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능성 화장품 사용에 따른 만족도

        김가은 단국대학교 보건복지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보호와 청결유지에 국한되었으나 국민소득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소비자의 의식수준이 높아지면서 더욱 고급화 및 다양화되어 단순한 아름다움이 아닌 기능이 강조된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기능성 화장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재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체계적인 소비자의 만족도 조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사용에 따른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연구대상자 200명의 일반적인 특성, 생활 습관,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질문,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만족도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부타입을 분석한 결과에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20대나 30대, 50대는 복합성피부가, 40대는 건성피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피부 문제점은 20대는 여드름이, 30대는 색소침착이, 40-50대는 탄력 및 주름이 가장 문제점이라고 하였으며 미혼은 색소침착이나 여드름이, 기혼은 탄력, 주름이 가장 문제점이라고 하였다. 3. 기능성화장품을 처음 사용한 연령을 분석한 결과에서 ‘20-29세’가 89명(44.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39세’ 59명(29.5%), ‘19세 이하’ 29명(14.5%), ‘40-49세’ 23명(11.5%)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20-29세에 처음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4. 기능성화장품 종류를 분석한 결과에서 ‘주름개선’이 108명(54.0%), ‘미백(잡티, 색소침착)’ 60명(30.0%), ‘자외선 기능성’ 40명(20.0%), ‘미백(얼굴안색)’ 32명(16.0%)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 기능성화장품 구매가격대를 분석한 결과에서 ‘월 10만원 미만’이 90명(45.0%), ‘월 10-20만원 미만’ 89명(44.5%), ‘월 20만원 이상’ 21명(10.5%)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월 10만원 미만이나 월 10-20만원 미만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6. 자외선 차단 화장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197명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매우 만족’ 17명(8.6%), ‘만족’ 115명(58.4%), ‘보통’ 62명(31.5%), ‘불만족’ 3명(1.5%), ‘매우 불만족’ 0명(0.0%)으로 나타나 전체 67.0%가 자외선 차단 화장품 가격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7. 주름 개선 완화 화장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171명을 대상으로 가격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매우 만족’ 14명(8.2%), ‘만족’ 71명(41.5%), ‘보통’ 78명(45.6%), ‘불만족’ 7명(4.1%), ‘매우 불만족’ 1명(0.6%)으로 나타나 전체 49.7%가 주름 개선 완화 화장품 가격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8. 미백 효과 완화 화장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169명을 대상으로 가격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매우 만족’ 10명(5.9%), ‘만족’ 65명(38.5%), ‘보통’ 86명(50.9%), ‘불만족’ 7명(4.1%), ‘매우 불만족’ 1명(0.6%)으로 나타나 전체 44.4%가 미백 효과 완화 화장품 가격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9. 복합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169명을 대상으로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매우 만족’ 8명(4.7%), ‘만족’ 70명(41.4%), ‘보통’ 91명(53.8%), ‘불만족’ 0명(0.0%), ‘매우 불만족’ 0명(0.0%)으로 나타나 전체 46.1%가 복합기능성 화장품이 피부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기능성화장품 사용 후 피부 부작용을 경험한 72명을 대상으로 처리방법을 분석한 결과에서 ‘화장품 판매사 항의’가 32명(44.4%), ‘피부과 치료’ 15명(20.8%), ‘증상이 호전된 후 재사용’ 8명(11.1%), ‘인터넷 사이트 후기’ 3명(4.2%)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화장품 판매사에 항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소비자의 제품 사용과 요구를 직접적으로 파악한 결과는 향후 화장품 기업이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마케팅을 시행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 대학운동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 및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가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basic data to coaches and athletes by examining relationships of exercise stress, resilience, and dropout inten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 athletes. This study targeted total 328 athletes belonging to colleges as college student athletes, and total 306 copies of questionnaire, excluding those with insincere or incomplete responses, were used for processing the result. For the data processing,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fferences of exercise stress, resilience, and dropout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sex, the exercise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such as dissatisfaction with leadership, functions & game contents, and concerns about career while the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opout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school year, the exercise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satisfaction with leadership while the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positivity, control, and socia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opout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exercise career, the exercise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satisfaction with leadership and concerns about career while the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opout intention. In accordance with athletic performance, the exercise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such as dissatisfaction with leadership, functions & game contents, and concerns about career while the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positivity, control, and socia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opout intention.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exercise stress on the resilience, the concerns about career out of subfactors of exercise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ntrol out of subfactors of resiliences. The dissatisfaction with leadership and concerns about career out of subfactors of exercise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ositivity. The concerns about career and game & func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r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dropout intention, the positivity and sociality out of subfactors of resil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it. Fourth,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s of exercise stress on the dropout intention, all the subfactors of exercise stress such as dissatisfaction with leadership, functions & game contents, and concerns about care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it. 