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에서 근관치료 한 상악 제4전구치의 예후평가

        김규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에서 상악 4전구치의 파절은 다른 치아들에 비해 흔히 발생한다. 치아 파절 시 치수가 노출되게 되면 치수가 감염되게 되고, 그 염증은 치근단 조직 쪽으로 진행되어 치료를 요하게 된다. 치수가 손상 받았을 시에 치료방법으로 발치 혹은 근관 치료를 선택할 수 있다. 발치는 치수가 노출된 치아를 제거함으로써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근관 치료는 병변이 있는 치수조직만을 제거하고, 수복하기 때문에 발치와 달리 치아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에서 파절된 상악 제4전구치를 근관 치료 후 예후평가를 하는 것이다. 2년동안 39마리의 개에서 39개의 상악 제4전구치를 치료하였다. 모든 치료는 같은 시술자가 동일한 Standard root canal therapy로 진행하였으며, 평균 6개월동안 구강방사선 촬영 및 육안검사를 통해 예후를 관찰하면서, 근관 치료의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39마리는 품종, 크기, 나이, 성별, 체중, 파절원인, 파절정도, 파절위치를 분석하였다. 근관 치료 후 39마리에서 30마리에서 증상호전을 보였으며, 9마리는 안면부종, 치근단 농양, 치주염증 등이 발생하여 발치 하였다. 또한 치료 전 구강방사선 검사에서 치근단에 골 융해소견을 보이는 개체에서는 근관치료의 성공률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악 제4전구치는 개에서 기능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치아 중의 하나이다. 근관 치료는 파절된 상악 제4전구치의 치료에 있어 형태 및 저작기능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치료법 중의 하나라고 판단된다.

      • 천연 과채류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식중독균의 항균 활성

        김규민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bout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80%(v/v) ethanol extract from fruits and vegetables against Escherichia coli , Salmonella typhimurium , Staphylococcus aureus , Bacillus ce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which are food-poisoning bacteria by paper disc diffusion and agar well diffusion methods. First,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20 different species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determined. Among them, antibacterial properties were detected in Prunus glandulosa var. Sinensis, Allium sativum, Vaccinium corymbosum, Glycyrrhiza uralensis and Opuntia ficus-indica . In particular, Allium sativum and Prunus glandulosa var. Sinensis extracts exhibited an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than other extracts. Allium sativum, which is high crop and low price, was selected as a main sampl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Allium sativum was conducted b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MBC). MIC of 80%(v/v) ethanol extract from Allium sativum against all strains were in the range of 1.50~2.00㎎/㎖ concentration by the broth dilution method. MIC ofAllium sativum extract was 1.50㎎/㎖ concentration except for S. aureus and S. typhimurium . MBC of all samples tested was the same result as MIC. Allium sativum extract stimulat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found in Kimchi was promoted by Allium sativum extract. On the other hand, Allium sativum extract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Lactobacillus delbrueckii . These results can be Korean 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 Jeungpyun and Tofu

      • 실시간 3차원 객체 검출을 위한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딥러닝 모델 경량화

        김규민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농업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농업 분야의 다양한 방면에서 상당한 정도의 기계화와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과실 수확을 드론, 로봇에 활용함으로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과실을 검출하고 수확하는 과정을 제한된 연산 능력, 메모리, 전력을 이용한 효율적인 학습 및 추론 능력이 지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을 경량화하여 적은 저장 공간, 연산량을 요구하면서 실시간으로 추론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FCAF3D(Fully Convolutional Anchor-Free 3D Object Detection)모델은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딥러닝 모델로서 포인트 클라우드를 입력으로 3차원 객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이다.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희박함과 비정형성 때문에 복셀의 단위체로 변경하여 학습 및 추론을 진행한다. 복셀을 사용하여 객체 검출하는 방식의 경우 복셀의 크기를 객체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작은 객체에 대해 검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많은 연산량 및 저장 공간이 필요하여 로봇 또는 드론에 탑재되는 소형 컴퓨터에서는 실시간으로 검출이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작은 객체 검출에 대한 정확도와 추론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FCAF3D 모델의 구조를 변경하고 Teacher-Student 학습을 이용한 지식 증류 기법과 양자화 기법을 적용한 모델 경량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경량화 기법을 이용하여 SUN RGB-D Val에서 정량적 평가를 하였을 때 기존의 방식보다 mAP@0.25는1.03%, mAP@0.5는 2.53% 향상되었고, 추론 속도에서는 120.5 scenes per sec로 2.8배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형 사과나무에서 생성한 데이터로 평가하였을 때 mAP@0.25는 98.32%, mAP@0.5는 96.3%, 그리고 FPS는 121.5로 높은 정확도 및 속도를 확인하였다.

