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rancis Poulenc의 Sonata for Flute and Piano 분석 연구

        김경묵 단국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1차대전과 2차대전이 일어난 격변기의 20C초반에도 새로운 음악에 대한 실험은 끊임없이 계속되었으며, 많은 작곡가들이 여러가지 방법을 통하여 전통과의 연속성을 잃지 않으면서 새로운 음향의 발견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이후 France에서는 Debussy의 인상주의에 반발하여 몇몇 젊은 작곡가들이 고전 양식에 바탕을 두고 새로운 기법을 가미하는 형태의 신고전주의의 기치를 들고 이른 바 Les Six(6인조)를 조직했는데 Francis Poulenc(1899~1963)은 그 6인조중의 한 작곡가이다. Poulenc은 감정과 이성을 조화시켜 보다 순수한 프랑스의 고전정신으로 돌아가려고 노력하면서도 새로운 색채감과 탄력있는 리듬을 사용하는 등 음악에 신선함을 불어 넣으려고 노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신고전주의 음악과 음열주의(Serial Music), 신낭만주의 음악의 전환점에 서있는 Poulenc의 음악세계를 조명하고 Poulenc의 'Sonata for Flute and Piano'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형식은 1악장과 3악장은 ABA'의 3부분 형식이고 2악장은 AB의 2부분 형식이다. 둘째, 선율은 반음계적 진행이 많으며, 전음계적 진행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셋째, 화성은 해결되지 않은 부속화음의 사용, 불협화음, German Sixth등의 사용으로 곡에 색채감을 준다. 넷째, 리듬은 규칙적인 리듬과 불규칙한 액센트를 사용함으로써 역동적인 리듬감을 준다. 박자는 복합박자(Compound Meter)와 변박자를 써서 자주 바뀐다. 다섯째, Homophonic한 짜임새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부분적으로는 대위법 양식도 나타난다. 여섯째, 강약은 P와 f의 대조가 심하게 나타나며, 악상기호가 부분마다 자세히 표시되어 있어 곡의 느낌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Poulenc의 작품 'Sonata for Flute and Piano'는 형식은 고전적 형식인 Lied form을 사용하였으나 자유롭게 변형된 형식을 쓰고 있으며 화성과 선율 역시 기능화성에 바탕을 둔 3화음, 7화음, 9화음, 부속화음을 쓰고 있으며 색채적 변화를 주기 위해 임시표를 쓰거나 부가음을 부치고 있다. 또한 곡의 내용은 간결하고 수식이 없는 현대적 체취가 넘치고 있다. Poulenc의 작품은 고전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현대적 어법을 시도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Despite the breakout of World War Ⅰ and Ⅱ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tudies on a new music have been continued and many composers strived to detect a new sound, keeping a continuity with the tradition through diverse methods. Soon after the World War Ⅰ, in France, some of young composers, in difference to Debussy's impressionism, organized what was called Les Six(sextet) in the name of the Neo-Classicism formed by adding a new technique based on the classic style and Francis Poulenc(1899~1963) is one of them who belong to the group. Poulenc made all efforts to infuse the freshness into the music by using a new colorful feeling and irregular rhythm whereas he tried to revert to the pure French classic spirit by combining emotion and reas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out, by analyzing Poulenc' s 'Sonata for Flute and Piano', by illuminating Poulenc' s music: world standing at the turning point of Neo-Classicism, Neo-Romanticism and Serial music. First, in forms, movement Ⅰ and Ⅲ consist of three parts of ABA and movement Ⅱ is binary form AB. Second, in melodies, there are lots of the chromatic scales, with occasional use of the diatonic scales. Third, the harmonies give the colorful feelings by using unresolved secondary dominant, dissonances and German sixths. Fourth, the rhythms give the dynamic feeling by using regular rhythms and irregular accents. Meter is frequently changed by using the compound meter and the combined meter. Fifth, homophonic textures are mostly constituted, partly contrapuntal styles. Lastly, contraction dynamics are prominent by subito piano and forte, and the notations give the feeling of music diversly changed since they are written in every part in detail. Poulenc's, Sonata for Flute and Piano' used classical styles Lied form, but with the free style forms. In harmony and melody, he used triad, 7th chord, 9th chord and embellished chord, but used notional signs or added chord in order to give a colorful variation. In addition, the texture and contents of the music were filled with a modernistic feeling which is brief and without ornamentation. It is understood that Poulenc's work is based on classic idiom with a modem technique.

