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인설득전략의 차원성과 그 사용 : 자기이득, 상대이득, 설득권리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경은 嶺南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6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dimensionality of Korean's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an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he situ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election of both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and dimensions. Kil-ho, Kang & Kyoung-eun Kim(2012) found Korean's nine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Study one tries to find the dimensionality of Korean's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and Study two tries to find the roles of the situ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election of both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and dimens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one, the subjects rated each of the nine strategies for the likelihood to use over the eight situations. The situations were divided into eight by the level of intimacy, imposition, and dominance. Respondents were asked how likely they would use each of the nine strategies in two situations randomly chosen out of 16 different situations. Three dimensions were distinguished through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s: ⑴ consideration to target - hinting, saving face, provoking sympathy, emphasizing low imposition ⑵ presenting grounds - explanation, making excuse ⑶ social acceptance - direct request, rewarding, conventional expression Study two placed the purpose in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 situ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election of both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and dimensions. Established factors are the degree of self-benefit, the degree of other-benefit, and the degree of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wo, the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was used. In addi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manipulated artificially. The situations were divided into eight by the level of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Respondents were asked how likely they would use each of the nine strategies in two situations randomly chosen out of eight different situations. This research sets 6 research questions on how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can affect the selection of both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and dimensions. To get an answer of the research question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statistical data, it turned out that self-benefit,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influence the selection of both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and dimension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for the selection of both compliance-gaining strategies and dimensions between self-benefit and other-benefit, between self-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and between other-benefit and having the right to persuade were found. Finally, theore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강길호와 김경은(2012)이 제시한 9가지 한국인 즐겨 쓰는 대인설득 전략의 차원을 찾고, 대인설득 전략과 차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변인의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강길호와 김경은(2012)은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9가지 대인설득 전략을 도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9가지 한국인의 대인설득 전략을 바탕으로 그 차원성을 밝히는 Study1과 상황적 요인에 따른 대인설득 전략과 차원의 선택에 있어서의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는 Study2 두 가지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Study 1에서는 전략의 차원성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응답자들에게 다양한 상황에서 9개의 대인설득 전략을 사용할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다양한 설득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 설득 대상과의 친밀성의 수준(높음-낮음), 설득 내용의 부담의 정도(높음-낮음), 설득대상과의 관계(동등-동등하지 않음) 등에 따라 2 × 2 × 2의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8가지 유형에 따라 각각 두 개씩 총 16개의 시나리오를 만들었고, 이들 중 두 유형의 시나리오를 조사대상자들에게 무작위로 보여준 후, 9가지 대인설득 전략의 사용 가능성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탐사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암시하기, 체면 올려주기, 동정심 유발, 낮은 부담 강조 전략이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으며, 이유설명, 구실 만들기 전략이 2번째 요인, 직접요청, 보상, 의례적 표현 전략이 하나의 요인으로 묶일 수 있었다. 추출된 세 개의 요인을 각각 ‘상대배려 차원’, ‘근거제시 차원’, ‘사회적 수용 차원’으로 명명하였다. Study 2에서는 상황적 요인이 대인설득 전략과 차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기울였다. 구체적으로 설득자 자기에게 이득이 되는 정도(self-benefit), 설득 상대에게 이득이 되는 정도(other-benefit), 설득 권리의 정도(right to persuade)라는 세 가지 상황적 요인을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세 독립변인 모두 인위적으로 조작하였다. 자기이득의 정도는 높은 자기이득, 낮은 자기이득의 두 유형으로, 상대이득의 정도도 높은 상대이득, 낮은 상대이득의 두 유형으로, 설득권리 역시 설득권리가 높음, 설득권리가 낮음의 두 유형으로 조작하였다. 이러한 실험처치를 바탕으로 8가지 유형의 대인설득 시나리오를 만들었다. 이들 중 두 유형의 시나리오를 피험자들에게 무작위로 보여준 후, 9가지 대인설득 전략의 사용 가능성을 측정하였다. 자기이득, 상대이득, 설득권리의 정도에 따라 대인설득 전략과 차원의 선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개의 연구문제가 설정되었고, 독립변인들 간 상호작용효과도 부가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들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자기이득의 정도, 상대이득의 정도, 설득권리의 정도를 독립변인, 9개의 전략과 3개의 차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변량 분산분석(MANOVA)를 실시하였고, 그에 대한 후속 통계 분석으로서 3개의 독립변인과 각각의 전략, 차원의 사용가능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이에 대한 변량분석(ANOVA)을 행하였다. 또한 자료의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 통계 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분석 결과 자기이득의 정도, 상대이득의 정도, 설득권리 각각 대인설득 전략과 차원의 선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자기이득의 정도, 상대이득의 정도 / 자기이득의 정도, 설득권리의 정도 / 상대이득의 정도, 설득권리의 정도와 대인설득 전략의 선택과 차원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함의와 한계가 논의되었다.

