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D 프린터를 이용한 세라믹 사출 모듈 및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김길만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3D Printer is widely used as a making form in almost industry in current and for future. Especially, 3D Printers can applicate to medical industry. Those reasons are that 3D Printer is possible to customizing of personal purpose and diverse form. So as to use medical device, we made 3D Printer injection module with nano-sized HAp-sol, methylcellulose (MC) and Polyvinyl-alcohol. Modules were made by 3D Printer, and 600 nm-sized HAp-sol was prepared by the attrition milling method. Mixtures were fabricated by controlling MC concentration. And then those mixtures are measured to viscosity and applicability of module. Also, those mixtures were sintered to fabricate pellet type, and measured to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Through this process, Modules can be made for good model to 3D Printing. Those mixtures can be fabricated to moldable to applicate 3D Printer, and had good structure to using biomaterial. Therefore this study will facilitate that that technique uses to surgery.

      • 곡선구간의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좌굴안정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길만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일반적으로 철도 장대레일의 급곡선 구간은 직선 및 일반 곡선구간에 비하여 레일 및 차량 횡압 증가 등으로 인한 궤도 좌굴안정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현행 장대레일에 관한 규정에는 반경 300m 미만의 급곡선 구간에는 장대레일 부설을 금지하고 있으며, 도상횡저항력은 노반구성 조건과 관계없이 500kgf/m 이상을 확보해야해야 한다고 일률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반경 300m 미만 급곡선 구간에서 장대레일 부설에 필요한 좌굴안정성을 장대레일 이론식 및 도상횡저항력과 연계하여 공학적으로 분석하였고 급곡선 구간에 장대레일이 설치된 실제 운행선의 사례를 조사하여 반경 300m 미만 곡선구간의 장대레일 부설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장대레일 이론식을 통한 좌굴안정성 검토결과, 토공구간의 경우 도상횡저항력 600kgf/m 이상, 교량구간의 경우 도상횡저항력 1200kgf/m 이상 확보시 철도 곡선반경 250m 까지 레일 장대화는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반경 300m 미만 급곡선 구간에서도 장대레일의 좌굴안정성이 확보되는 적정 도상횡저항력 만족시 공학적으로 장대레일 부설은 가능하다. 반경 300m 미만 장대레일 부설사례는 서울지하철 4호선 당고개에서 노원구간의 지상 고가구간으로 운행선로는 반경 300m 이하 곡선이 41.1%로 현행 규정상 장대레일 부설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선로 주변 소음 등의 민원에 따라 2000년이후 레일축력 저감을 위한 레일 신축이음매 설치와 도상저항력 증대를 위한 자갈 측벽 및 좌굴방치판 등을 설치하여 전구간 레일을 장대화하여 현재까지 운행하고 있다. 따라서, 공학적 검토와 장대레일 부설사례로 볼 때 반경 300m 미만의 급곡선부 구간에서도 레일축력 저감 및 적정 도상횡저항력 확보시 장대레일 부설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general, the curved track section of Continuous Welded Rail (CWR) is disadvantageous in the Buckling Stability due to increased rail and rolling stock lateral pressure compared to the straight track. Therefore, the current regulations concerning CWR in Korea prohibit the construction of CWR in curved track section with a radius of less than 300m, and the lateral resistance required to be above 500kgf/m. In response, this study was scientifically analyzed for buckling stability required for construction of CWR in curved track with a radius of less than 300m, in conjunction with CWR theoretical and lateral resistance. According to the review of buckling stability through CWR theory, It was analyzed that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up to a radius of 250m when securing lateral resistance of 600kgf/m or higher for the earth work section and 1200kgf/m or higher for the bridge s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WR inductively if the lateral resistance is satisfied even in curved track with a radius of less than 300m. Therefore, considering engineering considerations and the case of CWR construction, it is deemed that the construction of CWR will be possible if reducing the axial force and securing proper lateral resistance even in the courved track of a radius of less than 300m.

