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폭력의 구조적 맥락과 향후 과제

        김동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현재 한국의 스포츠는 김연아, 박지성, 손흥민, 류현진 등과 같은 많은 스포츠 스타들을 탄생시키고 있다. 또한 올림픽, 아시안게임, 월드컵, 등 세계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상위에 있음으로써 스포츠 강국의 이미지를 보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스포츠의 이면에는 빛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 그림자처럼 스포츠폭력, 도핑, 승부조작, 성폭행 등과 같은 문제들이 뉴스나 언론을 통해서 수면위로 올라오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가 점점 나타나고 있는 원인에는 예전 시대의 방법에 익숙해진 나머지 계속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 스포츠가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방법으로 체벌과 훈육을 둔갑한 폭력을 선수에게 단기적으로 빠르게 기능향상, 성적향상, 승리를 하는 방법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체벌과 훈육의 방법외에는 선수들의 능력이나 성적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된다. 한국의 상위에 속하는 엘리트스포츠가 아직도 위와같은 상황에 대해서 해결하지 못하는 것은 스포츠 내의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볼 수 있다. 물론 한국의 스포츠에서도 스포츠폭력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16년 대한체육회의 스포츠폭력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신체적 폭력의 경험이 2010년에는 48.0%, 2012년에는 29.7%, 2014년에는 15.4%, 2016년에는 8.7% 로 점점 감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수치상 감소한다고 해서 실질적으로 스포츠폭력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는 것이다. 스포츠폭력은 한 가지의 문제 원인이 생겨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여러 문제가 연결 고리로 이어져 있기 때문이다. 문제가 제대로 파악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스포츠폭력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문제가 다시 재기될 수 있게 되며 악순환까지도 이어지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파악이 시급하다. 시간을 오랫동안 할애하게 될 지라도 모든 문제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한 후에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스포츠폭력의 개념과 유형, 사례 등을 검토하면서 이를 토대로 스포츠폭력의 구조적 맥락인 권력관계의 형성, 교육의 후진성, 폭력행위자 조치, 인습적인 사고 등을 파악한 후 향후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과제로는 첫째, 권력관계의 형성에 있어서는 수직적인 관계에서 수평적인 관계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의 후진성으로 인한 관행적 제도의 인식에 대한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스포츠에 폭력에 대한 인습적인 사고가 변해야 한다. 넷째, 폭력 행위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이 필요함과 동시에 체벌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스포츠폭력이 악순환 되지않고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There are many sports stars in South Korea including Yuna Kim, Ji-sung Park, Heung-min Son and Hyun-jin Ryu. Also, South Korea is creating an image of a sports powerhouse by holding a high rank in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such as the Olympic Games, Asian Games and World Cup. 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beneath the surface of sports in South Korea like sports violence, doping, match-fixing and sexual violence, being revealed by news and press releases. One of the reasons why such problems appear is because familiar traditions are being continued. As a means to become a sports powerhouse, South Korea is committing violence to athletes in the name of punishment and discipline as a means to improve skill and performance in the short term. There is a misconception that punishment and discipline are the only way to improve skill and performance of athletes. Looking at how even elite sports in which South Korea is showing favorable outcomes still have not solved this problem, it is probably prevalent in all sports. The sportsdom of South Korea is placing many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of sports violence. According to a survey on sports violence conducted by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in 2016, experience of physical violence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48.0% in 2010 to 29.7% in 2012, 15.4% in 2014 and 8.7% in 2016. Nonetheless, decrease in this ratio does not actually mean that sports violence will disappear because sports violence is caused by several problems linked together. Since an attempt to eradicate sports violence without properly understanding the related problems can lead to a vicious circle of recurrent problems, it is an urgent task to identify the fundamental problems. Even if it takes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solve causes of al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cept, types and examples of sports violence, to examine the structural context of sports violence including formation of power relations, backwardness of education, actions against violence offenders and old-fashioned thinking, and to propose future tasks. Future tasks are as follows. First, formation of power relations must undergo transition from vertical relations to horizontal relations. Second, there must be changes in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systems caused by backwardness of education. Third, old-fashioned thinking about sports violence need to be changed. Fourth, violence offenders must receive strong penalties by establishing specific rules for corporal punishment in sports. Such efforts can break the vicious circle and prevent sports violence.