      • 청소년의 섭식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 여고생의 신경성 섭식성향을 중심으로

        김규민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시기로서 이들의 현재 건강상태는 발달단계의 특성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현재 청소년의 상당수가 날씬한 체형과 맹목적인 미의 추구를 위해 잘못된 식이요법을 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저체중 청소년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지만 청소년의 섭식태도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이 올바른 식습관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기의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올바른 섭식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해내고, 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올바른 식습관과 섭식태도를 통해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원조할 수 있는 구체적 사회복지실천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대전·충남지역 여자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조사방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81명의 여고생에 대하여 조사를 완료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소년의 섭식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Garner와 Garfinkel이 개발한 섭식태도검사(Eating Attitudes Test)를 활용하였는데,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α=.834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그리고 사회의 미적 기준 수용도라는 4가지 요인이 청소년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의 검증결과, 4가지 요인 모두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청소년이 지니고 있는 신체 이미지, 가족관계, 사회의 미적 기준 수용도, 자아존중감이라는 4가지 변인 모두가 청소년기 섭식태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섭식태도 차이에 관한 가설 검증 결과 청소년이 지니고 있는 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일수록, 가족 성원들 간의 가족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적으로 제시되는 날씬하고 마른 여성에 대한 미적 기준을 깊이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청소년일수록 신경성 거식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수준에 따라서는 섭식태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청소년의 섭식태도 행위와 관련된 다각적인 상담 및 생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선 사회의 미적 기준을 재정립하기 위한 체계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하며,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지각을 개선하기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적절한 다이어트 행동으로 체중을 줄이는 것은 신체적 건강이나 긍정적인 신체이미지를 갖기 위해서나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청소년 복지기관이나 학교에서 청소년의 위한 다이어트 관련 특강이나 체중조절 프로그램 등의 올바른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청소년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올바른 이미지를 갖도록 원조해 줄 필요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족복지 차원에서 가족간의 올바른 관계형성을 위한 가족관계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하고 각 영향요인의 상대적 영향력과 청소년의 특성에 따른 섭식태도의 차이를 분석·제시하여, 청소년기의 건강한 신체적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경험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전국의 청소년을 조사대상에 포함시키고, 청소년기 남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섭식실태와 섭식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섭식태도를 결정하는 요인 즉,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사회의 미적 기준 수용도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진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직접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differentiating antecedent variables influencing the eating attitude of the adolescent,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anorectic eating concerns among different adolescent groups and suggesting strategies and programmes preventing the eating disorder in the adolescence. The four hundred adolescent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were reported on their eating attitude.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EAT(eating attitude test) to measure the eating attitude of the adolescent. The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has shown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chi-square,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all four factors , that is , body image, self- esteem, patterns of family interaction,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standard of the beauty had a direct and/or indirect effects on the eating attitude of the adolescent. The effects of body image were stronger than other variables. The level of anorectic eating concerns of the adolescent who had a bad body image, the adolescent who had a diffused boundary in the family, the adolescent who accepted the social standard of beauty as true,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adolescent group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The systemic efforts to reestablish the social standard of the beauty should be taken. The psychological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help setting of the good body image. And the high school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the adolescent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the diet program or weight control program. Further empir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would be required for investigating fo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ating attitude of the rural adolescent and discriminat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various specific dimensions of the eating attitude.

