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熊十力의 體用論 연구

        김대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Xiong Xhi Li(熊十力)'s the unity of Ti-Yong(體用) which involves a cosmology, mind-heart, and cultivation of the mind through approaching the viewpoint of I-Xue(易學). Ti-Yong(體用)'s view of the world is a common metaphysical view of the world in the traditional thinking of East Asian. Ti(體) stands for Noumenon or Original Substance, and Yong(用) designates Phenomenon or Function of things. Xiong(熊)'s Ti-Yong Philosophy has the unique structure of Ti(體)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the concepts of Ti in the previous times. His Ti-Yong philosophy consists of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Ontology and Mind philosophy based on critical analysis of Consciousness-Only(唯識) Buddhism. He connects nature with human being, one culture with other, oneself with other people by means of the concept of Ti-Yong. In this aspects, His Ti-Yong philosophy can be called 'Intercourse(通) philosophy.' This paper will be proceeded with the following several steps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Xiong's Ti-Yong philosophy. First of all, Chapter Ⅱ presents the brief theoretical development and context of Xiong's Ti-Yong concept. Xiong strived to highlight on the difference of Substance(本體) between West and East. His devotion to study Substance had much to do with the social climate at that time. The intellectuals in modern China wanted to accept the advanced Western civilization on the one hand and they tried to keep on succeeding their traditional culture on the other h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his philosophy was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the effort to solve the social problem and succe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He criticized against Western philosophers who made the misunderstanding of Substance and Function. There is no escape from the ontological disjunction between them, because Substance is divided from Function. Xiong argued that there is also this kind of disjunction problem in Buddhism as well as in Western metaphysics. So he constituted his own system of Ti-Yong philosophy by criticizing Consciousness-only Buddhism. Chapter Ⅲ deals with Xiong's critical analysis of that kind of Buddhism related with Unconsciousness mind called Ālaya-vijñapti(阿賴耶識), and other Buddhism theories. This paper discusses Xiong's Ontology of Ti-Yong philosophy in Chapter Ⅳ which holds the idea that Ti(體) is not different from Yong(用) on the fundamental level. His Ontological system is based on Book of Changes(周易) which shows the principle of cosmological evolution and change. According to him, Myriad things(萬物) are only the function of Ti(體), in that Ti appears itself in the world through its function. This paper proves that this kind of Ti' twofold feature results from synthetic perspective between the Grand Terminus(太極) of I-Ching(易經) and Ying Yang(陰陽) of I-Chuan(易傳). Xiong regards the creative transformation of the universe as Ti's function, and explains the change of universe using the term, Closing(翕, Xi) and Opening(闢, Pi). While the acting of Closing results in the myriad things through the process of condensation, the role of Opening disperses things and blocks Materialized(物化), mastering things. As soon as there is production, there is destruction, and as soon as there is destruction, there is production. This unceasing universal activities of Closing and Opening are Ti-Yong's endless interacting operation. He called its operation 'the Process of Opening(闢)', 'Universal Mind(宇宙心)' or 'Original Mind(本心).' Chapter Ⅴ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a priori Original Mind(본심) and a posteriori Cultural Mind(習心). There is a key point of how to realize the Original Mind in his Moral Cultivation. He encourages his disciples to block off conceptual thinking to know exactly what the Original Mind is. He recommended the