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tective effects of Singi-pill on traumatic brain injury-induced apoptosis in rat hippocampal dentate gyrus

        권오봉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한의학과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Backgrounds: The basis of a brain and a bone is a kidney, and we can control the condition of brain by strengthening 'Yang' and 'Yin' of kidney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ngi-pill on traumatic brain injury-induced delayed apoptosis in rat hippocampal dentate gyru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Singi-pill against traumatic brain injury (TBI) in the rat hippocampal dentate gyrus was investigated by using step-down avoidance task, terminal deoxynuclotidyl transferase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 Bax immunohistochemistry, and 5-bromo-2'-deoxyuridine (BrdU)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The aqueous extract of Singi-pill suppressed the TBI-induced increase in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Conclusions: It is possible that the aqueous extract of Singi-pill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on TBI-induced neuronal cell death. 배경 : 腎氣丸은 腎陽虛, 腎陰虛證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처방으로, 骨과 腦의 근본은 腎에 있으므로 腎氣丸이 뇌세포 사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목적 : 쥐의 hippocampal dentate gyrus에서 외상성 뇌손상으로 유발된 세포사멸에 대한 腎氣丸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외상성 뇌손상으로 유발된 hippocampal dentate gyrus의 세포사멸에 대한 腎氣丸 액체추출물의 영향을 step-down avoidance task, terminal deoxynucloti- dyl transferase (TdTwd)-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 Bax immunohistochemistry, 5-bromo-2'-deoxyuridine (BrdU) immunohistochemistry 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외상성 뇌손상을 입은 쥐들의 hippocampal dentate gyrus에서 현저히 증가된 세포사멸이 腎氣丸 액체 추출물 투여 후 감소되었으며, 세포사멸로 인한 세포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腎氣丸이 외상성 뇌손상으로 유발된 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신경계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軍病院 手術部의 建築的 特性에 關한 硏究 : 統合病院의 利用實態를 中心으로

        권오봉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3~4년간 통합병원은 신축하거나 이전되었고, 1999년 8월 19일자 연합뉴스 국방부 국군 개편안에 따르떤 현재 69만명 규모의 군병력을 20~30만명 가량 줄여 전체 군병력의 수를 40~50만으로 축소할 계획이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국민의 고조되는 건강에 대한 관심과 아울러 민간병원의 양적 질적 평창은 경제적 수요에 따라 이루어진 반면에 군병원은 운영, 인적구성, 환자특성, 그리고 향후 국군의 개선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이전 병원의 근무 인력의 이동 배치만으로는 군병원 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무리가 따를것으로 예상되며, 군병원 특성에 의한 문제점도출과 개선안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군 의료 체계에 있어서 종합병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군부대 통합병원 수술부의 현재 사용 현황과 평면구성, 실 구성들에 대해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군병원이 민간종합병원과 구별되는 계획적 특성을 알아보고, 민간병원에서 도입하고 있는 개념들이 그대로 적용될 때 있어서의 고려할 점과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통해 군병원수술부 계획 및 기존 시설 이용 및 평가시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군병원은 특성은 환자, 의료서비스의 목적, 조직인력등에 의해서 구분지어진다. 이에 군병원 수술부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1) 軍病院 手術部의 規模算定 소요수술실수 = (병상수×병상이용율×365×입원환자1인당수술건수)/(재원기간×수술실1실당연간처리건수) 위의 공식에 적용할 때 통합병원 재원일수는 42.7일 (대형민간병원 11.51일)이므로 민간병원에 비해 약3.8배가 크고, 수술실 1실당 연간 처리건수는 비대학 병원을 780건 정도가 시술되고 있으나 앞으로의 여유을을 감안하여 군병원은 500건 정도이다. 따라서 600병상 규모에 병상 이용율 90%, 입원환자 1인당수술건수를 0.4건으로 추정한다면 군병원은 소요수술실은 약3.7로 4개로 산정된다. 실제 동일한 규모의 민간병원과 비교하여 수술실수가 적지만 운영상 수술실의 부족은 없었다. 따라서, 군병원은 150병상당 1실 정도의 수술실이 필요하다. 반면, 군병원은 정형외과 수술의 비을이 높으므로 군병원 수술부 계획은 이에 따라 7.2모듈에 따르면 정형외과 수술실의 적정면적인 52㎡를 얻을 수 있다. 2) 軍病院 手術部의 平面類型 군병원은 물품및 간호장교의 동선구조에 따라 효율적이고 청결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계획되어져야 하므로 중앙공급부와 인접하는 곳의 수동으로 접근하기에 여유 있는 통로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적은 인원으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중환자실을 회복실로 공유하되 중환자실의 독립적인 위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실제 병상규모에 비해 군병원 수술부의 규모가 작은 만큼 일반 대형 병원의 여러 로젯을 갖춘 수술부와는 달리 단일한 로젯에 상호 관계된 실의 연계가 일관되게 이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중복도형과 중앙홀형이 선호된다. 3) 其他 考慮事項 기타 고려사항으로는 수술준비실과 소독물창고가 인접하여 업무에짧은 동선을 유도한다. 행정업무가 일반병원에 비해 많은 군병원 수술부는 재고관리와 수술현황 및 보고 등이 모두 간호장교의 업무에 속하고 동시에 수술간호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수술준비실과 감독장교실의 인접한 배치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operating department in army hospital. New A.F.M.H. is now under construction but army hospital's characteristics are not reflected. This research is accomplishe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ng department in army hospitals by analyzing the plans and behavior survey of selected A.F.M.H.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rmy medical center and to establish the design guideline of the operating department of the army hospitals. The present condition of operating department in A.F.M.H. was summarized in conclusion to investigate the area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army hospitals. 1) How many operating rooms does an army hospital need? Number of operting room = (number of beds×ratio of bedutilization×365×number of operation per an inpatient)/(period of hospiralization×number of operation per an operationg room for a year) Period of hospitalization in A.F.M.H.(42.7 days) is 3.8 times more than general hospital's(11.5 days), and an A.F.M.H. has 500 operations per year, while general hospital's has 1000. So, if ratio of bed utilization is 90%, number of operation per an inpatient is 0.4 in the army hospitals, it needs about 4 operating room. It is large enough to maintain the operation department in the army hospital, even if the number is less than that of general hospital's. Therefore, it needs 1 operation room per 150beds. Because the ratio of orthopedic surgery is higher than private hospitals, 52㎡(7.2m×7.2m module), which is proper area for orthopedic surgery was suggested. 2) O. R. plan types of the army hospitals. It's important to maintain clean and efficient environment through the management of disposals and circulation. So, it should make an easy access to supply department. The size of army hospital's operation department is smaller than that of general hospital with same beds. So, central corridor type and central hall type with one rosette are preferred in army hospitals. 3) Other conditions. The operating preparation room needs to be adjacent to aseptic depot for the efficient medical staff circulation.