      • GSD 25cm급 항공영상을 활용한 1/1,000 수치지도 갱신 적정성 분석

        김동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로 접어든 후 공간정보는 구축과 관리중심에서 유통과 활용중심으로 발전해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길 구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본 인프라로써 공간정보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1/1,000 수치지도는 GIS 관련 분야의 기반 자료로써 도시계획, 입지선정, 시설물 관리 등 다양한 정책결정과 행정 관리 업무에 활용하므로 정확성 및 최신성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소규모적인 수정·갱신 방법으로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지형의 변화를 신속하게 수치지도에 반영하기 어렵고 갱신주기도 일정하지 않아 처음 제작 후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매년 전국을 2개 권역으로 나누어 촬영하고 있는 GSD 25cm급 항공영상을 사용하여 1/1,000 수치지도의 수정·갱신 가능성을 분석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 대상지인 여주시 대신면 일대에 대해 GSD 25cm급의 항공영상을 촬영하고, 수치지도 수정·갱신 지침에 따라 제작한 1/1,000 수치도화 원도에 대한 정성적·정량적 평가를 통해 그 한계성과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정성적 분석 결과는 GSD 25cm급 항공영상을 사용하여 1/1,000 수치지도를 제작했을 때 항공영상에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거나 크기가 작은 객체는 도화 묘사 시 도화사의 개인적 판독 기준에 따라 표현방법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로 포장 재질, 색상, 노면에 발생하는 빛 반사 등의 원인으로 맨홀, 전주 등 특정 레이어에 대한 누락 등이 발생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준공도면, 도로 및 지하시설물도 등을 참조하는 등 별도의 보완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량적 분석에서는 기존 GSD 12cm급 항공영상으로 제작한 1/1,000 수치지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GSD 25cm급 항공영상을 사용하여 제작한 1/1,000 수치도화원도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상대묘사오차는 평면 ±0.206m, 표고 ±0.192m, 등고선 ±0.209m로 확인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를 수치지도 최종 기대정확도 식에 따라 계산해 보면 최종적인 기대 정확도는 평면 ±0.436m, 표고 ±0.245m, 등고 ±0.259m로 산출되어 현행 1/1,000 수치지도 최종 정확도인 평면 ±0.700m, 표고 ±0.300m, 등고선 ±0.500m의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기본도 수정이나 정사영상제작에 국한되어 사용되던 GSD 25cm급 항공영상은 현행 규정상 전면적인 신규제작에서의 사용은 어렵겠지만 부분적인 1/1,000 수치지도의 수정·갱신에는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21st century, In the era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from the center of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o the center of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and widely used throughout the society. Recently,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greatly emphasized as a basic infrastructure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self-propelled vehicles and drones . Especially, 1/1,000 digital map is the base data of GIS related field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he accuracy and up-to-date because it is used for various policy making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tasks such as city planning, site selection, and facilities manage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quickly reflect the change of the terrain due to rapid urbanization with currently applied update metho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revision and update of 1/1,000 digital map using GSD 25cm aerial image which is obtained annually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GSD 25cm aerial images were taken for the area of ​​Yeoju city an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1/1,000 digital map prepar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revising and updating the digital map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imit and possibility.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when 1/1,000 digital map was made using GSD 25cm aerial image, the difference in expression occurr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reading standard. Furthermore, due to the light reflection on the road pavement material, color, and road surface, some specific layers such as manhole or electric pole are omitt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upplementary methods such as utilizing the completion drawings and roads and underground facilities map.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1 / 1,000 digital map produced by the existing GSD 12cm aerial image is set as a reference, and 1/1,000 digital map constructed by GSD 25cm aerial image were evaluated. As a result, planer error of ±0.206m, height error of ±0.192m, and contour error of ±0.209m are obtained. The final expectation accuracy acoording to the final expectation accuracy formula of the digital map show ± 0.436m in plane, ±0.245m in elevation and ±0.259m in equilateral. This satisfied the current 1/1,000 digital map accuracy of ±0.700m in plane, ±0.300m in elevation, and ±0.500m in contour line.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GSD 25cm aerial images, which were used only for national basic map modification and orthoimage production, would not used in the entire new production of 1/1,000 map due to the current regulation. However, it was judged that it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partial revision and update of the 1 / 1,000 map.