      • Ernst Barlach 彫刻作品에 대한 硏究

        김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23

        독일 표현주의 조각가이며 극작가인 에른스트 발라흐(Ernst Barlach, 1870∼1938)는 북구 고딕 전통을 계승하는 목조각가로서도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발라흐의 예술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육중한 인물들의 중압감이 실린 형태에서 잘 나타난다. 이는 북부 독일의 농가의 삶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는 북구 독일의 고딕 목조각에서 큰 영향을 받았고 다른 어떤 표현주의자들 보다 목재를 더 선호하였다. 그는 고통받는 인간들의 운명과 함께 고뇌했고, 오랜 기간 동안의 작품에 대한 고통스러운 투쟁과 실망 그리고 여러 가지 모색 끝에 인간의 근원적인 문제를 그의 예술과 문학에 대한 주제로 삼게 되었다. 발라흐는 시골 의사인 아버지와 정신병을 앓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상상력이 풍부한 어린 시절에 그는 그의 아버지 직업을 통하여 고통받는 환자를 보면서, 인생이란 비극적인 삶의 투쟁이라는 삶에 대한 감각이 일찍 발달되었다. 이러한 삶에 있어서 발라흐의 주의를 끈 것은 현실 뒤에 감추어진 실체에 대한 깊은 관심이었다. 그는 외적 형상 뒤에 감추어진 본질을 찾으려는 끊임없는 열망을 갖게 되었다. 1891∼1894년까지의 드레스덴(Dresden)왕립 예술학교 시절에도 그는 그가 표현하고자 했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졸업 후에도 10여 년의 파리(Paris)와 베를린(Berlin)에 거주하며 그의 작품세계를 찾으려 노력하였으나 찾지 못하고 절망적인 상황에서 방황하였다. 초기의 자연주의적 경향을 보였던 발라흐의 창작 생활은 1906년 8∼9월에 이루어진 러시아 방문을 통해 그의 예술이 발현될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를 맞이하게 된다. 러시아 초원의 무한함과 그곳 민중들의 비참한 생활, 인간성 상실 등을 통하여 인간이 비참해질 수 있는 마지막 한계를 목격한다. 그 후 새로운 삶에 대한 용기를 통하여 다시 한번 자신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었다. 그는 러시아 방문 후 소박한 러시아의 농부들을 그린 수많은 스케치는 그 자신의 조각의 모델이 되었다. 특히 도처에서 웅크리고 있는 수많은 거지들은 발라흐의 인간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그는 이제 충분히 이해한 인간 실존의 이중성을 초월에의 의지를 통하여 비약시키기 시작했다. 그러한 초월에의 의지는 제 1차 세계대전(1914∼1917)을 겪은 후 종교적 초월성으로 귀의하였고, 그 후 많은 종교적 기념비를 제작하게 되었다. 발라흐가 이러한 인간 실존의 연민을 초월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나치즈(Nasiz)가 통치하는 1933년부터 반민족적이라는 이유로 모든 미술관으로부터 추방되었고 그의 작품활동 또한 금지시켰다. 따라서 그의 말년은 비참해졌고 점차 심해지는 나치즈의 압제에 대항하여 고향땅에서 이방인처럼 천대받으며 고독한 작업을 계속하게 되었다. 그의 작품 전체적인 이미지인 "고통받는 인간의 삶"과 같이 그 자신이 고통을 받다가 결국 1938년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발라흐 조각의 양식적 특성은 얼굴, 손과 발을 제외하고 거의 평면에 가까운 단순화된 기법의 인물상이다. 발라흐는 사람의 외관을 단지 가면에 불과할 뿐이며 그 이면의 것을 볼 수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 세부의 묘사가 오히려 본질적인 인간의 모습을 은폐시킬지도 모른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는 실제로 자신이 보았던 것보다는 그가 느끼고 감지하는 것을 조각작품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때때로 발라흐의 인물은 하나의 덩어리로서 보여진다. 즉 20세기 조각이 점차 덩어리와 양감을 부정하는 반면에 발라흐는 철저하게 덩어리와 양감의 특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인간의 삶을 끊임없는 고통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그에게서는 고통이 극복되어져야 할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실존과 결속되어 있다. 발라흐 작품의 인물들은 결코 고통을 기피하거나 초월하려고 하지 않으며 그것을 참고 견디며 수용한다. 그들은 항상 더 나은 삶에 도달하고 더 고양된 자아를 획득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관점은 모든 인간은 신(神)의 형상을 담고 있다는 확신에서 나온다. 그 때문에 모든 인간은 항상 영원한 아버지(神)에게로 귀환하려는 동경을 갖는다는 것이다. 발라흐가 집착한 신(神)과 인간의 관계라는 형이상학적 추구는 그의 동시대 사람들의 의식을 새로운 형이상학적 단계로 끌 어올리고 그들 속에 내면적인 혁명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형이상학적 추구는 1차 세계대전이후 표현주의의 새로운 국면이 되었으리라 여겨진다. 발라흐는 일생의 작품을 통해 심리적 분석을 필요로 하는 문학적 주제인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는 당대를 넘어서는 초시대적인 인간상을 제시함으로서 표현주의 예술의 기반을 훨씬 더 넓혀 주었다. 그의 미적 형식은 당시 조각에 있어 갈피를 잡지 못하던 독일에 새로운 미술형식인 표현주의의 장을 열어 주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감정의 주관적인 표현은 현대조각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Ernst Barlach, the outstanding German sculptor of the Expressionist Movement, concentrated himself to explore the human nature, taking the origin and the whereabouts of human life into the forcus of his investigation. Ernst Barlach, who was a dramatist as well as a sculptor, belong to the first generation of Expressionists. The characteristic of Balach's art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other expressionists is massiveness, which comes from both form and content the heavy figural forms of his sculpture are rooted in North German peasant life. His draftsmanship as a sculptor is more pronounced and more remakable in wood then in any other material. It probably comes from his watching of many wood carving in rural medieval churches since his youth. Therefore the Gothic art of North Germany had a great effect on Barlach's sculpture. He felt much afflicted