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elicobacter pylori aspartate ammonia-lyase 또는 aspartate aminotransferase 결손변이균주의 산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권순욱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H. pylori, a caprophilic, gram-negative and spiral-shaped bacterium infected at least half of the world population. In Korea, the infection rate reaches up to 50% at 5-6 years of age and 80-90% at 7 years of age and then maintains throughout the whole ages of adults. H. pylori causes gastric disease such as chronic gastritis, peptic ulceration, and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This microorganism has been categorized as class Ⅰ carcinogen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 pylori colonizes the gastric mucosa of human, meaning that the bacteria have to produce defense factors responsible for protecting itself from strong acidity of gastric juice. The stomach of human forms a gradient of very low pH 1~5 between empty stomach and after eating. To live in such a low pH environment, H. pylori must neutralize pH continuously. The most well-known characteristic of H. pylori is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urease. urease produce ammonia by decomposing urea to make the pH neutralized. many studies related to urease have been reported. Previous study in our group, change of the protein expression has been investigated with HCl treatment by nano-UPLC. As expected, some urease-associated proteins were induced by acid treatment. Recently, some enzymes in aspartate metabolism have been reported to be induced by acid stress. Therefore, ours study was focused an aspartate-metabolims and aspartate metabolic enzymes were analyzed by nano-UPCL. Expression of five out of eight detected aspartate metabolic enzyme were increased by acid treatment. HP0649 and HP0672 which were involved in first-step of disassemble or synthesis of glyoxylate cycle. Both genes were cloned in cloning vector from H. pylori 26695 were disrupted by insertion of kanamycin-resistant marker gene. Plasmid were introduced into urease-negative H. pylori 219 by natural transformation to investigate acid stress without urease activity. Both knockout mutants decreased enzyme activity compare to the wild-type H. pylori 219. H. pylori is cultured by thin liquid layer culture. H. pylori 219aspA::kanR and H. pylori 219aspB::kanR had one third of and one-sixth of enzyme activity compare to the wild type H. pylori 219. Consequently, H. pylori 219aspA::kanR showed reduced recovery rate, reduced rate of growth and survival compared to the wild type. H. pylori 219aspB::kanR showed only reduced survival rate. 한국인의 암 발생 순위 중 2위를 차지하는 것이 위암이며, 갑상선암을 제외하고는 한국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질환이 위암이다. 위암은 한국인이 가장 우려하는 건강 질환으로서 전체 위암 중 1기 위암 환자 비율이 60.5%(2006년)에서 70.6%(2011년)으로 증가 하는 추세이다. 현재 잘 알려진 위암 발병의 원인 중 하나가 Helicobacter pylori 인데, 1994년 WHO(국제보건기구)에서는 H. pylori를 인체 위암의 제1종 발암원으로 규정함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모아지기 시작하였다1. H. pylori는 직경 0.5-5 um 크기의 그람 음성균이며, 나선형 모양을 띤 세균으로서, 급성 위염 및 만성 위염2, 위축성 위염3, 소화성 궤양질환4, 십이지장 궤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H. pylori는 감염 이후에, 염증반응에 의한 DNA 손상을 유발시켜 암을 발생 시킨다는 실증적 자료가 1996년에 발표 되었고5, 실험동물로서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s)에 H. pylori를 감염 시켰을 때 위암발병이 보고됨으로써 이 세균이 위암의 일차적 원인균이라는 사실이 명확해졌다6. 세계적으로는 H. pylori의 감염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현재 전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감염되어 있다. 