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측성 및 일측성 죽상경화성 대퇴동맥폐색증의 비교

        권선미 대구가톨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finding of superficial femoral artery lesions is the most prevalent atherosclerotic lesion identified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s, interventions are provided with a variety of modalities. Many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patients with leg artery occlusion have serious comorbidity risks such as stroke and ischemic heart diseas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ce of coexistent bilateral femoral artery occlusion to determine clinical significance and comorbidities. Methods:During6years,therewere213patientsundergoingfemoro-poplitealarterybypassforsuperficialfemoralarteryocclusionatinstitution.TASCtypeB,Clesionswereincludedinthisstudy.Weretrospectivelyanalyzedthemedicalrecordsof193patients.Comorbidities,longtermgraftpatency,limbsalvageandsurvivalrateswerecomparedbetweentwogroups:GroupI(115patientswithunilaterallesion)andGroupII(77patientswithbilaterallesion).Inaddition,thenaturalhistoryofthecontralaterallimbofpatientsinGroupIwerestudied. Results:ThemeanageofGroupIandIIwas70.5± 9.3 and 73.0± 8.2. Diabetes, hypertension, cerebrovascular disease, ischemic heart disease in group I., vs II were: 33.0%, vs. 33.8%, 32.2%, vs. 33.8%, 13.9%, vs. 14.3%, 7.0%, vs. 22.1% respectively; the p-values were 0.91, 0.81, 0.94, 0.002 for each condition respectively. The six-year graft patency, limb salvage and survival rate for group I vs. group II was: 71.58% vs. 69.58%, 86.51% vs. 85.92%, 75.98% vs. 70.95% with p-values of 0.35, 0.58, 0.19. For patients in group I 10.4% (12/115) developed contralateral femoral artery occlusion during a seven year follow up period. Conclusion:Ischemicheartdiseasewassignificantlyhigherinpatientswithbilateralfemoralarteryocclusionwhichcontributedtoperi-operativerisk.However,nosignificantdifferencewasidentifiedforlongtermpatency,limbsalvageorsurvivalbetweenthetwogroups. Key words: Coexistent bilateral femoral artery occlusion

      • 연중 해약률 가정이 보험 수리적 현가에 미치는 영향

        권선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existing life table is being calculated in a year unit, an assumption on the fractional age is necessary to explain withdrawal phenomena that occur at a point of arbitrary time within one year. The formula from absolute termination rate to multiple termination rate is derived by using a UDD(Uniform Distribution of Deaths throughout the year) assumption among theoretical assumption on the fractional age in the current actuarial practice. But as we can actually know the lapsation of an insurance contract after seeing if the insurance policy holder paid the insurance bill on the insurance due date, a discontinuous section gets to occur. Accordingly, this paper calculated from absolute rate of decrement to multiple decrements rate by supposing lapsation occurrence as a step type's fractional age distribution and calculated the insurance bill by using the result.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UDD assumption by comparing a level of volatility that an assumption of lapsation occurrence throughout the year affects the insurance bill. Furthermore, the present research has a meaning in a point that analyzes the lapse rate and estimates its model using actual data of a domestic life insurance company. Al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he insurance bill by using an estimated fractional age distribution. 기존의 생명표는 연 단위로 계산되어 있기 때문에 1년 이내 임의 시점에서 발생하는 탈퇴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단수연령에 대한 가정이 필요하다. 현재 보험계리 실무에서는 단수연령에 대한 이론적 가정 중 UDD(Uniform Distribution of Deaths throughout the year) 가정을 사용하여 절대탈퇴율에서 다중탈퇴율로의 공식을 유도한다. 그러나 실제로 보험에서 해약은 보험 계약자가 보험료 납부일에 보험료를 납부했는지의 여부를 보고 알 수 있기 때문에 불연속적인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약 발생을 계단형 단수연령 분포로 가정하여 절대탈퇴율에서 다중탈퇴율로의 계산을 하였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보험료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중 해약발생의 가정이 보험료에 미치는 변동성의 정도를 비교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UDD가정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국내생명보험회사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해 해약률을 분석하고, 그 모형을 추정해 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추정된 단수연령 분포를 이용하여 보험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통신 언어 성 욕설의 실태 분석 : 10 대와 20 대 누리꾼을 중심으로

