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게임 서버를 위한 성능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권주현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저자인 권주현이 논문을 쓴 이유로, 온라인 게임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온라인 게임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게 된 시점이며, 본 논문에서는 게임 서버의 성능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물리적인 서버 1대당 게임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동시접속자 3000 ~ 5000명의 서비스를 처리 하게 되는데, 게임 서버의 접속 장애 또는 게임 플레이시에 발생하는 장애, 데이터베이스 에러에 대한 장애 판단 및 처리는 게임운영그룹에서 관리하게 되며 신속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임 서버의 서버군 및 접속 채널을 디자인 하게 될 경우, L4 스위치 장비의 비용 부담 때문에 라운드로빈 기능을 이용하지 못하고 서버군, 채널을 유저가 직접 선택해서 입장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서버군 별로 설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캐릭터 정보에 대해서 서버군 별로 공유가 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능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도록 하고 기존 게임 서버에 대한 장애 판단 처리 절차, 그리고 성능 관리 시스템 도입시에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운영그룹 변경 절차 및 접속자에 따른 라운드로빈 기능과 게임 서버별 시스템 모니터링, 리소스 모니터링, 사용자 세션 관리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a game, an each physical server processes about 3000 to 5000 concurrent users. A game operation group handles access error to a game server, errors that occur while playing games, decision making of errors or process, but its handling is not quick enough. In a case of designing an access channel or a server group of a game server, the Round Robin function cannot be utilized due to the cost burden of L4 switch equipment, and rather suggests users to directly select between a server group and a channel. Servers cannot share characters' information, as each server is designed differently. The study describes details pertaining to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a functional management system. Also researches on error determination processing on existing game servers, operational group changing procedure to provide effective service when a functional management system is introduced, as well as the Round Robin function according to logged in users, system monitoring by game server, resource monitoring, and user session management plans.

      • 초기경전에 나타난 언어적 갈등에 대한 불교상담적 적용가능성 연구

        권주현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auses of linguistic conflicts and how to resolve them through the teachings of Buddha, and based on this, to discuss the role of counselors who deal with linguistic conflicts of clients in Buddhist counseling. This paper explains the causes of linguistic conflicts and their resolution through the teachings of Buddha by referring to the Pali texts. First of all, the meaning and types of conflict were examined in the Pali dictionary·Early Buddhism to clearly divide the scope of linguistic conflicts. Then, the meaning of terms such as diffuseness (papañca), latent passion (anusaya), speculativeopinion (diṭṭhi) and ideation (saññā), which were found to be the causes of linguistic conflicts in Early Buddhism were examined. From this, resolutions of linguistic conflicts was explained by verifying the definition of terms including right view, right thought, right sati and right language which constitute the Noble Eightfold Path. Linguistic conflict refers to a problem which occurs during the communicative process that uses language, and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auses and resolution of these linguistic conflicts relate to Buddha’s teachings. Lastly, when consulting with clients in regard to their linguistic conflicts, the attitude which a counselor holds was briefly suggested by applying practical language and contextual language, which are a systematic view on nature of language in Buddhist counseling,

      •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주현 목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노인복지 연구와 실천에서는 사별에 따르는 애도감정이 독거노인의 성공적 노화 특히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와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전, 충북, 충남 등 3개의 지역에 위치한 20개의 노인복지관에서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중에서 최근 4년 이내에 사별을 경험한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23명에 대해 완료한 조사자료를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는데, 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은 자아통합감에 의미 있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낮을수록 자아통합감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애도감정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비공식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공식적 지지가 높을수록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의 애도감정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 모두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종교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은 줄어들었으며, 실존적 안녕감이 높아질수록 살아남은 독거노인의 죄의식을 유발하여 애도감정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해볼 때,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애도감정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와 영적 안녕감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인복지실천이 필요하다. 독거노인의 애도감정을 경감을 위해서는 사별에 따르는 부정적 감정을 해결하기 위한 개인 및 집단정신치료 프로그램, 자조집단 프로그램, 죽음 준비교육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사회적 지지의 강화를 위해서는 비공식적 지지 체계의 기능 강화, 경로당 및 노인복지관 중심의 자조모임 활성화, 노인돌봄서비스 등의 공식적 지지 체계의 개선 등이 요구된다. 영적 안녕감의 제고를 위해서는 지역 종교기관과 협력 및 연계체계 구축, 통합적 사례관리서비스의 강화등이 요구된다. * 핵심이 되는 개념: 독거노인, 자아통합감, 애도감정, 사회적 지지, 영적 안녕감, 조절효과