      • 장애학생 정보화 관련 대회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김동규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information era, information inequalities continue to grow, particularl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ho have limited social participation. To overcome this inequality, it is essential to provide information technology I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ch IT education programs must be given in a systematic, student-specific, and comprehensive way based on the types and levels of disability. IT education programs range from basic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literacy training, involving basic computer skills, to advanced ICT competency training, which includes the use of software to search for information and create documents. Further, Smart learning is also incorporated into such programs. As part of the effort to improve special-needs students’ IT competency, various institutions host information education contest such as e-Sport gaming contest. Systematic IT education programs and IT Education contes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imperative for eliminating information inequalities because they help the students to increase their IT literacy and integrate successfully into society. In this important endeavor, schools play a key role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the primary responsibility. In this respec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mainly responsible for helping their students prepare for IT Education contest , and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in promoting these contest. Therefore, we conducted this research to evaluat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This was performed with the hope of using the findings to further develop IT Education contest and improve IC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First, what are the teachers’ levels of understanding of IT Education contest for special-needs students? Second, what is their level of satisfaction concerning the contest? Third, what are their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such contest? In this research, “IT Education contest” is defined as all events that include ICT competitions and e-Sport gaming contes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obtain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we conducted a survey on 250 special-needs teachers across the country. We developed and fine-tuned survey questions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various IT Education contest, ICT literacy, and smart learning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 then divided the questions into three groups: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reas of improvement. In terms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IT Education contest, we asked questions on six areas, including types and timing of contest, categories of tournaments, qualifications for participation, and prize. Concern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questions focused on five areas. This included the students’ improvement in ICT competency, self-confidence, and social skills, and teachers’ teaching of the ICT curriculum. In the final section of the questionnaire, we asked the teachers about their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s for IT Education contest. All of the questions were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were modified and updated accordingly before they were finally used for the survey. We used IBM SPSS Statistics (Ver.22)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and conducted cross-tabulation analysis () for background variables. Through the research, the following findings were revealed: First, in general, the special-needs teachers had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IT Education contest for their students. Second, the teachers generally have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IT Education for their students. In terms of background variables, they are highly satisfied with “improvements in social skills and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 IT Education contest,” but less so with level of improvements in ICT competency” and “the current level of using ICT for classroom teaching.” Third, concerning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s, they suggest that more “diverse categories of tournaments be introduced based on student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s a method of promoting the use of ICT in schools. On questions concerning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IT Education contest, the teachers point to “excessive workload” as the biggest challeng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o enhance special-needs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of IT Education contest for their students, we must make more specific and active training and promotion efforts that take into account the teachers’ gender, experience, age, and employment type. Second, to encourage special teacher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IT Education contest, we must design systematic support programs. Third, more research is needed into “developing various types of tournaments for student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making ICT skills achievement standards consider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stly, more in-depth research and comprehensive support are required for various ICT programs, including an ICT certification and licensing system for special-needs students.