      • 대구·경북지역 주방종사원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의 모범음식점인 한·중식당을 기준으로

        김규민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모범음식점 한식당(30개 업소), 중식당(30개 업소)을 중심으로 주방 종사원 222명을 설문한 결과로 일반적 특성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대한 직무요인별(경제적 특성, 근무환경적 특성, 복리후생적 특성, 직무효능감 특성)차이 비교를 조사 하였다. 성별에 따른 T-test 결과에서는 특성별 여자평균(3.04), (3.69), (3.85), (4.00)이 남자평균(2.63), (3.23), (2.94), (3.34)보다 만족감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임금의 상대성’, ‘임금의 인상’, ‘임금지급 수준만족’, ‘운영체제’, ‘운영교육내용 기대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연령에 따른 F-test 결과는 특성별 평균 ‘40세 이상’(3.07), (3.72), (3.96), (4.07)와 ‘30-39세’(2.73), (3.34), (3.03), (3.44)와 ‘20-29세’(2.72), (3.31), (3.10), (3.35)수치로 ‘40세 이상’과 ‘20-30대’간의 만족감의 차이가 많이 나타났고 ‘임금의 인상’, ‘임금지급 수준만족’, ‘동료의 칭찬’, ‘교육의기대도’, ‘운영체계’, ‘교육의 효과’, ‘운영교육내용기대도’ 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결혼여부에 따른 T-test 결과에서는 특성별 기혼평균(2.98), (3.68), (3.76), (3.97)이 미혼평균(2.70), (3.27), (3.06), (3.38)로 기혼이 미혼보다 만족감이 높게 차이가 났고, ‘임금의 상대성’, ‘임금의 인상’, ‘임금지급수준만족’, ‘동료의 칭찬’, ‘교육의기대도’, ‘운영체제’, ‘운영교육내용 기대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근무지 형태에 따른 T-test 결과는 특성별 한식평균(3.08), (3.76), (3.95), (4.09)와 중식평균(2.55), (3.19), (2.87), (3.26)로 한식이 높게 나타났고 ‘임금의 상대성’, ‘임금의 인상’, ‘교육의기대도’, ‘운영체제’, ‘운영교육내용 기대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직급에 따른 T-test 결과에서는 특성별 관리자평균(2.93), (3.58), (3.65), (3.84)와 일반사원평균(2.76), (3.40), (3.22), (3.20)으로 관리자가 만족감에서 높게 나타났고, ‘임금의 상대성’, ‘임금의 인상’, ‘임금지급 수준만족’, ‘휴가휴무시행’, ‘사회적보험 가입여부’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총 외식근무기간에 따른 T-test 결과는 특성별 평균 ‘3년 이상’(2.78), (3.54), (3.22), (3.08)이 ‘3년 이하’(2.62), (3.44), (3.66), (3.83)으로 나타났고 ‘임금의공정성’, ‘임금의상대성’, ‘근무보람만족’, ‘직무의열의’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직급에 따른 책정된 급여가 아닌 능력제의 임금제도가 필요하다. 근무시간이나 업무량에 비해 규정에 의해 책정된 임금으로 근무를 하다 보니 일의 효율성과 동기부여가 부족하고 불만족의 결과가 많았다. 둘째, 지급되는 급여에 의한 의무적 업무지시가 아닌 관심과 배려의 업무조달이 필요하다. 근무환경에서도 불만은 많이 있지만 따뜻한 동료애와 배려가 더욱 중요하다. 셋째, 주방종사원들이 개인적인 특성이나 업장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교육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일상적으로 반복 되는 업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넷째, 복리후생부분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 단기적 근무지가 아닌 장기적으로 정착하여 근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페라이트 자성 분말의 미세 구조에 따른 자성 특성