이 연구는 대학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운동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및 중도탈락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선수를 지도하는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대학운동선수로서 대학교 소속되어 있는 선수 총 3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한 문항이라도 표시하지 않은 22부를 제외하고 총 306부를 결과처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중도탈락의도의 차이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지도력불만, 기능 및 경기내용, 진로고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회복탄력성은 통제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도탈락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지도력불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회복탄력성은 긍정성, 통제성, 사회성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도탈락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지도력불만, 진로고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회복탄력성은 통제성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도탈락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기실적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지도력불만, 기능 및 경기내용, 진로고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회복탄력성은 긍정성, 통제성, 사회성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도탈락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운동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중 통제성은 운동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진로고민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성은 운동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지도력 불만, 진로고민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는 진로고민과 경기 및 기능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성, 사회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운동스트레스의 지도력불만, 기능 및 경기내용, 진로고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김가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직무만족도의 인식과 수준을 알아보고,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데 있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및 영향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18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끝까지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169명의 설문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Guglielmino(1997)의 원문과 김지자․김경성의 SDLRS-K-96을 재번역하고 타당화한 전규태(2009)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 도구와 정은주(2013)의 어린이집 교사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방법으로는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주요 통계 방법으로는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의 과정에서 통계적 유의 수준은 9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연령, 최종학력, 경력, 소지 자격증, 결혼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1세 이상,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5년 이상의 경력자일수록, 유치원 1, 2급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일수록, 기혼자일수록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어린이집 유형, 최종학력, 소지 자격증, 고용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국·공립과 직장 어린이집의 근무하는 교사들이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유치원 1, 2급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일수록, 정규직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약 13.5%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이 직무만족도의 다섯 개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들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준이 낮으므로 자기주도학습의 필요성 인식 및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 연수는 전문성이 검증된 기관에서 운영하고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이 높지만 근무환경에 따른 시·공간적인 제약이 많은 어린이집 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계발은 전문성 및 학력 신장의 방안이 될 수 있다. 어린이집 교사는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계발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지속적인 배움의 필요성을 느끼며 이는 상급학교로 진학할 수 있는 계기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관리자는 어린이집 교사가 성인학습자로서 역동적으로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연수의 기회, 개인/협동학습을 위한 시간 및 상급학교로의 진학 지원, 가산점 부여 등의 혜택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넷째, 어린이집 경력 교사를 중심으로 학습 조직을 구축해야 한다. 학습 조직 구축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촉진이 학습 조직화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the awareness and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i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is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how ar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related to each other? Method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mong 180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169 teachers except for those who insincerely answered a questionnaire or did not answered it were the objects of this study. The original text of Guglielmino (1997), the re-translated version of SDLRS-K-96 written by Kim Ji Ja and Kim Kyung Sung, the thesis titl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ritten by Jeon Gyu Tae (2009), and the thesis title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written by Jeong Eun Ju (2013)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A statistical package or SPSS. 18.0 was used for material analysis. For key statistical method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 significant level was set as 9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career, final diploma, certificate held and marriage (Y/N). Being thirty one years or above of age, having higher degrees of education, and having five years or above of teaching experience all related to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ose who got certified with Kindergarten Teacher (GradeⅠ& Ⅱ) and were married was relatively high. Second, a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ypes of daycare centers, final diploma, certificate held and forms of employment. Teachers who work at national and on-site daycare centers had high job satisfacti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ose who had a high level of education, got certified with Kindergarten Teacher (GradeⅠ& Ⅱ) and were regular workers was relatively high.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it showed that these two factors were co-relat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bout 13.5%). Especially, the openness about a learning opportunity had an impact on fiv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given that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have low level and awar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 teacher training program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need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o help them clearly understand about i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lso should be operated by the verified organization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who are very open to learn, but have restrictions on time and space should be considered to prepare the training program. Second,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can be a good way to enhance their specialty and academic ability. Teachers will feel the necessity of continuous learning by developing their ability on their own, serving as a momentum to enter an advanced school. Third, managers should provide benefits such as a chance for training, times for individual/cooperative learning, helping entering an advanced school, additional points, etc. so that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can lead a continuing education as adult learners. Finally, learning groups should be established with experienced teachers as the center. Its establish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enhanc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lays an essential role in learning organization.

