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자태권도 경기에서 체급별, 회전, 공격유형별 선제득점이 경기결과에 미치는 영향

        권혁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03년 전국체육대회와 '2003년도 우수선수선발대회에 출전한 여자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초 469경기를 분석하여 선제득점에 따른 체급별, 회전별, 공격유형별 경기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선제득점에 따른 각 체급별 평균 승률은 핀급의 경우 76.2%며, 3회전(100%)과 근거리공격(100%)에서, 플라이급은 67.1%며, 3회전(85.7%)과 선제공격(84.4%)에서, 반탐급은 58.8%며, 3회전(66.7%)과 선제공격(62.5%)에서, 페터급은 75.0%며, 3회전(100%)과 근거리공격(100%)에서 선제득점을 획득했을 시 승률이 높게 나타났다. 라이트급은 69.5%며, 1회전(82.5%)과 근거리공격(100%)에서, 웰터급은 66.7%며, 1회전(77.8%)과 근거리공격(100%)에서, 미들급은 62.3%며, 3회전(100%)과 선제공격(76.9%)에서, 헤비급은 76.1%며, 1회전(80.0%)과 근거리공격(100%)에서 선제득점을 획득했을 시 승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태권도 경기에서 선제득점이 발생한 경우 각 체급별로 획득 시기(회전)와 방법(공격유형)에 따라 승률(%)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태권도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각 체급별 경기운영 방법을 제시하는 등 경기운영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중소규모 사업장의 밀폐공간작업 안전사고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권혁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밀폐공간작업의 안전수준을 파악하여 일반 산업재해보다 사망사고 발생률이 높은 밀폐공간 내의 질식사고, 가스중독사고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는데 있다.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 제정 이후에도 산업재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밀폐공간 안전사고는 감소하지 않고 있다. 밀폐공간작업에서 발생 하는 사고는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는데 그 이유로는 2차재해의 발생이다. 밀폐공간작업 사고자의 구조를 위해 진입한 구조 자 까지 재해를 당하는 2차 재해의 빈도와 사망률이 높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밀폐공간 작업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와 충북지역 사업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별 안전보건수준과 근로자 안전의 식을 살펴보고 밀폐공간작업 안전사고를 저감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의 규정에 의하여 사업장별 안전보건 관리자를 지정하여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관리 책임자를 보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조사대상 사업장에서 안전보건 관리의 업무를 겸직하는 사례는 37%였고 외주관리에 의존하는 사업장도 39% 로 파악되었다. 안전보건교육, 밀폐공간작업 교육, 작업 전 교육 및 작업장 관리에 있어 전담 관리자가 상주하여 근무하는 것 보다 겸직 형태의 안전보건 관리는 소규모 사업장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고 관리의 맹점이 확인되었다. 안전보건관리자의 지정과 교육의 확대, 외주관리의 실정에 부합한 안전보건 대행업체의 업무 전문화, 협의체 점검 강화를 통한 사업장 관리는 밀폐공간사고 예방에 유효한 요소가 될 것이다. 둘째, 밀폐공간작업의 특성상 발생하는 사고는 중대재해가 빈번한데 특히 소규모 사업장 일수록 그 작업환경은 열악하다. 밀폐공간작업의 빈도수가 낮은 사업장 일수록 관리의 소홀로 연결되어 사고의 위험은 증대 되었다. 밀폐공간작업장 관리에 있어서 소규모 사업장에서 실행 가능한 작업환경측정과 위험성평가의 도입이 필요하다. 안전보건 관리자는 밀폐 공간작업의 위험성을 사전에 파악하고 작업 전 안전보건 교육에 반영하여 밀폐공간에 대한 관리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 셋째,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밀폐공간작업에 필요한 안전보호장구와 유해가스 농도 측정기, 산소농도 측정기를 구비하지 않은 사업장이 38%로 조사되었고 그 이유로는 작업 대비 높은 구매 및 관리 비용이었다. 산업 안전보건공단에서 장비대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85%의 조사대상 근로자가 이용해 본적이 없다고 하였으며 이용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4% 에 불과하였다. 밀폐공간 장비대여 프로그램 이용성 제고를 위하여 사업장 규모별 대여 규정을 명시하여 영세한 사업장일수록 사용이 용이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외주업체에 의한 밀폐공간작업 사업장도 46%로 조사되었 는데, 외주 공사업체의 자격여건 강화와 작업 전 교육, 작업허가서의 제출 및 승인 시스템을 보완하고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to reduce the risk of suffocation and gas intoxication in confined spaces with a higher rate of death accidents than general industrial accidents by understanding the safety level of confined space work at small and medium sized workplaces. After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nacted in 1981, industrial accidents continue to occur and confined space safety accidents are not decreasing. Accidents arising from confined space operations have unexpected consequences and its reason is the occurrence of secondary disasters. Secondary disaster where the rescuer who ente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ccupant in confined space also gets disaster are high in frequency and mortality rate. Therefore, in this paper, a theoretical review on the closed space work and a survey on the workplaces in Chungbuk area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aims to review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at each workplace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of workers and look for ways to reduce safety accidents in confined work spaces. First, according to the Article 15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 safety and health manager for each workplace is designated to assist the employer or the manager in charge of technical matters related to safety. It was found that 37% of the employees in the surveyed workplaces were responsible for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nd 39% of workplaces were dependent on outsourcing management. In term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closed space work training, training before and after work and workshop management, concurrent type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ends to increase in small businesses compared to that a dedicated manager is working and the blind spot of management was identified. Design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r and expansion of education, work specialization of safety and health agency in line with the outsourcing management’s reality, workplace management by strengthening inspection of consultation committee will be effective