      • MOS 논리회로 해석을 위한 Timing simulator의 Prepocessing stage 개발에 관한 연구

        권오봉 忠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describes the algorithms used in a presimulation phase to partition an MOS digital network into various special subnetworks(or blocks) and to order these subnetworks for processing in timing simulator. A transistor-level SPICE2-type[3] description of the network is assomed to be provided The key to the partitioning strategy is to divide the set of MOS transistors into de-connedcted blocks. A graph algorithm performs the partitioning step in computation time that is linear with the number of MOS transistors. The partitioning step is an automatic process that is completely transparents to the user. The partitioned blocks are then. ordered for simulation such that, whenever possible, a block is scheduled for processing only after all its input waveforms are known. It is shown that a good ordering for processing the blocks in a network is possible only in the absence of any form of feedback among the blocks. In case of a partitioned network with feedback, a linear time algorithm is presented that dectects the strongly connected blocks. The strongly connected components are then topologically ordered for simulation.

      • 대학교육의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사례연구 : S대학을 중심으로

        권오봉 세명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교육은 국가 경쟁력의 중심에 있다. 대학은 탁월한 인재를 양성하여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CSI모형을 응용하여 대학교육의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실증분석을 통해서 대학 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작하였다. 연구모형의 실증분석을 위해서 2010년 ‘잘 가르치는 대학’에 선정된 세명대학교 재학생들을 편의 추출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세명대학교는 ‘위세광명(爲世光明)’의 건학이념하에 인성역량, 실용전문역량,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통계분석결과, 대학교육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 학생충성도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결과, 학생의 기대는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품질은 지각된 가치와 학생만족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만족은 학생의 불평에 수준에서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만족은 학생의 불평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만족은 학생충성도에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불평은 학생의 충성도에 수준에서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의 불평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학생 충성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대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학생의 기대에 기반한 서비스품질 강화를 통한 학생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학생만족도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학생충성도 제고노력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University education is the heart of a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to cultivate men of outstanding talent, to strive for the individual prosperity and to play a decisive role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In this study, I have applied ACSI model to the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to his university. To analyze positively study model, I've sampled Semyung University(ACE University)'s students. On the basis of 爲世光明, Semyung University is making efforts to train men of ability, who have human nature, usefulness and a global view. As a result of analysis, it has been possible to check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ree factors(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e student satisfaction and the student loyalty). It has been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expectation of students notably has an effect on sensible quality and value(). Second, Perceived quality on perceived value and student satisfaction(α=0.05), and student satisfaction has an the negative effect on student dissatisfaction(α=0.05). That is to say, student satisfaction has played a decisive role, decreasing student dissatisfaction(α=0.05). Besides, student satisfaction notably has an effect on student loyalty(α=0.05). Student dissatisfaction has an the negative effect on student loyalty(α=0.05). The more student dissatisfaction grows bigger, the more student loyalty becomes worse. As mentioned above, to prosper university continuously, it is indispensable to strengthen the service quality and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Especially, to raise student loyalty through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is the best way.