      • 형성평가 실시가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및 어휘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ies, lexical competence and attitudes. A total of 19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half of them were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the formative assessments in the reading class. The rest of the students belong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y did not take the assessments. So 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analyzed: a pre and post-reading test, a post-vocabulary test, a pre and post-experiment questionnaire, a post additional survey, and teacher’s journal.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ost-reading test and the post-vocabulary test, it was shown that formative assess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lexical competence as well as their reading abilities. Second, the results of the post tests indicated that formative assess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high-achieving students regard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knowledge, while low-achieving on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Third, as for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rea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ost additional survey, however, it was prove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st positive about formative assess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formative assess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reading performance in this study, and there are also some other researches showing the sam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erefore, that formative assessment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Second, in this study, the low achieve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reading abilities and lexical knowledge even after taking formative assessment in each class. Some researches, however, reported that low-leve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mproved greatly after implementing formative assessment for several years. Thus, it is desirable to offer additional instructional support to these student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Designing level-differentiated formative assessments or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could be suggested as an option. Third, it was shown that students who took formative assessment in each lesson perceived positive views of it. They mentioned improving English abilities and reviewing what had been learned as some of the beneficial aspects of formative assess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some test items that they wanted to be modified or added. These opinions might be responses reflecting certain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ies and disposition. Thu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mplement formative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of each school. In conclusion, formative assessment has great potential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s well as their attitudes toward learning. As shown in this study, however, some difficulties arise when formative assessment i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If we as teachers try to compensate the defects, formative assessment could function in a way that is helpful to both students and teachers. 형성평가는 교수ㆍ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실시하는 평가 유형으로서, 학습자들의 학습 상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그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교수 전략을 조정하도록 이끈다. 형성평가가 학습자의 읽기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형성평가는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형성평가가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및 어휘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학습자들을 형성평가 실시집단과 형성평가 미실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ㆍ사후 영어 읽기 능력 평가, 사후 영어 어휘 능력 평가, 정의적 태도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형성평가의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연구 질문에 대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 영어 읽기 능력 평가 결과, 형성평가 실시집단의 점수가 형성평가 미실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았으며, 사후 영어 어휘 능력 평가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형성평가가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및 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후 영어 읽기 능력 평가 및 어휘 능력 평가 결과, 상위 수준 학습자들의 경우 형성평가 실시집단과 형성평가 미실시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경우 두 집단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형성평가가 상위 수준 학습자의 영어 독해력 및 어휘력 향상에는 주효했지만,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형성평가가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영어 읽기 학습에 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형성평가 실시집단과 형성평가 미실시집단 간 정의적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형성평가 실시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후 