      • 일본 마을만들기에 나타나는 집단과 개인 : 집단주도에서 개인주도의 네트워크형 마을만들기로의 변화

        권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bond of traditional community groups has been weakened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informatization. In Japan, however, the community building based on a local community is still active in the twenty-first century. Does it mean the continuity of traditional communities or citizenship associations in Japanese modern society? This article defines the Japanese community building as interactions among various political actors, rather than traditional community activities, and examines the variation of interactions according to social and institutional changes. Previous studies do not provide the variety of community building, because those studies only focus on the traditional community groups. Therefore, this article would focus on various actors and discuss the role of individuals in community building, instead of organizations, through the Network Community Building emerged after 2000. This article categorizes the Japanese community building based on the interaction of actors. The first criteria is the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which is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o classify the community building. It shows whether it is the state or local which set the community building agenda. The second is the ‘organization oriented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individual oriented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approach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individual which is hardly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nd shows how much the political influence of individuals is reflected in community buildings. Based on these two criteria, we could develop the three types of Japanese community building. The first type is the State-led Community Building. In the State-led community building, the central government monopolize resources and lead the community building by injecting resources through the loc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does not have autonomy and depends on the central government to decide on the budget or policy direction. Neighborhood associations are also mobilized to imply policies and do not have enough political authority to set local agenda. Chonaikai, which means a neighborhood association in Japanese, represents the government rather than local residents. Individuals are controlled by Chonaikai and they do not hav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opinion to the government. The State-led Community Building is characterized by the hierarchial control and top-down politic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local government, neighborhood associations, and individuals. The second one is the Co-Governance Community Building. This type is based on the bottom-up policy making process, which means that interactions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neighborhood associations decide the local policies. With the enactment of new legislations, the local government get political autonomy independ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neighborhood associations and other civic organization also get more authority. The power of central government becomes weak compared to the State-led community building. The Community building of Yufuin, located in Oita Prefecture, shows how local residents form civic organization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building to improve local and their own benefits and how the local government support them in institutional and financial aspects. However, individuals who do not support the civic organization which lead the community building could not hav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building. The last type is the Network Community Building represented by the case of Niseko town in Hokkaido. In the Network Community Building, individuals become main actors instead of organizations such as neighborhood associations and local government. The community building is regarded as the process of organizing local network through the interaction of individuals who pursue their own value. Therefore, each resident can independently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building process. Local government staffs also recognize themselves as an individual member of community, not as a representative of local government who pursues organizational interests, and personally interact with residents. Furthermore, the local community does not mean the physical group based on habitation, but the epistemic organization which includes whole individuals linked with local community. The Network Community Building contribute to maintain the local community by developing personal attachment and ownership on the community.