        권선미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wearwords are deeply-rooted in the linguistic life of human. However, as we all know that swearwords are taboo, people feel shameful or decide to restraint them though they have been using them. By the way, where people use swearwords without feeling of taboo is Internet chatting room. This is why we limited our study to Internet chatting room,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internet languages. Namely, the chatting room is the one that linguistic changes can be seen easily. This study looked into sexual swearwords used in both everyday life and chatting rooms and investigated those swearwords by categorizing them into 'sexual organ' and 'sexual act.' To get credibility on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100 high school students(male & female), and the current status was discovered by going actually into 'Buddy Buddy,' a famous chatting room(or a chatting messenger). Moreover, sexual swearwords in emoticon form and their variations were analyzed. Even though there were some limits on the research, the study have come out with several conclusions: First, linguistic re-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in various way and with new topics which are essential to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education field; next, a software system to control profane words in the chatting rooms should be prepared; and lastly, the real-name system is needed for healthy internet chatting. Furthermore,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study on sexual swearwords since it can be importantly used when teaching foreigner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인간의 언어생활에 욕설은 깊숙이 침투해 있다. 그러나 욕설의 금기성을 알기에 사람들이 실제 사용을 하면서도 수치스럽다고 느끼거나 자제해야겠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욕설의 사용이 금기성을 잃어버리고 자유자재로 사용되고 있는 곳이 바로 인터넷 대화방이다. 다양한 통신 언어가 있지만 인터넷 대화방으로 범위를 한정한 것이 바로 그 이유이다. 언어변이의 추이를 쉽게 살펴 볼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일상 언어에서 사용하는 性 辱說과 대화방에서 사용하는 性 辱說을 살펴보고 크게 ‘성기’ 와 ‘성 행위’를 중심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조사에 신빙성을 더하기 위해 남녀 고등학생 100명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실제 ‘버디버디’라는 대화방에 들어가서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대화방 채팅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이모티콘형 性 辱說과 이들의 변이형들을 분석하였다. 조사를 하면서 몇 가지 한계점에도 부딪쳤지만 결국 교육 현장에서 발로 뛰는 국어 교사들이 실제로 필요한 언어 재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한 방법과 여러 가지 소재를 이용하여 개발해야 한다는 것과, 대화방에서도 자체적으로 욕설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 실명제를 실시해야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성 욕설의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교육할 때 중요한 대상으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중점을 두어 고찰해 본다.

      • 초등학생의 리듬활동 특기적성교육이 사회성과 신체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선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리듬활동 특기적성 교육 참여가 사회성과 신체적 자아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증함으로써 리듬활동 특기적성 교육 현장에서 사회성과 신체적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보다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나아가 리듬활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아동 중, 유의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에 의하여 리듬활동 특기적성 참여아동 중, 무용에 참여하는 아동 100명, 댄스 스포츠에 참여하는 아동 80명, 뮤지컬에 참여하는 아동 100명, 리듬활동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아동 300명 씩 총 58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χ^(2)분석과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리듬활동 특기적성 참가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교성, 지도성, 자율성, 협동성, 활동성은 리듬활동 특기적성에 참가하는 학생이 참가하지 않는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정성은 리듬활동 특기적성 참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듬활동 특기적성 참가자 중 발표경연대회의 참가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교성, 자율성은 발표경연대회에 참가해본 학생이 참가하지 않는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도성, 협동성, 활동성, 안정성은 발표경연대회에 참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듬활동 특기적성 참가에 따른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리듬활동 특기적성에 참가하는 학생이 참가하지 않는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리듬활동 특기적성 참가자 중 발표경연대회의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발표경연대회에 참가해본 학생이 참가하지 않은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urposed to grope for methods of teaching sociality and self-efficiency more systematically in the field of specialty-aptitude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ng rhythmical activities by verifying whethe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articipation in specialty-aptitude education in rhythmical activities have effects on sociality and self-efficiency.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58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fourth graders to six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by purposeful sampling, including 100 students who participate in dance, 80 ones in dance sports, 100 ones in musical and 300 who do not participate in specialty-aptitude education in rhythmical activities. Aiming at the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hypotheses of this study based on collected data, χ^(2)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in analyzing the data.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as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in sociality by participation in specialty-aptitude education in rhythmic activitie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of sociability, leadership, autonomy, a cooperative spirit, and activity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However, st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result of looking at difference in sociality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contests, higher level of sociability and autonomy was indicated in those who took part in contests than in those who did not take part in them. On the other hand, leadership, a cooperative spirit, activity, and s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contests.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iciency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specialty-aptitude education for rhythmical activities, physical self-efficienc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hecking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iciency by participation in contests, those who participated in contests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 예비 지리교사의 교육실습 내러티브 탐구