      • 공시지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부평구 주택재개발구역을 중심으로

        김동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약 공시지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부평구 주택재개발구역을 중심으로 - 김동규 인하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재개발구역 내 공시지가와 실거래가격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확인하고 공시지가 형성의 기준이 되는 토지특성항목별 요인 분석을 통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주택재개발구역의 경우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여 거래되는 실거래가격에 비하여 공시지가가 상대적으로 낮아 가격의 차이로 인하여 공시지가의 신뢰성이 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거래가격의 현실적인 반영을 위한 합리적인 공시지가 결정 체계 및 제도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가제도 시행에 따른 공시지가 결정에 기준이 되는 토지특성항목이 가격 반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모형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한 연구방향 및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고자 종속변수인 공시지가와 독립변수인 토지특성항목과의 요인별 관계 확인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인천광역시 내 가장 많은 주택재개발구역이 있는 부평구의 구역 중 3개 구역인 부평목련아파트주변구역, 청천1구역, 청천2구역을 포함하여 부평구 공시지가 담당 감정평가사 및 연구기간 내 부평구의 보상평가를 담당한 법인의 감정평가사 등 총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으로는 5점 기준 리커트척도화하여 실거래가격과 공시지가의 차이 및 토지특성항목 반영 요인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지를 기준으로 3개 구역 전체 1,909필지 중 69.7%로 가장 많은 지목을 차지하는“대”를 기준으로 부평목련아파트 35필지, 청천1구역 424필지, 청천2구역 872필지, 총 1,331필지를 대상으로 토지특성항목의 수치를 측정하여 수집된 자료를 기준으로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 및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3개 구역“대”지목 필지의 평균가격을 기준으로 공시지가 산정지침에서 규정하고 있는 계획, 이용상황, 형상, 방위, 접면 등을 토지가격비준표에 의거 가격산정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서 변동된 가격을 비교 분석하여 토지특성항목의 단계별 가격 변화를 확인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부평구의 3개 주택재개발구역이며 시간적 범위로 2011년도부터 2016년도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단위는 측정가능한 수학적 단위인 비율(%), 거리(m), 높이(m), 각도(°)등으로 규정하였으며 수치분석도구로는 지적도 및 수치지형도, 통계분석도구로는 SPSS 18.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첫째 설문조사 결과 5점 기준 리커트척도화를 활용한 분산 분석에 따라 공시지가와 실거래가격 차이 및 문제점 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실거래가격의 상응하는 공시지가 결정에 따른 토지특성항목 수정의 필요성도 나타내고 있어 가격 불균형 및 공시지가 결정요인의 개선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대”지목을 기준으로 3개 구역인 부평목련아파트주변구역 35필지, 청천 1구역 424필지, 청천 2구역 872필지, 총 1,331필지를 대상으로 공시지가와 토지특성항목 간의 관계 및 영향성은 일부 항목에 편중된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결과에 따르면 공시지가 가격결정에 있어 용도지역 및 이용상황, 형상, 접면 등이 정관계의 영향성을 보이고 있으나 영향력은 상이한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시지가 산정의 기준이 되는 토지특성항목이 다양하지 못하고 일부항목에 편중되어 있어 균등하게 가격을 반영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었다. 셋째 분산 분석 결과 분석대상 항목 중 이용상황 및 접면 등이 단계별 변동에 따른 정관계의 가격반영을 보이고 있었으며 기타 항목의 경우 단계에 따라 동일하거나 불규칙한 가격반영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토지특성항목의 가격 반영이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실거래가격과 공시지가의 차이를 해소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토지의 가치를 규정하는 사회적 환경과 국민의 의식 변화를 지가제도에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최근 공시지가의 급격한 상승에 따라 지역별 실거래가격과 공시지가 차이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연구결과 주택재개발구역의 경우 동일한 기초단체 내 지역에서 조차도 실거래가격과 공시지가 차이가 150%에 이르렀다. 따라서 주택재개발구역의 정확한 실거래가격 조사 자료를 근거로 합리적인 공시지가 결정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공시지가 결정을 위한 토지특성항목의 다양성 확보 및 합리적인 반영체계가 필요하다. 토지이용의 변화와 토지 가치의 인식변화에 따른 반영 항목을 대체하거나 수정하여야 하며 가격 반영요인이 일부 항목에 편중되지 않도록 개선해야 한다. 특히 주택재개발구역의 경우 실제 거래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는 토지특성항목 등이 공시지가에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지가제도의 신뢰성을 회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대상지역을 부평구 3개 주택재개발구역으로 한정함에 따라 분석 결과를 국토 전체로 일반화하기엔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연구 대상지 담당 감정평가사의 설문조사 결과와 변수로 설정한 필지별 항목을 지적도와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실측한 토지자료를 근거로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있음으로 공시지가제도 개선의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주택재개발구역, 공시지가, 실거래가격, 결정요인 Abstract A Study on Determinants of Public Land Price - Focused on the Housing Redevelopment Area in Bupyeong – gu - Kim, dongkyu Dept. of Integrated Urban Planning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ublic land price and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area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and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characteristic item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the land property item It is. This study presents the model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rice reflectance of the land characteristics item which is the basis of land price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land price system implementation. Therefore, we analyze whether the reflection of land price is reflected properly and equally in order to recover the reliability of the public land price system and realistic price determination of public land price due to the difference of actual transaction price. For the analysis, research directions and hypotheses were presen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confirm the