      • 곡관덕트에서 LDV계측에 의한 난류진동유동의 축방향 속도분포와 벽면전단응력 분포의 실험적 연구

        김경묵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present study, Flow characteristics of turbulent oscillatory flow in the square-sectional 180˚ curved duct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 experimental study for air flow in the square-sectional 180˚ curved duct was conducted to measure axial velocity profiles, wall shear stress distributions by using laser doppler velocimeter(LDV) system with data acquisition and process system of PHASE software at seven section from the inlet to outlet in 30˚ intervals of curved duc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seven sections form the inlet (Φ=0˚) to the outlet (Φ=180˚) at 30˚ intervals of the duc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ritical Dean number for a change from transitional oscillatory flow to turbulent oscillatory flow is about 640. The velocity distribution was greatly generated at the outer wall in the last period of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The velocity distribution had positive value extended over total phase in the near region of the bend angle of 150˚. The wall shear stress distributions of turbulent oscillatory flow, the difference of the bending phase angle are smaller and wall shear stress distributions are complex on the inner wall. Also the values in the outer wall were larger than that in the outer wall, except for the phase angle of 3, because of the intensity of secondary flow.

      • 융합 콘텐츠 시스템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김경묵 호서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융합콘텐츠는 이제 우리생활 전반에 널리 사용되면서 하나의 큰 산업으로 급부상중이다. 그 적용분야도 음악, 출판, 영화, 오락, 게임프로그램, 정보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하며, 우리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융합콘텐츠들이 우리 생활에 봇물을 이루면서 우리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용도에 융합콘텐츠의 품질이 적합한 지에 대한 검증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융합콘텐츠의 특징, 개요, 시장현황을 문헌을 통해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융합콘텐츠의 평가기준을 제안하는데 그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소프트웨어 품질평가에 사용되는 국제표준 ISO/IEC 14598과 ISO/IEC 9126을 참조하여 일반적 요구사항을 포함한 총 7가지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평가항목에 의해 평가방법 계산식을 개발하였다. 또 타당성을 검증을 위해 융합콘텐츠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선정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융합콘텐츠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표준화가 어려운 상황에서 개발된 제품들의 경우 본 연구의 시험 설계 및 평가를 통해서 고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관련된 산업분야에도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모델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모델은 융합콘텐츠 시스템의 품질을 평가하고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성남시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현지개량방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묵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남시의 “도시저소득주민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하여 고밀의 현지개량방식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이미 완료한 지역을 또다시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구역으로 지정한 지역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도시저소득주민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하여 고밀의 현지개량방식으로 조성된 지역의 경우 건축 및 도시계획 관련 조항 완화와 사업성 확보 등의 이유로 적정한 도시기반시설 확보 없이 고밀로 개발되었다. 1989년 “도시저소득주민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제정된지 20년이 넘게 지났으며, 이제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조성된 지역에 대한 재개발 시점이 도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남시의 26개 정비구역 중 현지개량방식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이미 완료하고, 또다시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구역으로 추진중에 있는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현지개량방식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성남시가 성공적인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할 과제들이 많다. 그러나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현지개량방식시의 자체개량 곤란, 공동주택건설방식시 사업성 부족 등 본 연구 대상지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국가 및 지자체에서의 적극적인 개입이 무엇보다 필수적이다. 그리고 지자체의 역량 구축을 위하여 전문가의 양성과 각종 관련 법령의 정비 및 제도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지자체와 지역주민이 상호 신뢰하는 관계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지위와 역할에 최선을 다한다면 양질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mporary law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for low-income group' was enacted 20 years ago. Maintenance sections where are designated by 'The temporary law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for low-income group' have been redeveloped without adequate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that part of reason for ease the regulations about local architecture and town planning, for securing adequate profit and so on. Redevelopment areas are appointed by this Act may be required to again be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ongnam city's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reas where are repeatedly designated and to draw up improvement. In this study, 26 maintenance areas in Seongnam city of local improve the way maintenance is completed, and again to promote the maintenance of a local improvement methods were studied in the region. Maintenance of these areas to analyze this issue is to provide an improvement. Seongnam city successful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in order to perform the many challenges that need to be followed. Improve the local improvement scheme itself is difficult and Compared with co-residential construction is a lack of feasibility. So The priority has to be active involvement i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than what is necessary. And local governments to build the capac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and various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f the expansion is needed.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forms a relationship of mutual trust. And given their position and role to do their best, a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will be done.

