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체육 소비자 분석을 통해 살펴본 생활체육 전망에 관한 질적연구

        김나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소비자와 생활체육은 상호 어떤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해왔으며, 소비자 중심의 분석을 통해 향후 생활체육이 소비자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지 전망하여, 생활체육 지도자들에 그 의미와 시사점을 공유하여 생활체육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생활체육은 시대와 환경의 변화, 그리고 참여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 변화해오고 있다. 생활체육은 일반인들이 직접 생활체육 활동에 참여하고, 영위한다는 점에서 타 체육활동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일반인들을 생활체육 소비자로 명명하였다. 이런 생활체육 소비자들의 활동모습은 시대가 바뀌고, 사회적 환경이 바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 변화의 모습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생활체육의 발전 방향성을 전망하고, 체육 지도자들에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다. 따라서 소비자의 변화 모습과 생활체육 전망을 위한 본 논문의 핵심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와 생활체육은 상호 영향을 끼치며 변화하는가? 둘째, 소비자에 비추어 볼 때, 생활체육은 향후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게 될 것인가? 의 두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각종 문헌 연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국민 생활체육 실태 조사, 각종 연구 기관의 트렌드 자료를 활용한 생활체육 발전 현황 분석이다. 2008년, 2014년, 2018년의 생활체육 현황 분석을 통해 데이터 바탕의 생활체육 변화 모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종 연구 기관의 소비 트렌드 분석을 통해 생활체육 변화 모습과의 관계를 찾고자 했다. 둘째, 스포츠 전문가, 생활체육 지도자, 생활체육 소비자 9명 대상의 심층 면담이다. 국내 1위 피트니스 업체와 다이어트 식품사, 피트니스 용품, 피트니스 중계 서비스 등에 투자 검토 및 투자를 하고, 피트니스 사업개발에 참여한 관련 전문가, 생활체육을 4년 이상 지도하며 생활체육 현장의 목소리를 들려줄 다양한 종목의 지도자, 생활체육을 적어도 5년이상 참여하며 직접 체감하는 생활체육의 변화 모습과 트렌드에 대해 말해줄 소비자로 면담 참여자들은 구성되어 있다. 이들을 통해 생활체육과 소비자간의 관계를 연구해보고 그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와 생활체육은 상호 영향을 끼치며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과거와 현재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는 소비자를 둘러싼 개인, 사회·정책, 기술적 요소 모두에서 복합적인 영향을 받으며 생활체육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늘 날의 생활체육 소비자는 자기자신에 더 집중하며, 과거보다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지불하고, 불특정 다수와 직간접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는 환경 속에서 생활체육을 소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변화는 기술적 요소와 사회/정책적 요소가 개인적 요소의 확산을 가속화하며 발생한다. 즉 스마트폰의 대중화, 각종 SNS의 발전으로 다양한 생활체육 정보 제공자들이 고급 정보들을 직접 공유하며, 생활체육 지도자와 생활체육 소비자가 정보의 대칭성을 높여가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생활체육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고 있다. 둘째, 향후 생활체육은 소비자와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기술적인 요소로서 소비자들이 정보를 만들고 접근 할 수 있는 환경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사회적인 요소에서 소비자들이 생활체육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위상도 과거보다 점진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생활체육에 과거보다 더 큰 영향력을 끼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를 통해 전망한 생활체육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1) 생활체육의 산업화, 기존의 영세했던 생활체육 시설들이 대형화, 기업화 하려는 움직임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생활체육의 산업화를 이끌 수 있는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2) 새로운 형태의 소비자 출현과 새로운 생활체육 시장의 형성, 지도자와 소비자간 정보의 대칭성이 강화됨에 따라 스스로 학습하고 생활체육을 즐기는 소비자의 형태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과 관련된 소비 시장이 생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전반적인 생활체육 수준의 향상, 다양한 고급 콘텐츠의 범랑에 따라 지도자들 스스로도 지도 수준을 높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소비자들은 고급 콘텐츠를 소비하며 자연스레 생활체육을 바라보는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을 생활체육의 수준을 높이는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4) 비인기 종목의 인기 종목화 혹은 특정 운동의 전국적 유행 가능성이다.유행하는 정보가 빠르게 전국 단위로 공유될 수 있는 여건이 확충됨에 따라, 비인기 종목 혹은 특정 운동 방식이 빠른 시간내 유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와 생활체육간의 관계 그리고 오늘의 생활체육의 변화 모습에 대한 의미를 해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ing to examine how consumers and sports for all have interacted with each other, to forecast how consumers’ change will lead the development of sports for all based on consumer-oriented analysis and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sports for all by sharing insight to coaches of sports for all. The core study problems for a perspective of consumers’ change and sport for all have been decided two problems as below. First, Do consumers and sport for all interact and change? Second, how would sport for all develop? This study proceeds by various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First was a research of sport for all in Korea and was an analysis on development of sport for all. Second was an in-depth interview targeting 9 interviewees who were sport specialist, coaches and consumers of sport for al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and sport for all interacted and developed each other. The consumers influenced the change of sport for all by complex influence from personal, social, technical elements surrounding consumers. For example, nowadays consumers focused themselves more, spent more time and money, got more information with unspecified individuals directly or indirectly. And consumers consumed more sports for all with these surroundings. Second, it is expected that future sport for all might develop by interaction with consumers. On condition that the environment that consumers create and access information is expended as technical element and the condition that consumers could do sport for all as social political element is set, it is expected that consumers’ status would be increasing gradually comparing with the past and have bigger effect on sport for all more.