traditional Confucian way of mind control to block out conceptual thinking and to get awakening at the same time. He presented his own training method of mind cultivation called 'the Unity of Original Mind and self-discipline which was a kind of training method based on "getting awakening through studying the principle of myriad things in Great Learning(大學). Xiong Xi Li dedicated his study of the Book of Change involving a variety of Confucian books to complete his Ti-Young philosophy. Though he criticize the Buddhism, I can claim that he, in strict speaking, integrated Buddhism into Confucianism in many aspects. He tried to develop a new 'Mind Theory' Ti-Yong paradigm based on I-Xue(易學) and Conscious-Only Buddhism to suitable to his times. So in that respects, his Ti-Yong philosophy, I think, can get a high value in terms of its unique characteristic of Original Substance and his own viewpoint of the World. 체는 흔히 사물의 본질이나 근원을 가리키는 말이고 용은 사물의 작용이나 현상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체용론적 세계관은 동아시아의 전통사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이다. 체용 개념을 핵심으로 하여 세워진 웅십력의 ‘체용불이’ 철학체계는 이전에 사용된 ‘체’의 개념과는 구별된 독자성을 구축하고 있다. 그의 철학은 유식학을 비판으로 출발하여 본체론과 심성론의 틀을 구성하고 있다. 그는 체와 용이 다르지 않다는 ‘체용불이’라는 명제를 통해 자연과 인간, 자문화와 타문화, 그리고 자기와 타인을 소통시키고 있다. 이런 점에서 그의 철학을 체용의 소통철학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본 논문은 그의 체용론 체계의 특징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각론의 절차를 거쳐 진행한다. 먼저 2장에서는 시대적 배경과 그의 독특한 체용 철학이 형성된 맥락과 이론적 근거를 살펴본다. 웅십력은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을 대비시켜 본체에 대한 견해 차이를 부각시키는데 주력한다. 그가 본체 문제에 매달린 이유는 당시 시대적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중국 근대 지식인들은 서양문화와의 충돌 속에서 한편으로는 서양의 선진문명을 수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의 전통 문화를 계승하려는 이중적 고민을 안고 있었다. 웅십력 철학 또한 당시 전통문화 수호라는 시대적 사명과 현실적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웅십력은 서양 철학자들이 본체와 현상을 잘못 파악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서양철학의 형이상학에서 본체는 실체로서 현상을 이미 떠나 있어 양자 간의 존재론적인 분립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서양 형이상학뿐만 아니라 불교, 다시 말해 유식불교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고 그는 보고 있다. 따라서 그는 유식불교의 비판을 통해 자신의 체용불이 철학을 차별화시켜 나간다. 3장에서는 유식불교의 아라야식 종자설과 기타 유식이론에 대한 웅십력의 비판을 살펴보고 그의 비판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점검해 본다. 4장은 웅십력 체용론의 골격이라고 할 수 있는 본체론에 관한 부분이다. 웅십력은 체와 용이 다르지 않다는 ‘체용불이’를 주장하는데, 체용구도에서 건원을 우주만상의 본체로 삼고 있다. 그의 본체론은 기본적으로 우주 발생과 변화과정의 이치를 담고 있는『주역』을 근간으로 삼고 있다. 웅십력은 현상의 우주 만물은 바로 본체가 전개하는 작용으로 나타난 결과이기에 현상이라는 본체의 작용은 결국 본체와 다르지 않음을 강조한다. 그의 체용불이 체계의 특징은 바로 본체의 성격에 있는데, 본체는 작용과 병렬적인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또 다른 면에서는 작용을 포함한 보다 상위의 범주인 절대로서의 위상을 갖는 중층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필자는 이러한 본체의 양면성은 본체가 지니는 이중적 특성이며 그 근거를『역경』과『역전』에 나타나는 태극과 음양개념의 통합적 사고에서 비롯되었음을 논증한다. 웅십력은 우주의 생성작용을 바로 본체의 작용이라고 보는데, 흡과 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우주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웅십력은 특히 풀어주는 과정인 벽의 작용을 우주심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심성론에서 양지(良知)인 본심이라고 하였다. 5장에서는 본심인 양지가 인심 혹은 습심과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점을 짚어본다. 웅십력 철학의 수양론은 본체인 선천적인 본심과 후천적인 습심과 구별하여 본심을 체득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그래서 6장에서 그는 본심은 제대로 알기 위해 대승 공종이 사용하는 차전적 방법을 빌려와서 개념적 사유가 빗어내는 분별을 차단할 것을 권장한다. 개념을 통한 분별적 사고를 막고 본체를 체득하는 방법으로 그는 전통 유학의 수양법인 ‘우기지학’을 적극 추천한다. 그는 수신의 출발점으로서『대학』의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주자와 양명의 해석을 포폄한다. 그의 철학은 체용에 관해 독특한 관점과 창의적인 해석을 함으로써 기존 철학과 차별화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지만, 웅십력 철학은 다루고 있는 영역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창의적인 접근방식을 고려해 볼 때, 그 중요성은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다. 어떤 점에서 이러한 문제점은 그의 철학체계가 지니는 자체 문제라기보다는 그의 철학을 이해하는 필자의 능력부족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그의 철학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해소하려고 한다. 또 웅십력 철학의 현대적 조명이라는 각도에서 그이 체용론을 현대적 관점에서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한 고민을 과제로 남긴다.