        권선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apply narrative inquiry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its meanings that the student (geography) teacher go through during student teaching. Narrative can be used to express excellently individual experience. So this study collected the student teacher's teaching journal and students learning journal and analyzed their narrative as educational experiences. Narrative written in these journals is field text as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and students experiences. And research text is to analyze narrative written in field text to examine meaning of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The results got from research tex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earcher as student teacher could do reflective thinking of teaching through narrative inquiry of the student teacher's teaching journal, students learning journals and adviser's comment. Second, Though researcher experienced limit as the student teacher though narrative inquiry, it became gradually positive materials for me to be good teacher. Third, researcher experienced that an administrative work was apt to be treated less important than student teaching. But researcher felt that this have to be treated more practically because this can be experience only through student teaching. Finally, though researcher felt that the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was separated each other in the beginning of student teaching, he thought gradually that it was to identify and revise the theory through experience. Therefore, narrative inquiry of student teaching means that it is for student teacher to obtain practical knowledge through process of telling and retelling of his experience.

      •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 만족도, 추천의사에 관한 연구 : 중국 반영구화장 교육생을 중심으로

        권선미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K-pop과 한국 드라마가 중국을 중심으로 하여 전 세계로 한류열풍을 일으키면서 한국인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급증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2000년대 후반부터는 중국인들의 미용성형을 목적으로 한 의료관광이 본격화되었고 미용의료관광뿐만 아니라 한국의 미용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용교육에 대한 연구는 헤어나 일반 메이크업, 피부교육에 국한되어 있으며 반영구화장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반영구화장 교육을 받으러 온 중국인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 교육 만족도와 추천의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고, 현재 뷰티샵에서 근무하는 중국 반영구화장 교육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373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으로 사용된 통계 기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반영구화장 교육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은 여자가 높았고, 연령대는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은 대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혼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무 경력의 경우 없음이 가장 많았고 월 평균 소득은 100만원∼200만원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추천의사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의 요인별 평균을 알아보면, 긍정적 인식 4.067점, 학습적 인식 4.452점, 한류 인식 2.897점, 현실적 인식 4.811점으로 나타났다. 반영구화장교육 만족도의 요인별 평균을 알아보면, 강사 요인 4.054점, 수업 요인 4.314점, 시설 요인 4.340점으로 나타났다. 추천의사의 평균을 알아보면 4.379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실적 인식과 한류 인식의 요인만이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항목들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긍정적 인식 .058, 학습적 인식 .089, 한류 인식 .105, 현실적 인식 .157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한류 인식 요인과 현실적 인식 요인만이 p<.01 유의수준에서 강사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이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긍정적 인식 .093, 학습적 인식 .108, 한류 인식 .084, 현실적 인식 .109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현실적 인식 요인만이 p<.01 유의수준에서 추천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 요인과 학습적 인식 요인은 p<.05 유의수준에서 추천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 만족도가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강사요인 .099, 수업요인 .327, 시설요인 .126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수업요인만이 p<.001 유의수준에서 추천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사요인과 시설요인은 p<.01 유의수준에서 추천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 인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강사요인’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추천의사’로 한 매개 회귀분석에서 ‘강사요인’ 매개변수는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긍정적 인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시설요인’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 ‘추천의사’로 하였을 때 ‘시설요인’은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학습적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강사요인’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 ‘추천의사’로 하였을 때 ‘강사요인’은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학습적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수업요인’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 ‘추천의사’로 하였을 때 ‘수업요인’은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학습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시설요인’을 매개 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 ‘추천의사’로 하였을 때 ‘시설요인’은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현실적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강사요인’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를 ‘추천의사’로 하였을 때 ‘강사요인’은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결국은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 인식이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교육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을 경험한 중국인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인식 및 만족도, 추천의사에 대해 실증 연구를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반영구화장 교육이 새로운 뷰티산업의 한 분야로 발전해 나아가는데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 반영구화장 후처치 방법에 따른 착색도에 대한 연구

