 온도에 따라 PPD 5% ∼ 8%의 수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대류 냉방시스템은 실내 설정 온도가 26℃일 때는 약간 더운 수치인 PMV 0.4를 나타냈고, 실내 설정 온도가 24℃ ∼ 25℃일 때 쾌적 조건에 근접한 PMV –0.2 ∼ 0.2의 수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사 냉방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PMV –0.3 ∼ 0.6 수치를 나타냈고, PPD 수치도 PPD 5% ∼ 13%의 수치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복사 냉방방식은 실내 설정 온도가 26℃일 때 가장 쾌적한 수치인 PMV 0을 나타냈고, 실내 설정 온도가 24℃ ∼ 25℃일 때 PMV 수치 –0.3 ∼ 0.6 수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대류 냉방시스템과 복사 냉방시스템의 실내환경 분석결과를 통해서 복사 냉방시스템은 대류 냉방시스템의 25℃ 쾌적 조건일 때 보다 높은 온도로 쾌적 조건을 나타내기 때문에 쾌적 측면이나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우수함을 판단할 수 있었다. 2. 대류 냉방시스템과 복사 냉방시스템의 냉방 기간(6월 ∼ 9월) 동안 에너지 사용량 분석결과 복사 냉방시스템이 대류 냉방시스템보다 에너지 사용량이 평균 약 30% 절감효과가 값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복사 냉방시스템은 냉방 시 열원으로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랭식보다 효율이 우수하고 냉방 시 가동횟수가 대류 냉방시스템보다 적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설정 온도가 낮을수록 에너지 절감효과가 감소하는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설정 온도가 낮을수록 On/Off 횟수 차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설정 온도가 낮을수록 에너지 절감률이 줄어드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처럼 대류 냉방시스템과 복사 냉방시스템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결과 복사 냉방시스템이 동일한 실내환경조건에서 복사 냉방시스템이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3. 복사 냉방시스템 운전 시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로 운전 시 제습기를 가동하여 결로를 방지하고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제습기의 에너지 사용량을 반영하여 대류 냉방시스템과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한 결과 복사 냉방시스템이 평균 약 14% 절감효과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설정 온도에 따른 에너지 절감률을 살펴보면 설정 온도 26℃일 때 17.8%, 25℃일 때 16.1%, 24℃일 때 8.0%로 결로방지를 위해 제습기의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더라도 복사 냉방시스템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처럼 대류 냉방시스템은 열원으로 공기를 이용하는 반면에 복사 냉방시스템은 열원으로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랭식 보가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냉방시스템 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되는 것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4. 대류 냉방시스템과 복사 냉방시스템의 PMV 및 PPD 쾌적 조건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대류 냉방시스템은 25℃에서 복사 냉방시스템은 26℃에서 가장 쾌적한 지표를 나타냈는데, 대류 냉방시스템의 25℃일 때 에너지 사용량은 냉방기간 동안 1,160 kWh의 전기를 사용했고, 복사 냉방시스템은 냉방기간 동안 659 kWh의 전기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복사 냉방시스템의 온도 조건 26℃, 대류 냉방시스템의 온도 조건 25℃로 온도 조건을 달리하고 쾌적도 측면에서 분석해봐도 대류 냉방시스템이 43.2%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었다. TRNSYS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대류 냉방시스템과 복사 냉방시스템의 환경 및 에너지 소비량 비교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실증시험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추가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