      • 白鼠多形核白血球의 化學走性에 미치는 齒苔의 影響에 關한 硏究

        김대수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emotractic effect of rat PMNLs to the dental plaque extracts. Dental plaque was collected on the tooth surfaces and pockets and devided into four groups, such as supragingival plaque (Group l), shallow subgingival plaque (Group 2), deep subgingival plaque (Group 3), and sonicated supragingival plaque (Group 4). The control group (Group 5 ) of chemoattractant was culture media M-199 only. And chemotactic effect was assessed by Blind Well Chamber method with Nuclepore Filter. After 90 minutes incubation, number of rat PMNLs was countered with microscope in lower chamber and in distal surface of filter po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Chemotaxis of PMNLs from each experimental groups (Group 1, 2, 3, 4)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p<0.05) 2. On number of PMNLs passing through the Filter Pore, subgingival plaque group attracted the number of PMNLs more than that of supragingival plaque group significantly. (p<0.05) 3. On number of PMNLs which is reached to the distal surface of Nuclepore Fil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gingival plaque group and the supragingival plaque group were not significant. (p<0.05) 4. In comparision of sonicated supragingival plaque group and non-sonicated supragingival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igrated PMNLs.

      • FEM을 이용한 외부환경에 따른 대형 압력용기의 안전성 평가

        김대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improved living standards and industrial development worldwide, the demand for energy resources is on a continued rise. Due to limited resources, shortage of energy resource has become a serious issue. Moreover,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and Fluid Catalytic Cracking (FCC) Unit, which is a production facility for renewable energy, has also grown. FCC Unit decomposes medium crude oil and is a large-scale pressure vessel to convert medium crude oil such as Bunker C oil where distillation is no longer possible into light crude oil. FCC Unit consists largely of a Reactor where catalytic reaction takes place, and of a Regenerator that regenerates and transfers the catalyst to the Reactor. FCC reactors must design by using proven specifications for high temperature and design pressure, because thermal load and pressure due to reaction with catalyst during long-time operation can cause breakage and fatal accident. The FCC Reactor is installed outdoors and exposed to natural disasters, which can cause problems with wind and earthquake loads. In this study, the FCC reactor pressure vessel was designed by the ASME code section VIII div.2 and the Finite Element Method(FEM)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specified design pressure condition.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for design pressure, wind load and seismic load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conditions. The stresses were classified by stress linearization in the results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safety of the FCC reactor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the allowable stresses of ASME Code Section VIII Div.2.

      • 노인 여성들의 순환운동이 활동체력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김대수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rcuit exercise program on activity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dex in elderly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selected 24 in the elderly women. Subjects of exercise group were trained by the muscular strength circuit exercise that was composed of the duration of 35∼45m/d, the frequency of 3d/w, and period of 12weeks.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activity fitness,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grip strength, chair stand test, trunk forward flexion, open eyes one leg, bean transfer test by the 12 week program participation, but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nd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tand up test by the 12 week program participation, but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metabolic syndrome index,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TG, glucose by the 12week program participation, but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nd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HDL-C by the 12 week program participation, but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step box and muscular strength circuit exercise improves activity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dex in elderly women. Consequently, muscular strength circuit exercise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obese in elderly women. Key Words: Muscular strength circuit exercise, Activity fitness, Metabolic syndrome index.