by destinies of suffering people, and such an afflicted gave rise to his passion of creation. Finally he could complete the beauty of his own form after his long years of struggles and disappointments with works, and various efforts. Born by country-doctor father and mentally-diseased mother, Barlach was naturally sensitive. In his imaginative childhood, he came to realize the dual structure of body and spirit through his father's job as a doctor. And by seeing the spirit through his father's job as a doctor. And by seeing the suffering patient, he felt early that living is the tragic strife of life. It was his deep interest of the truth hidden by the realities that drew his attention at that time. He had unlimited passion to search the nature covered up by external shapes. He could not fulfill the desire of his own expressing in the Dresden Art Academy from 1891 to 1895. For 10 more years in Paris and Berlin after graduation, he tried to find his own expressing only to fail, and used to lose himself in deep despair. Then his wist to Russia for 2 months of Aug. and Sep. in 1906, a really an expected accident, gave him a decisive opportunity to realize his art. After noticing the last limit of human's miserableness through the vastness of Russian prairie, the wretched lives of people there, and their losing humanities, he was able to recover his reliance again by the courage for new life. Without hesitating, he began to formalize the image which had filled the inside of him after returning form there. And, he began to progress the dualism of human existence, which at that time he fully understood, through a volition to rise above. After World War I, such a volition to rise above leaned to the religion and, therefore, many religious monuments were made by him. Barlach's such works about the agony of human existence was expelled from all museums since 1933 the year which Nazistarted the rule of his country. And his activities in Art were also banned. Therefore, his last years came to be miserable but he continued his lone work against the Nazi's gradually increasing pressure being treated contemptuously like aliens. Barlach adopted the simplicity in technique. His sculptural figures are almost flat except for face, hands and feet. Barlach always insisted that the outware appearance of a man be only a mask. Thus he had to look behind it. He wanted to show what he felt and sensed rather than what he actually saw. Sometimes, his figure appears to be a block. It is due to his belief that the depiction of detail might hide the essence of a human being. This is the stylistic feature of Barlach's sculpture . Gradually the 20th century sculpture theded to deny the mass and volume. He looked upon life ad an endless process of suffering. For him, suffering is not to be overcome ,but to be combined with human existence. His figures do not appear to try to avoid and to transcend suffering. They seem to endure and accept it. we get the impression that they always strive to reach a better life and to attain their better self in spite of despair and solitude. This point of view comes from Barlach's conviction that all human beings have an image of God. The symbol of human situation which Barlach suggested points to a man who simultaneously belongs to heaven and earth. Bralach was always absorb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Such a metaphysical tendency was very rare in Expressionism. But the miserable and destructive experience of World War I led the whole generation of Europeans to ask abou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human suffering and existence. Thus Barlach wanted to elevate the consciousness of his contemporary men to a new metaphysical height and arouse an inner revolution in them. That is why the most of his figures look to the sky. This metaphysical pursuit is, I believe the new aspect of Expressionism after World War I . His Art form gave that time's Germany which was chaotic in sculpture, the opportunity of Expressionism, new Art form at that times, and also gave morden sculpture the subjective expression of emotions thereafter.