factors in preventing confined space accidents. Second, due to the nature of the confined space work, the accidents that occur are serious disasters and especially, the small the workplace, the poor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lower the frequency of confined space work, the greater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the negligence of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and "risk assessment"that can be carried out in a small workplace in the management of closed space workplac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r should increase the level of management of the confined spaces by identifying the risks of confined space work in advance and incorporating them into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before work. Third, 38% of workplaces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were surveyed not equipped with safety protective gear, harmful gas concentration meter, and oxygen concentration meter which are required for confined space work and the reason for this was higher purchase and management costs compared to the work.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gency operates equipment lending programs, but 85% of surveyed workers said they have never used them, and only 4% of them have used it. In order to improve the availability of the confined space equipment leas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ntal regulation by the size of the workplace and improve the ease of use for the small business workplaces. As the workplace of the confined space work by subcontractors were surveyed 46%, strengthening of the qualifications of outsourcing companies, training before work and supplementing of the work permit submission and approval system should be made and these should be applied on the field.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장애인활동지원사를 중심으로

        권혁조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ajor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and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to look for ways to increas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The factors affec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are categorized as personal factors and job-related factors. Personal factors include self-esteem and emotional empathy. Job-related factors include job stress and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8 personal assistants from 5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gen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288 cases who sincere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e analysis utili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in Daejeon is at an intermediate level, and ability of resposibility perception is the highest among sub-parameter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erms of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personal assistant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are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Second, among personal factors, emotional empath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uman rights sensitivity. Among job-related factors, higher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and higher job stress appeared to have a low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Third, with regard to sub-parameter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men are higher than women in ability of situational perception. Emotional empathy has a positive effect on ability of situational perception and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ability of situational perception. Women are higher than men in ability of consequence perception and self-esteem has a positive effect on ability of consequence perception.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ability of responsibility percep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requency and cont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the evidence that the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affect the enhancement of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In the case of continuing education, human rights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at least once a year as compulsory education. However, the frequency of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and conducted at least twice a year. Education should heighten the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increasing concentration and participation in human rights education using issues such as the disabled abuse case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that may occur in actual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based on relation to the research results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t is required to find out how to reduce job stress when assistants provid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e disabled. Furthermore, stress caused by role conflicts should be eliminated by preventing work requests related to the user’s family such as housework. The ambiguous role of the assistants should be reduced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in the provision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job