      • 펄프제조시설에서의 다이옥신 발생 및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김대수 順天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구조 및 생활의식의 변화 등에 따라 다양한 폐수가 수생 생태계에 배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폐수의 오염물질은 급속한 산업발전과 생산시설의 증가에 따라 수질오염물질과 그 배출원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현재의 산업폐수관리체계는 배출시설마다 폐수를 통하여 배출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양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든 폐수배출업소에 대하여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왔다. 미국의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폐수배출량 관리를 위하여 점오염원마다 오염 물질 배출한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배출시설마다 배출항목과 항목별 배출량을 규정함으로서 총량개념의 배출허용기준 적용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톡홀름 협약에 관련된 BAT적용 대상 업증인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시설 증 선정된 56개 업체를 현장 방문하여 발생되는 폐수(원수, 방류수) 시료를 대상으로 일반오염물질 분석을 포함한 중금속,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에 대해서 분석을 하고 각 제조시설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폐수 발생특성, 오염물질 종류, 배출처리공정 및 처리형태 등을 파악하여 폐수배출 분류체계로 세분류를 하여 각각의 세부분류시설에 대해서 원단위를 산정하고, 다이옥신의 발생메카니즘과 환경중에서의 다이옥신 배출패턴을 분석하고, 각 시료에 대해 다이옥신 독성등가 농도 및 이성체별 독성등가 농도, 분포 및 특성을 평가 분석하였다. 제지 · 펄프 생산시설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분석결과는 평균값은 23.278 pg I-TEQ/L, 최대값은 276.394 pg I-TEQ/L, 그리고 최소값은 ND로 조사되었다.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을 포함한 다양한 유해오염물질이 검출되었으나 농도는 매우 낮았으며 방류수에서의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원료의 종류와 폐수성상, 오염물질 종류 · 특성, 추가공정의 유무에 따라 3개의 대분류와 6개의 세분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시설에 대해서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Wastewater pollutants are discharged into aquatic ecosystems in our dynamic environment. Water contaminants tend to densely aggregate and accumulate. Due to the rapid growth of production facilities, water pollutants change a lot. Different discharge systems make different kinds of wastewater pollutants. But, the industrial effluent management systems in Korea is the same, and the uniform standard is applied to wastewater discharge agencies. In USA, each system has a different discharge limit to manage the quantity of discharged wastewater. They use wastewater emission restrictions for each system to prescribe the discharge list and quantity. For this study, 56 pulp & paper manufacturing facilities which are applying to BAT(Best Available Techniques) according to the Stockholm Agreement were selected. Pollutants and harmful substances like heavy metals or dioxines in the wastewater were analyzed. Next, details about each manufacturing facility, peculiarity of wastewater outbreaks, kinds of a pollutants, discharge handling processes and handling techniques were recorded. Then our data into subcategories with a wastewater discharge classified table was divided. The unit mass discharge for the subcategory system was computed, and dioxine emission patterns and formation mechanisms in the environment to estimate the Toxicity Equivalents(TEQ), the distribution and peculiarity of dioxine and isomer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of dioxine, which is discharged from pulp & paper manufacturing facilities shows that the average is 23.278 pg I-TEQ/L. The maximum is 276.394 pg I-TEQ/L, and the minimum is ND. A lot of harmful pollutants including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were recorded; but the concentration was very low, and there was little found in the discharged water. Then the unit mass discharge of the system after dividing it into 3 categories and 6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kinds of materials, kinds of wastewater icons, peculiarity of wastewater icons, kinds of contaminants, peculiarity of contaminants and additional progress were computed.