      • 순열과 조합 문제 풀이의 오류 분석

        김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순열과 조합 문제 풀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고 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였다. I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rror types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permutations and combinations. Moreover, I investigate how to improve teaching method for avoiding errors.

      • Circuit Modeling of Embedded Passive Devices

        김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23

        The circuit modeling of embedded passive devices was performed. The interdigitated capacitors and the octagonal spiral inductors were manufactured as test structures for the modeling. The interdigitated capacitors were fabricated using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technology and the octagonal spiral inductors were fabricated using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process. The s-parameters of each test structure were measured and the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these measured s-parameters. Each test structure was divided into appropriate building blocks. The equivalent circuit of each building block was based on the partial element equivalent circuit (PEEC) method.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test structure was composed of the equivalent circuits of the building blocks. Modeling was performed to optimize the parameters in the equivalent circuit of each building block. HSPICE circuit simulator was used for the optimization of the parameters. The model parameters were extracted and those gave the well matched modeled data with the measured data. The validity of the extracted parameters was verified by the predictive modeling for the other structures. The Monte Carlo analysis and the sensitivity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extracted parameters. The variation in actual fabricated passive devices could be predicted through the Monte Carlo analysis. The recurrence of the parameters was also shown by the Monte Carlo analysis. In addition, the parameters impacted on the performance of the each passive device were extracted by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sensitivity analysis offered the possibility o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given devices.This modeling methodology can allow device designer to improve the yield and to save the time and the cost for the design and the manufacturing of devices. 본 논문에서는 매립형 수동 소자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을 위하여 테스트 구조로서 교차 전극형 캐패시터와 팔각 나선형 인덕터를 제작하였다. 교차 전극형 캐패시터는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 (LTCC: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팔각 나선형 인덕터는 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테스트 구조에 대하여 network analyzer를 이용하여 s-parameters (scattering parameters) 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s-parameters를 이용하여 매립형 수동 소자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을 위하여 각각의 테스트 구조에 대한 빌딩 블록을 정의하였다. 빌딩 블록을 이용한 모델링 기법은 동일한 빌딩 블록을 가지는 다른 구조의 소자에 대한 적용이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빌딩 블록의 등가 회로는 부분 요소 등가 회로 (PEEC: Partial Element Equivalent Circuit) 방법에 기초하여 구성하였다. 테스트 구조의 등가 회로는 빌딩 블록의 등가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모델링은 이 빌딩 블록의 등가 회로의 파라미터들을 HSPICE 회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최적화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파라미터들은 다른 형태를 가지는 테스트 구조에 대한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팔각 나선형 인덕터에 대해서는 몬테 카를로 (Monte Carlo) 시뮬레이션과 sensitivity analysis도 수행하였다.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는 실제 제작된 소자 특성의 변위를 예측하였으며, sensitivity analysis를 통해서는 소자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을 추출하였다. 이런 일련을 방법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매립형 수동 소자의 특성을 분석 및 예측하였다.