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sport for all would be changed into four transformations as follows. (1) there is a movement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sport for all and enlarge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existing small facilities of sport for all, and it could be an agent for leading the industrialization of sport for all. (2) it is expected that a form of consumer who learns by itself and enjoys sport for all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e of new consumer type, new market creation of sport for all, and information symmetry enhancement between coaches and consumers. (3) rapid increase of the high quality sports contents would lead the level of sport for all. Coaches might face with the situation to increase their level of teaching by themselves and consumers could consume the contents and it would increase the level naturally (4)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unpopular sports could become popular sports or certain sports could be popular nationally because the trend can extend rapidly in a short time. This study could offer an opportunity to interpret a relation between consumers and sport for all, and the meaning of sport for all’s transformation in these days.

      •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나해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요약 현대사회는 정보와 지식이 중심이 되고 있는 ‘지식기반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경쟁을 갖추기 위해서는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보편적인 선택으로 되고 있다. 이에 맞춰 대학도 변화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으며, 대학은 대학생들에게 인생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과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그 중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만족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는 교수와의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교수는 교내, 외에서 학생에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졌을 때 대학생활만족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주요 대상으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만족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도 규명하고자 했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계하여 2023년 2월 26일부터 10월 20일까지 국내 전문 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프로그램 SPSS 2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원활할수록 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대학생활만족도 수준도 증가한다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교에서는 교수가 학생에게 더욱 관심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소통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요구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주요어 :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

      • Changes in attitudes and beliefs among EFL high school students in level-based English classes

        김나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Differentiated approach is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characteriz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English education. In most of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level-based placement of English classes is implemented to put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nto practi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EFL learners’ attitudes and beliefs under the level-based placement of English classes. Additionally, analyses on the data from focus groups who experienced level movemen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level-up and level-down groups. The participants were 259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10th grade.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s’ affective factors, three successive surveys with the items on attitudes and beliefs were administered. By the factor analyses, new five affective dimensions were created and the changes of learners’ dimensions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among data from three surveys. Further investigations were implemented on the focus groups including level-up and level-down groups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s of affective dimensions among focus groups.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emerged from this study. First, learners were encouraged to develop their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while successive level-based class groupings were implemented whereas their attitudes toward School English education changed in a negative way. Second, learners’ self-efficacy among the dimensions related to beliefs became constantly stronger, which implies that learners would put more efforts in their future study. Third, it was revealed that focus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hanges of attitudes and beliefs. While level-up groups developed their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and school English education, level-down groups didn’t show positive changes in both attitudes. In terms of self-efficacy, both groups strengthened their self-efficacy, but the extent of changes was bigger for the level-up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ssues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learners’ affective factors in English education. It also provide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concern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influences on learners’ affective factors.