        김규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구 자석의 사용은 모터, 센서,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많은 분야에서 점차 사용이 광범위해지고 있으며, 차세대 자동차 개발에 따라서 자동차에 들어가는 소형 모터들의 사용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영구 자석의 수요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현재 영구 자석 시장에서는 희토류와 Hexagonal 페라이트 영구 자석이 약 95%정도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영구 자석의 연구 방향은 자성 특성을 향상시키며, 가격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희토류 자석 중에서 특히 Nd2Fe14B1는 높은 자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하지만 Hexagonal 페라이트 (SrM, Strontium ferrite) 는 희토류 자석 (Nd2Fe14B1) 에 비해 높은 열화 온도를 가지고, 낮은 제조 공정을 가지는 장점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Strontium ferrite에 La이나 Co 원소를 치환하여 특성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 상당한 자성 특성의 향상을 가져왔다. 하지만, 희토류 원소나 희소 원소가 첨가되어 가격 상승이 초래되므로, 다른 한편으로 원소를 첨가하지 않고 미세조직을 조절하여 자성 특성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Strontium ferrite 영구 자석을 제조 할 때 보통 고상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몰 비대로 잘 섞은 시작 분말을 1200°C~1350°C에서 열처리 한 후에 볼 밀 과정으로 분말을 미세하게 분쇄한 후, SiO2 등의 첨가물을 넣고 다시 고온에서 소결하여 영구 자석을 제작한다. 고온에서 소결 공정은 입자들의 성장과 응집 현상을 가져와 입자 제어가 힘들다. 이러한 불균일한 성장은 자화용이 축을 유지하지 못해 자성 특성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최근에는 저온 소결 공정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입자의 불균일한 성장과 응집을 막아 자성 특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저온 소결에 사용될 분말의 형상을 사전에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말 제조 공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분말 합성 과정에 염을 첨가하면 Strontium ferrite 입자 형상을 육각 판상 형으로 제조하며, 입자의 응집 현상을 제어하고, 열처리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trontium ferrite 분말의 형상 제어를 위하여 기존의 고상 합성 방법에 염을 첨가한 후 열처리 조건을 변화하여 하소를 진행한다. 몰비, 온도, 열처리 시간, 냉각 조건 등 상 형성을 완료하고, 자성 특성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조건에 변화를 주었다. 열처리 조건에서 SrCO3와 Fe2O3가 1:5.7의 몰 비로 섞은 후 염 (NaCl) 을 시작 분말에 100 wt%로 혼합하여, 850°C에서 1시간 1050°C에서 1시간 30분 동안 열처리 하고 0°C 증류수에 급랭을 하였을 때, 가장 높은 자성 특성을 가졌다. 자성 특성은 포화 자화 (Ms) 은 72.86 emu/g, 보자력 (Hc) 은 3,536 G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미세 조직을 분석한 결과 얇은 판축이 C-축으로 되어있으며, 분말들이 전체적으로 단일 그레인으로 성장하였다. 정렬에 관한 실험 결과 낮은 외부 자장 (4 kG) 에 의해서도 고상 합성 방법은 차이가 미미한 반면, 용융염 방법에서는 형상 제어가 육각 판상 형으로 되면 정렬 시, C-축으로 정렬이 되어있어 잔류 자화 값이 17%가량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신재생 에너지 간헐성 제약을 고려한 전원개발계획수립에 관한 연구

        김규민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carbon reduction cost in accordance with reduction quantity to achieve Korean government’s reduction target of electric power sector and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GEP) consideringdemand fluctuation and intermittence of renewable energy to increase system reliability. GEP and economic dispatch(ED) methods for Korean power system were used. The approaches to calculate this problem are combination GEP with ED and considering ED alongside GEP. Also, this paper calculated concrete carbon reduction cost each methods and proved that considering ED method can obtain more optimized value through comparing two methods. In Gep considering demand fluctuation and intermittence of renewable energy research, demonstrated LNG combine cycle power plant presence by analyzing effects of the constraints on the result.