      • Cytogenetic Characterizations of 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 The First Comprehensive Report from a Single Institution in Korea : 국내 단일기관의 최초 요약 보고 : 김경은

        김경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배경 : 최근 개정된 중추신경계종양의 WHO 분류에는 종양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 및 예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조직, 세포유전, 분자유전, 그리고 면역학적 인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많은 중추신경계종양에서 클론성 염색체 이상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선 아직 중추신경계종양의 특징적인 염색체 이상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119예의 중추신경계종양을 대상으로 전형적인 G-분염법에 의한 핵형분석법을 사용해서 종양의 유형에 따른 특징적인 염색체 이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7월에서 2007년 6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신경외과에서 중추신경계 종양으로 진단받고 수술 후 경과추적 중인 110명의 환자로부터 119예의 중추신경계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추신경계종양의 조직학적 분류은 WHO 분류법에 따라 시행하였다. 수술시 채취한 종양 검체를 대상으로 염색체 분석을 시행하였다. 핵형분석은 ISCN (2005) 명명법에 따라 시행하였다. 결과 : 119예 중 110예의 중추신경계종양에서(92.4%) 성공적인 배양과 핵형분석이 이루어졌다. 110예 중 57예의 중추신경계종양에서(51.8%) 비정상적인 핵형결과가 관찰되었다. 여기에는 23예 중 17예의(73.9%) 아교세포성 종양, 42예 중 32예의(76.2%) 수막성 종양, 24예 중 1예의(4.2%) 뇌하수체샘종, 9예 중 4예의(44.4%) 신경집종, 2예 중 2예의(100.0%) 전이성 샘암종 및 1예 중 1예의(100.0%) 속질모세포종이 포함되었다. 아교모세포성 종양은 과배수성의 복잡한 핵형을 보였으며 염색체 Y, 1, 2, 6, 7, 10, 12, 13, 및 14에서 수적 구조적 염색체 이상이 흔히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수막성 종양에서는 염색체 22의 결실이 나타났다. WHO I 등급과 II 등급(P=0.0422) 혹은 IV 등급(P=0.0101) 사이에는 WHO 등급 증가에 따른 염색체의 복잡성 증가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관찰되었다. 결론 : 중추신경계종양의 등급이 올라갈수록 염색체 이상도 더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고등급의 종양에서 저등급의 종양에 비해 더 많은 염색체 이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핵형결과가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을 반영함을 보여주었다. 중추신경계종양의 특징적인 염색체 이상이 더 많이 밝혀질수록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지고 더 깊어진 종양발생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방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 image-‘일상 꿈꾸기’에 관한 연구 : 본인의 作品을 中心으로

        김경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odern world has long witnessed the period of rapidly changing unlimited competition. The most valuable virtue in modern times has revolved around the fast delivery of much information in a short time and the encouragement of people's interests in it. However, even in a period of overflowing contents, a piece of artistic image implies much. It is because an artistic image can be a medium that detonates endless imaginations. People often regard the movie as the so-called blossom of images produced by industrial mechanism. But even a box-office movie oftentimes takes its motive from a piece of painting work. Although it seems to be ironical, the theme of a piece of painting work of which ripple effect is tremendous is usually based on the rediscovery of routine life. Images in the modern society present substantiality which is more realistic than its reality. For example, people often are swallowed up by the raging wind of the World Cup periodically. Numberless people witness a decisive moment in actual scenes, but their excitement even grows strong with images transmitted by on-the-spot live broadcast of TV to the world or video recording. Vivid motions, which can be overlooked on the spot, can be replayed in slow images in a remote place, thus amplifying and graphically presenting original motions continuously. Therefore, the images that substitute original motions can present more powerful impression and real feeling to the audience who are staying in a remote place. The images have come to have more powerful effects than the original substances do in modern times. The above facts have become an opportunity for the investigator to place more conviction in the world of the investigator's artistic works. Even a piece of image, which merely represents an aspect of routine life, can convert into another monad in the world of artistic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investigator's world of artistic works, namely 'The Image - Routine Dreaming', secure its validity and inevitability from the aspect of theoretical background (philosophy and aesthetics) or not. For this, the investigator first explained and defined the origin of lexicographic meanings and conceptions and the aesthetic conceptions of 'Routine' and 'Image', the title and theme of the investigator's world of artistic works. Second, the investigator examined related philosophic and aesthetic conceptions of the Orient and the West. The Oriental painting is pictorial expression of the thought of Laozi and Zhuangzi, the foundation and aesthetic background of Oriental painting, and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conception of blank and letting nature be. And Laozi and Zhuangzi, for the people who dream the dream of emancipatio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iving in this world not to