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xpression of Bcl-2, Bim, and Caspace-3 in Rat Hippocampus Following Kainic Acid-induced Seizures and Effect of Valproic Acid on Apoptotic Cell Death : Kainic acid 유발 발작에 의한 흰쥐 해마의 Bcl-2, Bim, Caspace-3 발현 및 고사성 세포사에 대한 Valproic acid의 효과

        김명국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배경과 목적: 간질과 발작은 신경세포의 소실과 비가역적인 뇌손상을 일으킨다. 간질발작 후에 초래되는 신경세포사는 글루탐산의 신경독작용에 의해서 일어나며, 계획성 세포사 경로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계획성 세포사에 여러 Bcl-2 가계의 단백질이 기여한다. Bcl-2 가계의 단백질들은 계획성 세포사의 시작과 진행과 정을 조절하며, caspase 가계의 단백질은 세포사의 효과기 단백질분해효소로서 작용 한다. Caspase-3는 신경세포사를 매개하며, kainic acid (KA)에 의한 세포사 과정에 caspase-3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Bcl-2와 caspase 가계의 세포사조절유전자들은 간질에 의해 초래되는 신경병리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alproic acid (VA)는 광범위한 항경련작용을 가지는 중요한 항간질약으로 여러 연구들에서 신경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VA가 신경보호단백인 Bcl-2를 유도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간질발작 후에 초래되는 뇌신경세포의 고사성 세포사의 조절유전자인 Bcl-2, Bim, caspase-3 등 단백질의 발현정도와 시간대별 변화를 알아보고, 강력한 발작억제작용을 가지는 항간질약인 VA가 이들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해마신경세포의 고사성 세포사에 대한 VA의 신경보호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동물은 생후 6~7주의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 35마리로 이들 중 실험군에 30마리, 대조군에 5마리를 각각 사용하였다. 실험군 흰쥐 30마리는 KA (20mg/kg)를 쥐의 복강 내에 일회씩 주사하였고, 실험군 흰쥐 중 15마리는 KA 주사 직후부터 12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VA를 피하주사 하였다. 대조군 흰쥐 5마리는 동일량의 0.9% 생리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주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흰쥐는 주사한 후 3시간 동안 발작과 행동양상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실험군의 흰쥐는 주사후 4시간, 24시간, 72시간째에 각각 ether로 마취 후 단두하여 살한 다음 뇌를 적출 하였다. 적출한 뇌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여 각 해마부위에서 Bcl-2, Bim, caspase-3 등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알아보았다. VA의 고사성 세포사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KA를 주사한 실험군과 KA를 주사한 후 VA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각 해마부위의 Bcl-2, Bim, caspase-3 등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KA를 투여한 군과 KA투여 직후 VA를 투여한 군의 모든 흰쥐들은 다양한 행동 및 발작반응을 보였다. Bcl-2 단백의 발현은 KA 투여 후 4시간째 해마 CA3와 CA4 부위에서 증가하여 72시간 후까지 발현증가가 지속하였다. Bim 단백의 발현은 KA 투여 후 4시간째와 24시간째에 해마 CA2와 CA3 부위에서 증가하였다. Caspase-3의 발현은 KA 투여 후 4시간째 해마 모든 부위에서 증가하였고, CA3에서 발현증가는 72시간 후까지 지속하였다. VA의 신경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KA 투여 후 VA를 투여한 군에서 KA 투여 후 4시간째 해마 CA1에서 Bcl-2의 발현이 KA만 투여 한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외 해마 부위에서는 모든 시간대에서 Bcl-2, Bim, caspase-3 등의 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KA 유발 발작으로 인한 해마신경세포의 고사성 세포사에 대한 VA의 신경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KA 유발 발작은 고사에 관여하는 Bcl-2, Bim, caspase-3 등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KA에 의한 신경세포의 죽음에 세포사 조절단백질인 Bcl-2, Bim, caspase-3 등의 활성화와 같은 고사성 세포사 기전이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Background and objective: Epilepsy and seizures cause lose of nerve cells and irreversible brain damage. The neuronal cell death after epileptic seizure is instigated by the glutamate-induced excitotoxicity, and it takes up an important pathway in the programmed cell death. It has been known that several Bcl-2 family proteins contribute to the programmed cell death. Bcl-2 family proteins regulate the initiation and progression of programmed cell death, and the caspases are a family as cell death effector proteases. Caspase-3 is known to mediate the neuronal cell death, and activation of caspase-3 is a necessary component of kainic acid (KA)-induced cell death. The cell death regulating genes of the Bcl-2 and caspase families play a role in ongoing neuropathologic progresses caused by epilepsy. Valproic acid (VA) has been known as a major antiepileptic drug with a broad spectrum of antiepileptic activity. The neuroprotective action of VA has been reported in several studies. Also VA has been reported to induce neuroprotective protein Bcl-2.