stress caused by excessive work. One way to do so is to match users according to the job intensity that each personal assistant for the disabled can handle. Third, the employee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gencies for the disabled needs to be supplement and their human rights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Since the agency is understaffed, it focuses on fraudulent payments, which are critical to its operation rather than human rights. Human rights-related tasks, such as counseling and management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are carried out individually by employees without dedicated personnel. To improv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human rights awareness and sensitivity of employees at personal assistance agencies, and if possible, assign middle or higher managers as human rights managers. Fourth,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higher human rights sensitivity as they have more work experience. So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m with care workers or social workers.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salaries and benefits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and prevent unreasonable extor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when providing services. Furthermore, the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the personal assistants by preparing an immediate support system in case of such situations. Fifth, human rights education materials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the Daejeon Association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Provider should be used to improve the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of the assistants for the disabled. Providing information on actual cases, such as accidents and troubles caused by abuse of the disabl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or other regions to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expected to have a similar effect to human rights education. Moreover,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istributed on a quarterly or semi-annual basi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s for the personal assistants. 본 연구는 인권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사회환경과 관련하여 장애인의 인권 침해 예방 및 권리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연구를 함으로써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감수성(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을 종속변수로 하여, 인구사회학적요인(성별, 연령, 학력, 근무시간, 근무경력)을 통제변수로 한 상태에서 개인요인(자아존중감, 정서적 공감능력)과 직무요인(직무스트레스, 인권교육 경험효과)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변수들이 인권감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기관 5개소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명의 결측인원을 제외한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288명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설문 내용을 SPSS 18.0을 이용한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지역의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감수성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는 책임지각능력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인권감수성은 5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장애인활동지원사가 2년 미만 경력의 장애인활동지원사보다 인권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권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요인 중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인권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요인 중에서는 인권교육 경험효과가 높으면 인권감수성이 높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권감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권감수성의 하위차원을 세부적으로 보면 상황지각에서는 남성일수록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상황지각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지각에서는 여성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결과지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지각에서는 인권교육 경험효과가 높을수록 책임지각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교육 경험효과가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감수성을 높이는데 영향이 있으므로, 보수교육 시 인권교육의 횟수 및 내용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보수교육의 경우 현재 연 1회 이상 의무교육으로 인권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데, 연 2회 이상 의무교육으로 교육 횟수의 증가가 필요하다. 내용과 관련해서도 실질적인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중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장애인 학대 및 인권 침해 사례와 같은 이슈를 통해 인권 교육에 대한 집중도 및 참여도를 높여, 인권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권감수성이 낮아지는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 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공식적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외 이용인의 가족과 관련된 가사활동과 같은 업무를 요청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해야 하며, 이를 통해 역할 갈등으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공 내용과 관련된 교육을 지속적으로 하여 장애인활동지원사로서 역할이 모호한 것을 줄여야 하고, 장애인활동지원사별 서비스 지원 가능 직무 강도에 따른 이용인을 매칭하여, 과도한 업무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활동지원기관 직원의 충원 및 인권에 대한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기관의 직원이 부족하여 인권보다는 기관 운영에 중요한 부정수급에 대한 부분을 중점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인권과 관련한 업무에 대해서는 전담인력 없이 직원들이 개별적으로 장애인활동지원사에 대한 상담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인권과 관련된 업무를 병행하여 하고 있다.