        권선미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반영구화장의 장점은 메이크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을 연출할 수 있어 반영구화장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반영구화장은 컬러와 디자인을 유행에 따라 바꿀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반영구화장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착색도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시술과정의 후처치에 따른 착색도 변화와 착색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데이터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반영구화장의 주요 시술자인 미용인들 조차 시술 후처치 방법에 따른 착색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착색의 효율을 높이고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후처치 방법에 대한 측색 평가 실험을 통하여 객관적 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반영구화장 전문가 147명의 사전조사를 통해 사용하는 색소와 시술, 후처치, 그리고 반영구화장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영구화장 전문가들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은 40대가 가장 많았고 종사경력은 7∼10년이 가장 많았으며 월평균 소득은 300∼400만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처는 반영구화장 전문샵이 가장 많았다. 둘째, 반영구화장 시술 시 주 사용 색소의 유형으로는 글리세린베이스를 사용하는 전문가가 워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전문가보다 11.6% 더 많았고, 이것은 워터베이스보다 글리세린베이스 색소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경제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색소 구입 시 우선적 고려 사항으로는 두 집단 모두 발색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반영구화장 시술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시술 능력으로 보았으며 주로 사용하는 기법은 32%가 그라데이션 기법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시술 시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작업으로는 49.7%가 기법을 구사할 때로 나타났다. 반영구화장 시술 시간 중 눈썹 시술 소요 시간으로는 1시간 30분이 55.1%로 가장 많았으며, 아이라인 시술 소요 시간으로는 1시간 소요가 55.8%로 가장 많았고 입술 시술 시에는 2시간 소요되는 전문가가 50.3%로 가장 많았다. 넷째, 반영구화장의 착색도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의료용 체내표시기(머신) 및 바늘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34.7%로 가장 많았다. 반영구화장 시술 후 후처치 이유로는 착색을 높이기 위해서가 75.5%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가장 많이 하는 후처치 방법으로는 색소 도포 후 랩핑이 60.5%로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후처치 소요 시간으로는 15분 미만이 40.1%로 가장 많았고 착색도 향상을 위한 후처지로 적당한 방법으로는 색소 도포 후 랩핑이 좋다고 인식하는 전문가가 49%로 가장 많았다. 향후 반영구화장 후처치 방법으로 태핑방법 시도로는 시도할 의향이 있다가 70.1%로 대부분이었고 후처치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착색을 중요하게 고려한다가 68.7%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반영구화장 시술의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해 전문가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시술자의 자격을 의료인으로 제한한 것이 71.4%로 가장 높았고 반영구화장 시술 시 고객만족도 증대를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시술자의 전문성이 36.1%로 가장 많았으며 반영구화장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시술자의 자격이 69.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반영구화장의 착색도에 미치는 후처치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본 실험연구에는 반영구화장을 시술한 돈피의 착색정도를 분광측색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반영구화장 색소 유형과 후처치 방법, 그리고 후처치 시간에 따라 갈색과 핑크색으로 시술 후 돈피의 L*, a*, b*을 살펴보기 위해 MANOVA(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결과는 워터베이스 갈색의 L*이 3분 방치가 27.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분 태핑이 24.4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분 방치가 L*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후처치 방법으로는 방치가 착색이 가장 효과가 낮았고, 태핑(빠르고 미세한 두드림)이 가장 효과가 높았다. 둘째, 글리세린베이스 갈색의 L*은 3분 방치가 28.5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9분 태핑이 25.1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글리세린베이스 갈색 또한 후처치 방법 중에서 태핑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리세린베이스의 갈색은 태핑에서 시간이 9분일 때 L*이 25.19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워터베이스의 갈색은 태핑 3분에서 L*이 24.56으로 가장 낮았던 것으로 보아 시간 단축으로는 워터베이스의 색소가 글리세린베이스 색소보다 더 나았다. 셋째, 워터베이스 핑크색의 L*은 3분 방치가 42.6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9분 태핑이 38.3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워터베이스 핑크색 또한 후처치 방법 중에서 태핑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글리세린베이스 핑크색의 L*은 3분 방치가 44.80으로 가장 높았고, 3분 태핑이 39.17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글리세린베이스의 핑크색 또한 태핑으로 후처치하는 것이 착색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실험 결과와 같이 색소 유형별로는 글리세린베이스 L* 평균이 39.44이고 워터베이스 L* 평균이 38.63으로 나타나 워터베이스의 색소가 착색이 더 잘 되는 것으로 보이고 착색을 높이는 후처치 방법으로는 방치가 효율이 가장 낮고 태핑이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워터베이스 갈색과 글리세린베이스 갈색, 워터베이스 핑크색과 글리세린베이스 핑크색의 a*과 b*은 착색도를 알아보기에 부적합하였다. 실험에서 돈피의 특성상 피부색이 균일하지 않고 측색 면적에 따라 색을 결정하는 요인의 분포가 달라 평균값의 분석은 가능하지만 각 시료별 a*b*의 오차범위가 있어서 측정 부위에 따라 a*b*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반영구화장 후처치 중에 태핑으로 시술 부위를 두드려 주는 것이 착색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서 3분, 6분, 9분의 시간 설정은 절대적인 수치로 받아들이기보다 경향성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람의 피부와 가장 유사한 돈피를 이용하여 색소 유형과 후처치 방법, 후처치 시간에 따른 착색의 정도를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증 연구를 통하여 반영구화장 시술 후처치 방법에 대한 계량적 데이터를 도출함으로써 후처치의 방법론적 최상위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사람의 피부와 돈피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때에는 이러한 점을 보완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돈피 반영구화장 실험에서 후처치 방법이 착색도에 미치는 연구를 통하여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남은 시간을 고객에게 집중함으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문가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반영구화장 기술의 요소에 대한 인식과 반영구화장 후처치에 대한 인식과 방법, 반영구화장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알아봄으로써 반영구화장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 merit of semi-permanent makeup includes convenience and naturalness, thereby functioning as a factor of having a strong consumer base. But it is the real