      • 소그룹 사역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권오봉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problems on small group ministry system which has gain attention due to the recent new pastoral duties and to suggest possible solution for this issue. The early church was empowered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churches were grown healthy. Accordingly, the Good News has been spread throughout the world. Korean churches also embraced the Good News and they have remarkably grown by the grace of God. Recently, however, it has shown that Korean churches are going through the spiritual stagnation and recession. To overcomes this crisis, Korean ministers strived to boost the growth of Korean churches by seeking for and participating in seminars suggested by other churches that have succeeded in leading their churches to grow. One of the strategies of improving churches was to set up a new ministry method and to support the Mission by implementing the new ministry system, namely, the small group ministry system. Yet, this new ministry system was not satisfactory enough in that it lost the essence of the church by mainly focusing on the growth of the church as a goal. Though such effort diversified small group ministry and enriched its methodology, it reveals its limitation by failing to recover the essence of the church. In this sense,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small group ministry in various aspects. Then, it suggested alternatives for desirable and healthy ways to manage small group ministry as well as to recover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hould the small group ministry be used as a program for developing churches? 2. What is the small group ministry in terms of general, biblical, and historical aspects? 3. What are the problems of the small group ministry? 4. What are the solutions for the desirable small group ministry? The study consisted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d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methods, and previous relevant researches. Based on the theory of small group ministry, the second chapter explained the general concept, the biblical foundation, and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small group ministry.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issues of the small group ministry, the third chapter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small group ministry conversion, the problems of its management, analysis on patterns of small group ministry and its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problems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the fourth chapter proposed a way to convert small group ministry into desirable condition, the method to run desirable small group ministry, and patterns of desirable small group ministry in order to restore the essence of the church. In the fifth chapter, this study provided the summary and left the issues that have not been mentioned here so that these can be delivered in further studies. This study, consequently, found the alternatives that can be used in order to manage the small group effectively and healthi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is helpful for the churches to facilitate the small group ministry and to recover the essence of church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hurches can grow healthy. 본 논문은 최근 새로운 목회사역으로 각광받고 있는 소그룹 사역을 진단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방안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초대교회는 성령의 능력을 받고 교회가 건강하게 성장하였고, 그 결과 온 세계에 복음이 퍼지게 되었다. 한국교회도 복음을 받아들이고 하나님 은혜 가운데 놀랄만한 교회성장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최근 몇 년 동안 침체와 성장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목회자들은 성장한 교회들이 제시한 세미나를 찾아다니며 성장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해 왔다. 그 중 하나가 소그룹 사역을 통하여 새로운 목회 방법을 구축하고 다시금 시대적 사명을 감당해 나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성장 중심의 목표를 앞세웠기에 교회 본질을 잃어버린 채 건강한 교회로서 사명을 감당하지 못했다. 이로 인하여 소그룹 종류와 방법론은 풍성해졌지만 교회 본질을 회복하는 데에는 그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그룹 사역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고 교회로서의 본질 회복과 더불어 바람직한 소그룹 사역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연 소그룹이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어져야 하는가? 둘째, 일반적, 성경적, 역사적 관점에서 소그룹 사역은 무엇인가? 셋째, 소그룹 사역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바람직한 소그룹 사역을 위한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본 논문은 총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Ⅰ장에서 본 연구자는 서론으로 본 논문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 연구 내용과 방법, 관련 선행 연구를 다뤘다. Ⅱ장에서 본 연구자는 소그룹 이론을 중심으로 소그룹 사역의 일반적 개념, 성경적 기초, 역사적 이해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교회 본질에서 벗어난 현재 소그룹 사역의 문제들을 파악하기 위해 소그룹 사역 전환의 문제점, 소그룹 사역 운영의 문제점 그리고 소그룹 사역 유형 분석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 본 연구자는 Ⅲ장을 통해 분석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회 본질을 회복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소그룹 사역의 전환을 위한 방법과 바람직한 소그룹 사역의 운영을 위한 방법 그리고 바람직한 소그룹 사역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 본 연구자는 논문을 요약하고 본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문제들을 추후과제로 남겼다. 이렇게 함으로서 본 논문은 건강하고 효과적인 소그룹을 운영하기 위한 대안을 얻게 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서 교회가 소그룹 활성화를 이루되 본질이 회복되어지는 건강한 성장 곡선을 지향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李退溪硏究 : 家書を通して見た李退溪の人間像と思想出版冊題號<<李退溪家書の總合的硏究>>