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장애인활동지원기관 직원의 인권의식 및 감수성을 높여야 하며, 가능하면 중간관리자급 이상의 직원을 인권담당자로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인권감수성이 높게 나타나는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근속연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먼저,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처우실태에 대한 연구조사를 실시하여 요양보호사나 사회복지사 등과 같은 사회복지 관련 직종의 종사자와 근무환경 및 처우 등과 같은 부분에 대해 비교분석을 해야 할 것이다.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급여 및 복지혜택을 향상시키고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제공 시 부당한 강요 및 인권침해 등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등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민연금공단 및 대전시활동지원제공기관협의회 등의 인권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교육 경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전광역시 또는 타 지역의 장애인 학대 사건과 같은 실질적인 사례에 대한 정보를 장애인활동지원사에게 제공하는 것은 인권교육과 유사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분기 또는 반기별로 장애인 인권과 관련된 내용의 교육자료 배포하여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권교육 빈도수를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

        권혁조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그동안 생활규범ㆍ양식 및 가치관이 크게 변화되면서, 이에따라 소비자들의 기호 및 소비행태 또한 급변하고 있다. 재래시장은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소매유통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여러 요인들과 환경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여 쇠퇴를 거듭하고 있다. 재래시장을 살리기 위한 정부나 기관들의 정책 및 지원 방안들이 여러 방면으로 제시되거나 추진되고는 있으나 자생하기 위한 상인들의 밑받침이 없이는 결코 재래시장은 활성화 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래시장의 역할과 그 특성, 재래시장의 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외의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의 대한 사례를 살핀 뒤에 현재 처해있는 재래시장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여 재래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래시장 활성화를 기하기 위하여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즉 편의시설 개선과 운영과 관리, 판매 및 마케팅, 그리고 재개발과 관련된 것으로 구분지어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첫째, 재래시장이 대형유통업체와의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저렴한 가격 유지와 지역특산물 또는 지역풍물 중심의 시장으로서의 정서. 문화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친밀성을 최대한 강조하여야 하면 구매행동의 거리와 시간이 짧고,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근접성 등 입지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는 재래시장 상인들의 의식변화가 필요하다. 상인들에 대한 적극적인 의식개혁교육을 시행하여야 한다. 상인들 또한 이러한 문제에 공감대를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 등 얼마나 적극적으로 받는가에 따라서 재래시장의 장래가 달라 질 수 있다. 셋째는 재래시장 활성화는 소비자의 잠재적 욕구를 사전에 파악하고 앞서서 소비자를 리드해나가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종합형 군집화를 바탕으로 인접 점포끼리 공동화, 조직화, 협업화 등을 통해 유사업종끼리 상품의 공동구매, 공동물류, 공동창고 운영, 공동판촉 등 공생적 마케팅 전략을 추진하고, 틈새시장 전략 혹은 점포의 차별화 전략을 모색해 나가야 하며, 지방자치단체나 시장번영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재래시장 살리기 캠페인을 벌려 나가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래시장의 환경개선 사업지원에 있어서 국비 지원율을 높여 위기에 몰려있는 재래시장의 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Consumer preference and trends have dramatically changed as life culture, standards and values changed in a modern society. Although traditional markets have had critical roles in retail sales for a long time, they keep going down as they failed to deal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changes. Though many policies and plans for activating traditional markets are being suggested or launched, it would never be activated without merchants' suppor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role, characteristic and the environment of traditional markets. By examining cases concerning how to activate traditional market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recognizing problems they are facing now, we suggest ways to activate traditional markets. Therefore, we divided into 4 categories and suggested how to activate traditional markets. In other words, we developed ways to activate traditional markets by dividing into categories involving in improve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sales and marketing, and redevelopment, respectively. First, in order to compete with large distributors, traditional markets should mostly focus on intimacy as a place for cultural, mental interchanges and as markets based on, above all, keeping competitive prices and local products. Also, they should make good use of locational advantages such as accessibility which makes purchase behavior more easily done. Second, merchants in traditional markets need to change their consciousness. Active eduction must be conducted to reform their consciousness. The future of traditional markets possibly depend on how active education is done to them, because sellers also sympathize on these matters. Third,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s must have a role in leading consumers and examine their potential needs(appetite). Stores need to launch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joint purchase among similar type of business, joint logistics, joint management of a warehouse and joint promotion through joint business, systematization and cooperation among nearby stores and also need to find out distinctive ways or niche market strategy. Local government and market promotion association should keep holding campaigns for activating traditional markets. Finally, the threatened environments and conditions of traditional markets need to be improved through an increase of government's support.