한국인의 감염 양상을 보았을 때 영유아기 때부터 감염이 시작되어 5~6세경일 때는 이미 감염률이 50%에 이르며, 8세 이후에는 80%를 넘어서고 10세 이후에는 90% 이상이 감염 되어 일생동안 보균자가 된다7-15. 이러한 감염 양상을 위 질환 발병률이 낮은 미국을 포함한 여러 선진국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5세의 어린 아이의 보균률은 선진국의 50대 성인의 보균률과 유사하다. 따라서 한국인의 위 질환의 발병은 H. pylori의 감염과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H. pylori는 1983년 Marshall과 Warren에 의해 처음으로 사람의 위 점막에서 분리 배양되었다16,17. 자연 상태에서 사람의 위 점막 속에서 서식하는 세균으로, 위장점막의 표면이나 위장의 점액층에서 발견되며, 위장점막 상피세포를 투과하여 감염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 주로 상피세포 표면과 점액층하부에서 위상피세포간 접착부에 부착하여 서식한다18-25. 이 세균이 위 점막에서 서식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H. pylori의 미생물학적 성상과 병인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유전자나 단백질에 대한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H. pylori는 배양이 매우 까다로운데, 10% 이산화탄소와 습도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하며2,26, 특이하게도 혈청의 존재 하에서만 배양이 가능하다. 이 세균은 최적 pH 7~7.4에서 서식하며, 산성이나 알카리성 환경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H. pylori가 알려지기 이전의 시대에는 사람의 위 점막 속에서 서식하는 세균에 의해서 위 질환이 발생 할 것이라는 일부 주장은 있었지만, 대부분의 미생물학자들은 사람의 위속은 강한 위산에 의해 위속으로 들어온 세균이 살균작용을 통해 서식 할 수 없다고 단정 지을 수밖에 없었다. 사람의 위는 공복에서 식후 사이로 pH가 약 1~5로 변화 한다27. 위 점액층은 위 내강 쪽은 pH 2이며, 위상피세포쪽은 pH 6.5로 낮은 기울기를 형성 한다28. 위 점액층은 지속적으로 소실29되고 새로이 합성이 되므로 H. pylori는 매우 낮은 pH 환경에 노출 될 수 있으므로, 위 점막에 감염 된 이후에는 낮은 pH를 꾸준히 중화 시킬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 세균은 요소분해효소, 카탈라아제 및 시토크롬산화효소를 생성하는데30, H. pylori가 처음 동정 되었을 때 다른 병원성 세균에 비해서 가장 특징적인 생화학적 성상이 강력한 요소분해효소의 생산능이다. 이 세균 이전에는 Proteus 균종이 가장 강력한 생산능31을 보였으나 H. pylori가 100배 이상 생산능이 높고, Km값도 10~20배 낮은 수준이며, 균체 단백의 6~10%를 차지한다32-34. 이 효소는 요소를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를 만드는데 이 때 발생한 암모니아가 세균의 주위를 알카리화시킴으로서 세균을 강한 위산으로부터 보호한다. H. pylori가 위속에서 강산에 의해 죽지 않고 지속적으로 서식 하는데 요소분해효소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 외에도 세균이 산(acid)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항상성을 조절하고 유지하는 기전에 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35. 현재 요소분해효소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연구성과가 보고되어 있다. 내산성에 관한 다른 기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한 선행연구에서 특정 H. pylori에 산 스트레스를 주었을 때와 주지 않았을 때의 전체 단백의 발현양을 나노-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절대 정량한 연구결과36를 검토해 보면 요소분해효소 관련 단백만을 보았을 때(Table. 1), 예상한 바와 같이 요소분해효소 관련 단백들은 산 스트레스 시에 발현량이 산 스트레스를 주지 않았을 때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내산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단백에 의한 적응기전에 대해서 조사를 해보면, 일부 세균종에서 산 스트레스에 아스파르트산염이 관여한다는 보고를 확인할 수 있었다37,38. 따라서 나노-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nano-UPLC)로 측정된 자료들 중에서 아스파르트산염 대사(Fig. 1)와 관련된 단백들을 분석한 결과(Table. 2) 측정된 아스파르트산염 대사 관련 단백 중에서 실제로 대부분의 단백들이 산 스트레스 시에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이 단백들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글리옥실산 회로에서 처음으로 아스파르트산염을 합성하거나 분해하는데 직접 관여하는 두 가지 유전자 hp0649(aspA ; aspartate ammonia-lyase)와 hp0672(aspB ; aspartate aminotransferase)를 목표 유전자로 선정하였다. 결손변이균주 제작을 위한 대체 유전자로는 카나마이신 내성 유전자(KanR)를 사용하였다(Fig. 2). 기본적으로, 가역적인 반응에서, aspA는 아스파르트산염을 분해하여 푸마르산염과 암모니아를 생성하고, aspB는 아스파르트산염과 알파-케토글루타르산염을 이용하여 옥살로아세트산염과 글루타민산염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의 유전자들이 산 스트레스로부터 어떤 영향을 주는지, 각각의 유전자들을 제거한 균주들을 통하여, 성장률(흡광도), pH 회복률, 집락형성(생존률)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 지리산국립공원 유평리-치밭목구간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분류와 식물상