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gional and temporal patterns of Bcl-2, Bim, and caspase-3 expression in rat hippocampu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KA, and to determine whether VA has neuroprotective effects in the rat hippocampal neurons undergoing apoptotic cell death following KA-induced seizures. Methods: The study used six to seven weeks old 35 male Sprague-Dawley rats. Thirty rats among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5 ra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KA (20 mg/kg) was injected once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ra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ra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mmediately treated with repeated subcutaneous injections of VA for 12 hour interval. Control group was injected with the same amount of 0.9% normal saline solution by the same manner. The seizure and behavioral patterns of rats in both groups were observed and recorded for 3 hours after the injection. The ra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3 subgroups, and anesthetized with ether solution and decapitated to extract the brain at 4, 24, and 72 hours after the injec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conducted for the extracted brains to assess the degree of Bcl-2, Bim, and caspase-3 protein expressions at each hippocampal region of the brai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 on apoptotic cell death, the expression degrees of Bcl-2, Bim, and caspase-3 proteins at each hippocampal region were compared between KA-injected experimental group and KA and VA-injected experimental group. Results: All Sprague-Dawley rats injected with KA and the rats administered with VA right after the KA injection showed various behaviors and seizure responses. The expression of Bcl-2 protein started to in crease 4 hours after KA injection at the CA3 and CA4 regions of hippocampus and the increased expression was lasted up to 72 hours after the injection. The Bim protein expression was increased at the CA2 and CA3 regions of hippocampus 4 and 24 hours after the KA injection. The expression of caspase-3 revealed to increase at all regions of hippocampus 4 hours after the injection, and the increased expression was lasted up to 72 hours after the injection. In the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VA, the VA-administered group after the KA inje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Bcl-2 expression at CA1 region of hippocampus 4 hours after the KA injection compared to the KA only injected experimental group. However, any other significant change of Bcl-2, Bim, and caspase-3 expressions was not found. Conclusion: Although the present study was unable to confirm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VA on apoptotic cell death in the hippocampus after KA-induced seizures, this study showed that KA-induced seizure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cl-2, Bim, and caspase-3.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optotic cell death mechanism, such as the activation of cell death regulating proteins of Bcl-2, Bim, and caspase-3, involves in the KA-induced neuronal death.