situation of being inadequate for an in-depth research on pigmentation level that affects durability of semi-permanent makeup. Also, the data are also in the insufficient condition that objectively measured coloring variation and coloring degree depending on post-treatment in the procedural process. There are many cases that beauticians, who correspond to the main procedural person, fail to correctly know a fact that the post-treatment of procedure has an effect on coloring. Thus, an empirical research on this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Accordingly, to examine the pigment & procedure to be used, the post-treatment, and the perception on a problem & an improvement plan for semi-permanent makeup through a prior survey of 147 semi-permanent makeup experts, this study carried out x2(chi-square) test and frequency analysis. Arran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mi-permanent makeup experts, the age was the largest in their 40s. The professional career was the most in 7∼10 years.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3,000,000 won∼4,000,000 won. The workplace was the largest in a specialized shop for semi-permanent makeup. Second, regarding a coloring type that is used mainly given the procedure of semi-permanent makeup, the experts of using the glycerin base were larger than the experts of using the water base. In terms of a preferential consideration given buying pigment, both groups were thinking the color formation property most importantly. Thir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rocedure of semi-permanent makeup was regarded as procedural capacity. The technique, which is used primarily, is a gradation technique. The work that is required time the most given the procedure of semi-permanent makeup appeared to be when making use of the technique. Fourth, the time required for eyebrow procedure out of the time for semi-permanent makeup was the highest in 1 hour and 30 minutes. The time required for eye line procedure was the largest in 1 hour. The lip procedure was the most in experts of requiring 2 hours. Fifth,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improving pigmentation level of semi-permanent makeup was the largest in the perception as saying that the medical in-vivo indicators and needles are critical. Sixth, a reason for post-treatment following the semi-permanent makeup possessed the greater part in the aim of increasing coloration. The post-treatment method that is performed the most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wrapping(covering with plastic wrap) after pigment application. The post-treatment time required was the largest in less than 15 minutes. Post-treatment for enhancing pigmentation level was the most in experts who recognize that wrapping after pigment application is good. As for a future post-treatment method of semi-permanent makeup, an attempt for a tapping method had the greater part in a will to try. The point that will need to be considered most significantly in post-treatment was the most in what regards coloration as important. Seventh, as a result of having examined the perception of experts on the biggest problem about the procedure of semi-permanent makeup, it was the highest in what limited a procedural person's qualification to a healthcare worker. The necessary element for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given the procedure of semi-permanent makeup was the largest in a procedural person's expertise.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development in semi-permanent makeup was mostly possessed by a procedural person's qualification. To compare a post-treatment method that has influence upon pigmentation level of semi-permanent makeup, this study gauged pigmentation level of pigskin, which was implemented the semi-permanent makeup, using spectrophotometer. To examine L*, a*, b* of pigskin as an analytical technique, MANOVA(multi-variate ANOVA) was conducted. Arran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L* is a value of showing brightness. The bigger L* leads to the higher lightness. The smaller value leads to the lower brightness. And the lower lightness seems to be colored better. First, L* in brown with the water base appeared to be the lowest in 3-minute tapping(a fast and fine tap). L* in brown with the glycerin base was indicated to be the lowest in 9-minute tapping. L* in pink with the water base appeared to be the lowest in 9-minute tapping. L* in pink with the glycerin base was the lowest in 3-minute tapping. In terms of a post-treatment method that raises coloration same as the experimental outcome, tapping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efficiency. By coloring type, the pigment in the water base seems to be formed better.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a factor, which determines color according to the colorimetric area of pigskin in the experiment. Thus, the analysis of average value is possible. However, error range in a*b* by each specimen is wide, thereby having been able to be seen that there is variance in a*b* depending on a measuring part. Accordingly, a* and b* are thought to be unsuitable for inquiring into pigmentation level. The empirical research led to having elicited quantitative data on a post-treatment method of the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 and to having offered methodological top-level information on post-treatment, resulting in being expected to give help to the development in semi-permanent make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