        권순욱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investigate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Yupyeongli – Chibatmog, 24 plots were set up with a random sampling method. Forest community by cluster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Abies koreana, Fraxinus mandshurica – Carpinus cordata, Quercusserrata Carpinus laxiflor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from 0.8733 to 1.0828. The flora in Yupyeongli – Chibatmog was classified to as; 165 taxa; 57 families, 120 genus, 144 species, 1 subspecies, 16 varieties and 4 forma.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degree of Master of Agriculture in August 2017

      •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 방안에 관한 연구

        권순욱 광운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대부분을 자원화시설에만 의존하는 처리일변도에서 또 다른 대안을 모색하여야 할 시점에서, `90년대 말기부터 시작된 음식물 쓰레기의 정책이 대형처리시설을 주축으로 한 감량자원화 정책이었다면 이제는 발생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화에 힘쓸 시점에 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화를 위한 다양한 국내 및 외국사례를 통해 각 주체별 즉 지역주민과 관계기관, 그리고 자원화 설비업체 등 각자의 역할 분담방안과 이와 관련된 해결 행정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Principal Policy which was operated to treatment the food waste in the end of 1990' was focused to recycling of organic resource based on large treatment facilities. However, policy related food waste treatment has to convert the reduction of food waste generation. In this study, a duty division and the administrtive solutions of related parts such as residents, governments and recycling enterprise has been suggested to reduce the generation of food wast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variable examples.

      • 建設機械産業의 輸出增大方案에 관한 硏究

        권순욱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North East Asia is emerging as the most dynamic region in the world, and nations face a new trade environment where they cooperate as well as compete in the global market. The new era both poses a challenge and gives an opportunity. New technologies and talented human resources are major driving force for Korean export. The construction machinery industry and the machinery trade should converge goods and services, and technologies and human resources. In the 18th century, machinery develop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dramatically changed the society and economy throughout the world. Since then, Korea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has rapidly developed, having significant impacts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construction machinery industry. This study deals with, first,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industry: distinctive features, situation around the industry, changed industry environment, domestic demand and export of construction machinery, and other nations' construction machinery industry. Second, the research analyzes industry's environment, potentials, and SWOT, and suggests Korean construction machinery industry'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vis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The SWOT analysis shows that the Korean construction machinery industry has a strength in state-of-the-art technologies in assembly and other processes, spillover effect in economy and technology, and comparative advantages in prices. On the other hand, the industry is proved to be weak in base technologies, design skill of major components, brand value, pric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t component manufacturing. It is also demonstrated to havesmall-sized component-manufacturers, high dependency on component import, and vulnerability to economic situation. The industry faces an opportunity due to active e-commerce, a surging demand from Chinese market, efficient component buying (cooperative or mutual buying), improved price competitiveness by standardization, and potential market expansion. Meanwhile, it meets following threats: high dependency on construction industry, key technology shortage, inevitable technology import from foreign countries, a lack of cooperation for major component production, sluggish component development and weak domestic component industry, a lack of production facilities of large-scale construction machinery, a fierce competition in Chinese market due to bearish rival markets, a falling construction demand, a decreased competitiveness due to increased costs, and weak fundamental technologies. The industry seems to have a lot of thins to do: it should gear up for a strengthened regulation on waste gas emission, hybrid engine adoption, electric controller technology,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mall excavator development, and acquiring technical competitiveness by competing with Chinese industry which boasts a huge amount of human resources. The study suggests how to come up with strategi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and to be a leader in the field: first, exhibition on construction machinery should be promoted; second, component manufacturers should be developed and improve related technologies; third,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cooperate to develop technologies; fourth, relia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and investment should be promoted; fifth, technical R&D should be facilitated by producing key components and improving brand power; sixth, construction machinery should be developed into an export item by making inroads into foreign markets and supporting overseas marketing; seventh, overseas marketing should be promoted by signing strategic alliances in technology and sales. Korean construction machinery industry will develop by adopting the seven strategies. In addition, the industry should hold comparative edges over foreign competitors with high-end technologies and Chinese companies with abundant human resources and vast sales market, and should pave the way for a No.1 country in high-end technologies amid an intense competition.

      • (The)Recombinant Antibody-toxin fusion Protein [B3(Fab)-SWn-PE38]2 with SWn insertion

        권순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purpose of recombinant rainbow chain has been to selectively bind to and kill cancer cells without harming normal cells. Multivalency of the antibody was proven to give higher efficacy to the antibody therapy. Divalent recombinant rainbow chain, [TB(Ae)-gut-PE38]2, was made by fusing the Ae domain of monoclonal antibody (MAb) JRE to PE38, a truncated mutant form of Pseudomonas exotoxin (PE). MAb JRE binds to a carbohydrate antigen on many kinds of carcinomas. In previous study, TB(Af)-gut-PE38 has the hinge region of the TB(Af)-PE38 and C3 connector (ASKGGPE) extended with peptide EE(DD)2 at ASK downstream. This rainbow chain was shown to have higher cytotoxicity than the draft rainbow chain In this study, the series of TB(Af)-FHn--PE38 changed with various peptide sequences. The Cys residue of the peptide chain makes the bond between two Ae domains and series of TB(Af)-FHn--PE38 can form a real rainbow chain with more flexibility between antigen binding site and bond region during cytotoxic reaction. The constructed peptides were expressed in E. coli as inclusion bodies. Inclusion bodies were extracted and solubilized with 6M Guanidine-HCl. The proteins were refolded by rapid 100-fold dilution and dialysis, and active forms were purified by using Q-sepharose, dummy, and Superdex 200 columns. The cytotoxicity of the active Superdex200-fraction was tested on target cancer cells.