      • 쾌속광조형기를 이용한 릴리프 조형품의 정밀 형상 연구

        김나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RP(rapid prototyping)는 3D 입체조형물을 빨리 만들 수 있다는 장점으로 고차원 디지털 사진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부조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 RP는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Poly Jet(photopolymer jetting technology), DLP(digital light processing), DLP+sheet(DLP+조형 시트 사용 방식)로 나뉘는데, 이중 DLP 방식이 가장 정밀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DLP+sheet (DLP+조형 시트 사용 방식)장비인 국내 ㈜캐리마에서 개발된 쾌속조형기 Mater+Plus845™를 이용하여 3차원 부조제품의 비클을 제안하고, 메쉬(mesh)와 슬라이싱(slicing)의 조건에 따라서 각 요소별 정밀도를 광학현미경으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3차원 부조 제품의 여러 가지 형태요소를 테스트할 릴리프(부조) 제품의 정밀성을 실험하는 비클에는 일반적인 조형의 요소인 점, 선, 텍스트, 이미지 조형 요소를 탑재하였다. 비클은 모두 4개의 구역 (I)∼(IV)로 나누어 (I)과(II)구역은 점, 선 부조 조형 요소를 배치하였고, (III)과 (IV)구역에는 텍스트와 실제 인물요소, 자연물인 무궁화와 과일, 기하학적인 문양들을 제안하고 이중 텍스트 ‘울’과 문양 ‘보이스카우트’ 의 일부 요소의 정밀도를 확인하였다. 비클을 구현하는데 메쉬를 0.1, 0.5, 1.0으로 변화시키며 각 메쉬에 대한 슬라이싱을 0.0125, 0.0250, 0.0375, 0.0500, 0.0625, 0.0750, 0.0875mm로 변화시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 중 슬라이싱 0.0125, 0.0375, 0.0625mm에 해당하는 비클 결과물을 자세히 비교 분석해 보았다. 먼저, 가장 정밀하게 구현이 가능한 조건인 메쉬 0.1, 슬라이싱 0.0125에 대해서 다양한 조형요소의 정밀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각점, 변형사각점, 원형점, 튜브점, ㄱ자형, 꺾임선형을 대상으로 RP구현 정밀도를 확인하였다. 이때 각 조형요소별 높이 3mm에 대해 0.2×0.2, 0.5×0.5, 0.8×0.8, 1.0×1.0, 1.5×1.5 패턴으로 치수변화를 확인하고, ㄱ자형과 꺾임선형도 동일 높이와 치수 패턴에 대해 선폭의 두께를 0.07, 0.17, 0.27, 0.33, 0.5mm에 대해 확인하였다. ‘울’과 ‘보이스카우트’의 경우 울에서 측정하려는 모음 ‘ㅜ’의 선폭은 0.47mm, 보이스카우트의 선폭은 0.51mm로 설정하였고, 각 조건에서 조형높이가 1, 2, 3mm로 달라질 때의 각 선폭의 변화 치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 요소에 대해 메쉬와 슬라이싱 조건을 달리하여 아래 각 요소의 정밀도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메쉬 0.1, 슬라이싱을 0.0125인 경우의 각 조형 요소별 정밀도 결과에서 사각점과 변형사각점 요소는 0.2×0.2 패턴의 경우 RP 조형부가 생성되지 않았고, 0.5×0.5 크기에서는 목표치대비 출력 비율이 –54%, 0.8×0.8 크기에서는 –22.5%, 1.0×1.0 크기에서는 –20%, 1.5×1.5 에서는 –15.3%이었다. 변형사각점도 이와 유사하게 순서대로 –44%, -27.5%, -19%, -8.7%로 확인되었다. 원형점과 튜브요소의 경우 원형점 0.2×0.2에서는 조형물이 생성되지 않았고, 목표치 대비 출력 비율을 살펴보면 -50% ∼–14.7% 이었다. 튜브형은 0.2×0.2, 0.5×0.5 크기에선 출력물이 생성되지 않았고 0.8×0.8 크기이상에서 –40%∼–13.3% 였다. ㄱ자형, 변형ㄱ자, 예각, 변형예각의 경우에는 1.0×1.0 크기 이상만 조형물이 생성되었다. 이들의 목표치대비 출력 비율을 살펴보면 평균적으로–47%, ∼-10%였다. 둔각과 변형둔각(120°)의 경우에는 1.5×1.5 크기에서만 조형물이 생성되며, 이때의 목표치 대비 출력 비율을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87%였다. 즉, 실험한 모든 조형 요소에서 패턴 크기가 작아질수록 목표치 대비 오차비율이 –50%까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제 제작 시 이러한 오차의 고려가 필요하였다. 한편 0.8×0.8 패턴 조건일 때 ‘울’, ‘보이스카우트 문양’의 경우에서 메쉬와 슬라이싱 조건을 달리하며 이때의 목표치와 실제출력물의 오차의 변화확인 결과는, 슬라이싱을 고정하고 메쉬를 변화시키면 각 조형 요소별 오차 값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RP 조형물의 생성에 메쉬가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슬라이싱 값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메쉬를 고정하고 슬라이싱 값을 변화시킨 결과, 슬라이싱 값이 작아질수록 오차가 작아지고 목표치에 가까운 출력물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메쉬 변화에 따라 정밀도가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슬라이싱 값에 영향을 받으므로 데이터 작성 시 메쉬를 높여 작업속도를 빠르게 하고 슬라이싱 값을 0.0125로 설정하여 목표치 대비 출력물 비율을 높게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서 메쉬에 상관없이 슬라이싱 값이 작아질수록 정밀하게 나오므로 메쉬 설정은 1.0으로 지정하여 제품의 생산속도를 높이는 것이 유리하였다. 