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V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분석 : -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

        권진아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초록 TV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분석 -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 권 진 아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TV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나아가 TV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적절한 아버지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1. 예절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2. 식사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3. 배변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4. 청결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1-5. 수면지도 장면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지도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5년 1월 4일부터 2015년 4월 26일까지 총17편을 시청하여 44개의 지도 장면을 추출, 총 91분 27초(1시간 31분 27초)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였다. 전사 자료는 기본생활습관장면에 따른 아버지의 지도전략과 영유아의 반응으로 범주화 되었다. 범주에 맞춰 정리된 자료를 각 분석 준거별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고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고자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 육아예능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전략으로는 직접적인 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지도전략 중에서 직접적 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분명한 설명’과 ‘단호한 지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명한 설명’의 하위 범주로 제안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설득하기가 나타났다. ‘강화’에서는 칭찬・보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단호한 지시’의 하위 범주 중에서 명령・지시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결과 적용, 활동 중지 순으로 나타났다. 간접적 지도에서는 ‘주의환기’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기본생활습관 지도 전략에 따른 영유아의 반응으로는 수용적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거부적 반응, 반문적 반응, 관련 없는 반응 순으로 나타났다. 수용적 반응 중에서 ‘순응적 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상황적 수용’ 나타났다. 거부적 반응에서는 ‘소극적 거부’가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각 지도 전략에 따른 수용적 반응은 칭찬・보상, 주의환기, 명령・지시하기, 제안하기, 설득하기, 화내기, 결과 적용 순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각 지도 전략에 따른 거부적 반응은 벌주기, 활동중지, 위협하기, 결과적용, 화내기, 제안하기, 명령・지시하기, 설득하기, 칭찬・보상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 경력단절여성의 문화적 자기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조절효과

        권진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35-44세 초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문화적 자기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조사를 병행하여 256명의 경력단절여성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체성-대상성 자기, 다중역할계획태도,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으며 응답자료는 SPSS 22.0와 SPSS macro program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주체성 자기관은 정적으로, 대상성 자기관은 부적으로 심리적 안녕감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중역할계획태도 지식/확신성, 몰입, 개입은 모두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중역할계획태도 지식/확신성과 개입은 주체성 자기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몰입과 개입은 대상성 자기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력단절여성의 문화적 자기관에 따라 다중역할계획태도를 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함을 시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elf-constr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areer interrupted women aged from 35 to 44 who graduated from college. 256 Participants completed the Cultural Self construal Scale: Subjective, Objective, and Autonomous Selves, Attitudes Toward Multiple-Role Planning (ATMR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22.0 and SPSS macro program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 revealed that subjective self, objective self and subscales of ATMRP which are Knowledge/Certainty, Commitment and Involvement all showed a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Knowledge/Certainty and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Commitment and Involvement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differentially adapting attitudes toward multiple-role planning according to cultural self construal of the career interrupted women.

      • 집단미술치료가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내적통제와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