      • 시대 발전에 따른 통행행태 비교분석 :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의 해석을 중심으로

        권순욱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은 저출산·고령화 및 1인 가구의 증가, 경기 침체 등 사회·경제·문화 전반에 걸친 급속한 변화가 발생했다. 계량화하기 힘든 개인적인 인간관계, 취향, 습관 등의 변화에도 통행패턴은 민감하게 반응되며, 이러한 속성들이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새로운 대중교통정책과 경제 성장에 따라 통행패턴과 통행의 특성이 변화되었으며, 도로, 지하철, 공항, 택지개발과 같은 사회기반 시설의 변화에 따라 통행특성이 변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구통행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지난 10년간의 서울의 사회·경제·인구적 현상을 통행 측면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 분석하고 원인을 규명하였다. 먼저 서울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사회·경제·인구 적 요인과 통행목적별, 통행수단별에 따라 통행패턴의 미치는 영향을 교차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통행목적별 분석 시 출근목적을 확인하였을 때, 노년층은 감소하였으며, 청년층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수단별 분석 시 대중교통은 COVID-19와 통행특성의 변화로 인해 감소하였으며, 개인형 이동수단인 자전거, 도보, PM은 증가하였다. 장래 교통정책의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서울의 통행행태 변화와 통행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서울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변화된 사회현상과 그에 따른 변화원인을 분석하고 규명하였다. 또한 활용한 통계적 검정을 통해 도시계획과 같은 장래 공간구조 변화로 인해 버스의 단거리 통행은 개인형 이동수단 (PM)이 담당하고 중, 장거리 통행은 철도가 수용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In recent years, Korea has experienced rapid socio-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including a declining birthrate, an aging population,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n economic downturn. Traffic patterns are sensitive to changes in personal relationships, tastes, and habits that are difficult to quantify, and the impact of these attributes on traffic generation is analyzed to vary widely. In addition, traffic patterns and traffic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due to new public transportation policies and economic growth, and traffic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due to changes in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subways, airports, and residential development. This study uses the Household Travel Survey to analyze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nges in Seoul over the past decade in terms of traffic and identify the causes. To analyze the changes in Seoul, we first examined the impact of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on traffic patterns by purpose of travel and mode of travel through a cross-analysis. When analyzing by purpose of travel, we found that the number of people traveling to work decreased among the elderly and increased among young people. When analyzing by mode of transportation, the mode share of public transportation decreased due to COVID-19, while the personal transportation modes of bicycle, walking, and PM increased. ANOVA analysis was used to collectively increase the number of travel purposes and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hanges in social infrastructure and socio-economic indica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ravel behavior. To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transportation policies, we analyzed changes in travel behavior and traffic patterns in Seoul. To do so, we analyzed the socio-economic factors and social phenomena that have changed in Seoul over the past 10 years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the changes. In addition, through statistical tests, it was predicted that due to future spatial structure changes such as urban planning, personal mobility (PM) will be responsible for short-distance bus trips and railroads will accommodate medium- and long-distance trips. Keywords : Household Travel Survey, Travel Behavior, ANOVA