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 등으로 인하여 현대 사회에서는 전통적 공동체의 유대감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 사회에서는 21 세기에 들어서도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마을만들기’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렇다면 현대 일본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마을만들기를 전통적 지역 공동체 혹은 시민들의 자발적 결사체 활동의 지속으로 보아야 하는가. 본 논문은 마을만들기를 전통적 공동체가 주도하는 활동이 아닌 다양한 정치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으로 바라보고, 사회적, 제도적 배경의 변화에 따라 그 상호작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그 동안의 마을만들기 논의가 주민 조직 중심으로 진행되어 다양한 마을만들기의 형태를 설명하지 못하였음을 지적하고, 2000 년대 이후 등장한 네트워크형 마을만들기를 통하여 주민 조직이 아닌 개개인의 의식 발현에 기반한 마을만들기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기준에 의거하여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에 따른 마을만들기의 유형을 분류한다. 첫 번째 기준은 마을만들기의 유형을 나눌 때 주요 기준으로 적용되는 ‘상향식 의사결정’과 ‘하향식 의사결정’이다. 이는 마을만들기의 어젠다가 국가에 의해서 형성되는가, 지역 사회에서 결정되는가를 살펴볼 수 있다. 두 번째는 ‘집단주도 의사결정’과 ‘개인주도 의사결정’이다. 이는 기존 논의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집단과 개인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마을만들기에 있어 개인 행위자들이 정치적 영향력을 얼마나 발휘하는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일본에서는 세 가지 형태의 마을만들기가 나타난다. 첫 번째로는 국가주도형 마을만들기이다. 국가주도형 마을만들기는 중앙 정부가 독점적으로 자원을 보유하고, 이를 지방 정부를 통해 지역에 투입하는 형태로 마을만들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방 정부는 정책결정에 있어 자율성이 적으며, 예산과 정책 방향 설정을 중앙정부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인다. 주민조직 역시 중앙 정부의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동원되며, 자발적인 아젠다 설정 권한은 미미하였다. 조나이카이로 대표되는 주민 조직들은 주민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역할이 아닌 정부의 시책을 대변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주민 조직은 개개인을 관리하였으며, 개인들이 자신의 의견을 정부에 전달할 수 있는 통로는 마련되지 못하였다. 국가주도형 마을만들기는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 주민 조직, 주민 개개인에 이르는 하향식 통제와 정치 영향력에 기반하여 이루어졌다. 두 번째는 협치형 마을만들기이다. 협치형 마을만들기에서는 지방 정부와 주민 조직의 상호작용을 통해 마을만들기의 방향이 결정되는 상향적 의사결정 과정이 이루어진다.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정부로 이양시키는 제도적 정비를 통하여 마을만들기 추진을 위한 자율성을 확보하였으며, 시민 단체 및 주민 조직들 역시 이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법안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지방정부와 상호작용 할 수 있게 되었다. 중앙 정부의 경우에는 국가주도형 마을만들기에 비해서는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축소되었다. 오이타현 유후인의 사례에서 나타나듯이 주민들은 지역 사회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주민 조직을 형성하여 적극적으로 마을만들기를 수행하였으며, 지방 정부는 이를 제도적, 재정적 차원에서 지원하였다. 그러나 마을만들기를 주도하는 주민 조직의 뜻에 동조하지 않는 개인들이 마을만들기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는 미비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네트워크형 마을만들기이다. 홋카이도 니세코정의 사례로 대표되는 네트워크형 마을만들기는 주민 조직과 같은 집단이 아닌 주민 개개인이 주체가 되어 마을만들기를 주도한다. 주민들이 각자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 나가면서,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이라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이 곧 마을만들기이다. 따라서 주민들은 개별적으로 마을만들기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며, 공무원들 역시 지방정부라는 집단의 목표에 기반하여 행동하는 것이 아닌 지역의 일원으로 주민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마을만들기를 추진한다. 또한, 지역 공동체의 개념 역시 거주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물리적 공동체가 아닌, 지역과의 연결고리가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동체의 일원으로 포함될 수 있다는 인지적 공동체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형 마을만들기는 주민들에게 지역에 대한 애착심과 주인의식을 심어줌으로써, 지역 사회 를 유지해 나가는데 기여한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8종 수학교과서 비교·분석 : 중학교 수학② 삼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권주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8 kinds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 first analyze motivations in the introduction in each textbook. We then study how they motivate students by Keller's ARCS model. We also compare and analyze mathematical creativity in each textbook following Sun-Ha Im's creativity DESK model.