factori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the official land pric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land property item. First, 37 appraisers were assigned to the Bupyeong Mokreun apartment area, Cheongcheon 1 area, and Cheongcheon 2 area in Bupyeong area,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housing redevelopment area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r the questionnaire items, we constructed a 5 - point Riccart scal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and the official price and the factors reflecting the land characteristics. Second, based on the "study area", which accounts for 69.7% of the 1,909 parcels in all three districts, the Bupyeong Mokreun apartment area 35 parcels, Chungcheon 1 area 424 parcels, Cheongchon 2 area parce 872 parcels, and 1,331 parce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rd, by applying the plan, usage situation, shape, bearing, and interface defined in the Guidelines for calculating the official price based on the average price of the land parcels of the three districts to the price calculation system based on the land price ratification table, And analyzed the price change of the land characteristics item by stage. The standard of the study is set as a spatial range based on the three housing redevelopment zones and temporal ranges of Bupyeong - gu from 2011 to 2016. The analysis units are the measurable mathematical units (%), distance (m), height (m) , And angle (°). SPSS 18.0 was used for numerical analysis and cadastral map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fficial price and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due to the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five - point Likert scale and the real estate pric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determinants of price imbalance and public land pric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land price and the land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the land property category on the 35 land parcels of Bupyeong Mokreun apartment area 424 parcels in Chungcheon 1 area, 872 parcels in Chungcheon 2 are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se area, usage situation, shape, and interface of the official price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in determination of official price. This is due to the lack of diversity of land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basis for calculation of official land price, and the fact that prices are not reflected equally because they are concentrated on some item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land price and the land characteristics was influenced by some item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se area, usage situation, shape, and interface of the official price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in determination of official price. This is due to the lack of diversity of land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basis for calculation of official land price, and the fact that prices are not reflected equally because they are concentrated on some items. The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resolve the gap betwee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and the official price. The social environment that defines the value of land and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change of people 's consciousness to the land price system are required. In recent years, the imbalance betwee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and the official land price has been worsening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official land pric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residential redevelopment area,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and the public land price reached 150% even in the same basic group. Therefore, a reasonable land price determin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accurate real-time price survey data of the housing redevelopment area.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ecure diversity of land characteristics and rational reflection system for land price determination. Changes in land use and land value recognition should be replaced or revised, and the price reflecting factors should be improved so as not to bias some item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development area of the housing, the problem of the land property item, which is an important criterion in the actual transaction, is not reflected in the official price, and the reliability of the land price system should be restored.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ot enough to generalize the analysis result to whole country by limiting the target area to the redevelopment area of the Bupyeong area. However, a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by the appraisers of the study site and the items of the parcels set as the variables are presented based on the land survey data using the cadastral maps and the digital topographical maps, they are used as objective data for improvement of the official land price system You can expect to be. Key Words : Hosuing Redevelopment Area, Standard Land Price, Real Price, Decision Point