go against the natural truth. They accentuate the fact that even a great ideal starts from the adaptation of oneself to an urgent routine reality. Among Western thinkers, Gilles Deleuze and Jean Baudrillard stress not the aura of originals but the modern meaning, position and validity of enlarged images. Gilles Deleuze emphasizes in Marcel Proust's Search for the Time Lost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the fact that encoded images which lurk in routine unconsciousness have an absolute influence upon the artistic world. And in Simulation Jean Baudrillard warns that overflowing images in the modern society enjoy better positions than the originals do and compose another world around us. These conceptions of Laozi and Zhuangzi and the aesthetics and conceptions of Gilles Deleuze and Jean Baudrillard were comparatively examined in this study focusing on references and the investigator's works. 현대의 세계는 급변하고 있는 무한경쟁의 시대에 접어든지 이미 오래되었다. 그러한 현대에서 가장 큰 덕목은 얼마나 많은 정보를 빠른 시간에 전달하고 관심을 유도하는가에 있다. 그러한 넘쳐나는 콘텐츠의 시대에 한 장의 예술적 image가 시사하는 바는 크다. 왜냐하면 한 장의 예술적 이미지는 그 속에서 무궁무진한 상상력을 발휘시키는 매개체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영화를 흔히 산업적인 매카니즘(mechanism)에서 생산되는 이미지의 꽃(blosome)이라고들 한다. 하지만 세계적인 흥행을 이룬 영화들도 단 한 장의 회화작품에서 그 모티브를 가지고 만들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한다. 그러한 엄청난 파급효과를 양산하는 한 장의 이미지들의 주제는 아이러니하게도 일상의 재발견이 중심 주제가 되고 있는 경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이미지의 위치는 현실의 실제보다 더한 실제를 우리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면 우리는 월드컵이라는 광풍에 주기적으로 휩싸인다. 엄청난 인파가 현장에서 결정적인 순간을 목격하지만, TV를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 혹은 녹화되어 전송되는 이미지를 통해서 더욱 격정적으로 변한다. 사건 현장에서 응원하는 관중들조차 놓쳐버리는 생생한 동작들을 느린 화면으로 연속해서 볼 수 있게 이미지는 조작· 증폭된다. 이렇게 현장의 원본을 대체하는 이미지가 오히려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이들에게는 더한 감동과 실재감을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미지는 이제 원본보다 더한 효과를 과시하는 시대인 것이다. 그러한 이유는, 본 논문을 기술하는 본인의 작품세계에 더욱 확신을 주게 되는 계기로 작용한다. 일상의 한 단면을 기록한 한 장의 이미지지만, 그것은 또 다른 하나의 우주(monad)가 되어 작품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본인의 작품세계인 'image-일상 꿈꾸기’가 어떤 이론적(철학, 미학) 배경에서 그 정당성과 필연성을 확보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그러기위해서 본 연구자는 첫 번째, 본인 작품세계의 타이틀이자 주제인 ‘일상(日常)’과 ‘image’의 사전적 의미와 개념의 어원과 유래 그리고 미학적인 개념을 설명하여 정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두 번째는 그에 대한 동·서양의 철학과 미학적 개념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를 연구해 보았다. 동양화의 미학적 배경이자 근간인, 노·장자 사상의 회화적 표현인 동양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하는 것이, 여백(餘白)의 개념과 무위자연(無爲自然)의 개념이다. 그리고 노·장자(老·莊子)는 해탈을 꿈꾸는 인간들에게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세에서 자연의 도를 거슬리지 않고 살아가는 것을 강조한다. 위대한 이상은 내 발 밑 일상의 현실에 대한 순응에서 출발함을 역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또한 서양 사상가들 중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경우, 그들은 중심이 되는 원본(原本)의 아우라(aura)가 아닌 image의 확대 된 현대적 의미와 위치, 그리고 정당성을 오히려 역설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들뢰즈의 경우, 일상의 무의식에 잠재되어있는 기호화된 이미지가 예술세계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보드리야르는 『시뮬라시옹』에서, 범람하는 현대사회의 이미지들이 원본보다 더한 지위를 누리고, 우리의 주위에 또 다른 세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자·장자의 개념’과 ‘질 들뢰즈· 장 보드리야르의 미학과 개념들을 참고문헌과 본인의 작품들 중심으로 비교· 연구 하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급별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7개 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첫째, 학년별 성취목표지향성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학업스트레스, 성취목표지향성, 정신건강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셋째, 초·중등 학교급별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스트레스, 정신건강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초·중등 학교급별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수집자료는 SPSS 18.0k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별 성취목표지향성의 변화는 숙달목표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중학교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접근 점수는 초등학교 5, 6학년 시기에 잠시 높아지지만, 초·중등 기간 내내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수행-회피 점수는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학년이 올라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 성취목표지향성, 정신건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성취목표지향성 하위요인들 중 숙달목표와는 부적상관, 수행-회피와는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행-접근은 학업스트레스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 분석해 보아도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성적, 시험, 수업, 공부, 진로)과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심리적 고통, 심리적 안녕감)이 모두 서로 높은 수준의 상관을 보였다. 