        권오봉 筑波大學 1986 해외박사

        RANK : 248639

        퇴계가 가문인에게 준 940편의 가서(家書)를 정밀분석하여 그의 인간상. 사상. "오사 (吾事)"를 구명했다. 연구방법은 퇴계. 도산 양전서, 언행통록을 망라했고, 가서와 관 련 문헌을 대조분석한 후, 자손과 인척후손(姻戚後孫)의 전언고사(傳言故事)를 답사와 면접을 통해서 사실을 구명하였다. 발굴한 일기와 재구성한 일록(日錄), 가서, 그외 저작 등을 대조해서 연보를 수정하고, 3대(代) 가인의 행력을 합쳐 연표를 꾸민 후 논문을 쓰고 부록으로 붙였다. (연표는 퇴계학 연구총서 제2집으로 출판하여 898부를 국내외에 보급함) 논문은 전6장 23절 91항으로 구성하였는데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 제1장에서는 가서를 분석한 내용과 퇴계학 연구에 있어 기본 필수자료임을 설명하였 다. 제2장에서는 퇴계의 성격, 입지독행(立志篤行), 병세, 사퇴이유, 건강관리, 극기 와 성찰. 치심한 과욕(過慾)과 정허(靜虛), 거가율신(居家律身)한 일상생활을 상론하 였다. 제3장에서는 퇴계의 치가이념, 구체적 제가내용, 청빈한 가계와 가인지도, 경제 생활과 영농 치산, 인본중심의 예설(禮說), 퇴계와 가인의 혼인, 예의 개혁, 처가향념 (妻家向念)과 수호등을 상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가인의 학문교육, 유가의 법도, 과거 와 청심생사(淸心省事)의 공직생활, 폐 안 끼치기와 준법 등 엄격한 교육 내용을 밝혔 다. 제5장에서는 교육개혁과 풍속교화, 정치실험(政治實驗), 자치주의 정치사상, 사회 개혁운동, 향약에 앞선 실험, 사학을 통한 인재양성, 과거지양과 학문중심의 서당교육 , 평등사상과 인간존중 등에 관해서 논하였다. 계상서당의 10년 교육과 입문한 문도, 도산서당 건축사와 실천유학교육 내용, 퇴계의 일상생활 등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제 6장에서는 학문과 교육을 통한 인간개조와 사회개혁이 목적인"오사"의 추진과 성취한 내용을 규명하였다. 성학십도의 제진과 출판과정, 십도로써 경중심(敬中心)의 사회와 학문개혁, 이(理)의 창명으로 정의구현, 천인합일(天人合一). 지행병진(知行竝進). 천 즉리(天卽理)설로써 덕치사회 구현, 대의에 입각한 진퇴, 임란을 막을 수 있었던 외교 정책과 인사정책, 기강확립, 파직을 두려워 않았던 정책진언 등 재조재야에서의 성실 한 공도생활을 논증하고, 끝으로 퇴계자평과 고금 국내외 학자의 퇴계 평가, 퇴계학의 외국수용과 그 발전 및 퇴계학의 현대적 의의와 세계적인 연구동향을 밝혔다.

      • TORA 시스템을 추적하기위한 백스테핑 제어기 설계

        권오봉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요즘 항공우주 공학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중-회전 우주선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 TORA 시스템을 대상으로 이 시스템이 갖고 있는 복잡한 비선형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중-회전 우주선이 가지고 있는 회전과 스핀 사이의 상호작용은 TORA 시스템에서 질량체가 회전하고 카트가 병진운동하는 비선형적인 상호작용과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TORA 시스템에 대한 안정도를 확인하고 백스테핑 방법을 이용해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제어기를 설계하는 방법은 임의의 기준 입력을 통하여 안정화 함수를 구현하고, 이를 통한 가상입력을 순차적으로 구하였다. 이러한 가상 입력을 통하여 Lyapunov 안정도를 만족시키는 백스테핑 제어기를 설계하고 이 제어기를 이용해 카트의 위치와 질량체의 위치각을 추적하였다. 또 제어기를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 Lyapunov 함수에 기존의 지수함수 대신 삼각함수를 포함시켜 시스템이 갖게 되는 winding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런 방법으로 설계된 제어기와 에러변수와 안정화함수를 다르게 선택해서 설계한 제어기를 갖고 모의실험에서 각 제어기의 응답을 비교하여 백스테핑 기법으로 같은 응답을 갖는 다른 제어기를 설계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