      • 멀티플렉스 시대 : 한국영화배급업의 현황과 그 전망

        권혁조 國民大學校 綜合藝術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영화산업은, 한국현대사만큼이나 격랑과 역동의 시기를 거쳐왔으며 그 변화는 2004년 이 시점에도 현재진행형이다. 영화를 예술이나 문화상품이 아닌 국민 통제의 한 수단으로 인식했던 국가권력에 의해 자본 구조가 왜곡되고 '하나의 산업'이라 부를 수 없을 만큼 산업적 건강성이 피폐해졌던 1960년대와 1970년대, 역시 국가간 경제 논리에 의한(1988년 한미영화협상) 영화 시장 개방 이후 물밀 듯이 밀려들어온 외국 자본(할리우드 메이저)과, 하드웨어 시장의 우월적 지위 확보를 목적으로 한 삼성, 대우, SK 등 대기업들의 소프트웨어 시장 진출로 촉발된 초기 산업화 시대인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쳐, '멀티플렉스'라 대표되는 복합위락공간을 앞세워 '영화' 자체라기보다는 '원 소스 멀티 유즈'의 오락거리와 문화적 향유감을 팔며 영화 산업 전체를 수직계열화하는 제일제당, 동양 등의 새로운 대기업들이 등장한 현재까지, 국내 영화산업의 역사는 권력과 자본 이동의 역사라고도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변화 과정은 일반적 자본주의 사회의 발달양태와도 상당히 흡사하다. 순수 예술이냐, 대중 예술이냐의 문제를 떠나, 문학, 음악, 미술 등의 개인예술과는 달리 자본집약적이고 인재집약적인 영화의 특성상,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영화산업구조가 위에서 언급했듯 자본의 소유와 이동에 의해 재편되는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특히나 사회가 고도 산업화 될수록 산업 내 권력의 주체는 생산자가 아니라 자본가가 될 수밖에 없다는 건 자명한 사실이다. 국내 영화산업도 제작업에서 유통업으로 그 권력의 무게 중심을 옮긴지 오래다. 과거 영화 제작(혹은 감독)가 영화 산업의 꽃이라 불렸던데 비해, 지금은 '배급'이 영화산업의 핵심이라 불리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고, 이런 권력의 이동은 산업적 변화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변화도 불러 일으켰다. 기획 영화 시대의 도래, 마케팅 혹은 개봉 비용의 상승, 영화 장르의 규격화, 스타 시스템 구축 등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이런 시대적 변화가 국내영화산업을 바람직한 모습으로만 바꿔놨던 것은 물론 아니다. 물론 주먹구구식의 영세 자본에 의해 모든게 결정되던 1960-1970년대에 비해 산업적 안정성과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건 사실이지만, 영화의 고도 산업화는 자본주의 사회의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부작용을 불러 일으켰다. 영화 제작 현장의 생산 당사자들은 철저히 소외된 자본의 재편은, 영화산업의 파이가 아무리 커져도 자본가의 이윤만 불려놓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심화시켰으며, 소수 대기업들의 영화 제작, 투자, 배급, 상영 전 분야의 수직계열화 시도로 인해 영세한 충무로 토착 자본이 완전 붕괴될 위험에 처했으며, 오로지 자본의 논리로만 움직이는 대기업들에 의해 영화의 문화적 측면은 철저히 배제되고 산업적 측면만 강조돼, 영화가 더 이상 '문화'나 '예술'이 아닌 '산업'으로만 존재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물론 영화를 영화가 아닌 '국가 권력의 도구'로 이용당한다는 데 대한 자괴감이나, 국내영화산업이 완전 붕괴돼 산업이 아니라 '가내 수공업' 정도의 수준으로 전락하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같은, 과거 영화계의 근심거리와 비교하면 배 부르고 속 편한 소리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에서 산업의 중심이 '생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옮겨가듯, 국민들의 관심사가 '생존'에서 '삶의 향유'로 옮겨가듯, 사회 발달에 따른 영화산업 구조 내 문제점의 변화는 당연한 것이며, 이를 고민하고 해결하려 노력하는 것은 영화 산업 종사자들의 당연한 책무일 것이다. '독과점'과 '토착 자본 붕괴', '문화의 다양성 훼손'이라는 말로 대표되는 현 '멀티플렉스 시대'의 영화산업을, 산업적 혹은 문화적으로 건강하게 만들 수 있는, 혹은 만들어야 하는 주체는 물론 영화인 자신들이며, 이를 뒷받침해야 할 책임이 있는 것이 정부다. 자본의 논리로만 움직이며 자기들끼리 과다경쟁을 일으켜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식으로 영세자본을 죽이고 문화를 규격화하고 있는 '멀티플렉스'의 대기업들은 한번쯤은 자신들의 사회적 책임을 환기하고 공존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이런 대기업들의 수직계열화에 편승하려고만 애썼던, 혹은 편승 못해 붕괴될 위험에 처했던 충무로 토착 영화인들은 영화산업 전체를 안팎으로 자정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물론 그들은 자본에 휘둘릴 수 밖에 없는 약자이지만, 그와 동시에 영화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생산자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대기업들의 일방적 수혜만 손 놓고 기다릴 것이 아니라 '독과점 방지' 등의 합법적 방법을 통해 혹은 세제 혜택 등의 제도적 지원을 통해 대기업들의 자발적 노력을 유도해야 할 것이며, 충무로 토착 자본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과 주류에서 벗겨나 있는 예술영화나 독립영화에 대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이런 삼자의 노력만이, 역사적 굴곡 속에서 끊임없이 존폐 논란을 불러 일으키면서도 버텨온 국내 영화산업이 단순한 생존을 넘어 건강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 햅틱 디스플레이의 사실감 향상을 위한 접촉모델에 관한 연구