심화 설문에서 거의 모든 문항이 5점 만점에 4점이 넘는 평균 점수를 보임에 따라, 학습자들이 형성평가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영어 교육 현장에 던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형성평가가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영어 어휘력 상승 및 독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외에도 형성평가가 학습자의 영어 읽기 성취도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 형성평가를 읽기 수업에서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후 평가 결과, 형성평가가 상위 수준 학습자들에게는 영어 읽기 능력 및 어휘력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하위 수준 학습자들에게는 효과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형성평가를 수년간 꾸준히 실시했을 경우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가 크게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으므로, 학교 현장에서는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실력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한 수준별 형성평가지 제작, 개별 맞춤식 피드백 제공 등 이들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조금 더 세심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본 연구에서 형성평가 실시집단과 형성평가 미실시집단이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후 심화 설문을 통해 형성평가 실시집단이 형성평가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운 내용 복습, 영어 실력 향상 등을 형성평가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많은 학습자들이 언급하였으나, 일부 문항의 경우 수정 혹은 추가를 원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해당 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수준이나 성향에 따른 반응일 수 있으므로, 단위 학교에서는 각 학교의 실정에 맞게 문항을 제작하여 형성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 만성질환 노인의 복약순응도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고혈압 노인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만성질환 관리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고혈압 노인환자의 복약순응도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건강행태(흡연, 음주, 중등도 신체활동, 걷기)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료패널 2015, 2016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STATA 14.0 프로그램을 통해 양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건강행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복약순응도와 건강행태의 상호작용 항(interaction term)을 생성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복약순응도와 의료이용과의 관계를 확인한 첫 번째 분석 결과, 복약순응도 증가는 의료이용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p<.01), 건강행태를 추가적으로 투입한 두 번째 분석 결과에서 건강행태는 의료이용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세 번째 분석에서는 상호작용 항을 두 번째 회귀식에 추가하여 복약순응도와 입원 및 응급 의료이용과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음주를 제외한 흡연(p<.001), 중등도 신체활동(p<.05), 걷기(입원:p<.05, 응급:p<.001)에서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건강행태에 따라 복약순응도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복약순응도가 입원 및 응급 이용횟수에 미치는 영향은 흡연에 의해 강화되었으며, 중등도 신체활동과 걷기에 의해서는 완화되었다. 추가적으로, 성별에 따라 각 건강행태의 조절 효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여성의 경우 흡연(입원)에서만 조절 효과가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흡연(응급), 중등도 신체활동(입원과 응급), 걷기(입원과 응급)에서 조절 효과가 검증되어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즉, 동일한 건강행태에서도 복약순응도 증가에 따른 의료이용 감소 폭에 있어 성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절 효과의 방향성은 전체 대상자 분석 결과와 일관되었다. 결론적으로, 복약순응도의 영향력은 건강행태 관리를 소홀히 한 집단이 건강행태 관리를 열심히 한 집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건강관리에 소홀한 그룹일수록 복약순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건강 결과가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자의 건강행태와 복약순응도를 함께 모니터링하고 건강관리에 소홀한 그룹을 파악하여 복약순응도의 향상을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만성질환 관리 방안이 고려 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role of health behaviors (smoking, drink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wal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healthcare utilization. Methods: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health behaviors was executed using Stata 14.0 with a sample of 2,147 hypertensive subjects aged 65 and above from Korea Health Panel Study (2015-2016).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by testing interaction predictor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values of the medication adherence and health behaviors. Mean-centering has been completed as a remedy for multicollinearity. Results: The higher medication adherence, the lower healthcare utilization (the lower number of hospitalization and ER visit) (p<.01), whereas health behavior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healthcare utilization. The health behaviors excepting drink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healthcare utilization. The effect of medication adherence on healthcare utilization increased by smoking, while it decreased by moderate physical activity or walking. As a result of dividing the analysis into male and female to determine if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health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in smoking (hospitalization) for female and smoking (ER visit) for male, moderate physical activity (hospitalization and ER visit) for male and walking (hospitalization and ER visit) for