      • 양평군 토양의 비옥도와 질 평가 및 친환경적 관리 방안

        김대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98년 전국 최초로 친환경농업을 추진해 온 양평군의 토양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농경지 토양의 비옥도를 진단 평가하여 지역단위 토양관리 방안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농업 현장에서 토양관리는 대부분 농장주의 개별단위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대부분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따라서 과도한 투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을 위해서는 토양관리 대안의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그동안 개별 농가 지도용에 국한되어온 토양분석 결과들을 모아 통계적으로 해석하여 지역의 토양의 문제를 도출하여 하여 공동의 관심사항으로 유도하고자 하였다. 농촌지도기관에서 농업인 토양분석을 실시하고 있으나 토양 검정결과는 주로 해당 농가의 영농 상담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오랫동안 축적된 토양분석 자료를 지역의 공공의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양평군농업기술센터가 2002~2012년에 토양을 분석하여 보유하고 있는 약 52,000점의 자료를 제공 받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항목은 pH, 토양유기물(SOM), 유효인산(Av. P2O5), 치환성 양이온(K, Ca, Mg), 양이온치환용량(CEC), 전기전도도(EC), 유효규산(Av. SiO2) 등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농촌진흥청 토양화학분석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토양분석 자료를 토대로 양평군의 논, 밭, 시설토양에 대하여 연도별 변화, 읍면 지역별 비교, 그리고 관행, 무농약, 유기 등 재배유형별 비교를 통하여 토양의 비옥도 상태를 진단 평가하였다. 또한 농경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관계에 있는 화학적 특성에 대하여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함수식을 산출하였다. 토양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pH, 유기물, 유효인산, CEC, EC, 유효규산 등을 평가 지표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지표의 값들은 0~1로 표준화 한 후 지표의 값들을 표준화 점수로 환산하여 합산한 뒤 평균값을 구하였다. 또한 토양의 상태를 시각화 할 수 있도록 토양의 지표값을 지수로 환산한 점수를 5단계로 분류하여 GIS 지번 지질도에 표시하였다. 토양의 비옥도를 평가 결과 논토양은 2002년도 이후 pH의 변화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마그네슘과 칼리의 함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에 칼슘 함량은 증가 폭이 컸다. 이러한 결과로 10a당 벼 생산량도 감소 추세인데 전국, 경기도에 비하여 감소추세선의 기울기가 전국, 경기도, 양평군이 각각 ?0.134, -2.100, -2.804로 양평군의 감소 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인증 농가의 벼 수매량과 그 토양의 화학성 지표들 간의 다중회귀분석의 stepwise backward 기법으로 분석하여 회귀식을 얻은 결과에서 Exc. Mg가 생산량 증가에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양평군 토양 화학성 중에서 가장 심하게 감소된 성분이 마그네슘인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밭토양의 화학적 성분도 모두 감소하는 추세가 뚜렷하였다. 그중에서도 논 토양에서 같이 Exc. K, Exc. Mg가 큰 폭으로 감소를 하였다. 시설토양에서는 2002년을 기준으로 Exc. K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유효인산은 증가 추세에서 감소추세로 나타났다. 칼슘과 전기전도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토양의 비옥도를 진단한 후 논, 밭, 시설 토양의 질을 평가하였다. 각 토양을 대표하는 지표들 즉, pH, 유기물,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 유효규산함량(논토양), 전기전도도(밭토양) 등 각 5가지 질 지표에 대하여 지표값을 표준화 하여 모델식을 산출하여 0~1값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점수는 시설토양<밭토양<논토양 순서로 높았다. 평균 점수의 분포는 읍면 지역별로 논토양은 0.68~0.93 점, 밭토양은 0.72~0.90 점, 시설토양은 0.49~0.71 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 평가 기준은 토양을 단순히 생산성 중심으로만 평가하지 않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토양관리를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토양의 질 평가를 통해서 GIS 지도를 작성하였다. 지도의 작성은 지번별, 법정리별로 작성하였으며, 표시 방법은 토양의 질 평가에 따라 0~1.0 범위를 0.2점 단위로 5개 등급으로 나누되 우량 등급을 1등급으로 하여 5등급까지 식별이 용이하도록 지도에 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가 원할 경우 GIS Web 서비스를 구축하여 지역 농업 발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