      • 30, 40대 가정주부의 생활체육 참여도와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명국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30, 40대 가정주부의 생활체육 참여도와 생활 만족도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설과 가설적 모형을 기초로 30, 40대 가정주부의 생활체육 참여 유·무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와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집단의 생활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30, 40대 가정주부의 생활체육 참여 유무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와 생활체육의 참여빈도, 시간, 기간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경기도 의정부시에 거주하고 있는 30, 40대 주부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표집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dows 10.0을 사용하여 생활체육 참여유무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와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집단의 생활만족도를 T-test, ANOVA 로 검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 주부들과 비참여 주부들은 학력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비참여자와 참여자 모두 학력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 주부들과 비참여 주부들은 수입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비참여자는 수입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참여자는 수입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 주부들과 비참여 주부들은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비참여자와 참여자 모두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주부들의 생활체육 참여 여부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생활체육 참여 여부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부들의 생활체육 참여 빈도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생활체육 빈도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주부들의 생활체육 참여 시간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생활체육 참여시간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주부들의 생활체육 참여 기간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생활 체육 참여 기간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Based on the existing study hypotheses and study patter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housewives in their 30s and 40s, this study analyze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housewives and the sports participating group according to their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or not.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random sampling method i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selecting 200 housewives in their 30s and 40sliving in Uijeongbu City, Gyeonggi Province. As for proper analyzing to meet the study’s principal objective,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by T-test, ANOVA via Spss Windows 10.0. Through the above study and analyzing methods, we could drew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le value of life satisfaction per school career between the sports activity participating housewives and non-participating housewives was all bigger than significance level 0.05 as 0.168 and 0.190 each, we could infer there is no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per school career. Second,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le value of life satisfaction per income between the sports activity participating housewives and non-participating housewives was bigger than significance level 0.05 as 0.252, we could infer there is no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per income. Third,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le value of life satisfaction per health condition between the sports activity participating housewives and non-participating housewives was all bigger than significance level 0.05 as 0.061 and 0.108 each, we could infer there is no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per health condition. Fourth,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le value of life satisfaction per housewives’ sports participation was smaller than significance level 0.05 as 0.000, it approves that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positive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Fifth,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le value of life satisfaction per housewives’ 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frequency was smaller than significance level 0.05 as 0.000, we could infer there is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per sports activity participating frequency. Sixth,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le value of life satisfaction per housewives’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time was smaller than significance level 0.05 as 0.000, we could infer there is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per sports activity participating time. Seventh,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le value of life satisfaction per housewives’sports activity participation period was smaller than significance level 0.05 as 0.000, we could infer there is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per sports activity participating period.