male, confirming gender differences. The direc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was the same as that of the overall subject analysis. Conclusions: The influence of medication adherence was greater in the group that neglected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an those who worked hard. This suggests that the more neglected the group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greater the health outcomes obtained through medication adh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patient's health behaviors and medication adherence together and identify groups that are neglected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o encourage improvement in medication adherence. In addition, interventions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should be tailored to the gender specificity.

      • SNS관광콘텐츠 특성이 관여도, 만족도 및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가은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 2019, 이하 COVID-19)로 인해 전 세계적 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고. COVID-19 대유행으로 세계관광의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서 언제 어디에서나 접근이 가능한 SNS를 활용하여 SNS관광콘텐츠 특성이 관여도, 만족도 및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규명을 통해 SNS 관광콘텐츠 개발 및 홍보 네트워크 구축을 함으로써 지역 관광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SNS를 통해 관광콘텐츠를 접했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활용하여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고 배포된 설문지 가운데 데이터 크리닝과 불성실한 표본 제거를 거쳐 최종 233부의 표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SNS관광콘텐츠 특성은 중요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관광콘텐츠 특성은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관광콘텐츠 특성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관광콘텐츠 특성이 정보공유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여도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여도는 정보공유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정보공유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SNS 관광콘텐츠 특성, 관여도, 만족도, 정보공유의도의 관계로만 제한하여 분석하였다. SNS는 사용하는 종류에 따라 다르고, 어떠한 형태로 관광콘텐츠를 접하고 이용했는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SNS의 종류, 관광콘텐츠의 이용 및 경험 등에 따라 비교분석 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에 경제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 40대, 50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SNS의 특성상 10대~30대의 이용자가 많지만 40대~50대 SNS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기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10대~50대 이상의 SNS 사용자를 중심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SNS 관광콘텐츠를 통해 소비하는 목적에 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한다. 단순히 SNS 관광콘텐츠를 접하고 공유하는 것만이 아닌 관광콘텐츠를 통해 소비하는 적극적인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공생을 위한 도심 내 그린인프라 활용 계획에 대한 연구

        김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습지가 경제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매립, 간척사업 등 무분별한 개발로 면적이 좁아지고 오염되면서 사라지거나 훼손되고 있다. 자연환경의 파괴와 사회 환경의 악화를 인식하기 시작한 사람들은 이를 도시문제로 접근하게 되었다. 탈산업화·인구의 정체 또는 감소·도시 팽창의 정지·도심 공동화의 출현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오늘날 수변공간의 도시재생이 화두로 등장했고 수변공간은 더 이상 산업발전을 위한 공간만이 아니라 도시민의 쾌적한 삶을 위한 터전으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도시 이미지의 향상과 경제적 부흥까지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해외에서는 도시 수변공간을 자연생태·레저·관광 등 새로운 복합 기능을 수행하는 친수공간으로 인식 전환을 이루어내고 있고, 워터프런트 조성을 통한 수변재생이 도시재생의 새로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습지는 풍부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수질정화, 자연재해 완화, 휴양기능 등 환경적 사회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닌 유산이다. 그 중 선택한 대상지는 강남구 대치동 탄천 합류부에 있는 곳이다. 대상지는 습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하천주변으로 주거, 상업시설보다 도시부양시설이 다수 설립되어 있어 사람의 손을 크게 타지 않은 곳으로 수변공간 제안에 적합한 위치에 있다. 이를 효율적인 생태서식처로서 보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효율적인 개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대상지의 도시적 맥락과 지리적 특성을 보전 및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경관과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초기의 목적인 생태계와의 공생을 핵심으로 하여 인간의 영역인 문화시설, 습지연구소 뿐만아니라 자연의 영역인 습지 공간을 끌어들이는 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

      • 小湖 金應元의 墨蘭畵 硏究

        김가은 韓國學中央硏究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focused on life and ink orchid paintings of Soho(小湖) Kim Eung-won(金應元, 1855~1921) who had worked during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His clan was Bunseong(盆城)’s Kim, however his family couldn’t be exactly demonstrated because the record of their family tree was lost. Through some records, it is identified that h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Hungson Taewongun(興宣大院君) Yi Ha-ung(李昰應, 1820~1898) like as a master-servant relationship. This paper assumes that their relationship might be formed at the end of his 20s, and it is grounded on the record that he invited to Yi Ha-ung along with Yongsunsa(領選使) in 1882 when Yi had been detained in Pojeong-pu(保定府) in Tian Jin(天津), China. Their