      • 효과적인 선제정밀타격을 위한 다출처 정보 연동 융합 방안 연구 : SIGINT와 IMINT를 중심으로

        김경묵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2013년 3월 국방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한 도발 징후를 조기에 포착하여 선제정밀타격을 실시함으로써 사전에 이를 제거한다는 선제타격 체계(한국형 Kill Chain)을 발표하였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징후 포착 시 30분 이내에 도발 원점을 선제타격 하겠다는 것이다. 즉 표적탐지에 1분, 위치식별에 1분, 공격결심에 3분, 그리고 25분 이내에 발사 타격함으로써 30분 이내에 선제타격을 마무리한다는 개념이다. 그러나 “확실한 징후”가 있을 때 자위권 행사(선제타격)를 하겠다고 막연히 주장하였지만 선제적 자위권 행사에 필요한 확실한 징후는 어떻게 식별할 것인가는 정립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한국형 선제타격(Preemptive Attack)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규명하고, 선제적 자위권 행사 시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군사력의 건설방향을 제시한다. 정보유통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다출처 정보 연동 융합방안을 제고함으로써 우리의 선제정밀타격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특히 선제정밀타격을 위해 가장 중요한 탐지체계와 무기체계를 연결하는 정확한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는 실시간 작전정보를 지원하기에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킬 체인(선제타격을 위한 순환절차)을 충족할 수 있도록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과 정보연동 및 융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영상정보(IMINT: Imagery Intelligence)와 신호정보(SIGINT: Signals Intelligence) 연동 융합이라는 당위성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왜냐하면 멀리 떨어져 있는 표적을 마치 눈앞에 보고, 듣는 것처럼 생생하게 인지할 수 있을 때 시한성 표적(TST: Time Sensitive Target)에 대한 선제정밀타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실시간 전장 가시화를 위한 정보 감시·정찰자산(ISR: Intelligence Surveillance Reconnaissance)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정보와 영상정보 연동체계 구축은 짧은 종심거리의 전장 환경에서 임박한 위협을 정확하게 식별해 내는 것이 선제적 자위권 행사의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적의 의도나 계획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통화내용의 감청이나 암호화된 전문을 해독해서 얻은 의미정보(신호)를 이용한다. 또한 주로 항공기나 위성정찰을 통해 획득되는 현상정보(영상)는 물리적 시설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즉 현상정보는 북한의 ICBM 기지와 같이 노출된 물체를 탐색하는 데는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지만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점과 작전계획처럼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 보이지 않는 어떤 생각이나 작전계획에 대해서는 신호정보(의미) 감청 수단을 사용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데는 적합하다. 따라서 북한의 주요 시설에 대한 선제 정밀타격을 위해서는 모든 출처의 정보를 종합 분석하는 ‘정보의 연동 및 융합’이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신호정보와 영상정보 수집수단이 이들 정보를 최종 확인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 두 정보체계의 통합으로 생산된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위해서는 원활한 유통과 일관성 있는 정보제공을 위해 정보의 집결 및 통합이 요구된다. 또한 정보판단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적합한 정보전달 네트워크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군은 네트워크 중심 작전환경(NCOE: Network 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에서 합동성의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체계의 기본개념은 영상정보와 신호정보체계, 지휘통제체계(C4I: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and Intelligence) 및 정밀유도무기(PGMs)를 정보전달 네트워크(NCW: Network Centric Warfare)로 연결하여 상황인식을 공유하고 정책결정자의 의사결정 주기를 단축하는 것이다. 즉 탐지-식별-결심-타격의 순환 고리(Loop)를 형성하여 이뤄지는 킬 체인에서 순환 고리를 빠르게 순환시킴으로써 정보우위를 지켜, 먼저 보고 듣고 먼저 결정하여 선제정밀타격 할 수 있는 시간확보와 전장관리능력을 구비하는 것이 킬 체인 이론의 핵심이다. 물론 원거리에 있는 고정 및 이동 표적을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해서는 슈터(Shooter)체계가 필요하고 정밀유도무기(PGM: Precision-Guided Munition)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선제정밀타격이 실현 가능한 전략이 되려면, 전장 가시화를 위한 ISR체계, 정보공유를 위한 C4I체계, 정밀타격을 위한 PGM 체계가 복합적으로 구축되어야만 한다. 즉, C4ISR+PGMs 인 네트워크기반 복합체계가 구축되어야 실현 가능한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접근 방법은 연구목적에 부합되도록 체계통합 모델을 근간으로 하여 신호정보와 공중 ISR에서 입수된 영상정보를 통합, 분석(안)을 제시하고 통합된 하나의 정보 보고서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여 선제타격을 위한 자위권 행사 시 요구되는 임박성, 비례성 및 목적성을 충족하고 킬 체인 시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이상 징후 포착과 확인 후 선제타격을 결심하는데 필요한 임계 시간 확보에 의미를 둔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이상 징후를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영상정보와 신호정보체계의 연동 융합방안을 제시하고 선제정밀타격 시 요구되는 탐지시간, 위치식별, 타격결심에 필요한 시간(5분)을 단축시키는 대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1) 효과적인 선제타격을 위한 통신기반 네트워크 통합 (2) 한반도 작전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선제타격 C4I체계 데이터 