        권진아 경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비행청소년의 재비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경기도에 소재한 한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그들의 내적통제와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들 중에서 일 년 이상 입원결정을 받은, 10호 처분 중인 청소년 6명을 의뢰받았다. 연구기간은 2011년 3월 8일부터 2011년 6월 28일까지였으며 매주 1-2 회기씩 약 60분 총 16회기 동안 집단미술치료를 소년보호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심리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집단미술치료 전, 후의 내적통제와 우울, 불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내적통제는 Rotter(1996)의 내외통제 성향 척도 “Inter-External Control Scale"을 차재호, 공정자, 김철수(1973)가 번안한 내적통제성향척도를 사용하였다. 우울, 불안은 Achenbach (1991) 가 11세~18세 청소년을 위하여 개발한 미국판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를 한국판(오경자, 이혜련, 하은혜, 홍강의, 1997)으로 개정한 K-YSR(Korean-Youth Self Report)을 사용하였다. 투사검사로 내적통제의 정도의 변화와 우울·불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빗속의 사람(PITR)을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내적통제를 향상시키는 것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단 미술치료를 통하여 삶의 주인은 자신이라는 것과 자신의 행동을 자신이 선택하므로 자신의 행동의 책임은 자신에게 있음을 인식함으로 인한 내적통제의 향상을 의미한다. 이는, 대상자들 자신들이 성취욕구와 즐거움의 욕구가 충족되면서 사회성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게 되어 바람직한 선택을 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 있는 행동을 하는 데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움으로써 내적통제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아진다. 둘째,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불안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우울·불안의 사전,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우울·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부정적 감정이 심화된 상태에서 미술을 통한 자기표현은 스스로의 성취표현의 결과이며 여기에 타인과의 의사소통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집단치료를 더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부정적 사고의 감소로 우울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고 보아진다. 또한, 내적통제와 우울·불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투사검사로 빗속의 사람 그림을 비교한 결과 사전·사후 검사에서 내적통제의 향상과 우울·불안의 감소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집단원들은 언어순화의 노력과 밝은 표정으로 상대방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집단 미술치료는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내적통제와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다양한 감정의 조절이 가능하고 외부통제로 인해 재비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재비행을 방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일 사례이며, 비행의 원인마다 해결할 수 있는 전문적인 방법이 다르므로 모든 비행청소년에게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진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experience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art therapy and 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nd then, to make image of emotions suppressed within their inner side in visualized works of art in order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ir world. To this end, it inte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various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by a narrative inquiry way focusing on human experience for recomposition and to provide overall understanding materials to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help active interaction with the mothers in treatment of disabled children.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ho went to the ○○ Children Development Center in M city for treatment.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about 4 months from July to October 2016 and the main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ation of art therapy program for 13 tim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process was recording of participants' works and interviews,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such data as field diaries of the researcher. The experiences in art therapy by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I thought it had nothing to do with me>, <Everything is regrettable>, <I thought walking would solve everything>, <I am worried about future of this and that>, <Disabled child is burdensome>, <First-born child weighs on my mind due to younger disabled brother>, <My power, my family>, and <I dreamed a comfortable life>.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A bolt out of the blue>, <Why only do I have to live like this>, <Even though eyes on disabled children become better>, <To send disabled child to a special school at last>, <You are my destiny>, <I thought it would be all right>, <I do not deserve him>, and <Investment for me> while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How do I bring up my child?>, <Has the God abandoned me?>, <Arrows to me>, <Painful fingers>, <Fear not to know when it comes>, <Baby, don't worry anything>, <I dreamed a trip with my family>, and <I will reach maturity as much as I am painful>. The meanings of art therapy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s mothers we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class is time for me only. Second, I express and accept my emotions through works of art. Third, I find importance of family members who share human feelings in my life. Fourth, I discover myself forgotten for a while and dream my future. According to above narrative inquiry, implications of art therapy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s mother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had a process of revealing their own life through experience in works of art. Second, eyes concentrated only on disabled children moved onto other family members causing them to find out meaning of family. Third, they attempted positive separation of their living from the one closely tied to disabled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내면에 억압되어 있는 감정을 시각화된 미술작품으로 이미지화 하여 그들의 세계를 좀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있고 재구성 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풀어내면서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다양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나아가 장애아동 어머니에 대한 전반적 이해자료를 제공하여 장애아동 치료에 있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아동발달센터에 치료를 다니고 있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들 3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 동안이었으며, 주된 자료수집방법은 13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심층 면담을 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의 작품과 면담 녹취, 연구자의 현장일지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해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은 다음과 같다. A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나랑은 상관없을 줄 알았다>, <모든게 후회>, <걷기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어중이 떠중이 앞날이 걱정되다>, <장애아들이 버겁다>, <장애동생 때문에 못 누리는 첫째가 걸림>, <나의 힘, 내 가족>, <여유가 있는 삶을 꿈꾸다> 였다. B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 <왜 나만 이러고 살아야 되나>, <장애인에 대한 시선이 좋아졌다지만>, <결국은 특수학교에 보내다>, <너는 내 운명>, <괜찮은 줄 알았는데>, <내게는 과분한 사람>, <나를 위한 투자>이며 C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어떻게 애를 키우지?>, <하나님이 나를 버리셨나>, <나를 향한 화살들>, <아픈 손가락>, <언제 올지 모르는 두려움>, <그대여 아무 걱정 하지 말아요>, <가족과 여행을 꿈꾸다>, <아픈만큼 성숙해진다> 이었다. 이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첫째, 미술치료 시간은 오직 나를 위한 시간이다. 둘째, 미술작품으로 나의 감정들을 드러내어 수용하다. 셋째, 나의 삶속에 희노애락을 함께 하는 가족의 소중함을 발견하다. 넷째, 잠시 잃어 버렸던 나를 찾고 미래를 꿈꾸다. 이를 통해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살펴 본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함의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삶을 드러내는 과정이었다. 둘째, 장애아동에게만 집중되어 있던 시선이 다른 가족들에게도 향하게 하여 가족의 의미를 되찾게 하였다. 셋째, 장애아동과 밀착된 삶에서 긍정적인 분리를 시도하였다.