relationship seems to develop since 1890’ in that Yi’s stamps had been marked in Kim’s ink orchid painting made in 1893. Kim stayed in Japan for 12 years and 3 months ranged from 1895 to 1907. This fact is identified on the Japanese newspaper that had reported his entrance to the harbor of Nagasaki(馬關). His purpose of going to japan was to study on the business of police department and it could be supposed by the ‘Hwang-sung newspaper(皇城新聞)’, reporting Kim had returned to homeland in October, 1907. In accordance with these facts, this paper could assume that Kim had worked on the duty related to the public safety before he started his career as a professional painter. Kim Eung-won interacted with a number of Korean refugees for 12 years, coming and going to Japan and Korea. According to the related records, Kim was involved in Park Young-hyo(朴泳孝, 1861~1931)’s group who attempted to coup with The Association of Independence, ‘Dongnip hyeophoe(獨立協會)’ during 1897 to 1899. Kim participated in Park’s preparation for the coup. At that time, He did investigate the state of affair in Korean and repor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o Park’s group. In terms of these fac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Kim played a role kind of the political aide of Korean refugees. In 1901, Kim traveled many areas in Japan with Yu Kil-jun(兪吉濬, 1856~1914). They attended in the Japanese art and calligraphy venues(揮毫 會) held by Japanese social influencers such as doctor, soldier and policeman. In the venues, they produced substantial paintings and calligraphies as Japanese requested and it could be an expense for traveling around. These are confirmed by the speculation reports from Japanese and the Yu’s dairy records, ‘Haengsaek(行索)’ and ‘Pukyu ilgi(北 遊日記)’ Also,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painting made by Kim and calligraphy written by Yu is an evidence to the report of their trip and it could be made based upon the tradition of the Japanese art and calligraphy venues. For him, these experiences of 1901 could not only make a number of the combina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with the Korean refugees until he went back to homeland, but also motivate him to hold the exhibition as the first painter of Korea after he returned to homeland. From 1904, Kim was engaged in the group of Son Byung-hee(孫秉熙, 1861~1922) who was the leader of Dong-hak(東學). Son made a close relationship with a few people, who are Jo Hee-yeon(趙羲淵, 1856~1915), Kwon Dong-jin(權東鎭, 1861~1947) and Oh Sae-chang(吳世昌, 1864~1953). Son gathered Korean refugees for his coup and tried to enthrone Ui-hwa gun(義和君, 1877~1955) or Yi Jun-yong(李埈鎔, 1870~1917) who was the grandson of Yi Ha-ung as well as Kim’s master while Kim stayed in Japan. Through a lot of report from Japanese who look on their behavior and the combina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made by them, in 1905, Kim played an active role to make connection between Son’s group and Ui-hwa gun and Yi Jun-yong. It means that Kim did closely interact with Son’s people. While they formed the group and cooperated each other, the combinations of painting and calligraphy was made as the proof of their friendship and Kim always painted the orchids in it. In October 1907, Kim finally went back to homeland. He was appointed to Buchanui(副贊議) of Jungchuwon(中樞院) thanks to his performance as refugee in Japan. However, he resigned from Buchanui right after the appointment by submitting the petition and switched his career to a professional painter. Kim did vigorously take part in a number of groups engaged in contemporary artists and widely contact with the leaders of art at that time. It made him participate in making the co-produced paintings with many artists. By doing so, he also could teach how to paint the ink orchid paintings to the first commissioner of political affairs in Cho-sun, Yamagata Isaburo(山縣伊三郞, 1857~1927). Additionally, Kim was the first Korean painter who held the personal exhibition, living up to the demands of his orchid paintings. In 1918, he became one of thirteen founding members of the Association of Calligraphers and painters ‘Seohwahyoephoe(書畵協會)’ with An Jung-sik(安中植, 1861~1919), Cho Seok-jin(趙錫晉, 1853~1920) and other key artists. On behalf of ‘Seohwamisulhoe(書畵美術會)’, Kim was also requested by the court that let them restore the wall paintings in the Injeongjeon(仁政殿) of Changdukgung(昌德宮). The number of Kim’s ink orchid paintings is about four hundred, but the ones with marked a produced date are 78 paintings and they are generally of the rocks and orchids motif. He painted the ink orchid paintings on his name from the age of late 30’. In Japan, he autographed in his artworks by writing ‘Chosun(朝鮮)’ or ‘Hanseong(漢城)’, which means his native place. After coming back to homeland, he produced about 43 paintings which were marked on dates until he died. This paper mainly inquires his ink orchid paintings with marked dates by dividing them