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년층직업지도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남구 仁濟大學校 經營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에서 대내외적인 불안요소로 인해 가장 급격한 변동을 보이는 곳이 고용시장이다. 이로 인해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은 취업준비가 아니라 취업전쟁으로 부르며 직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준비한 바를 고려치 않고 전력투구를 하고 있으므로 취업의 벽은 높아만 가고 직업선택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일수록 개인의 특성과 능력에 적합한 직업을 찾을 수 있는 진로의식 성숙과 자신의 진로에 대한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는 힘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점에 착안한 본 연구는 직업의 탐색과, 직업에 대한 이해, 직업성숙과 취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향상시킴을 통해 진로의식을 성숙시키며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는 청년층 직업지도 프로그램을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남 김해시에 소재한 인제대학교 재학생 중 청년층직업 지도프로그램에 희망한 학생 80명 중 4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학생 4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청년층직업지도프로그램은 중앙고용정보원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며,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같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 기간 중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고 SPSS 10.0K for windows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직업지도프로그램이 진로의식성숙성숙도의 하위척도 중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타협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진로성향에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청년층직업지도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청년층직업지도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능력에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성향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와 준비를 하고 진로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청년층직업지도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다면 자신의 취업적성과 방향 그리고 직업의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또한, 참가자들을 학년별로 차별화 하고 요구와 수준에 맞는 운영이 필요하며 지도자의 체계적인 진로 및 취업교육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대학에서는 진로 및 직업지도 차원에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확대시키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nation, the employment market is most rapidly changing due to a number of internal and external uncertaintie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on the verge of finding their job,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already becoming struggle for employment. But they are just fully striving to win the struggle without a right understanding of occupation itself. This rather heightens barriers to employment and makes job choosing more difficult.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mentum career maturation and better decision-making related to career, ultimately making individual college students find a job that can comply with their character and competen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turate college students' career consciousness by making those students learn and improve skills necessary for career exploration, career understanding, career maturation and employment and th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Assistance Program for the Youth on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related to career.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yed 80 Inje Univ. studen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Career Guidance Program for the Youth. Thos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consisting of 40 members.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Central Employment Information Institute.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pre- and post-tested, but the latter group didn't be treated in any way during the experiment with the program. Data obtained here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0.0K for Window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Assistance program didn't influence such sub-areas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as career decisiveness, career involvement, career independence and career compromise, but improved another sub-area, that is, career disposition. Second, Career Assistance Program for the Youth didn't have no effect on the style of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Third, Career Assistance Program for the Youth improved skills of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ositive application of Career Assistance Program for the Youth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determining career aptitude and career orientation and choosing a job because it could help make clear career disposition, prior understand and prepare for career decision and improve the ability of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The program needs to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participants' different grades, needs and levels. To maximize effects of the program through instructors' systematic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t is required for colleges to make the program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guidance and then apply it in systematic, continuous ways.