      •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대 및 평가가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거래성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명국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IMF 라는 혹독한 시련을 겪으면서 사회 전반의 커다란 변화를 겪었고 21세기를 맞이한 지금 기존의 패러다임으로 그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겪고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 통신기술의 발달은 과거의 마케팅 활동의 한계를 제시하며 그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계마케팅의 확장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기대 수준과 서비스 평가에 대해 검토하였고, 거래성향이 이들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는데 그 기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기존 이론과 연구를 검토하여 고객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서비스 기대 수준과 서비스 평가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선행 변수로서 파악하였고, 이러한 영향관계는 서비스 이용자의 거래성향에 의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거래성향은 의사결정의 효율화, 정보처리 과정의 단순화, 미래선택의 지각된 위험, 인지 일관성의 추구 등 지속적인 거래관계를 추구하는 고객 거래성향을 중심으로 4가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크게 3가지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가설에서는 고객의 서비스 기대 수준과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두 번째 가설에서는 서비스 기대 수준과 만족의 영향관계에서 거래성향에 따른 차이를 제시하였고, 세 번째 가설에서는 서비스 평가와 만족의 영향관계에서 거래성향에 따른 차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520명의 휴대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신뢰성과 타당성 테스트를 거쳐 항목을 개선한 후 변수들을 도출하여 가설을 검정 하였다. 가설 1은 채택되었으며 가설2와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가설 2는 의사결정 과정의 효율화 및 정보처리 과정의 단순화에 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가설 3은 미래선택의 위험지각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고 인지일관성에 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만족도 연구를 이동통신 서비스에 적용하였다는 점이다.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고객만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적용의 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서비스 기대 수준과 서비스 평가의 확인이다. 서비스 기대 수준과 서비스 평가가 고객만족도 결정에 있어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확인 하였다. 셋째, 개인의 거래성향 중에서 의사결정의 효율화, 정보처리의 단순화는 서비스 기대수준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기대 수준이 높고 의사결정 효율화와 정보처리 단순화를 추구하는 고객일수록 만족도는 더 낮아 짐을 시사한다. 넷째, 개인의 거래성향 중에서 의사결정의 효율화와 정보처리 과정의 단순화, 인지 일관성 추구는 서비스 평가와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평가가 높은 고객이 의사결정 효율화와 정보처리 과정의 단순화, 인지 일관성 추구를 기하지 않은 고객일수록 만족도가 더욱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의 만족도 강화를 이동통신 서비스 회사의 고객만족 메커니즘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경영적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고객의 거래성향에 따른 차별적인 고객만족 관리가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장기적 거래성향의 차이에 따른 고객 만족의 차이는 최근 서비스 고객과의 관계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한 향후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첫째, 서비스 기대 수준과 평가의 측정에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SERVQUAL 자료를 사용하였는데, 기존의 기대-불일치 패러다임 하에서는 기대와 평가를 SERVQUAL과 다른 측정치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차이에 대한 연구와 사용상의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둘째, 방법론 적용의 한계이다. 모형을 공변량 구조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통하여 검토할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첫 번째 가설을 검정하였고 가설 2와 가설 3 거래성향을 상황변수로 설정하여 집단 구분에 의한 회귀 계수의 차이를 통하여 검정하였다는 점이다. 향후 경로분석을 활용한 방법론 적용이 기대된다. 셋째, 이동통신 서비스 만족에 있어서 구매상의 거래성향 이외에 사용상의 성향을 검토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를 보완한 연구모형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서비스 사용중의 성향을 체계화 한다면 이동통신 서비스 연구에 큰 공헌이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made significant efforts to broaden concept of relationship marketing by adding transaction styl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expectation and evaluation on satisfaction of service in terms of transaction style. To satisfy this objectiv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individual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 Also research question that these effects of expect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could be moderated by transaction style was raised. Concept of transaction style consisted of 4 constructs. They wer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level of perceived risk, and cognitive consistency. 3 research hypotheses were generated: First hypothesis stated that lower the level of expectation of service, higher the level of evaluation of service, then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ervic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econd hypothesis stated tha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service will be interacted when higher the level of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higher the level of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risk, and higher the cognitive consistency. Third hypothesis stated tha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service will be interacted when lower the level of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lower the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lower the level of perceived risk, and lower the level of the cognitive consistency. Sample units used in this study were 520 cellular phone users who answered questionnaires designed for this stud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were checked. As result of empirical testing, research hypothesis 1 was accepted. But research hypothesis 2 and 3 were partially accepted. Implications drawn from this study were: First, concept of satisfaction of service should be applied to marketing management of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Second, marketers must monitor and manage carefully level of expect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since these constructs were found to influence level of satisfaction of service. Third, manager should make efforts to manipulate perceived level of expectation of service and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of customers since these factors were found to be vital to level of satisfaction. Fourth,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gnitive consistency in transaction style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to maintain proper level of satisfaction of servic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irst, this study could be suffered from measurement problems.