      • 절리면의 거칠기와 수직응력이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규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암석 절리면의 전단거동은 암반 구조물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암석 절리면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절리면의 전단강도는 절리면의 거칠기와 수직응력에 영향을 받는다. 절리면의 전단특성을 구하는 시험법으로는 직접전단시험과 다단계전단시험이 있다. 이 중에서 직접전단시험은 일정한 수직응력 조건에서 전단시험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 표준시험법(KSRM, 2009)에 해당하지만, 거칠기가 동일한 수 개의 시험편이 요구된다. 이에 비해 다단계전단시험은 하나의 절리면 시험편에 대한 실험만으로 전단특성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절리면의 거칠기와 수직응력이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Limestone 절리면 시료에 대하여 10회의 직접전단시험과 8회의 다단계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최대전단강도, 잔류전단강도, 전단강성, 팽창각을 시험방법별로 구하였으며, 두 가지 시험방법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각각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두 가지 시험방법에서 얻어진 절리면의 물성은 대체로 동일한 경향을 보였는데, 예를 들어 최대전단강도와 잔류전단강도는 거칠기와 수직응력이 커질수록 증가하였고, 팽창각은 거칠기가 작고 수직응력이 커질수록 감소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물성 값은 시험방법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여 두 가지 시험방법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직접전단시험과 다단계전단시험은 통계처리하기에는 수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두 가지 시험법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험방법의 명확한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암석 종류에 대하여 거칠기와 수직응력을 달리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암석 종류에 따른 절리면의 물성 값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Limestone에 대한 전단시험 뿐 아니라 quartz porphyry, dacite, granite, gneiss의 4가지 암석에 대한 다단계전단시험의 결과(Hong, 2009)를 재분석하였다. 절리면의 물성 값은 암석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암석 종류는 절리면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절리면 전단시험을 실시하면 기존 절리면의 돌출부가 손상되거나 새로운 돌출부가 생성되기 때문에 시험 절리면의 거칠기는 기존 형상에 비해 변화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시험 전후에 절리면 거칠기를 3D Laser Profiler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시험 절리면의 거칠기 변화 특성을 알아보았다. As the shear behaviour of rock joints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tability of rock structures,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 joints. The shear strength of the rock joints is affected by both the roughness and normal stress of the rock joints. The test method to obtain shear characteristics of the rock joints is direct shear tests and multi-stage shear tests. Between them, direct shear test is a method of testing a shear test in a constant normal stress condi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standard test in Korea(KSRM, 2009), but, a number of test specimens required identical roughness are required. In comparison, multi-stage shear tests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the shear characteristics only by experimenting with the test specimen of the one rock joints, but it has many problems. In this study, A total of 10 direct shear tests and 8 multi-stage shear tests were carried out on rock joint sample of Limestone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roughness and normal stress on the shear strength. Through them, the maximum shear strength, residual shear strength, shear stiffness, dilation angles were obtained from each test and I identified each characteristic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wo test methods. The property of rock joints obtained from two tests tended to be roughly identical, for instance, the maximum shear strength and residual shear strength increases as roughness and normal stress increases, in contrast, dilation angles decrease as roughness is smaller and normal stress increases. However, I could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sts because each property represents a distinc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sts. Meanwhile, not only direct shear tests and multi-stage shear tests conducted in this study are insufficient quantities to process statistics but also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hat vary the roughness and normal stress on various types of rock so as to clarify the obvious differences in testing because both tests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multi-stage shear tests on four rocks such as quartz porphyry, dacite, granite, gneiss(Hong, 2009) as well as the shear test on Limestone are reanalyzed. The property of rock joint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rock, which could indicate that the type of rock is element affecting the property of rock joints. In addition, if the shear test is carried out, the roughness of rock joints used in this test is changed compared to the preexisting shape as the protrusion of rock joints is damaged or the new protrusion is generated. But, in this study, I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the roughness of rock joints used in this test by measuring the roughness of rock joints with 3D Laser Profiler before and after the test.