성취목표지향성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면,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중 숙달목표는 정신건강과 정적상관, 수행-회피는 정신건강과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수행-접근은 정신건강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스트레스, 성취목표지향성, 정신건강에 있어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교급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중학생들이 초등학생들보다 학업스트레스가 많고, 수행-회피의 경향이 더 높으며, 심리적 고통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초·중등 학교급별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수행-회피가 높을수록, 숙달목표는 낮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건강에 있어서는 숙달목표가 높을수록, 수행-회피가 낮을수록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들(숙달목표, 수행-접근, 수행-회피)이 학업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있어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나, 초등학교가 모든 부분에서 중학교보다 약 2배 정도 설명력이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후반부에는 긍정적 학습태도 유지를 위한 학습자 내적 동기부여의 중요성과 초·중등 학습 태도의 변화 및 발달단계에 따른 차별화된 상담·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논의 하였다. 끝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성인초기의 사회비교경향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경은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성인초기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자기격려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 ~ 39세의 남녀 429명을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회불안, 자기격려의 설문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SPSS Statistics 22.0과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비교경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정적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가 사회불안을 낮추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자기격려에 따른 사회불안의 차이가 더 많이 났기 때문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경우 사회불안의 정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앞에서 확인된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결합한 결합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자기격려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역할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나타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에서 나타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결합한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다는 데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응급중환자실에 급성약물중독으로 입실한 자살시도 노인의 사망 관련요인

        김경은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pite the increasing rate of the elderly admitted due to acute drug intoxication caused by attempted suicide, little was known about factors related to the deaths of the elder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ived group and the deceased group among the elderly admitted to an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 (EICU) due to acute drug intoxication caused by an attempted suicide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death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orrelational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lderly aged 65 and over who admitted to an EICU of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after drinking poison for suicidal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he elderly who admitted to EICU from January 1, 2018 to December 31, 2020.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and drug intoxic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relate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The main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tality rate in this study was 19.3%. Out of 150 patients, the average age was 77.43±6.81 years old (survived group: 77.02±6.94, deceased group: 79.10±6.07) and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male (n=93, 62.0%)(survived group: n=74 [61.2%], deceased group: n=19 [65.5%]). Second, compa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ronic kidney disease among underlying disease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deceased group than in the survived group (p=.005). Third, comparing drug intoxic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state of consciousness upon arrival at the emergency room (p=.021) and acid-base result measured first upon arrival at the emergency room (χ2=19.56, p<.001) were significantly worse in the deceased group than in the survived group. In addition, the respiratory rate among vital signs measured first upon arrival at the emergency room (p=.002), the number of complications (p<.001), length of stay in the EICU (χ2=8.70, p=.003), and the APACHE III score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ceased group than in the survived group. Fourth, comparing the treatment related characteristics, the deceased group had used endotracheal intubation (p<.001), intravenous fluid infusion (χ2=26.40, p<.001), vasopressors (p<.001), and hemodialysis (χ2=33.13, p<.001) and other antidote (χ2=10.07, p=.002) more frequently than the survived group. Fifth, APACHE III score was identified as a mortality related factor, and the risk of mortality was 5.8 times higher at 70 points or higher of APACHE III score than at under 70 of those score (HR=5.80, p=.021). Mortality of elderly patients drinking poison for suicidal purposes who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was high. APACH III sco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mortality. In providing intensive nursing care to elderly patients for acute drug intoxication, healthcare providers including nurses in the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 should utilize the APACHE III measure to screen the severity of patient clinical status. 