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data in this study. But using LISREL could benefit future study. Third, this study failed to analyze usage styl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 전 뇌를 일과성으로 허혈시킨 모래쥐 해마 부위의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김명국 고신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연구배경 및 목적 일반적으로 신경세포는 허혈손상에 가장 민감한 조직이다. 이 중에서 도 대뇌피질, 해마, 소뇌의 Purkinje세포가 허혈에 특히 예민한 부위이 다. 또한 해마는 부위에 따라 허혈에 의한 세포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 며 선택적 취약성을 나타낸다. 해마 부위 중 CA-1 부위가 허혈손상에 가 장 민감한 부위라고 알려져 있으며, 일과성 허혈 손상시 신경세포가 수 시간 혹은 수일에 걸쳐 서서히 사멸해가는 지연성 신경세포 손상 (delayed neuronal death)을 일으키게 된다. 일과성 허혈 손상시 신경세포는 괴사와는 달리 일련의 다른 과정을 통 하여 세포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 과정을 고사(apoptosis) 혹은 수축세포괴사(shirinkage necrosis)라고 한다. 실험동물에서 일과성 전뇌 허혈시 해마의 특정 부위에서는 이러한 세포 사멸 과정을 잘 나타 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쥐(Mongolian gerbil)의 일과성 전뇌 허혈시 해 마의 특정 부위에서 어떠한 세포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고, 시간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뇌 허혈 손상에 관한 예방법을 연구 하는 데 기초적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2. 연구 대상 및 방법 동일 조건에서 사육된 60-85 gm의 모래쥐 23마리를 diethylether로 마 취하여, 양측 총경동맥을 5분간 결찰 후 재관류시킨 다음 각각 1시간, 6시 간, 24시간, 72시간, 120시간 경과 후 뇌를 적출하여 4% 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뇌를 정중 시상면으로 절단하고 좌우로 약 3 mm 두께로 2개의 절편을 얻은 뒤 해마가 포함된 조직절편을 통상적인 방법 에따라 탈수, 파라핀 포매를 거쳐 조직표본을 만들었다. Hematoxylin- eosin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하에서 40배의 배율로 해마를 전체적으로 관찰한 후 200배의 배율로 세포의 자세한 형태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 로는 총경동맥을 박리만 하고 혈류차단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로 뇌를 적 출하였다. 세포의 허혈 손상시 나타나는 소견을 세포질의 공포화(vacuolation), 위축화(shirinkage), 호산성화(eosinophilia) 및 핵의 각화(angulation), 농축 화(pyknosis), 그리고 귀신세포(ghost cell)의 출현 등 여섯 가지 항목으 로 나누어 해마의 CA-1, CA-3 부위를 각각 200배 배율하에서 사진촬영 한 후 3×5 inch 크기로 인화한 사진에서 전체 추체세포수 중에서 상기 항목의 소견을 보이는 세포수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3. 결 과 대조군에서는 둥근핵을 가진 방추형의 추체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세 포의 형태가 잘 유지되어 있었다. 실험군에서는 CA-1 부위에서 세포질의 공포화는 1시간군에서부터 관 찰되었으며 24시간 이후부터는 감소되었고 핵의 각화와 농축화, 세포질 의 호산성화와 위축, 귀신세포의 출현은 72시간군까지는 완만하게 증가 되었으나 120시간군에서는 갑자기 급등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CA-3 부위에서는 6시간군까지는 특별한 세포변화가 관찰되지 않다가 24시간군부터 조금씩 세포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CA-1에 비하여 변 화 정도가 미약하였으며 갑자기 형태변화가 심해지는 소견도 없었다. 전체적으로 CA-1이 CA-3에 비하여 형태변화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허 혈 후 시간이 많이 경과할수록 세포의 변성 정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4. 결 론 모래쥐의 전 뇌를 일과성으로 허혈화 시키면 그 해마는 부위에 따라 선택적 취약성을 나타내었는데, CA-1 부위가 CA-3에 비하여 허혈 손상 에 민감하였다. 또한 CA-1 부위는 허혈 초기에는 약간의 세포변화만 나 타내다가 72시간 경과 후부터는 갑자기 세포의 변화가 급증하는 지연성 세포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는 허혈 손상과 세포 변성 사이에 시간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때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다면 허혈로 인한 신경 손상과 이로 인한 후유증을 줄일 수 있으리라 생 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 : The neuron is one of the most susceptible tissue in ischemia, especially cerebral cortex, CA-1 area of hippocampus, and Purkinje cell of cerebellum. In the CA-1 area of hippocampus, delayed neuronal cell death was produced following 5 minutes of forebrain ischemia in Mongolian gerbil. Slowly developing cell death in the hippocampus may afford some clues for further research in ischemic brain injury and its treatment. Methods : Transient ischemia of brain was induced in diethylether-anesthetized gerbils by both common carotid arteries pulling method for 5 minutes. The control group was sham-operated only. At 1, 6, 24, 72, and 120 hours after 5 minutes transient global ischemia, decapitation and removal of brain was performed. The brain tissues were stained by hematoxylin and eosin. The morphologic changes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al cells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y under low(×40) and high(×200) power field. Results : In control group, pyramidal cells with round nuclei were observed and these cellular architectures were well preserved. In the CA-1 area, some cellular changes result from transient ischemia were observed, which are vacuolation, angulation, pyknosis, shirinkage, eosinophilia, and ghost cell change. These findings were abruptly increased after 72 hours. In the CA-3 area, morphologic changes were also observed but milder than those of CA-1 area. Conclusions : After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delayed neuronal cell death was observed in hippocampus of the gerbil. Each sector of the hippocampus showed different types of cellular change to ischemia, so called selective vulnerability.