      • 저온조건 변화가 콘크리트의 초기동해 깊이에 미치는 영향 및 깊이판정

        김동규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we assume the case of poor curing in winter, and the effect of the initial low degree on the depth of early frost damage and trying to judge the depth of the early frost damage It is a purpose. In other words, when suffering damage by early frost damage, a difference in absorption occurs, but in the process of drying it is trying to analyze whether it is possible to visually distinguish the difference of all early frost damage par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ower the initial curing degree, the more the degre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was drastically reduced, and it was sensitive to the degree. Also, there was a time when the degree of concrete was recovered by freezing regimen. (2) In the case of damage by early frost damage,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initial degree of curing, the more the freezing expansion was added, and the absorption rate was added by the relaxa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It showed that the damage depth of the early frost damage is added, but this was analyzed that the low curing degree of the concrete greatly affected the depth of the early frost damage. (3) Due to the swelling of the concrete structure due to the expansion due to the freezing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core test, the drying time was lengthened. Also, at around 40 minutes drying time, the difference between all early frost damage parts was greatly observed, confirming that it can be quantified by measuring the brightness using this spectral colorimeter did. In addition, early frost damage was added when mixing cement was used more than in the case of 100% OPC as the initial lower degree of curing. Moreover, we could grasp the depth of early frost damage by the difference in lightness with the time excess between the suspected part of the damage and the healthy part using the spectral colorimet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ry examination after flooding,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the suspected part of the damage and the healthy part is clear.

      • 당뇨병환자에서 혼합식이 섭취 후 글루카곤 반응을 결정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

        김동규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글루카곤 (glucagon) 분비는 glucagon-like peptide 1 (GLP-1)에 의해 억제되고 glucosedependentinsulinotropic polypeptide (GIP)에 의해 자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당뇨병환자는 경구섭취 시 정상인과 달리 글루카곤이 억제되지 않는 부적절한 반응을보이며, 이에 대한 의미나 기전은 아직 잘 모르고 있다. 이에 우리는 당뇨병환자에서표준혼합식이 섭취 후 글루카곤의 변화와 GLP-1, GIP 그리고 여러 임상 및 생화학적특징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317명의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공복상태에서 표준혼합식이 (480 kcal, 60% 탄수화물, 20%단백질, 20% 지방) 섭취 전과 30분 후 채혈하여 포도당, C-peptide, 글루카곤, GLP-1 완전체(intact GLP-1, iGLP-1)와 GIP 완전체 (intact GIP, iGIP)를 측정하였다. 30분 후 수치와기저치의 차이는 Δ (30분 후 수치에서 기저치를 뺀 값)로 표시하였다.혼합식 섭취 30분 후 글루카곤은 기저치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혈당, C-peptide,iGLP-1, iGIP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단변량분석 (univariate analysis)에서 Δglucagon은당화혈색소 (r=0.389)와 가장 높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공복혈당 (r=0.198), Δglucose(r=-0.269), eGFR (r=-0.140)과도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ΔiGLP-1, ΔiGIP과는 유의한상관이 없었다. 또한 여성과 인슐린 투여군에서 Δglucagon이 유의하게 컸고,설폰요소제와 메트포민 투여군에서는 유의하게 작았다. 여러 인자들의 교란효과(confounding effect)를 배제하기 위한 계통다중회귀분석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analysis)에서 당화혈색소 (β=0.327, p<0.001)는 여전히 Δglucagon과 가장 관련이 많은변수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당뇨병환자에서 혼합식 섭취 후 글루카곤은 억제되지 않았으며, 글루카곤증가폭은 당화혈색소와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였고 iGLP-1 & GIP 변화와는 관련이없었다. 즉 당뇨병환자의 혈당조절이 불량할 수록 경구섭취 후 글루카곤치가 증가될 수있으며, 이는 인크레틴에 의해 매개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Aim: Glucagon secretion is suppressed by glucagon-like peptide 1 (GLP-1) but stimulated by glucosedependentinsulinotropic polypeptide (GIP), both of which are incretins. Unlike healthy individuals,diabetes patients show an inappropriate postprandial response in terms of failure to achieve suppressionof glucagon secretion.