      • 비대칭얼굴에따른 교정메이크업연구

        권진아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에 이르러 외모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성형수술이 대중화되었으나 수술의 위험성 및 비용의 문제 때문에 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또한 많은 실정이다. 이와는 반대로 메이크업의 경우 위험감수 및 경제적 부담의 문제가 없어 거의 대부분의 여성들이 메이크업을 활용하여 자신의 외모를 가꾸고 있다. 얼굴비대칭이 심한 여성들의 경우 자존감이 하락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얼굴비대칭 유형별 비대칭 교정 메이크업 방법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얼굴비대칭을 보완할 수 있는 메이크업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비대칭 유형별 비대칭 교정 메이크업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30대 여성 8명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얼굴비대칭을 보완할 수 있는 메이크업을 실시하였고 연구를 통해서 비대칭얼굴을 메이크업을 통해 대칭으로 보이는 테크닉을 얻었다. 비대칭 얼굴 메이크업시술 과정으로 첫째, 눈썹은 아이브로우 섀도우와 내추럴브라운 펜슬로 미니자를 이용하여 이마 눈썹 앞머리 눈썹산 측정후 뼈대 양쪽 0.2cm 대칭 교정 눈썹 디자인하면 대칭으로 보이게 할수 있었다. 둘째 눈매는 왼쪽, 오른쪽 양쪽 밸런스 맞추고 아이라이너 붓펜슬로 눈매교정 잡았고 비대칭 눈매 밸런스를 맞추기위해 눈앞머리에 가닥 속눈썹을 눈앞 머리부터 속눈썹 8mm 길이 2가닥 붙이고 속눈썹 9mm 눈꼬리 연결하여 5~6가닥 붙여서 눈매교정 하였다. 셋째, 콧대는 T존 부위 콧대 하이라이터로 콧대를 높여보이는 착시효과를 주었고 코 컨투어링으로 콧대선이 날렵하고 콧대 높아보이게 왼쪽 오른쪽 비대칭 콧대를 맞추었다. 넷째 입술은 0.2cm 비대칭 입술라인을 컨실러를 이용하여 라인을 잡아주고 연누드 핑크로 인커브나 아웃커브로 양쪽 입술꼬리 디자인 잡아주고 입술 교정 하면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 얼굴윤곽은 모델 1은 긴얼굴형 모델 2는 각진얼굴형 모델 3은 각진얼글형 모델 4는 긴얼굴형 모델 5는 둥근얼굴형 모델 6은 둥근얼굴형 모델 7은 각진얼굴형 모델8은 마름모얼굴형으로 왼쪽, 오른쪽 어느쪽 사각턱이 더 발달되어 있는지 미니자로 사이즈를 측정 후 스틱쉐딩 파운데이션으로 밸러스가 더 큰부분에 바르고 스펀지로 펴바른다. 쉐딩팩트 이용하여 양쪽 밸런스 맞춰주고 얼굴형 갸름해보이고 작아보이게 착시효과를 주어 대칭으로 보이게 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모델 8명에게 비대칭얼굴 메이크업연구 촬영 후 만족도를 조사해 보았을때 8명 중 5~6명은 시술과정 방법처럼 쉽게 따라할 수 있다. 4~5명은 연구하면서 메이크업 시술과정을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았지만 같은 제품으로 따라하기에 어려움이 있는것이로 파악되었다. 지속적인 전문가 조언이 필요할것으로 파악되었다. 얼굴비대칭 교정 메이크업 실시 후 각 모델의 메이크업 전과 후 사진을 촬영하고 전체적인 얼굴과 함께 얼굴 부위별 확대 사진을 제시하여 메이크업 효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하여 시술테크닉의 타당성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비대칭으로 화장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과 얼굴비대칭인 사람을 대상으로 메이크업을 실시해야 하는 메이크업 전문가에게 적절한 메이크업 방법을 제시하고, 관련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과 메이크업 서비스 현장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주요어: 메이크업, 얼굴비대칭, 안면비대칭, 얼굴형 메이크업, 윤곽메이크업 In modern times, interest in appearance is increasing, and plastic surgery has become pop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there are also many negative perceptions about it because of the risk and cost of surgery. Conversely, in the case of makeup, there are no risks and financial burdens, so almost all women use makeup to improve their appearance. In the case of women with severe facial asymmetry, self-esteem decreases and stress is frequent.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present asymmetric corrective makeup methods for each type of facial asymmetry, so the study of makeup methods that can compensate for facial asymmetry was set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this study, 8 women in their 30s were selected to suggest asymmetric correction makeup methods for each type of facial asymmetry, and makeup was applied to them to compensate for facial asymmetry. got it As for the asymmetric face makeup procedure, first, the eyebrows were made symmetrical by using eyebrow shadow and a natural brown pencil to measure the forehead, eyebrows, bangs, and eyebrow peaks and then design the symmetrical correction eyebrows on both sides of the skeleton by 0.2cm. For the second eye, the left and right sides were balanced and the eyes were corrected with an eyeliner brush pencil. . Third, the bridge of the nose gave an optical illusion of raising the bridge of the nose with a highlighter on the bridge of the nose in the T zone, and the asymmetric bridge of the left and right was matched to make the bridge of the nose look sharp and high with nose contouring. For the fourth lip, it was concluded that the 0.2cm asymmetric lip line was lined using concealer, and the design of both lip tails with soft nude pink in-curve or out-curve and lip correction was achieved. The last face contour is Model 1 with a long face, Model 2 with a square face, Model 3 with a square face, Model 4 with a long face, Model 5, with a round face, Model 6 with a round face, Model 7, with a square face, Model 8, a rhombus. Measure the size with a mini ruler to see which square jaw is more develop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ace shape, apply the stick shading foundation to the larger area and spread it with a sponge. The shading pact was used to balance both sides and gave an optical illusion to make the face look slimmer and smaller to make it look symmetrical. In this study, when 8 models were surveyed for their satisfaction after taking asymmetric facial makeup study, 5-6 out of 8 models can easily follow the procedure as in the procedure method. 4-5 people received help from experts in the makeup procedure during the study, but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follow the same product with the same product. It was identified that continuous expert advice would be required. After applying facial asymmetry correction makeup, before and after makeup of each model was taken, and the overall face and enlarged pictures of each part of the face were presented to present the makeup effect objectively, suggesting the validity of the procedure technique.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n appropriate makeup method to makeup experts who need to apply makeup for those who have difficulties with makeup due to facial asymmetry, and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lated research and makeup service sites. did. Key words : Makeup, face asymmetry, facial asymmetry, face shape makeup, contour makeup

