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벤자민 워필드의 ‘성경의 영감과 권위’의 이해에 관한 역사적 고찰

        권윤근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구자는 지금까지 벤자민 워필드의 성경의 영감과 권위(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와 근본주의 운동 및 신학을 연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논문은 특별히 성경의 권위에 관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가운데 성경의 영감과 무오 교리에 관한 벤자민 워필드와 근본주의의 주장이 가지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또한, 영감된 성경이 어떠한 근거 위에서 신적 권위를 가지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제 Ⅱ장에서 워필드의 성경의 영감과 권위를 분석함으로서 성경의 권위를 드러내는 영감론의 긍정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워필드가 성경 무오성 교리를 스스로 고안한 것이라는 견해와는 달리, 성경 무오의 교리는 모세 시대부터 종교개혁 시대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으로 전수되어왔던 교회의 가르침이다. 워필드는 이 책에서 ⑴ 계시의 성경적 개념 ⑵ 교회의 영감 교리 ⑶ 성경적 영감 개념 ⑷ 영감의 실재적 문제 ⑸ 성령으로 영감된 성경 ⑹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 ⑺ 하나님의 신탁을 논리적으로 주장하였다. 그는 이런 연구를 통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를 확고히 하려고 하였으며 구 프린스턴 신학이 미국 지성사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제 Ⅲ장에서 성경의 권위를 보수하려는 근본주의의 초기와 후기의 상황을 분석함으로서 영감론의 부정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초기 근본주의는 워필드가 속한 구 프린스턴 신학의 영향을 받아서 건전한 양상을 띠었다. 반면에, 후기 근본주의는 세대주의의 영향을 받아서 극단적 보수주의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 구 프린스턴 신학과 근본주의는 성경관에 있어서는 동일한 측면을 가지지만, 이성과 과학에 대한 견해와 종말론 및 진화론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제 Ⅳ장에서 성경의 신적 권위와 영감된 성경의 속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째, 성경의 권위는 두 가지 토대 위에서 확립되었다. 하나님께서 성경의 저자이신 것과 인간 저자에 의한 성경의 구술에 성령의 작용이 있었다는 것이다. 성경이 초자연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은 이 두 가지 때문이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성경은 권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아울러, 역사적인 자료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성경의 저자 되심과 성령의 작용이 성경의 영감과 무오에 어떻게 역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하나님의 특별계시로서의 성경의 필요성과 영감된 성경이 반드시 가져야 하는 충족성과 명료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충족성과 명료성은 영감된 성경의 여러 속성들 가운데 특별히 하나님의 신적 권위를 부각시켜 줄뿐만 아니라, 충족성과 명료성을 살펴보는 것은 성경의 필요성을 확증하는 것이었다. 제 Ⅴ장에서 지금까지 살펴본 워필드의 성경관에 대한 연구가 성경의 권위를 세우는데 어떻게 공헌하였는지를 평가하였다. 역사적으로, 성경의 권위가 상실된 이후에 교회가 무너졌다.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는 “성경의 영감과 권위에 대한 불신이 미국의 타락과 퇴폐를 초래했으며 미국의 복음주의는 불 꺼진 등과 맛 잃은 소금으로 전락되었다”라고 지적하였다. 영감과 무오에 대한 확고한 입장이 전제되지 않은 채, 권위에 대해서 논할 수 있는가? 절대적인 권위에 대한 입장 대신 상대적인 권위에 대한 입장이 제시된다면, 성경이 어떤 위치에 서게 될 것인가? 워필드의 영감 이해는 성경의 신적 권위를 변증하려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그가 성경 영감 교리에 공헌한 것은 참으로 지대하였다. 워필드는 성경이 말하는 것은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것이라는 전통적인 개혁주의 성경관에 입각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해 매우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an meaning of inspiration in the Benjamin Warfield's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and compare theology of Benjamin Warfield with fundamentalism. Benjamin Warfield was a outstanding apologist of significant theologians in the Old Princeton School. Fundamentalism was come out in America at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Both of them had a biblical view in common. But, ther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 tried to make clear that there were some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Benjamin Warfield and fundamentalism in the middle of consideration on the authority of Bible historically. In addition, I made an observation that divine authority of inspired Bible was based on solid ground which is called a Biblical inerrancy. In the second chapter, I have observed a positive aspect on argument of inspiration which reveals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I have made an analysis of Warfield's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Warfield have been considered to invent Biblical Inerrancy. But Biblical Inerrancy have been a teaching of church instructed traditionally from the Mosaic age to the Reformation. In this book, Warfield have logically argued seven theses. They are as follows: ⑴ The Biblical Idea of Revelation ⑵ The Church Doctrine of Inspiration ⑶ The Biblical Idea of Inspiration ⑷ The Real Problem of Inspiration ⑸ God-Inspired Scripture ⑹ Scripture says, God says ⑺ The Oracles of God. Warfield had firmly constructed a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in the study. Moreover, he had played a decisive role in effecting on intellectuals in America by the Old Princeton theology. In the third chapter, I have observed a negative aspect on argument of inspiration which reveals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I have made an analysis of the early days and latter days of the Fundamentalism for protecting the authority of the Bible. The early fundamentalism was co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Old Princeton theology, but The latter fundamentalism was affected by the dispensational theology. The former was sound in theology and practice, but the latter went to extremes to conservatize. For examples, they agreed to the view on the Bible and did not agree to the view on science, reason, and evolution. In the fourth chapter, I have observe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 nature of God-inspired scripture. First, the authority of the Bible is established on the God's authorship of the Bible and works of Holy Spirit on human authors. These two foundations guarantees the authority of the Bible. Second, Bible as a special revelation of God is needed as a guide and teacher to God the Creator. There are adequateness and clearness in the Bible. That is, Bible is inspired with adequateness and clearness which highlights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In the fifth chapter, I have observed the contribution of Warfield on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Historically, church was crumbled as the authority of the Bible was deprived. Francis A. Schaeffer said that lack of confidence on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have raised the corruption and decay of America and evangelism in America was degraded as a dying light and untasty salt. Without firm standpoint on the inspiration and inerrancy, how can we argue an authority of the Bible? Relative authority of the Bible is presupposed instead of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how will Bible stand at any foundations? Warfield have understanded the meaning of inspiration to demonstrate the authority of the Bible in a dialectical manners. He have stressed this thesis on the traditional reformed view of B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