into two periods; the former and latter part of paintings, depending upon the changes of his location through lifetime. The former part of Kim’s paintings can be classified the former and latter period in japan because the paintings clearly changed its style in 1901, when Kim and Yu made a journey together. The former period of paintings made in japan was based on the styles of Yi Ha-ung’s ink orchid paintings such as Nogeunran(露根蘭), orchids with exposed roots, Seokran(石蘭), orchids with rocks, and Bunran(盆蘭), orchids in flowerpot or pot. However, Kim continued to try to his own style by combining two different forms of orchids and taking a diagonal composition with them. In addition, he got together various forms of orchid in th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based on the trend of folding screen at that time and Yangzhou paintings school in Qing dynasty. In the latter period, the ink orchid paintings was produced in the Japanese art and calligraphy venues and changed in its painting technique influenced by the feature of Japanese’s instant paintings(‘席畵’). Kim especially emphasized on the contour of rocks in his paintings, using a thick darkened ink and restrained the technique of drawing orchids. He also renewed his prior style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es by adapting Zheng Xie(鄭燮, 1693~1765)’s and Zhao Zhiqian(趙之謙, 1829~1884)’s styles. Likewise, he was willing to respond to Japanese’s request for his paintings, producing a pair of the Japanese traditional golden six folded screens. This paper analyzes his autographs and stamps used in the paintings depending upon periods and establishes the criterion that can suppose the date of producing paintings, which were unknown exactly. The latter part of Kim’s paintings was applied to the contemporary art trend in Korea. Kim embraced various styles such as Zheng Xie, Luo Ping(羅聘, 1733~1799) and Jeong Hak Kyo(丁學敎, 1832~1914) and applied to make his own style in especially the rocks and orchids paintings. He also made the forms of rock diversified and used them to make the folding screens in response to the popular demand of his painting through his personal exhibition. In this period, his rocks and orchids paintings were harmonized by thick and watery ink, representing properly the volume of rocks. Especially, the two kinds of composition in his rocks and orchids paintings were repeatedly used; one is ‘the two-level composition’ that the screen is separated into two levels by rocks situated in the middle-edge of screen and the other is ‘the cliff composition’ that represents orchids growing upside-down from the steep cliff. Kim used to do utilize these compositions very frequently. Thus, his ink orchid paintings have some limitations due to these tedious repetitions. Although his paintings have a drawback in the style, the typical composition of rocks and orchids paintings achieved that the compositions spread to the artworks of latter artists submitting their ink orchid paintings to ‘The official art exhibition of Chosun(朝鮮美術展覽會)’. In accordance with the art trend of that time, featured with the pursuit of the aspiration for longevity and decorative properties, Kim painted Jiran (芝蘭), orchids with Lingshi mushroom and the colored orchid paintings. Kim produced Jiran in the purpose for celebrating one’s 60th birthday and new year day, praying for someone’s healthiness. He also usually used to cite Zheng Xie’s poem that the Ki(氣) of rocks and orchids can lead to longevity and it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art trend. Kim did positively accept the idea that the orchid is bloomed in the deep valley, usually used by Yangzhou paintings school. He painted the ink orchid painting presented that the orchid is placed on the deep places of valley. By doing so, he could go forward to express a pictorial nature and escape from Yi’s style. 《Ten-panels Folding Screen of Rocks and Orchids》, Kim’s representative work, is successfully implemented that the orchids and rocks are spectacularly placed as if the orchids blooms in the rocky mountain. Through this, Kim can be evaluated that although he only focused on the ink orchid painting which is a typical and traditional theme, he always tries to find the new way of orchid painting in the contemporary art trend. Furthermore, this paper tries to verify the hypothesis about the date of producing Kim’s masterpiece 《Ten-panels Folding Screen of Rocks and Orchids》. Through a various analysis in terms of the style, the masterpiece might have been made around 1914, and it is certainly his sole artwork unlike what had been assumed that it might be a collaboration with Cho Seok-jin. This paper tries on to look through Kim’s activities and artworks, but it cannot reveal most of his lifetime because of the shortage of records. About these unrevealed things, I hope the additional records are found and proceed to the complementary research. Hopefully, this paper will be some help to advance the studies of modern artists’ yet unrevealed. 