      • LED전구 활용수업이 초등학생의 전기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권진아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현재 전기회로 실험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꼬마전구는 오래된 조명도구로 전기효율이 떨어지고, 온도에 따라 전류의 세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밝기도 고르지 않다. 그리고 곧잘 불량품이 생기기 때문에 실험 전, 실험 중에 교사가 세심하게 불량품을 골라내야한다. 또한 필라멘트 꼬마전구는 극성이 없어 전지의 +, - 극만으로 전류의 방향을 지도해야하거나 추가로 LED를 도입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현재 조명으로는 거의 활용되지 않는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최신 기술을 소개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학생의 전기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전기회로 실험도구는 실험결과를 명확히 보여주고, 불량률이 적으며, 최신 기술을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필라멘트 꼬마전구의 대안으로 LED전구를 전기회로 실험에 도입하여 기존의 전기회로 실험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LED전구와 필라멘트 꼬마전구의 광학적 특성 비교하여 LED전구가 필라멘트 꼬마전구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밝히고, 전기단원을 재구성하여 개선된 실험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의 전기 과학 개념이해도 향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ED전구와 필라멘트 꼬마전구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LED전구의 성능이 필라멘트 꼬마전구보다 훨씬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LED전구의 밝기가 필라멘트 꼬마전구보다 밝고 빛 밝기가 균일하였다. 또한 극성이 있는 LED전구를 전기회로 실험에서 사용하여 학생들은 전기회로에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아는 동시에 전류가 흐르는 방향도 알 수 있게 된다. 둘째, LED전구를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전기개념 이해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ED전구와 필라멘트 꼬마전구를 모두 접하게 한 다음 서술형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LED전구가 실험결과를 더 잘 보여주고, 최신 과학기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평가하였다. *본 논문은 2016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 구성차원에 관한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인식유형 비교연구 : Q방법론의 적용

        권진아 동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cognitive types of quality in servic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gnitive type by applying Q methodology with users and offer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As the results, the study could sort them into three kinds of offerer types- ‘Type emphasizing specialized, sympathized and continuous programs’, ‘Type emphasizing sympathy with specialty’ and ‘Type emphasizing a quick reaction in service’- and three kinds of user types- ‘Type emphasizing externality and continuity of program’, ‘Type emphasizing sympathy’ and ‘Type emphasizing approach. The study proposed three kinds of research questions. As the results, there were dimensions of quality in service of only social welfare differing from profit-making organizations since specialty, continuity and approach were induced out of offerer types and user types. Sympathy and continuity were common elements between offerer types and user types in a dimension of quality in servic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On the other hand, offerer types emphasized specialty and user types emphasized approach and externality. Therefore, there were differences in cognitive types about dimension of quality in service between offerers and users.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fully utilized as basic data for diverse and systematic endeavor to measure and improve quality in service suitable to real condition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by increasing understanding about subjective attitudes and characteristics of dimension of quality in servic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Keyword: Community welfare center, quality in service, dimension of quality in service, Q methodology, cognitive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