그리고 둔각과 변형 둔각을 제외한 모든 조형 요소에서 패턴 크기가 작아지면 목표치 대비 오차비율이 –50%까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공정 시 이러한 오차의 고려가 필요하였다. 결국 이러한 고려를 통하여 상황에 맞는 결과물의 정밀성이 높으면서도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제안된 2D 디지털 사진 이미지로부터 효과적으로 부조제품을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Rapid prototyping (RP) became important for fast integrating 3-D relief products from 2-D digital picture image. RP can be classified into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Poly Jet(photopolymer jetting technology), DLP(digital light processing) and DLP+sheet, and DLP-group has been reported for compatibility for high precision capability. We employed DLP+Sheet RP, Master+Plus845™ (Carima Co.) to fabricate the relief vehicle containing text element groups to evaluate degree of precision for reliefs from 2D images, and examined the precision with mesh and slicing values. The proposed vehicle contains elements of dots, lines, texts, and image modules of sections of (I)∼(IV). Section (I) and (II) offer dot and line elements, (III) and (IV) contain texts and images of symbols ‘울’ and ‘boy scouts’, respectively. We varied the RP conditions of meshing and slicing, 0.1, 0.5, 1.0, and 0.0125, 0.0250, 0.0375, 0.0500, 0.0625, 0.0750, 0.0850mm, then checked the dimensional errors with an optical microscopy. Especially, for slicing condition, we focused on the result of 0.0125, 0.0375, and 0.0625mm. Firstly, we examined the dimensioned variation at the condition of meshing of 0.1, slicing of 0.0125mm, the most precise condition expected, of the elements of the square/ modified square, circle/ tube, ‘ㄱ’/ bend line in (I) and (II) regime. We fixed the patterns of height of 3mm, width of 0.2×0.2, 0.5×0.5, 0.8×0.8, 1.0×1.0, and 1.5×1.5. For the ‘울’ and ‘boy scouts’ in (III) and (IV), we fixed the line width of 0.47 and 0.51mm, then we checked the dimensional errors by varying the heights of 1, 2 and 3mm. Secondly, we measured the dimensional difference by varying the meshing and slicing on the proposed text element group. As a result of 0.1∼0.0125 condition, RP patterns formed above 0.5×0.5, the errors lessened –54%, -22.5%, -20%, -15.2% in square patterns, while –44%, -27.5%, -19%, -8.7%, in modified square patterns. For the circle patterns, they showed similar trends with –50∼-14.7%, while for tube patterns with –40∼-13.3%, for the patterns above 0.8×0.8n size. For ‘ㄱ’ patterns, the dimensioned errors range was –47∼-10%, for the patterns above 1.0×1.0 size, while for obtuse angle patterns showed the error of –87%. We concluded that the dimensioned errors in RP increased up to –50%, as line width decreased, and those dimensional shrinkage should be considered in real pattern design, For the ‘울’ and ‘boy scouts’ symbols, we confirmed that meshing did nat affect the precision degree, while the slicing did affect the precision degree linearly. These results implied that we can lessen the design work time by reducing the meshing into 1, and middle value of slicing around 0.0125 with feasible precision degree. As summary, we concluded that successful 3D RP reliefs would be realized by considering dimensional errors with the patterns shape, greatest meshing value setting, and appropriate slicing setting.