      • 犯罪搜査와 被疑者의 人權保障에 관한 硏究

        김명국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刑事訴訟法은 刑法의 具體的 實現을 위한 節次를 規定한 法律로서 事件의 眞相을 把握하여 犯罪에 대한 嫌疑의 眞否를 明白히 하고 罪 있는者와 罪 없는者를 區別하여 罪 있는者를 處罰하고 罪 없는者를 罰하지 않음으로서 實體的 眞實發見에 그 目的을 두고 있다. 따라서 本 論文은 搜査機關의 犯罪搜査에 있어서 適正節次에 의한 民主的 搜査方向을 提示하고 憲法的 基本權을 制度的으로 確立하여 人間의 尊嚴性이 保障되는 民主主義的 搜査慣行의 確立을 위하여 搜査慣行에서 오는 人權侵害를 最小化 또는 根絶시키기 위한 方案을 導出하고 現行法上의 立法的 規制와 司法的 統制의 內容을 檢討하여 問題點을 補完하고 人權侵害의 소지를 除去하여 自由民主國家의 發展과 搜査의 民主化에 寄與함에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犯罪搜査와 被疑者의 人權保障이라는 커다란 課題下에 憲法에서 規定하고 있는 適正節次의 原理를 實現하기 위한 刑事訴訟法에 있어서의 重要한 制度的 裝置에 대해 硏究·檢討하여 現行制度의 問題點을 指摘하고 그의 改善方案을 提示하는데 焦點을 두어 理論展開를 하였다. 이러한 理論展開를 위해 國內外 關聯書籍과 論文 및 關係法令 등 여러 가지 文獻을 調査·分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方法에 따라 本 論文은 모두 제VI장으로 構成 하였으며 제I장은 序論으로 硏究의 目的·方法·範圍를 論 하였고 제II장에서는 犯罪搜査의 基本理論으로 搜査의 意義·搜査의 時期와 條件·搜査에 대한 指導原理와 基本的인 理念을 考察하였으며 제III장에서는 犯罪搜査와 被疑者의 人權保障에 관하여 言及하였고 제IV장은 刑事訴訟法上 被疑者의 地位와 權利를 들어 防禦權 行使를 保障 함으로써 當事者主義 理念을 强調하였으며 제V장에서는 犯罪搜査의 問題點 等을 改善하여 違法搜査에 대한 救濟方案과 改善方向 그리고 現代化 方案을 提示하여 人間의 尊嚴性과 人權意識에 寄與코자 하였고 끝으로 제VI장은 本 論文의 趣旨를 마무리 하면서 結論으로 가름하였다.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Code defimes detailed articles in order to guarantee the human rights on the constitutional low, which means the strong will to protect human rights. In the past, the criminal procedure aims at the truthfinding function. Thus, ideas was dominant, that if the trial has only to find the truth, justice is realized. However,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is not only the pursuit of the truth, but with the protecting a suspect's human rights, has to find the truth. That is, it focuses on the realization of due process. In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the problem of the guarantee of the human rights lies in the investigation procedure rather then in the trial procedure. Thus, under the principle that suspect's human rights should be procect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has the objects of examining the improtant systems o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in order to realize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n the Constitution, pointing out problems with in them, and then proposing the method to resolve problems of the systems. Therefore, considering the reality which investigation agency is committing the illegal activities such as a real disposition by force under the name of an administrative diaposition or a voluntary investigation, begins with the administration disposition on the Performance of Police Function Act which lies in limiting line with a judicial disposition or a voluntary investigation. After the review of the voluntary inverstigation and disposition by legal force, and the important systems for the guarantee of the human rights in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the method to reform is suggested. In addition, the post-systems to control the illegal investigation is examined. This study is divided in to the following six chapters. At first, in chapter, it is started about the aim, scope, and methodoloty of this study. The second, in chapter II, it is discribed on Fundamental Theories of Crimial investigation. Crimial investigation is started as the first step of crimial procedure. The third, in chapter III, it is given a detailed explanation about Crimial investigation and human rights. Especially, the necessity and contents of legal controls over the crimial invetigation have been considered analytically. The fourth, in chapter IV, it is deals with crimial suspect's position and right in the Investigation procedure. Especially, In order to guarantee suspect's rights, an attorney system, the right of silence, attorney's rights to interview and communicate with a suspect under arrest are suggested in the present systems. The fifth in chapter V, it is insisted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crimial investigation, such as improved problems of the existing law, relief measure on the illegal investigation, etc. The last in chapter VI, it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