      • 한문성경과의 관계에서 본 일본어성서 『메이지역』(1887)과 한글성서 : 시편 23편을 중심으로

        김남구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한국과 중국과 일본의 성서는 그 한자문화권이라는 언어적 특성이나 선교역사에 의해 그 용어나 표현을 공유하였다. 그러한 사실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지만, 구체적인 양상은 의외로 논의가 부족하다 할 수 있다. 본고는 19세기 성서를 중심으로 한·중·일 삼국의 성서, 특히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초기 개신교 성서들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현대 각국의 교회에서 쓰이는 성서들의 번역도 함께 보며 각국이 공유한 용어나 표현 등이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도 함께 읽어보았다. 가장 중심으로 다룬 성서는 일본 최초의 완역성서인 『메이지역』(1887)이다. 『메이지역』은 한문성경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을 뿐 아니라, 일본의 이 후 성서들에도, 한국의 신앙용어나 성서 번역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받는 성서이기 때문이다. 즉 그 위치가 중간에 있어, 여러 성서들의 관계를 파악하기에 좋은 성서인 것이다. 중국의 성경은 『대표본』과 『브리지만-컬벗슨역』, 쉐레쉐브스키의 두 성서 『북경관화역』과 『시(施)주교역』이다. 한글성서는 『구역』과 『개역』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이 외에 현대에 사용되고 있는 일본의 『구어역』, 『신공동역』, 중국의 『화합본』, 『신역』, 한국의 『개역개정』, 『새번역』을 함께 다루었다. 본문은 시편 23편을 선택하였다. 한문체를 고급문체라 여기고, 히라가나가 섞인 통속적인 문체를 차별하던 시대에 번역된 『메이지역』(1887)은 그 시대의 영향으로 한자의 쓰임과 후리가나가 동떨어져 있는 “아속절충체”라는 독특한 문체로 번역되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본고의 짧은 본문에서도 많은 부분 그러한 예시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여기에 쓰인 한자들이 한문 성서의 것을 공유했을 가능성도 밝혔다. 이것은 서양선교사와 일본인 신도들 간의 문화적 교류의 결과인 것이다. 나아가, 2절의 “ともなふ”와 5절의 “筵”이 『북경관화역』(1875)을 참고했을 가능성도 제시했다. 또한 『메이지역』(1887)을 이 후 한글성서와 중국의 성서가 공유하였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도 제시하였다. 3절의 “靈魂”이 대표적이다. 특히 『시(施)주교역』(1902)에 “設”(5절)이 추가된 것에서 『메이지역』(1887)의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메이지역』(1887)과 『시(施)주교역』(1902)과의 번역상의 관계 연구는 이 후 더욱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서로 용어와 표현이 공유되는 가운데서도 각국의 언어적 특성에 따라 독특한 번역이 보이기도 했다. 『메이지역』(1887)의 “うた”나 4절의 “笞(しもと)”, 한글 성서의 하나님을 대상으로 하는 2인칭 대명사 “주” 등이 있다. 중국과 일본의 성서는 하나님을 대상으로 할 때에도 “당신”이라는 의미의 대명사를 사용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기독교가 사회 속에서 정착되면서 의미폭이 넓어진 낱말이 동시에 성서 속에서도 그 자리를 넓혀갔을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화합본』(1919)의 “慈愛”와 『구어역』(1955)의 “いつくしみ”(자애로움)이 그것이다. 성서들 간의 용어와 표현의 공유는 그 방향이 매우 복잡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공유된 것은 교회 안에서 정착되고, 각국의 신앙생활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그 안에서 각각 자신들만의 고유한 번역들도 발견되었다. 이것은 성서의 번역을 매개로 한 문화 교류의 복잡성이기도 할 것이다.

      • AHP모델을 통한 주택 IT융합기술의 기술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김남구 國民大學敎 비즈니스IT專門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국내 건설ㆍIT융합은 대부분 아파트 등의 건축물 등에 IT기술의 필요에 따라 물리적인 결합 형태로 이뤄지고 있다. 고부가가치 영역인 기획, 설계 단계에서 고객의 수요를 반영한 건설ㆍIT융합모델개발 및 발전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건설업체의 낮은 참여도와 투자기피로 인한 건설ㆍIT융합 환경의 취약하다. 건설은 대규모 자본과 인력이 장기간 투입되어 새로운 기술 및 변화를 적용하기 어려운 보수적인 산업이다. 따라서 IT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에 맞춰 변화하기 어렵고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 하더라도 건물이 이용될 시점에는 이미 이전 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신기술이 나와 건설업체가 적극적으로 IT기술을 도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전통산업에 IT가 융합되면서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택에 적용하고 접목시키려고 하고 있는 IT기술들은 점진적으로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융합 IT기술이 주택에 미치는 파급효과나 주택 IT융합기술의 가치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안에 대한 다면적 평가기준을 통한 의사결정지원 방식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특징과 분석 방법을 통해서 주택IT 융합기술의 기술 가치를 건설업 사업자 입장에서 IT융합 기술 분야 선정시의 우선순위 평가모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첨단보안은 주택IT 융합기술의 기술 가치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며 대체적으로 안전을 추구하려는 경향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첨단보안의 출입통제 경우에는 기술 융합적 성격이 강한 특징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 부동산 전문분야 설문지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우선 순위와 유사한 패턴의 결과를 보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조사 대상 사례의 선정과 분석 항목의 선정 등 연구 상의 미흡한 점이 있으나 주택IT 융합기술의 기술 가치에 대한 연구가 현재 미진한 점을 감안할 때 관련 연구를 위한 시작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oday, most constructions including commercial buildings and apartments in Korea adopt information technologies (IT). Consequently, the fusion of construction and IT is getting attention. However, in reality, the fusion of construction and IT is not enough to meet the customers’ needs. This is due to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low involvement and deficient financial support. Considering the limited resources o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for implementing IT, it is very important to prioritize IT alternatives for constructions. Nonetheless, only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this research topic. Under this background, our study tries to prioritize IT-based convergence technologies for housing construction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the results, fusion IT on ‘securitie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T area. Especially, ‘gate keeping’ in security area was evaluated as the most valuable technology for housing construction. These results are generally aligned to the results from other survey analyses. Though our study has some limitations, it is expected to lead to efficient and effective investment in adopting IT for housing construction.