링크의 확보 (3) 선제타격을 위한 다출처 정보 유통 및 타격체계 확충 및 지원 방안 제시 (4) 정보판단의 신속성, 정확성, 신뢰성 향상 방안 (5) 임박징후 포착 시 다출처 정보 융합/전파 실시간 임계시간 확보 본 논문에서는 선제적 자위권 행사를 실시하기 위한 선제타격 그 자체에 대한 이론적·학술적 개념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선제타격을 이행하는데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자는 발의의 성격이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정보탐지 능력으로 임박한 위협이상 징후를 포착할 수 있느냐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즉 이러한 인지능력을 극복하기 위한 다출처 정보 연동 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고정, 이동, 위장(camouflage) 및 모의표적(Dummy)과 초고속 위협물체에 대한 실시간 분석방법과 표적에 대한 타격 명령결심 시 최적의 정보 자료를 타격부대에 적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정밀선제타격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Ministry of Military announced a preemptive strike system(Korean Kill Chain) by capturing provocation prognosis against the nuclear and missile threats posed by North Korea in advance and conducting preemptive precision strike and eliminate them in advance on March 2013. It aims to conduct preemptive strike the original point of provocation within 30 minutes after capturing the sign of nuclear or missile provocation from North Korea. In other words, preemptive strike would be completed within half an hour within a minute for identifying a target, a minute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three minutes for determining attack, and 25 minutes for launching and striking. Nevertheless, the matter of how to tell certain signs needed for exercising preemptive self-defense right has not been established, although exercising self-defense right(preemptive strike) in case of “certain signs” has vaguely been asserted. This study identifies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Korean preemptive attack and proposes the direction of building military power for obtaining precise and rapid intelligence required in top priority when preemptive self-defense right is exercised. By contemplating the integrated methods of interlocking multi-source intelligence based on intelligence distribution network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our preemptive precision strike capabilities. Since accurate target intelligence delivery network connecting the detection system with weapon system vital for preemptive precision strike is particularly inadequate for supporting real-time opera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arget intelligence delivery network and propose methods of interlocking intelligence and integration to meet Kill Chain(Rotating procedure for preemptive strike). The justification of interlocking and integration of Imagery Intelligence(IMINT) with Signals Intelligence(SIGNIT) in charge of the most significant axis holds an important status in this process. This is because preemptive precision strike on Time Sensitive Target(TST) can be available if we recognize a distant target as if we see and hear it right before our eyes.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locking system with signal intelligenceand video intelligencetransmitted from Intelligence Surveillance Reconnaissance(ISR) for real-time battlefield visualization is a vital key for obtaining the justification of exercising preemptive self-defense right by exactly identifying imminent threats under the short center-distant battlefield. Meaning information(sign) obtained by inspecting phone calls or decoding encrypted scripts is used to identify the intention or plan of counterparts. Additionally development information(video) mainly obtained through airplanes or satellite reconnaissance offer reliable intelligence on physical facilities. In other words, this intelligence demonstrates excellent abilities in detecting exposed objects such as North Korea's ICBM base, yet no ability on invisible objects such as North Korea's missile launching time and operational plan. It is appropriate for identifying contents by using signal intelligence(meaning) monitoring tools on invisible thought or operational plan. Although “interlocking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analyzing intelligence from all sources is important for preemptive precision strike on major facilities in North