본 논문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활동한 小湖 金應元(1855~1921)의 출신 및 행적과 묵란화를 고찰한 것이다. 김응원의 본관은 盆城金氏로 족보가 유실되어 정확한 가계 파악은 어려우나 구전되는 바와 같이 興宣大院君 李昰應(1820~1898)의 傔人이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본고에서는 김응원이 1895년 金奭準(1831~1915)과 함께 訪日하여 현지 인사와 교류한 사실이 기록된 『龍文會雜誌』와 일본 관헌의 在日 조선인 시찰기록인 『要視察韓國人擧動』 및 그의 귀국사실을 보도한 『每日申報』 기사 등을 종합하여 서화가로 활약하기 이전 하급 무관직에 종사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1882년 김응원은 김석준과 李載德(1845~1912)을 따라 保定府에 억류되어있던 이하응을 문후하는 연행에 참여하여 적어도 20대 후반부터 이하응과 관계를 맺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시찰기록을 비롯한 문헌사료에서 김응원을 이하응의 嫡孫 李埈鎔(1870~1917)의 從員으로 보고한 기록과 1893년작 〈石蘭圖對幅〉에서 확인되는 이하응 詞句印 날인 및 관서를 정황증거로 하여 1890년대에 이르러 이들이 긴밀한 관계에 놓여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김응원은 1895년 7월 말 도일하여 1907년 10월초 최종 귀국하기까지 약 12년 3개월에 걸쳐 일본에 체류하였다. 김응원의 도일 배경은 그의 입항 사실을 보도한 『神戶又新日報』 기사와 동시기 朴泳孝(1861~1939) 일파를 시작으로 다수의 관료와 왕족들이 국내 정세를 피해 일본으로 망명한 사실, 그리고 시찰 보고에서 김응원이 박영효 일파에 소속되어 망명자 집단의 정변모의에 가담한 정황 등을 근거로 박영효 일파를 따라 일본으로 망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도일 직후부터 현지인에게 묵란화를 그려주거나 다양한 조선인 망명자들과 교류하였고 1897년부터 1899년까지 독립협회와 함께 정변을 주도한 박영효 일파의 인물로 인식되면서 망명자 집단에 국내 정세를 알리거나 독립협회와의 교섭에 투입되기도 하였다. 1901년 김응원은 俞吉濬(1856~1914)과 함께 일본의 여러 지역을 유람하고 일본인이 주최하는 揮毫會에 참석하여 席上揮毫를 폄으로써 체재비용을 마련하였다. 이는 시찰 보고서와 당시 상황을 기록한 유길준의 『行索』 및 『北遊日記』를 통해 확인된다. 그리고 일본의 書畵會 전통을 배경으로 유길준과 함께 제작한 1901년의 書畵合璧들은 이후 시기 다수의 망명객과 서화합벽이 보다 빈번히 제작되는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응원은 1904년부터 동학교주 孫秉熙(1861~1922)와 그 일파인 趙羲淵(1856~1915), 權東鎭(1861~1947), 吳世昌(1864~1953) 등과 교유하면서 이들이 주도하는 재일 망명자 세력 규합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1905년부터는 이들과 깊은 관계를 맺게되면서 義和君 李堈(1877~1955)과 이준용을 이들 세력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였다. 이 시기에 걸쳐 오세창과 조희연, 권동진 등 다수의 망명 인사들이 題를 더한 서화합벽들은 당시 상황을 입증하는 증거일 뿐만 아니라 모임을 기념하기 위한 친목의 증표가 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1907년 10월 초 최종 귀국한 김응원은 재일기 활약에 힘입어 이듬해 中樞院 副贊議에 임명되었으나 사임하고 직업 전문서화가로 입지를 전환하였다. 그는 1910년대부터 문예단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화단을 대표하는 서화가들과 다수의 합작도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초대 政務總監인 야마가타 이사부로(山縣伊三郞, 1857~1927)에게 난법을 전수하였으며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内正毅, 1852~1919) 등의 일본인 유력 인사와 서화합벽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 아울러 그는 한국인 화가로는 최초로 개인 전람회를 개최하여 각계각층의 서화청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하였다. 1918년 화단의 원로가 된 김응원은 安中植(1861~1919), 趙錫晋(1853~1920) 등과 함께 書畵協會를 창립하며 말년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 나갔으나 향년 67세를 일기로 1921년 10월 7일 생을 마감하였다. 김응원의 묵란화는 대부분 石蘭 형식으로 수 백 여점의 작품이 전한다. 그는 30대 후반부터 자신의 이름으로 묵란화를 그리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재일기 기년작은 35점이고 1907년 귀국한 이후부터 몰년까지의 기년작은 43점이 확인된다. 본고는 기년작을 생애 주거지 변화와 화풍을 기준으로 하여 전기 묵란화와 후기 묵란화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김응원 묵란화풍의 연원에 있어서는 이하응의 石坡蘭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시기가 올라가는 묵란화들을 살펴보면 1890년대 초반 석파란 화풍의 특징과 이하응 묵란화에 날인된 사구인 및 제화시 활용 양상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기년은 없으나 초기작으로 추정되는 墨蘭畵帖 들은 錢載(1708~1793)와 羅聘(1733~1799) 등의 묵란화첩과 金正喜의 《蘭盟帖》, 그리고 『芥子園畵傳』 「蘭譜」 등과 다양한 영향관계가 확인되는데, 이로써 그가 석파란이라는 한 가지 준거에 얽매이지 않는 화학수련 과정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전기 묵란화는 유길준과 일본을 유람한 1901년을 기점으로 분명한 양식적 변화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재일 전반의 묵란화와 재일 후반의 묵란화로 나눌 수 있다. 재일 전반의 묵란화는 난법은 기본적으로 석파란을 따랐으며 이하응의 사구인을 模刻하여 날인하면서도 두 가지 다른 형식의 묵란화를 조합하고 이를 대각선으로 배치하는 구성의 묘를 보였다. 그리고 연폭 병풍에 묵란화 형식을 종합함으로써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재일 후반의 묵란화는 1901년 즉석휘호 활동 경험을 통해 席畵 제작 특징에 영향을 받아 간일한 농묵을 사용하여 바위의 윤곽을 강조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당시 청대 서풍이 유행했던 일본 書壇을 배경으로 鄭燮(1693~1765)과 趙之謙(1829~1884)의 서풍을 수용하여 제화시 서풍을 일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일본의 전통적인 金裝屛風에 묵란화를 그리고 서예를 하여 이를 한 쌍의 병풍으로 만든 예를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書畵風 변화와 함께 재일기 號印과 姓名印의 사용례를 분석하여 제작시기를 알 수 없는 재일기 묵란화의 편년 기준을 제시하였다. 후기 묵란화에서는 귀국 이후 정섭과 나빙 등의 揚州畵派의 묵란화풍과 丁學敎(1832~1914)에 의해 창출된 근대기 괴석도 화풍을 수용함에 따라 ‘小湖蘭’으로 일컬어지는 석란화풍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완성된 석란화풍을 다변화하여 서화시장의 일반화된 병풍수요에 대응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김응원의 석란화는 潤墨과 淡墨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바위의 양감을 자연스럽게 구현하였고 석파란의 2단 구도를 계승하여 변형을 가미했으며 立式 혹은 疊式 괴석을 활용하거나 양주화파의 ‘深谷幽蘭’ 이미지를 수용하여 懸崖蘭을 다양한 경물과 결합하는 등의 특징을 지닌다. 한편 김응원은 화단의 새로운 경향에 발맞추어 길상성이 강조된 芝蘭圖와 淡雅한 채색을 특징으로 하는 彩色蘭圖를 제작하였다. 특히 그는 채색난에서 화훼화로서의 사군자화라는 시대 양식을 토대로 자신만의 화풍을 이룩하였다. 마지막으로 소호란의 진수를 대표하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石蘭圖10幅屛》는 ‘深山幽谷에 핀 蘭’을 대작의 연폭 화면에 구현해 냄으로써 이하응의 ‘空谷幽蘭’에 안주하지 않고 묵란이라는 전통적 소재를 회화적으로 극대화한 역작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본고에서는 양식 비교를 통해 그 제작 시기를 1914년경으로 판단하였다. 이로써 필자는 김응원을 난이라는 전통적 소재를 전문으로 하였음에도 변화를 거부하지 않으며 근대기 난 그림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끊임없이 연구한 화가로 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