급성약물중독으로 입원한 자살시도 노인의 비중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 노인들의 사망과 관련된 요인을 밝힌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중환자실에 급성약물중독으로 입실한 자살시도 노인의 생존군과 사망군의 특성을 비교하고, 사망 관련요인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응급중환자실에 급성약물중독으로 입실한 65세 이상 자살시도 노인의 전자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사망 관련요인을 파악한 후향적 서술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응급중환자실에 급성약물중독으로 입실한 65세 이상 자살시도 노인으로 총 150명이었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급성약물중독 관련 특성, 치료 관련 특성을 조사하여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a/SE ver.16.1을 이용하여 t-test,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ultivariable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급성약물중독으로 입실한 65세 이상 자살시도 노인환자의 사망율은 19.3%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7.43±6.81세(생존군: 77.02±6.94세, 사망군: 79.10±6.07세)이었고, 성별은 남성이 93명(62.0%)(생존군: 74명[61.2%], 사망군: 19명[65.5%])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기저질환 중 만성 신장질환은 생존군보다 사망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셋째, 대상자의 급성약물중독관련 특성을 비교한 결과, 응급실 도착시 의식상태(p=.021), 응급실 도착시 처음 측정한 산-염기 결과(χ2=19.56, p<.001)는 생존군보다 사망군에서 유의하게 나빴고 응급실 도착시 처음 측정한 활력징후 중 호흡수(p=.002), 합병증 개수(p<.001), 중환자실 재원일수(χ2=8.70, p=.003), APACHE III점수(p<.001) 또한 생존군보다 사망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넷째, 대상자의 치료관련 특성을 비교한 결과, 사망군에서 기관내 삽관(p<.001), 저혈압시 정맥내 수액주입(χ2=26.40, p<.001), 승압제(p<.001), 혈액투석(χ2=33.13, p<.001) 및 기타 해독제(χ2=10.07, p=.002)가 생존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다섯째, 대상자의 사망 관련요인은 APACHE III 점수로 70점 미만보다 70점 이상에서 사망위험이 5.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HR=5.80, p=.021). 본 연구에서 응급중환자실에 의도적 자살 목적으로 음독하여 입실한 노인환자의 사망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PACHE III 도구는 이러한 노인환자들의 사망위험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은 이 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임상상태의 중증도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이러한 환자들의 생존을 높이는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확인된 요인을 포함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실무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 교사의 집단치료놀이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 유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 유능감 향상 및 교사-유아 관계 증진을 도모하는 교사를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시에 소재한 J 유치원의 종일반 교사 1명과 유아 16명을 선정하였다. 종일반 교사가 집단치료놀이의 이론과 프로그램 훈련 후 직접 적용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으로 선정 된 16명의 종일반 유아 중 특기적성 교육을 하는 유아 8명을 통제집단, 종일반 활동을 하는 유아 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진행 중 장기결석으로 중도 탈락한 유아를 제외하여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최종분석 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 50분씩 10회기에 걸쳐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는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Lebuffe와 Naglieri(1999)가 만 2-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개발한 탄력성 검사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ment)를 구희정(2010)이 번안하고, 정문정(2012)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래 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취학 전 유아용으로 제작한 또래 유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Pianta(1991)가 개발한 교사-유아 관계 척도(STRS: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를 이진숙(2001)이 번안하여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 검사를 분류하여 채점 후,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실험집단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 유능감의 행동변화를 관찰 기록하였고, 프로그램에 관한 종일반 교사의 견해를 반구조화 면접법을 통해 질적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집단치료놀이는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킨다. 자아탄력성 척도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행동적인 측면에서도 자아탄력성의 향상이 나타났다. 회기 초반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소극적으로 표현하고 도전을 두려워하였다. 반면 회기가 후반으로 진행될수록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며 적극적이며 독립적인 사고와 행동을 보였다. 둘째, 집단치료놀이는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또래 유능감을 증진시킨다. 또래 유능감 척도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행동적인 측면에서도 또래 유능감의 향상이 나타났다. 회기 초반에는 동일연령의 유아끼리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졌고, 또래에게 친밀한 관심을 표현하지 못하였다. 반면 회기가 후반으로 진행될수록 다른 연령의 유아와 잘 어울리며 또래에게 사교적이고 친사회적인 모습을 보였다. 셋째, 집단치료놀이는 종일반 교사-유아의 친밀감을 증진시킨다. 