Korea, yet signal intelligence and video intelligence collecting tools particularly play the most primary roles in the final confirmation. Intelligence assembly and integration are required for proper distribution and providing constant intelligence for the sake of the accuracy and rapidity of intelligence produced by integrating both intelligence systems. In addition, research is needed on the appropriate intelligence delivery network to improve the ability of judging intelligence and support it. The South Korean military force connects basic concepts of the network system such as video intelligence, signal intelligence system, command and control system(C4I: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and Intelligence), and Precision Guided Missile(PGMs) with Network Centric Warfare(NCW) for reinforcing jointness under Network 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NCOE), shares the awareness of situation, and shortens the cycle of decision-making of policy makers. In other words, the essence of Kill Chain theory is to protect the status of intelligence dominance, make decisions in advance by watching and hearing, obtaining time for preemptive precision strike, and building up battlefield management capabilities by rapidly circulating feedback loop in the Kill Chain by creating a feedback loop consisting of detection, identification, decision, and strike. Obviously shooter system is needed and Precision-Guided Munition(PGM) system should be built for targeting distant fixed and mobile targets exactly. ISR system for battlefield visualization, C4I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and PGM system for precision strike should be built in complex ways for strategies through which preemptive precision strike is achieved. In other words, this concept can be achieved by building the C4ISR+PGMs network-based complex system. The approach in this study thus has implications in integrating signal intelligence with video intelligence obtained from air ISR, proposing analysis based on the integrated system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fulfill the imminency, proportionality, and objective required for exercising self-defense right for preemptive strike by raising the accuracy and rapidity of a single integrated intelligence report, and obtaining critical time needed for determining preemptive strike after capturing and identifying abnormal signs required in top priority in case of Kill Chain. This paper proposed the integrated method of interlocking video intelligence with signal intelligence system, which are the most significant for identifying abnormal signs from North Korea and primarily studies the following details as an alternative for shortening time(five minutes) needed for detection time, identifying the location, and determining strike required for preemptive precision strike. (1) Integration of telecommunication-based network for effective preemptive strike (2) Obtaining the Korean preemptive strike C4I system data link appropriate for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3) Proposing methods of distributing multi-source information, expanding strike system, and supports for preemptive strike (4) Methods of enhancing rapidity, accuracy, and reliability of judging information (5) Obtaining critical time for multi-source intelligenceintegration or diffusion in case of capturing imminent signs This article does not claim that theoretical and academic concept on preemptive strike itself for exercising preemptive self-defense right, but proposes to discuss methods for overcoming limitations to carry out preemptive strike. This study reviewed whether imminent threat signs can be captured with Korean intelligence detection capabilities. In other words, it proposed the integrated method of interlocking multi-source intelligence for overcoming this cognitive capability. By doing so, real-time preemptive precision strike can be accomplished by providing real-time analysis methods on fixation, movement, camouflage, dummy, and high-speed threatening objects and optimal intelligence data to strike troops in a timely manner when determining a strike command on targets.