        權赫祚 全北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develops a contact model for a haptic display. It effectively compute a contact force to be reflected to a human operator. In developing it, a proxy concept and a Karnopp friction model are utilized. A proxy is a kind of virtual object. If a proxy does not contact with a virtual object, it moves in the 3D virtual space without any constrains according to the operator command. However, if it contacts with a virtual object, it is constrained by the surface of the contacting virtual object without regarding to the operator command position which can be inside the contacting virtual object. When it contacts a virtual object, a contact force is occurred. The magnitude and orientation of the contact fo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proxy center position and the operator command position at each time step. The magnitude of the contact force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roxy center position and the operator command position. The vector connecting the operator command position to the proxy center position represents the orientation of the contact force. The Karnopp friction model is used to displa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roxy and a virtual object, which are sliding against each other. It is a function of relative velocity. It considers the relative velocity between two contacting objects to be exactly zero if the relative velocity is lower than a certain level. This scheme makes it possible to represent a stick-slip friction without having a difficulty due to numerical stiffness. This dissertation develops a teleoperation system for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contact model for a haptic display. It is composed of a master manipulator, a slave manipulator and a real-time controller. A position-force control algorithm is developed to manipulate the teleoperation system. The slave manipulator moves according to the master manipulator's position command. The master manipulator gets a force information reflected from the slave manipulator. A master manipulator local controller is also developed for coping with positional error due to difference in mobility between the master and slave manipulator. Experiments are conducted using the developed teleoperation system to identify workpiece characteristics such as stiffness and frictional characteristic. A method is presented to compute the workpiece stiffness. It utilizes the pressing force and deflection measured at the end-effector of the slave manipulator. In experiments for identifying a workpiece frictional characteristic, the slave manipulator rubs a workpiece with an arbitrary pressing force. While the slave manipulator rubs a workpiece, a vertical and a tangential force are measured simultaneously using a force sensor attached at the end-effector of the slave manipulator. The ratio of a tangential force to a vertical force is considered as representing frictional characteristic of the workpiece. The identified workpiece characteristics are used as the parameters of the developed contact model for the haptic display. Haptic display experiments are conducted under various situations using the developed teleoperation system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contact model. Experiment results of the haptic display show that the developed contact model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haptic display reality. It also shows that the developed contact model allows the human operator to feel the stiffness characteristic, frictional characteristic and roughness of a virtual object.