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is still not clearly understood. Therefore,we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glucagon levels in diabetes people after the ingestion of astandard mixed meal and the correlations of variation in glucagon levels with GLP-1, GIP, and variousclinico-biochemical characteristics.Methods: Glucose, C-peptide, glucagon, intact GLP-1 (iGLP-1), and intact GIP (iGIP) were measuredin blood samples collected from 317 diabetes patients at two time points: before and 30 minutes afterthe ingestion of a standard mixed meal (480 kcal, 60% carbohydrate, 20% protein, and 20% fat) in thefasting st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30-min postprandial value and the basal value was expressedas Δ (30-min minus basal).Results: At 30 minutes after meal ingestion, the glucagon level showed no difference relative to thebasal value, whereas glucose, C-peptide, iGLP-1, and iGIP level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univariate analysis, Δglucagon showed not only a strong correlation with hemoglobin A1c (HbA1c;r=0.389) but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sting glucose (r=0.198), Δglucose (r=-0.269), and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r=-0.140). However, Δglucagon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with ΔiGLP-1 and ΔiGIP. I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xcluding the confoundingeffects of various factors, HbA1c (β=0.327, p<0.001) was the only variable that continued to show the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Δglucagon.Conclusions: Diabetes people showed no suppression of glucagon secretion after the ingestion of amixed meal. The margin of increase in the glucagon leve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HbA1c but no correlation with changes in iGLP-1 and GIP levels. In other words, diabetes people withpoorer glycemic control may show greater increase in postprandial glucagon level, and this does notappear to be mediated by incretin.

      •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체육수업이 멀리뛰기 기능과 운동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동규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멀리뛰기 수업을 통해 운동기능을 향상하고, 운동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남․여학생 간의 운동기능 및 운동태도에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N시에 있는 Y중학교 1학년 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2개 학급은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멀리뛰기 수업을 받는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개 학급은 교사의 시범과 언어적 전달의 교수․학습 방법만을 실시하는 전통적 수업방법을 받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1․2차시에 운동기능 및 거리 측정, 운동태도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3차시부터 16차시까지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17․18차시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방법은 운동 기능 검사로써 멀리뛰기의 양적 요소인 거리를 측정하고, 질적 요소인 자세는 학교 교육과정에 있는 수행평가 척도안에 따라 측정하였다. 체육학습 태도 측정에 대한 측정 항목은 Kenyon(1968)이 추출한 6개 변인을 참고로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이미 신뢰도를 입증 받은 우길동(2001)이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이 검사지는 5개 영역(체력 및 건강, 도전심, 미적 가치, 운동의 실천, 경쟁심 및 극기)에 대하여 각 4문항씩 구성되어 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멀리뛰기 기능, 운동태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고, 실험집단의 남․여학생 간 멀리뛰기 기능과 운동태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멀리뛰기 운동기능에서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체육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교사의 시범과 언어적 전달의 교수․학습 방법만을 실시하는 전통적 수업을 받은 비교 집단보다 멀리뛰기 기능에서 향상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멀리뛰기 수업이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체육수업이 운동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운동태도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운동태도 향상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체력 및 건강, 도전심, 경쟁 및 극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적가치, 운동의 실천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향상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체육수업이 운동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체육 수업이 남․여학생 간의 멀리뛰기 기능 및 운동태도에 미치는 효과에서 실험집단 남․여학생의 멀리뛰기 기능에서는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향상되었으나, 두 집단 간 향상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로써 운동 기능면에서 남․여학생 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운동태도에서도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체육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남․여학생의 비교에서 사후 검사 점수가 사전 검사 점수보다 높았으나 남․여 학생의 향상도는 운동태도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위요인 중 미적가치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체력 및 건강, 도전심, 운동의 실천, 경쟁 및 극기에서는 남․여학생의 향상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의 결과에 의하여 체육수업에서 수업모니터링을 활용한 체육수업은 운동기능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고, 운동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남․여학생 간의 운동기능면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운동태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운동태도 전체에서는 남․여학생 간의 향상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