      • 유니티 엔진을 활용한 입체 음향 구현 연구

        김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가상 청각 공간을 구현하는 입체 음향의 목표는 청자의 공간에 대한 청각적 인식 능력을 완전하게 통제하고 조작하는 것이다. 입체 음향 구현은 현실에서 발생하는 음향 현상들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물리적인 소리의 특성 뿐 아니라 심리 음향 등 많은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가상 청각 공간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스테레오 오디오 파일을 통해서 3차원의 방향감과 거리감을 표현하여야 하며 해당 음원이 존재하고 있는 가상공간의 크기나 벽면의 재질 등 공간적 정보 또한 구현하여야만 청자의 공간에 대한 청각적 능력을 완전하게 조작할 수 있다. 스테레오 환경에서 입체 음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를 통해 바이노럴 효과를 구현하여야 하며 가상현실에서는 유저들의 시점과 위치에 따라 음원의 정위감이 변하는 상호작용적인 청취환경을 3차원 공간에서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구현하기 위해 물리 엔진과 사운드 엔진을 내장하고 있는 게임 엔진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되어 본 논문에서는 게임 엔진을 통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을 연구하였다.

      •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보육서비스품질의 관계 : 조직사회자본의 매개효과분석

        김길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23

        This research aims to seek after the ways to enhanc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attitude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and its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In order to achieve its aim, the research begins with an examination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then critically reviews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job attitudes of child-care teachers which result in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and on the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The research conducted a survey via post among child-care teachers in 120 day care centers across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have been made with the collected data, using three statistical programs; SPSS 21.0, AMOS 21.0, and SPSS Macro PROES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in three folds. Firs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a measurement that is proven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developed to scal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which is one of major variables in this research. Second, in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ppe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attitude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the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recognized by the teachers in the child-care organizations is proved to play its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attitudes of teachers and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perceived by themselves. Third, the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the job attitudes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of each type of child-care organiz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In sum, this research was able to develop a measurement for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among the child-care teachers who provide the service; and to reveal that the job attitudes of teachers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gaug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the job attitudes of the teachers can be improved and enhanced by their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such capitals can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f improving the capability of th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ways to promot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can be suggested as follow: First, as it is illustrated in the research, not onl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hild-care organizations but also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job attitudes of the child-care teachers are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the actual delivery of the child-care service. Hence, a support on the teachers in terms of their conduct, such as their job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which promotes the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among themselves, would be necessary. Second, since the structural factors of child-care services, which includes the wage level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affect the quality of the child-care service through the process of child-service delivery, the remuneration and social protection levels of the teachers in the corporate and private child-care organizations should correspond to that of the teachers in national organizations, in order for the better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morale of the teachers. Third, an institutional and regulatory framework should be devised for the child-care teachers in the day-care institutions in order for them to be provided with the equal working conditions as to the ones who are in preschools, especially in the face of new government policy that integrate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by reinforc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보육서비스품질과의 관계와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육서비스품질을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보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해 보고, 보육서비스품질을 산출하는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조직사회자본에 대하여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소재 120개 어린이 집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프로그램, SPSS Macro PROCE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인 보육서비스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보육서비스품질 척도가 개발 되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보육서비스품질의 관계에서 조직사회자본의 매개효과는 보육시설에서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조직사회자본이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보육서비스품질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이 입증되었다. 셋째,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집단 별 조직사회자본, 보육교사의 직무태도, 보육서비스품질의 인식 차이는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보육서비스 제공자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서비스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보육서비스품질 척도를 개발하였고 보육교사의 직무태도가 보육서비스품질을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과 보육교사의 직무태도가 보육교사의 조직사회자본에 의해 개선되고 향상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한 보육시설의 보육서비스품질 제고 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보육시설의 물리적환경과 더불어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같은 심리적 변인이 보육서비스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보육교사 구성원 간의 상호신뢰와 협력을 증진시키는 조직사회자본 등 보육교사의 행태적 측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서비스의 구조적 측면들 즉, 보육교사의 보수수준이나 보육교사의 교육수준 등이 보육서비스 과정요인을 거쳐 보육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보육교사들의 처우개선과 사기진작을 위해 법인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의 보육교사에 대한 국공립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에 준하는 보수수준 및 보육교사에 대한 복지제공이 우선되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격 제도의 강화로 유보통합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어린이집 교사도 유치원 교사와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인 규정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