      • 중국 장쑤성에 대한 FDI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김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the speed of the international capital is faster and faster and the scale of the international capital is more and more larger. But there is something wrong with harmony between regional economy. Since 1993, China has been the developing country that attracted the most foreign investment, and during this process, Jiangsu Province became one of the earliest provinces cited foreign investment. In China, Jiangsu Province is a relatively developed economy area and it is the first coastland that expand extroversion economy. To some extent, Jiangsu Province has been leadi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economy. Foreign investment not only provides the capital needed for economic development, but also provides the advanced technology and equipment , business strategy, etc. In 1981,the first foreign-invested enterprises in Jiangsu Province, named The Sino Foreign Joint Venture Limited Company of JiangHai Wood, was established in Wuxi city, which ushered more than 30 years of foreign reference road for Jiangsu Province, and got great success. Jiangsu Province is located in China's eastern coastal areas, because of its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 Multinational companies, especially those who aim at the domestic market prefer to choose Jiangsu Province that is close to Chinese market to invest. Furthermore, with abundant resources, cheap labor and preferential policies, and some other factors. Thus, Jiangsu Province was the best choice for Multinational companies. But such foreign investment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in Jiangsu Province, it only takes Nanjing, Suzhou, Wuxi, Zhenjiang, Changzhou as the center, just distributes in the southern area of Jiangsu Province. On the contrary, the central area of Jiangsu Province that takes center of Yangzhou, Taizhou, Nantong. Lianyungang, Yancheng, Huaian, Suqian as the center of the northern Jiangsu area, in these areas, foreign investment is little. In 1996 , the GDP of the southern area of Jiangsu Province was 39.81% of whole Jiangsu Province, in the meanwhile, it was 1.05 times of the central area of Jiangsu Province and 1.66 times of the northern Jiangsu Province. So this thesis is based on date between 1996 to 2013 to analyze the impact of foreign investment in Jiangsu Province on the regional economy.

      • 중국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金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Since China implemented its economic reform policy in 1978, the Chinese economy has grown rapidly and consistently.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GDP since 1978 amounts to an astonishing 8% level. An automobile industry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Chinese economy. The annual production of automobiles in China has reached 8.8 millions in 2007, which makes China the third largest automobile manufacturing country in the world, only behind the U.S. and Japan.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is projected to maintain a sustainable growth level. Backed by an enormous population of 1.4 billon in China and its purchasing powers, domestic demands for automobile industry will continue to increase, which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n automobile industry. To assess the long-term prospect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we need to measure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We need to compare the technical competitiveness of the Chinese with that of the rival countries, such as Japan and Korea. We also need to set up the long-term strategy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With this objective in mind, we first reviewed the history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Then we examined the Chinese market in details, especially focusing on the production and sales level of the Chinese companies and of the foreign companies. Next, we used various measures of competitiveness and examined the level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proposals have been made to enhance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중국의 경제는 1978년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한 이후 최근까지 연평균 8% 이상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빠른 속도로 중국 경제가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자동차산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외형적인 성장을 보더라도 중국은 2007년에 약 880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함으로써 국가별 자동차 생산량의 순위가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 제 3위로 도약하였다.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최근 들어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경제의 성장과 함께 14억 인구의 소득과 구매력이 꾸준히 증가할 수 있다면 자동차 내수시장이 생산과 비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향후 중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장기적 발전 가능성을 전망하고자 할 때 현재 중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세계 주요 자동차산업의 선진국들과 비교할 때 중국 자동차 산업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한 후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취할 수 있는 전략방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중국 자동차산업의 발전과정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 자동차업체의 생산과 판매 등 시장 현황과 함께 중국시장에 진출한 해외 자동차 업체의 현황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국제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중국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중국 자동차 산업에 내재된 각종 문제점들과 함께 중국 자동차 업체들의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 조명색이 육계의 에너지소비량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육계가 조명의 명암조건과 색조건에 따른 육계의 에너지소비량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 1은 8주령 ROSS품종 육용계 8두를 공시하여 일주일 이상 실험환경에 적응 시켜 호흡 chamber (Length: 28.5 cm, Height: 38.5 cm, Width: 44.0 cm)에서 각 개체별로 2시간 동안 명조건에, 2시간 동안 암조건에 6번씩 노출시켰다. 