      • 한국 전자제품 수출 마아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권혁조 광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최근의 기업 은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기술적 요인 등에 의하여 그 변화가 급속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절하게 적응하기 위해서 각 기업에서는 수출 마아케팅이 절실히 요구된다. 수출 마아케팅은 기업활동의 국제화 과정중에서 기본으로 수출제품이 그 주요대상이 되고 시장이 외국이라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출마아케팅은 국제화 시대의 확산추세에 즈음하여 수출 마아케팅의 중요성에 따른 전략적 가치는 채산성 있는 외국의 신시장의 개척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제 한국의 전자제품의 수출 마아케팅 활동은 국제경쟁력에 대응하는 전략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출 마아케팅 전략의 문제점을 마아케팅 기능별로 분류하여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측면에서 보면 한국 전제제품이 국제시장에서 이미 성장기나 성숙기에 접어들어 급변하는 신기술에 의한 신제품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둘째, 가격측면에서 보면 전자제품의 가격설절은 수익성 자체보다는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세째, 영업측면에서 보면 한국 전자제품 수출업체는 각종 영업활동의 국제화가 부족하고 시장도 어느 특정지역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네째, 유통측면에서 보면, 한국 전자제품의 시장 세분화가 저급품시장이나 중급품시장 중심으로 되어 있으며 유통체제가 이에 편중되어 있어 제품 포지셔닝에 약점이 많다. 그러므로 한국 전자제품의 성공적인 수출을 실현하기 위하여 앞에서 서술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현황을 정확히 분석하여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합리적인 수출 마아케팅 전략의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마아케팅의 기능인 4P's 측면에서 한국 전자제품 수출기업의 수출마아케팅 전략지의 제반 실태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아케팅 전략의 이론을 고찰한 후 관련문헌 및 설문지조사를 통하여 세계전자시장의 현황 및 동향을 분석 평가 하였다.

      • 韓國電子産業의 國際競爭力 決定要因에 關한 硏究

        권혁조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자산업은 기술집약적이고 기술혁신속도가 빠른 산업으로서 타산업 기술과의 융합화를 통하여 산업전체의 경쟁력의 요인을 제공하는 기간산업이다. 한국전자산업은 대규모 조립생산 및 수출로 한국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국내 최대의 수출산업이 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밖으로는 보호주의의 강화, 급격한 환율변동, 그리고 안으로는 최근의 높은 임금상승등 대내외 교역환경이 급변하였다. 이러한 대내외 경영환경의 변화는 우리나라 전자산업의 수출입구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국제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요인들을 식별하고 결정요인을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당면과제이다. 이러한 연구과제에 입각하여 국제경쟁력향상을 위한 한국 전자산업의 경쟁력 변수들의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터(Porter)가 제시한 국가경쟁력 모형을 기업 외적 요인으로 보고, 기업내적 요인으로 기업경쟁력을 구분하여 국제 경쟁력 결정요인 분석을 위한 틀로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외 정부 및 연구기관의 각종 통계 및 조사자료와 연구논문들을 다각도로 분석하였으며,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국가경쟁력 결정요인과 기업경쟁력 결정요인의 중요성 인식에 대해서 업종과 경쟁력에 따라 상이한 평가를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기업경쟁력 평가에 있어서도 가전 업종이 타업종보다 상대적으로 기업경쟁력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 업종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가경쟁력 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경쟁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t-test를 실시한 결과 정부의 역할등이 특히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경쟁력에 대한 t-test결과는 기업의 신기술을 통한 생산능력 향상과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경쟁력 인식에 따른 국가경쟁력의 평가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기업경쟁력이 높을수록 국가경쟁력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어 일단 기업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전체적인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일차적인 단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실제적인 경쟁우위의 진단이 어려워 경쟁우위 측정은 문헌연구로만 보강하였고 경쟁력을 관리자 및 경영자의 평가에 의존하여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향후의 연구로는 위에서 파악한 여러 경쟁요인들이 기업의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조사가 요망되고 있다. Electronics industry is unique in the intensity and rate of innovation of the technologies involved. It is a fundamental industry that provides a nation as integration of its technologies with others often gives birth to new value and wealth. More significantly, it is an industry that leads high growth of an advancing information society. Under this context, it is remarkable that the electronics industry has become the single largest export industry of Korea based largely on labor intensive ventures such as volume exports of large scale assembly products. Electronics industry today is leading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The rules of business, however, is changing: Rising protectionism overseas. fluctuating foreign exchange ratio and soaring labor cost are some of the more visible changes. These changes in management surrounding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seem to have affected the import/export structure of our electronics industry as well. It is, then, an impending task to secure means to further