      • 리모델링을 위한 업무용 건물의 입면유형별 에너지소요량 분석

        권주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recently set goal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is seeking solutions to realize them through various policies and actions. The Paris Climate Agreement(2015), in which 195 countries participate, aims to tackle climate change by lower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South Korea, one of the members of the this, also declared its 'vision'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Global Alliance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 announced through Global Status Report 2017 that energy consumption per unit area of ​​the building sector should be increased by 30% compared to 2015 by 2030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Paris Climate Agreement. In addition, in 2019, New York City announced a plan to remodel existing building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regulations as part of the 'Green New Deal' to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crisis and curb greenhouse gas emissions. According to such social demand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energy saving plan when remodeling old office building.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design decisions by analyzing and deriving the existing elevation types of office buildings for remodel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each type, and pred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planning and energy when remodeling elev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o reduce the buildings' energy consumption through remodeling of office buildings and seeks a remodeling plan for more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depending on the elevation type of office buildings, by analyzing the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a remodeling plan reflecting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The remodeling scale of office buildings was set through remodeling related regulations and prior research, and window-to-wall ratio, which affects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among other design elements applied to remodeling, was set as a variable for remodeling. In addition, the criteria for preventing heat loss, which changes depending on the time of completion and remodeling, were applied as a research condition. As for the analysis model for the simulation, an outline was prepared by selecting old office buildings located in Gangnam-gu, Seoul, and the elevation types of office buildings were classified as (a)skylight type/(b)horizontal band window type/ and (c)vertical band window type. Through Design Builder simulation, energy consump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modeling scale and a change in window-to-wall ratio, and energy consump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type of office buildings by remodeling plans. The results of simulat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all elevation types, the window-to-wall ratio was reduced, and the remodeling method of replacing the exterior including outer walls and windows showed the most efficient energy saving rate. Through this remodeling plan, it is possible to reduce annual energy consumption by about 11% for all three elevation types. Second, office buildings with a vertical band window type have lower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rate than office buildings with skylight type and horizontal band window type, and have the most disadvantageous elevations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among other elevation types. Third, the curtain wall type remodeling with the replacement of the exterior shows about 6% reduction in energy consumption in all elevation types. When planning the the curtain wall type remodeling, it is desirable to separately take into consideration a factor that can reduce excessive inflow of solar radiation in summer. Fourth, the energy consumption in office buildings is more affected by the performance and composition of windows than by the exterior walls. In the remodeling of office buildings, the single replacement that is expected to most effectively reduce energy consumption is changing windows. This study analyzes the predicted energy consumption in remodeling pla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elevation types in office building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analysis because the economic conditions that occur during remodeling were not ref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rounding buildings and roads was not considered. In the future, continuous research on remodeling plans including design elements that affect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is needed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on plans for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when remodeling office buildings. 최근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행동으로 해법을 찾아가고 있다. 195개국이 참여하는 파리기후협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추어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파리기후협약 당사국인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목표인 ‘탄소중립 비전’을 선언하였다. 세계건물건축연합은‘지구 상황 보고서 2017’을 통해 파리협정의 기후변화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건물 부문의 단위면적당 에너지소비량을 2030년까지 2015년 대비 30% 향상해야 한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미국 뉴욕시는 2019년, 기후 변화 위기에 대처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는 ‘그린뉴딜정책’의 일환으로 기존 건축물도 개정된 규제에 맞추어 리모델링 하는 방안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노후화된 업무용 건물의 리모델링 계획시 에너지 절감 계획 수립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을 위한 업무용 건물의 기존 입면유형을 분석·도출하여 각각의 유형별 에너지 소요량을 비교·분석하고, 외피의 리모델링 시 건축 계획과 에너지의 관계를 예측함으로써 디자인 결정에 근거를 제시한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리모델링 관련 법규와 선행연구를 통해 업무용 건물의 리모델링 규모를 설정하고, 리모델링에 적용되는 설계 요소 중 에너지소요량 절감에 영향을 미치는 창면적비를 리모델링의 변수로 설정한다. 또한 준공 시기와 리모델링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열 손실 방지 기준을 연구조건으로 적용한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분석모델은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노후 업무용 건물을 선정하여 개요를 작성하고, (가)채광창형/(나)수평띠창형/(다)수직띠창형으로 업무용 건물의 입면유형을 분류한다. Design Builder 시뮬레이션을 통해 리모델링 규모와 창면적비 변화에 따른 에너지소요량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입면유형에서 창면적비는 감소하고 외벽과 창호를 포함한 외피 교체 리모델링이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소요량 절감율을 나타낸다. 해당 리모델링 방안을 통해 세 입면유형 모두 연간 에너지소요량을 약 11%까지 절감 가능하다. 둘째, 수직띠창형 업무용 건물은 채광창형과 수평띠창형 업무용 건물보다 낮은 에너지소요량 절감율을 가지며, 입면유형 중 에너지소요량 측면에서 가장 불리한 입면이다. 셋째, 외피 교체를 통한 커튼월형 리모델링은 모든 입면유형에서 약 6%의 에너지소요량 절감율을 나타낸다. 커튼월 형식의 리모델링을 계획 할 때에는 하절기 일사량의 과도한 유입을 줄일 수 있는 별도의 요소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업무용 건물에서 에너지소요량은 외벽보다 창호의 성능 및 구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업무용 건물의 리모델링에서 단일 요소 교체로 가장 효과적인 에너지소요량 절감을 기대 할 수 있는 것은 창호의 교체이다. 본 연구는 업무용 건물의 기존 입면 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리모델링 계획에서 예측되는 에너지소요량을 분석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리모델링 시 발생하는 경제적 조건이 반영되지 않았으며, 주변건물과 도로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지 않아 분석에 한계가 있다. 추후 건물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 설계 인자를 고려한 업무용 건물 리모델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