      • 고속도로 교통 소음의 평가 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김규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도로교통 소음평가방법은 환경부 고시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이 유일한 방법이며 고속도로 교통소음을 평가하는 방법이 따로 있지 않다. 그러므로 현재의 도로 교통 소음 평가 방법은 고속도로와 같이 연속적인 교통 흐름이 있는 지역의 소음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 미국에서는 도로 교통 소음 평가 방법 인 CTIM(Continuous-Flow Traffic Time-Integrated Method)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음측정을 위해 고속도로와 측정지점, 측정시간, 측정방법을 도로교통 소음관리 기준 측정방법과 CTIM에 맞추었다. 또한 소음측정 자료와 함께 상행과 하행을 구분하여 대형차와 소형차의 교통량, 평균속도,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소음프로그램인 SoundPLAN에 실제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실제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었으며 도로포장재, 방음벽 여부, 교통량 및 평균속도를 설정하여 Modeled값을 도출하였다. 측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도로교통 소음관리 기준 측정방법과 CTIM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도로교통 소음관리 기준에 비해 CTIM은 소음도, 대형차 혼입률, 평균차속의 편차에 기준을 두어 data선별하는 과정을 통해 정확한 data를 선별하여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도로교통 소음 관리 기준에 비해 CTIM은 소음 프로그램 해석 data를 사용하여 반영하므로서 외부조건의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실제 소음 측정을 통해 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확한 고속도로 교통소음을 위해 추후 국내에서 다양하고 명확한 기준의 측정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Korea, the method for assessing road traffic noise is the only method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oise and Vibration test standard and there is no method for evaluating traffic noise on highway. Therefore, road traffic noise evaluation methods do not accurately reflect the noise of a region with continuous traffic flow like highway.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the Continuous-Flow Traffic Time-Integrated Method (CTIM), which is a road traffic noise evaluation method. In this paper, the highway, measurement point, measurement time, and measurement method are applied to the road traffic noise management standard measurement method and CTIM for noise measurement. Also, traffic volume, average speed, and weather information of large and small cars were collected and used by separating ascending and descending routes together with noise measurement data. SoundPLAN, which is a noise program, created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site using actual digital topographical map. Modeled values were derived by setting road pavement materials, soundproof walls, traffic volume and average speed. Based on the measured data, the method and CTIM of road traffic noise management were analyzed and compared. Compared to the road traffic noise management standard, CTIM sought to reduce errors by selecting accurate data through data selection process based on noise level, large vehicle inclusion rate and average vehicle speed deviation. Compared to the road traffic noise management standard, the CTIM uses the noise program data to reduce errors in the external conditions. We confirmed the results through actual noise measurements and confirmed that there is a need for various accurate measurement methods in the future in order to ensure accurate highway traffic noise.

      •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패스너 풀림 현상분석 및 개선 방법연구

        김규민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Fastener loosening in aircraft is a critical issue that can compromise flight safety and structural integrity. This research paper presents an ext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phenomenon of fastener loosening and proposes effective methods for its analysis and improvement. The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auses, mechanisms, and consequence of fastener loosening in aircraft systems. The research begins by providing a background on the significance of fastener loosening in the aviation industry. It highlights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this phenomenon, including structural damage, component failure, and operational hazard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fastener loosening,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proactive measures to ensure aircraft safety and reliability.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conducting experimental tests, analyzing data, and evaluating various factors that contribute to fastener loosening. These factors include gasket types, structural stiffness, hole clearance, and the choice of bolts and nuts.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different gasket materials, such as silicon rubber and form-in-place gaskets, on fastener loosening. It also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tructural stiffness variations and hole clearance adjustments on the phenomenon. Furthermore, the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using different bolt and nut materials, such as alloy steel, inconel, and nickel alloy, on fastener loosening. The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bserved when using high-strength alloy steel bolts and nuts. The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aircraft safety, reliability, and maintenance practices by providing designers, engineers, and maintenance personnel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fastener loosening and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to minimize its occurrence. By addressing the issue of fastener loosening in aircraft system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aviation safety and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effective design and maintenance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