      • 고가치 SIGINT 획득을 위한 ISR체계 활용방안연구

        김경묵 高麗大學校 技術經營專門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본 연구는 SIGINT의 고가치 정보생산을 위해 네트워크 중심 작전환경(NCOE: Network 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에서 공중 ISR(Intelligence, Surveillance & Reconnaissance) 전력과 SIGINT의 융합방안을 제시여 SIGINT의 신속ㆍ정확ㆍ신뢰성을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SIGINT는 현대전의 전 영역에서 정보획득 우위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합동작전을 필요로 하는 미래의 군은 SIGINT의 수행을 통하여 의사결정을 촉진시키고 보호해야 하며 분쟁 시에는 적의 의사결정 과정을 붕괴시켜야 하는 목적을 수행하여야 한다. SIGINT의 작전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활동 및 능력들은 군의 전통적인 기능인 반면 정보통신 환경변화의 속도는 우리가 이러한 견해를 확장하고 보다 광범위한 SIGINT의 전략과 개념을 연구하도록 하고 있다. 군은 통상적인 전쟁과는 개념이 다른 비전통적인 전쟁을 시도하는 적들에 대한 정보능력을 확장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전 세계 각국의 정보관련 활동들은 그 영역에 있어 광범위하게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또한 안보환경의 변화는 정보의 활동방향에 있어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안보환경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과거로부터 시작된 상대적 정보우위 달성을 위한 노력은 현재도 치열하게 지속되고 있으며, 그 중 SIGINT는 그 특성으로 인하여 알려진 바가 극히 미약하지만 정책결정권자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전쟁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SIGINT는 원천적인 특성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을 받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래 전장환경에서 전장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GIG(Global Information Grid)기반의 네트워크 중심전에서 SIGINT와 공중 IRS체계의 운용기반 능력 융합을 통해 정보우세(Information Superiority)를 달성하고 결정우세(Decision Superiority)를 구현함으로써 전 영역에서 우위(All Spectrum dominace)를 점유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적시적인 SIGINT를 수집/분석/생산 전파하기 위한 방안을 기술한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및 미래전에 대비한 고가치 SIGINT 획득/분석을 위한 공중 ISR 체계와 유기적 정보융합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수집된 정보의 Data Link를 통해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한 네트워크 기반을 확충시켜야하며 셋째, 수집된 정보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융합 분석되어 합동작전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융합에 의해 연합작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미래전장 환경 하에서 전시작전통제권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연합작전 수행을 위한 기반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NCW 환경에서 적합한 SIGINT 수집체계 발전방향은 NCW의 핵심인 정보공유의 중요성, SIGINT의 공유체계는 네트워크를 통한 지휘통제, 타격자산 및 지원전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의 유통 및 공유와 이를 통한 의사결정의 우위 달성이 가능한 통합된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여 견고하게 네트워크화 된 조직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의 공유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SIGINT와 공중 ISR 작전의 융합운영이라는 당위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공중 감시·정찰 자산(ISR)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와 통신상에서 수집되는 SIGINT 자료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체계통합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두 체계의 통합으로 생산된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위해서는 원활한 유통 및 일관성 있는 정보제공을 위해 정보의 집결 및 통합이 요구된다. 현재 우리군의 SIGINT와 공중 ISR 작전 수행능력을 분석해 볼 때 정보의 종합 및 Data Link를 통해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한 합동 감시/지휘 능력을 갖춘 융합된 작전수행 기반을 갖춰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접근 방법은 연구목적에 부합되도록 체계통합 모델을 근간으로 하여 SIGINT와 공중 ISR에서 입수된 첩보자료를 통합, 분석(안)을 제시하고 통합된 하나의 분석보고서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여 고가치 SIGINT를 생산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어 : SIGINT, ISR, NCW

      • 전남 고흥 일대의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김경묵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질 관련 단원에서는 과학자가 하는 일을 학생들이 직접 수행해봄으로써 자연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일선 학교에서는 야외 탐구 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시간의 부족, 야외 학습 장소의 미개발,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에 필요한 지식의 부족 등의 문제로 원활히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중 지질 관련 단원을 분석한 후 교육과정상의 다양한 지질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고흥군 대서면 송림리 해안 일대에 지질 학습장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발한 지질 학습장에 초등 교사들을 실제로 투입한 후 그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 지역은 고흥군, 순천시, 보성군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해안가의 퇴적암 노두이며, 300m 거리에 9개소의 관찰 지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학생들이 다양한 지질 현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접근이 용이하고, 학생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장소이다. 각 관찰 지점별로 교과 관련 지질 내용 및 그 지역의 특징적인 지질 현상을 선정하여 학생들을 위한 관찰활동지와 교사들을 위한 학습 지도 자료를 제작하였다.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서면 송림리의 야외 지질 학습장 탐사 활동 전개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모두 야외 지질 답사는 처음이고, 답사 활동 중 교사들은 처음 접해보는 지질 현상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처음에는 교과서로 배워서 알고 있는 내용과 실제 지질 현상간의 연관성을 찾는데 어려워 하다가 답사가 진행될수록 쉽게 찾아냈다. 답사 활동 후 실시한 설문에서 5명의 교사 모두 야외 지질 학습이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을 보였고, 교사들을 위한 야외 지질 답사 과정이 많이 개설되어야 효과적인 학생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야외 지질 답사후 지질 관련 단원의 수업에 자신감이 생겼고, 많은 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교사 연수과정의 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야외 학습장과 자료를 활용한다면 이 지역 학생들의 지질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더욱 커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