교사-유아 관계 척도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살펴본 결과, 통제적으로 친밀감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유아 관계의 행동적인 측면에서 회기가 진행될수록 교사와 안정적인 유대관계를 맺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훈련된 교사의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 유능감을 향상시키며, 교사-유아의 친밀한 관계를 향상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밝힘으로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 종일반 교육에 양육기능을 보완하는 적절한 교육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의 집단치료놀이 사례연구와 달리 문제행동의 유아가 아닌 일반 유아에게 예방적 차원으로 접근하였고, 훈련된 교사가 직접 적용하여 치료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evaulate the effectiveness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teachers than can boost full-day kindergarteners' ego resilence,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group theraplay effective in improving the ego resilience of full-day kindergartners? [Research question 2] Is group theraplay effective in promoting peer competence among full-day kindergartners? [Research question 3] Is group theraplay effective in strengthening teacher-child relationships? This research subjects include one fulll-day kindergarten teacher and 14 children attending a full-day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had 7 children who received 10 sessions of group theraplay, twice a week for 50 minutes. The control group is consisted of 7 children and they did not receive any group theraplay. Ego resilience was determined by the method proposed by Chung (2012), which is a revised and updated version of Koo (2010). Koo’s method is an adaptation of the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DECA), developed by LeBuffe and Naglieri (1999). To investigate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peer competence scale designed for preschool children by Park and Rhee (2001) was used. Teacher-child relationships were assessed by using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 from Lee (2001), a revision of Pianta (1991). Data analysis was done by performing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test after classifying and evaluating pre- and post-examinations of each group.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of behavioral changes among individua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the pre- and post-examination of ego resilienc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that individual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differences in overall ego resilience, as well as in the attachment, initiative, and self-control subfactors. Second, results from the pre- and post-examination of peer competenc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that individual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peer competence, as well as in the sociality, prosociability, and initiative subfactors. Third, results from the pre- and post-examination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that individual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s well as in the conflict and dependence subfactors. However, intima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results support that teacher-led group theraplay program improves ego resilence,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mong full-day kindergarteners and strengthens teacher-child relationships.

      • 윤증초상의 모사본에 관한 연구

        김경은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late Choson dynasty, after Sukchong dynasty(1675~1720), a portrait was socially prevalent, widely depicting an image which ranges from King to representative scholar of Songlihak,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n illustrious official, Chungin and the official kisaeng. In this thesis, I have examined a production of copy-a portrait of Yun Jeung- among the portraits in Choson dynasty. Yun Jeung(1629~1714) was a scholar who was brought forward as a Head of Soron in the period of coterie in Sukchong dynasty(1675~1720). A portrait of Yun Jeung which has been deposited with Research Institute in Chungcheongnamdo nowadays, from 2007 to 2009, along with other remains of Yun Jeung Family is made up of five pieces of whole sedentary figure, two pieces of half figure and eight pieces of abstract. In case of five pieces of whole sedentary figure, an age of production - 1744, 1788, 1919 and 1935- is put recorded on each face of painting, which is valuable to analyze a style of portrait. Also, we can look into a process from the production of portrait of Yun Jeung to three times of copy and a matter of dealing with the portrait which was damaged. It is because 'Youngdanggijeok', a historical record of production of portrait, is remained together with the age of production. Through ‘Youngdanggjeok', we can find out that Byeonryang first produced the portrait of Yun Jeung. After, Youngdanggijeok reflects the process of making copy done by Gyeongju Jang in 1744, Myeonggi Lee in 1788 and Hancheol Lee in 1885. The general issues on overall portraits are also contained in Youngdanggijeok. Thus, Youngdanggijeok is precious historical material. Looking into the process of making copy which is recorded on 'Youngdanggijeok', a reason why each copy work is conducted whenever he produces copy is explained as 'A complexion is turned and severely injured', etc. Through this explanation, I could find out that the production