foste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industry, by sorting out major determinants. With the task in mind, this study endeavors most of all to analyze the competitive variables of the industry and to present its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the industry. This study assumes Michael Porter's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Model as external factors affecting companies. A company's own competitive advantage has been differentiated as internal factors and were employed as a frave upon which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The study relied mainly on literature survey. Statistics and other research data published by Korean and other government offices/institutes were widely refenced as well. In addition,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means of field survey. With regard to the perceived level of significance of the determinants of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 nation and a company, survey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level differs from one industry to another as well as from one level of competitive advantage to another. In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mpanies' competitive advantage,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companies in consumer electronics business perceive themselves to be more competitive than outer. For an evaluation of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a T-test was conducted for two artificial groups of companies; one with high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other with low advantage. The test revealed that policy roles of the government serves as significant factor. Another T-test on companies's competitive advantage indicates that most important are the role of top management as well as commitment to enhancing production capability by mea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survey conclusively asserts that companies with higher competitive advantage rate the national advantage high, too. A natural deduction is that the ultivate step in promoting the overall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of a nation is to support competitive advantage of companies. There is a major limit to this study: Due to the difficulties in rating actual competitive advantage, the study obtained relevant information from literature. Company executives were also referred to in determining the comparative competitive advantage. Further research should be directed toward observing, by empirical means. how the competitive determinants thus identified affect business performance of companies.

      • 産業災害 豫防을 위한 安全敎育에 관한 硏究

        권혁조 명지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dustrial accident of late is increasingly coming to the front as a serious problem of society because a scale of industrial accident is a large size, and the powerfulness, while the percent of accident is decreasing as a result of industrial facilities with the largeness of equipment, automation, and high horsepowering. The causes of accident occurrence increase, vary, and the forms of it assume a new aspect due to the newly change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This demands that we should acquire the knowledge and concrete technology to adapt new one in order to cope with the above mentioned things effectively. Primarily a problem of education causes the accident, which forms over 65 percent of accidents. To prevent this, i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at labor and management realize the inspiration of safety consciousness along with the necessity of safety activity, and on the basis of them the one and the other must construct a system of self safety control that settle a safety to the people in our society. The spher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basic theory on industrial accident to establish accident prevention policy by examining closely the causes which give rise to the accident of industry and safety control. A means for this does grasp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factor by way of analyzing the causes of accident through statistical data of labor Department, emphasizing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being helpful to act safely by decreasing insecure activity which ranks the majority of accident causes with putting the education program, form, method into practice that are suitable for a place of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