실험 2는 같은 8주령 ROSS품종 육용계 8두를 2시간씩 240 lux의 색조명(백색, 적색; 618 ∼ 635 nm, 녹색; 515 ∼ 530 nm, 청색; 450 ∼ 470 nm)에 조명색별로 3번씩 무작위로 노출시켰다. 실험 1에서 에너지소비량은 각 행동을 취할 때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모두 명조건에서 암조건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행동은 명조건에서 standing과 pecking의 행동량이 암조건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p<0.05) standing 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esting행동량은 암조건에서 명조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실험 2에서는 육계는 조명 색에 따라 에너지소비량과 행동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녹색에서 비교적 높은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내었고, 백색과 청색에서는 비교적 낮은 에너지소비량을 나타내었지만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행동관찰에서 육계는 적색의 조명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비교적 낮은 비율의 pecking행동을 보였지만 이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육계는 조명의 유무에 영향을 많이 받지만 빛의 파장에 대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밝혀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ght or dark conditions and lighting colors on energy expenditure and behavior of broiler chickens. In experiment 1, eight 8-week-old ROSS broiler chickens were adapted in a respiration chamber (Length: 28.5 cm, Height: 38.5 cm, Width: 44.0 cm) for 1 week, and each chicken was exposed to a 2 hours light (240 lux) or a 2 hours dark (0 lux) conditions with 6 times per day during 4 days. In experiment 2, the same eight 8-week-old ROSS broiler chickens were exposed for 2 hours to random four different LED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conditions (240 lux); white, red (618 to 635 nm), green (515 to 530 nm) or blue (450 to 470 nm) LED lights with 3 times each colors during 3 days. Oxygen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of chickens were recorded through an open-circuit calorimeter system and energy expenditure was calculated. Behavior of chickens was analyzed as resting, standing pecking through 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recording. In experiment 1, energy expenditure of chicken was higher during light period than dark period in all postures (resting, standing, pecking)(p<0.001). Appearance rate of pecking was higher (p<0.05) during light period than dark period. And resting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dark period (p<0.05). In experiment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lighting conditions on energy expenditure and behavior (white, red, green and blue). In conclusion, energy expenditure and behavior of broiler chickens were affected by light and dark conditions significantly, but were not affected by lighting colors.

      •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 강릉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나 가톨릭관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23

        국문초록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 강릉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취약계층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초점을 맞춰 이의 영향요인(보효요인 중심)을 생태체계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개인특성, 가정환경특성, 학교특성, 지역아동센터특성 보호요인으로 구분하고, 이 보호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초점을 맞춰 이에 긍정적으로 강화시키는 보호요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적응유연성의 증진을 위한 실효성 높은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취약계층 청소년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원만한 학교생활을 영위하고 본인의 미래에 대한 계획을 펼쳐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가능한 115명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최종 97명으로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대한 기술적 분석 및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개인특성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가족특성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특성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지역아동센터특성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항을 미치는 개인특성, 가족특성, 학교특성, 지역아동센터 특성 보호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즉 어느 특성요인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기초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특성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으로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을 통해 학교특성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적응유연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는 개인특성변수로는 책임감, 학교특성변수로는 대인관계와 학교분위기가 의미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넷째, 종속변수(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보호요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한 결과 학교적응유연성에 가장 의미 있는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개인특성변수로서 책임감이었고, 다음으로 학교특성변수로서 학교분위기,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지향적인 관점으로 취약계층 청소년을 바라보고 개입에 있어서 보호요인을 강화하는 것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개인특성요인인 책임감을 강화시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개입이 우선되어야 한다. 책임감이 학교적응유연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때, 위 개념을 응용한 프로그램의 개발 또는 기존 프로그램에 접목시키는 노력들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특성 보호요인 중 학교분위기와 대인관계가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학교분위기가 취약계층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주적 학교분위기가 학교의 전반적인 안정감과 교사와 학생간의 우호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입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교육이나 세미나 등을 통해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을 해소하고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있어 교사의 역할을 부각시킴으로서 학교 안에서 민주적 분위기 형성 및 학생들에 대한 지지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또래 간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위해 학교 내 다양한 집단상담 및 학교폭력예방 교육과 같은 프로그램 등을 통해 또래지지를 높일 수 있다. 넷째, 지역아동센터에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고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상대적 영향력을 고려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