of copy of portrait was not only for enshrinement in new place but also for one of the traditional preservations. According to the record of 'Youngdanggijeok', the portrait of Yun Jeung which was produced in 1711 for the first time was copied three times, that is to say, in 1744, 1788 and 1885. Third copy had been carried out over 100-year-old long period while first and second copy had taken only for 30-year-old period. Existing copy which was produced in 1919 and 1935 had been carried out over 30-year-old period although it was not put record on. After then, a treatment of preservation and copy had been in progress from 2008 to 2011 as soon as existing bundle of portrait of Yun Jeung was deposited with Culture and History Research Institute in Chungcheongnamdo. Starting from copy in 1935, a production of copy had been accomplished after more than 80 years. But, it was produced after more than 270 years as its starting point from 1744 and 220 years as its starting point from 1788. Because the treatment of original remains and copy, of which we can grasp the state most satisfactorily,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I could estimate the state of coloring, the ingredient of paint and technique of production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of anti-demolition. These scientific analysis data help us not only to represent the technique of painting but also to produce a copy on a high level at the stage of copying the original. Revival of the quality of original remains and the traditional technique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copy which I have explained so far can be defined as a way to preserve the remains by means of lengthening their life and as a work to keep the original remains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a copy for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s a work to reproduce the original which has been gradually changed as long time passes. Also, it is a work to hand the original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in the point that such a traditional technique of copy should be reproduced and inherited. Furthermore, it is also significant that such a technique should be made a good use of general cultural properties of paintings without being restricted to a field of portrait. 조선 후기에는 초상화가 널리 성행하였다. 국왕으로부터 문무 관료는 물론 당대를 대표하는 성리학자들은 물론 일반 사대부, 중인, 기녀들까지 광범위한 대상의 초상화가 그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초상화 중에서 숙종대 대표적인 유학자 윤증을 그린 초상화를 모사하게 된 문헌 기록을 조사하고, 현존하는 8점의 작품에 대한 양식적인 특성과 안료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현재의 모사본 제작과정을 통해 초상화의 보존 대책을 알아보았다. 윤증(1629~1714)은 숙종(1647~1720) 붕당정치기에 소론(小論)의 영수(領袖)로 추대된 학자이다. 현재 윤증 초상화는 2007년부터 2009년에 걸쳐 윤증 종가에서 다른 유물들과 함께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에 기탁한 것으로 전신좌상(全身坐像) 다섯 점, 반신상(半身像) 두 점, 초본 여덟 점으로 구성 되어 있다. 전신좌상 다섯 점의 경우에는 화면에 각각 1744년, 1788년, 1919년, 1935년이라는 제작연대가 기록되어 있어 절대 연대를 가진 초상화를 양식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미술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더욱이 윤증 초상화가 역사적 가치가 높은 이유는 그것을 제작한 내력에 대한 기록인 『영당기적(影堂紀蹟)』이 함께 남아 있어 윤증 초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부터 3차례의 모사과정과 손상된 초상화의 처리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영당기적』에 의하면 윤증 초상은 1711년 변량(卞良)이 초상화를 그렸고, 이후 1744년 장경주(張敬周), 1788년 이명기(李命基), 1885년 이한철(李韓喆)이 모사본을 제작하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담고 있어 귀중한 역사 자료가 된다. 첫째, 모사본의 제작 이유를 밝히고 있었다. 『영당기적』을 보면 윤증 초상이 ‘얼굴색이 변하고 손상이 심하여’ 모사하게 되거나 새로운 봉안처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초상화의 모사본 제작은 전통 회화를 보존하는 방법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윤증 초상화의 제작 연대를 통해 1세대마다 모사했음을 발견하였다. 『영당기적』에 의하면 윤증 초상화는 1711년에 최초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1744년, 1788년, 1885년 3차례에 걸쳐 모사본이 제작되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1․2차 모사는 30년의 기간을 두고 그려져 1세대마다 모사본을 재제작한 것이다. 비록 3차 모사는 100년의 시간을 격하여 모사되었지만, 『영당기적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1885년 이후 30년이 지난 1919년에 4차 모사가, 그로부터 다시 30년이 지난 1935년 본이 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윤증 초상화의 연속적인 모사는 1세대 30년마다 모사본이 재 제작되는 원칙을 찾아낸 귀중한 성과이다. 이러한 귀중한 윤증 초상 일괄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에 기탁되면서 2008년부터 2011년의 기간을 거쳐 보존처리와 모사작업이 진행되었다. 이것은 1935년 본을 기점으로 하면 80여년 이후, 1744년 본을 기점으로 하면 270여년 만에, 1788년 본을 기점으로 하면 220여년 만에 모사본이 제작되었다. 당시 초상화 유물에 대한 과학적인 비파괴 분석을 통하여 채색의 상태, 안료의 성분 및 전통적인 제작 기법을 추정해 내었다. 이러한 과학적인 분석 자료들은 기법을 재현하거나 원본을 모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모사본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유물의 원 재질과 전통 기법을 되살려 윤증 초상화를 모사하는 과정을 실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사는 회화유물의 현 상태를 원형대로 기록하는 작업임과 동시에 회화유물의 수명을 연장시켜 장기간 보존하는 방법 중 하나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회화문화재의 모사는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변화된 원본을 재현하고, 후세에 전승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사를 통한 전통 회화기법은 계승되어야 하고 초상화뿐만 아니라 회화문화재 전반에 적극 활용되어야 마땅하다.