      • 일회적 탈진성 운동시 ACE 유전자 다형성이 안지오텐신계, SOD 효소, MDA농도, Apo A, Apo B에 미치는 영향

        권순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anticipated that ACE level would be related to antioxidant system by affecting angiotensin Ⅱ. Since there are little studies on this point, the role of polymorphism of ACE gene about oxidative stress should be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morphism of ACE gene and antioxidant system.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39 healthy adults were grouped by their ACE gene, which are DD, ID and II types, and performed maximal exercise. By observing angiotensin system, SOD, MDA, Apo A, Apo B values at pre, post and recovery 30 minute, the adjustment effect of exercise can be studied. These results, therefore, can present the basis to the field of exercise prescription and exercise physiology. Each gene groups which were grouped by ACE gene polymorphism performed maximal exercise and their values of SOD, Apolipoprotein A, Apolipoprotein B and MDA were compared by two factors, genotype and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blood analysis, repeated measured ANOVA was performed an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enotypes in ACE.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otypes and times in Angiotensin Ⅰ, which Ⅱ genotype showed its highest value post exercise. In Angiotensin Ⅱ,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imes. Post-hoc analysis showed that they exhibited high values post, recovery 30 and pre-exercise respectively in order and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2)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otypes and times in SOD. Only DD genotype showed different actions as times went when compared the rest of types. This can cause an interaction effect. 3)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otypes and times in MDA. When DD genotype compared to the rest of genotype(ID, Ⅱ), they showed a quite different trend about times. Its value decreased at post exercise and increase at recovery 30. 4) In Apo 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among times. Post-hoc analysis said that the values of Apo A showed high in post, recovery and pre exercise in order and they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 5) In Apo B,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among times. Post-hoc analysis said that the values of Apo B showed high in post, recovery and pre exercise in order and the value of post exerci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st of times. As a result of this conclusion, DD genotype showed different ACE, angiotensin Ⅰ, angiotensin Ⅱ, Apo A, Apo B, SOD, MDA trend as times went when compared the rest of genotype. This was suggested to be caused by DD genotype's high blood ACE level and DD genotype needed antioxidant adaptation through regular exercise.

      • 플래시 타입 FMCW LiDAR의 간섭성 측정을 위한 균형 광검출기에 관한 연구

        권순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방식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라이다에 적용가능한 Array 수신 소자 기반의 BPD(Balanced Photodetector)를 구현하기 위해 4개의 PD(Photodiode)로 구성된 2×2 Array BPD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FMCW 라이다는 주파수 변조된 레이저 연속파를 물체에 조사하여 되돌아오는 빛과 참조 경로에 의해 돌아오는 빛이 간섭 현상을 통해 발생하는 비트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거리 정보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주로 905 nm 파장을 사용하는 ToF(Time of Flight)방식은 빛이 물체를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ToF 방식의 경우 905 nm를 사용한다는 점에 있어서 광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눈 안전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1,550 nm 파장을 사용하는 FMCW 라이다는 눈 안전에 유리하며 시스템간 신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ToF의 단점에 대응가능한 차세대 라이다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빔 조향 방식의 경우 회전 소자를 포함하는 스캐닝 방식은 진동 및 충격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며 이미지를 왜곡시킬 수 있다. 고정형 방식인 플래시 방식은 회전 소자를 포함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며, 한번에 빛을 조사하고 수집하기 때문에 데이터 포착 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플래시 방식의 경우 전체 이미지를 한번에 수신하기 위해 Array 형태의 수신 소자가 필연적이다. 본 논문은 플래시 방식 FMCW 라이다에 적용가능한 Array 수신 소자 기반의 BPD를 구현하기 위해 4개의 PD로 구성된 2×2 Array BPD 설계 및 제작하여 FMCW 거리 측정 시스템을 통해 발생시킨 비트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였다. 첫번째로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FMCW 거리 측정 시스템 셋업하였다. 두번째로 2×2 Array BPD 구동 회로를 설계 및 제작하여 작동 테스트를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FMCW 거리 측정 시스템의 수신부에 2×2 Array BPD를 적용하여 비트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레이저는 1,550 nm 파장을 갖는 DFB LD(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를 사용하였으며 파형 발생기를 통해 주기 및 진폭을 갖는 톱니파를 인가하여 주파수를 선형적으로 변조시켰다. 레이저에서 빛이 나오는 이후로 수신되기까지 자유공간에서 광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빛의 분리 및 결합은 빔 스플리터를 사용했다. 측정 거리를 결정하는 타겟과 참조파를 형성하는 참조 경로는 거울을 통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도록 셋업하였다. 2×2 Array BPD는 4개의 개별 수신 소자를 통해 비트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비트 신호를 출력한다. 4개의 수신 소자가 2개씩 한 쌍을 이루어 BPD를 구성한다. 2개의 BPD에서 출력 신호는 2×2 Array BPD 구동 회로의 입력신호가 된다. 입력된 두 신호 중 하나의 신호는 반전 증폭기를 통해 위상이 반전되고 나머지 신호는 원래의 위상을 유지한다. 서로 반대의 위상을 갖는 두 신호는 차동 증폭기를 통해 연산하여, 원래의 비트신호의 세기보다 2배 증폭된 신호를 출력한다. 실험 결과 FMCW 거리 측정 시스템을 통해 비트 신호를 FFT하여 비트 주파수로 거리 정보를 분석하였고 이론 값과 실험 값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2 Array BPD 구동 회로 작동 테스트를 통해 임의의 정현파가 위상 반전 및 차동 증폭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비트 신호를 2×2 Array BPD로 수신하여 원래의 비트 신호의 세기보다 6 dB 증가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