      • 문화예술 정체성확립과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 -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

        김남구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논문요약 문화예술 정체성확립과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 문화는 예전에 비해 정치, 경제, 사회 분야와 맞물려 국가와 민족의 운명과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예술은 이 시대의 주요한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가 주도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한 문화예술교육은 국민 모두의 문화수준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문화예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예술교육은 국민 모두가 제대로 된 문화를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생활현장에서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의식을 보급시킬 수 있는 각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문화의식을 보급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가장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당위성을 세계화의 흐름을 바탕으로 논증(論證)하고, 외국의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세계화에 대한 두 가지 논의와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이 왜 필요한가를 실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피력(披瀝)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공교육에 기반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단계별 수업’, ‘자유로운 대화와 토론에 바탕을 둔 소그룹 활동’, ‘교과과정의 예술적 구성과 통합교육’을 통해 예술과목뿐만 아니라 정규교과목의 학습능률을 향상시키는 훌륭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었다. 연구자는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다음과 같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3가지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자율과 창의가 살아 숨 쉬는 교육. 둘째, 현장성과 일상성에 근거한 교육. 셋째, 통합수업을 통한 비빕밥식 교육이 되어야 한다. 세계화를 지향하는 많은 나라들이 각종 무역협정을 통해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꾀하고 있다. 문화예술영역 또한 이러한 개방의 물결 속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선진국의 강력한 자본력에 지배되고 있는 문화 권력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을 숙고할 수 있었다는 점은 이 연구의 또 다른 의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실제 학교현장에서 구현되기에 많은 한계와 문제점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가 제시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이 향후, 학교현장에서 수정․보완되어 문화예술교육의 실증적(實證的) 방안(方案)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문화예술교육 , 정체성 , 학교 , 세계화 , 문화권력 .

      • 어업용 씨앵커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김남구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Fishery sea anchor is widely used for offshore jigging vessel, large powered purse seiner, distant water jigging vessel and fishing boat. However, standardization of the dimension, material and terms of the fishery sea anchor has not been achieved, which reduces the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fishery sea ancho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tandard draft for the improvement of safety and field utilization of fishery sea anchor and the standard of product performance.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use of the fishery sea anchor and performed a performance test on the canopy cloth of the sea anchor based on research on the realities of use. As a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reality of usage show that various terms were used for each part of the fishery sea anchor (including incorrect forms of non-standard words derived from Japanese), and the production of this product in the fishery sea anchor market was concentrated on one specific manufacturer. In addition, the main specifications of the fishery sea anchor are set and manufactured based on conventional experience without standards. And in the field, there was no standardized drawing for fishery sea anchor, and users had low awareness of the main specifications of fishery sea ancho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regarding the fishery sea anchor: standard terms for each part including Korean and English names, the length of the base of one width of canopy cloth, standard for the size of cloth width and shroud line length of sea anchor of 9.77 ton class and 29ton class fishing vessel, standard drawing of sea anchor. This study conducted seven performance tests after collecting the nylon fabric, the seam of the nylon fabric, and the yarn used by the manufacturer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 in order to propose a standard of performance criteria for canopy cloth that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sea anchor. Based on the test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minimum tensile strength of canopy cloth under wet conditions: warp of 860N, Weft of 430N. And the minimum seam strength of canopy cloth seam is 900N as performance standar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fishery sea anchor, which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and increase in reliability, and also will lead to increased interest in standardization in the fishery field.

      • 제트팬에 의한 4차선 대단면 터널 환기효과 분석

        김남구 漢陽大學校 産業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터널 환기시스템은 터널이라는 폐쇄공간에 있어서 운전자 및 승객에게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오염물질을 제거, 터널내 공기환경을 조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터널내 환기를 위한 소요환기량 계산과 이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설계는 각국의 지형, 기후, 차량(차량혼입율, 매연배출량)의 특성 등에 의해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장시간에 걸쳐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터널내 기류의 분포나 흐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일부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실정이며, 국내의 경우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비한 실정으로 일본, 유럽 등의 자료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터널내 기류의 정확한 분포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외곽순환 고속도로 S 터널을 대상 모델로 한 현장 실측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설계 및 시뮬레이션에서 산정한 값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3가지 방법에서 거의 유사한 값 - 터널내 벽면에서 생기는 마찰손실에 의한 풍속의 감소- 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제트팬을 1대 가동한 경우의 기류속도 분포 결과, 제트팬 설치 간격인 180m 이상에서도 기류속도가 2.0 m/s 이상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제트팬 2대를 운전할 경우 제트팬을 직렬로 운전한 경우보다, 병렬로 운전한 경우가 환기효과가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나, 교통량의 증가에 따른 제트팬 운전대수 조절시, 병렬 운전을 우선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제트팬 4대를 가동한 경우(터널내 화재 발생등의 특수한 경우), 터널내의 풍속 분포는 대체로 설계 기류속도인 2.0 m/s를 초과하는 4.0 m/s의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터널내에 정차한 자동차가 없기 때문에, 터널 마찰계수의 감소와 함께, 화연의 발생이 없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반복된 측정과 다양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변수를 최소화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설계기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