      •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가 ADHD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김경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학령기 아동들 가운데 주의가 산만하고 과잉활동적인 즉, ADHD 아동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 장애는 예전에 비해 출현율이 높아지고 있고 가정 및 학교, 사회생활, 또래 관계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행동들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을 변화시켜 무용/동작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무용/동작치료 선구자인 Marian Chace의 무용/동작치료 기본 원리 중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 그 하위 목표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Marian Chace는 리듬을 통해 신체를 자각하고 의사소통하기 위해 치료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는데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에서 리듬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단체 및 그룹 활동을 통해 행동을 조직화하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학교나 사회, 단체 생활에서 그리고 자기통제력 결핍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문제를 일으키는 ADHD 아동에게 리듬의 인식을 강조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문제행동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아동기는 이미 신체발달과 감각운동이 발달되어 있으므로 아동의 신체 발달 영역에서 생활과 밀접한 몸과 움직임으로 신체를 협응시켜 신체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용동작치료를 통해 신체리듬을 익혀 신체자각을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의 효과를 목적으로 2004년 11월 6일에서 12월 31일까지 ADHD 아동을 모집하여 16명을 선발하였다. 치료집단, 통제집단 각 8명씩 무선배치하여 치료집단 8명 대상으로 2005년 1월 22일부터 4월 9일까지 매주 1회 50분씩 총 12회기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서울시에 소재한 00복지관의 무용/동작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ADHD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K-CBCL 총문제행동 증후군 척도, SCRS를 사용하여 부모에 의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아동의 매 회기 문제행동 변화를 보기 위해 ACRS를 사용하여 보조교사 4명이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ADHD 아동이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에 문제행동 변화와 자기통제력을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t-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를 시킬 것인가?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의 비해 K-CBCL 총문제행동 증후군,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K-CBCL 하위영역 중에서 위축,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이 감소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킬 것인가?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의 비해 자기통제력이 사전-사후검사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료집단은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있을 것인가? 치료집단 ADHD 아동을 ACRS로 평가하여 1회기 평균점수 19.63점에서 12회기에는 13.00점으로 6.63점이 낮아진 차이가 보였고 각 회기마다 점차 감소되었다. 따라서 치료집단은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과정에서 ACRS의 점수가 감소되어 문제행동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Rhythmic Group Activity 원리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ADHD 아동에게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약물치료의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를 이어 표현예술치료의 한 방법으로 ADHD 아동의 대한 치료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cently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attention-deficient and hyperactive children, that is, ADHD children among the children of school age. Compared with past, ADHD children are increasing and they are in trouble at home, in school, and social life including peer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dance/movement therapy’s effect on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ADHD children. The dance/movement program in this study is based on one of the principles of Marian Chace, especially Rhythmic Group Activity and its subcategories as DMT rationale. Marian Chace used rhythm as a therapeutic factor for body awareness and communication and she focused on rhythm through Rhythmic Group Activity. According to her theory and practice, organizing behavior and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group activity is considered therapeutic. It means by the potentiality of DMT’s effect on ADHD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due to the deficit of self-control ability in their communities including school. In addition, By coordinating through body and movement connected with everyday life and enhancing body awareness DMT helps ADHD children to learn body rhythm and awareness because children have already developed their physical development and sensorymotor.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the DMT program based on Rhythmic Group Activity, this program was applied to 8 ADHD children group(experiment group), 12 weeks, once a week, from Jan 22 to April 9 and another 8 ADHD children group(control group). All the children are selected at a social health center in Seoul. To measure the change of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children, their parents rated K-CBCL Total Behavior Total Behavior Problems scale, SCRS before and after the DMT program while ACRS was used by their teachers to measure the change of problematic behaviors. The analysis was executed by t-test in order to verify DMT program’ effect,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s to the change of problematic behaviors and self control abilit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will the DMT program based on Rhythmic Group Activity change ADH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e and post test on the change of K-CBCL Total Behavior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 wa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ubscales such as withdrawal, depression/anxiety, social immaturity, attention problem, agg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t means that the DM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decrease of problematic behaviors. Secondly, will the DMT program based on Rhythmic Group Activity increase the self-control ability of ADHD childr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ignificant change appeared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It means that the DM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increase of self-control ability. Thirdly, did the change of problematic behaviors in the experiment group exist during the DMT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hen the experiment group was rated by ACRS. It means that the DM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decrease of problematic behaviors.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DMT program based on Rhythmic Group Activity is effective on ADHD children. That is, DMT is also an effective psychotherapy like behavior therapy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that supplement medicine treatment for ADHD children and it can be an alternative psychotherapy for ADHD children as one of expressive arts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