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LC Resonant Converter의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

        권두일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LLC Resonant Converter는 간단한 구조로써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전부하영역에서 ZVS가 가능하며, 주 스위치의 내압이 입력전압으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2차측 다이오드의 Zero Current Switching이 가능하고, 전압 Ringing이 없으며, 고효율 설계가 가능한 장점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는 Converter Topology 중 하나이다. 하지만, 경부하시 효율이 낮아지고, Converter의 동작 상태 해석이 다소 어려워 최적의 공진 탱크 설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LLC Resonant Converter를 공진 주파수로 동작할 때와 최대 전압 이득을 갖는 주파수로 동작할 때를 해석하고, 1차측 및 2차측 전류의 RMS 값, Resonant Tank의 Capacitor의 최대 전압, 2차측 AC RMS 전류 등을 시간의 함수로 유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Resonant Tank의 Design Flow를 제안하였으며, 32’’ LCD TV SMPS를 이용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Voltage Mode Controller의 Design Flow를 제안하고, Type II controller를 제작하고 32” LCD TV SMPS에 적용하여, 기존 Controller와 비교, 검증하였다.

      • 유아기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EEF) 타당화 연구

        권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2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ating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Nilsen and her colleagues(2017) to evaluate the executive function of preschoolers, In other words, The REEF developed overseas for 3-5 years old was validated for domestic preschoolers, and a new parent-reporting scale was added to the existing scale or task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for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It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executive function of preschoolers. In this study, the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cross validity) of REEF were examined using three samples. This study included Korean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ranged in age from 3 to 5 years old.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REEF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 final questions were completed through translation-back translation, review from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xpert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n a total of 300 pairs (Study Subject 1) of mothers and preschoolers aged 3-5 yea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Incheon, Gyeonggi, etc.)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mothers’parenting behavior, children’s everyday executive function, executive function, problem behaviors and mind theory. The executive function of preschoolers was measured by the Rating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 developed by Nilsen et al. (2017) and the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BRIEF-P] by Isquith et al. (2004). Mothers' parenting behavior was measured using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developed by Park Joo-hee (2001). The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were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by Mijeong Kim (2010), which was a adapted and modified version of the problem behavior scale by Reid, Hong, and Wade (2009). The theory of mind was measured as validated by Sunyoung Yoon (2019) on the Children's Social Understanding Scale (CSUS) developed by Tahiroglu et al. (2014). Next, in order to examine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REEF scale and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 total of 57 pairs of preschoolers (ages 3-5) and mothers living in Seoul and Incheon (Study Subject 2) were subjected to data. The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REEF scale confirmed through Study Subject 1, and the day/night task (Gerstadt, Hong, & Diamond, 1994) and the whispering task (Kochanska, Murray, Jacques, Koenig, & Vandegeest, 1996) were used for the executive function task to measure inhibition. Working memory was measured by a forward/backward digit span task (Geumju Kwak, Sangwoo Oh, and Cheongtaek Kim, 2011), and cognitive flexibility was measured by a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 task (Frye, Zelazo, & Palfai, 1995), planning and organizing were measured using the Tower of Hanoi [TOH] task (Welsh, 1991; Welsh et al., 1991). In addition, amo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was measured by the 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R) developed by Young-Tae Kim, Kyung-Hoon Hong, Kyung-Hee Kim, Hye-Sung Chang, and Ju-Yeon Lee (2009). Finally, in order to examine the cross validity, a total of 300 mothe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Incheon, Gyeonggi) reported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their preschoolers (ages 3-5). Study subject 3 was different from study subject 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ponded to the REEF questions confirmed earlier. The results of the validity of REEF confirmed through three sampl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going through the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and the review process by a Korean writer,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lar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REEF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item analysis of REEF, the quality of the items was confirmed and then the final questions were confirmed.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examine construct validity, all items except for one item showed an acceptable fit of factor loading, indicating that a single factor was suitable as in the study that developed the original scale. Third, to demonstrate convergent validity among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s between REEF and BRIEF-P, REEF and executive function measured by the execution function performance task were analyzed,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executive function measured through REEF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xecutive function measured through the BRIEF-P and the executive function task, and convergent validity was confirmed with this result. Fourth, in order to examin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theory of mind, problem behavior and language ability which have been previously proven to be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was investigated. Fifth, as a result of cross validity testing whether the results examined through study subject 1 appear the same to the new subject, factor loadings of all items except for the two items were found to be similar.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new and additional tool to the executive function. This was mainly measured through existing scales and experimental tasks, by examining the validity of REEF, which evaluates preschoolers’everyday executive functions, through the mother's report. REEF validated from various aspect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For example, it can be used in research that reveals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 factors affecting executive function, and developmental results of executive function, etc.,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and activation of research on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본 연구의 주목적은 유아기 실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유아기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ating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의 타당도를 다각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psychometric properites)을 확인하는 것이다. 즉, 국외에서 만 3~5세를 대상으로 제작된 REEF를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타당화하고 기존의 척도나 과제 수행을 통해 측정해왔던 유아의 실행기능의 측정 방식에 새로운 부모보고용 척도를 추가하여 추후 유아기 실행기능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표본을 활용하여 REEF의 타당도(구인타당도, 수렴타당도, 공인타당도, 교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REEF의 구인타당도, 수렴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모집된 연구대상 1은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 등)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300명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유아의 일상의 실행기능, 실행기능, 문제행동, 마음이론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은 Nilsen 등(2017)이 제작한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ating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와 Isquith 등(2004)의 유아용 실행기능 행동평정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BRIEF-P])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주희(2001)가 개발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문제행동은 Reid, Hong과 Wade(2009)가 사용한 문제행동 척도를 김미정(2010)이 번안하고 수정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친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마음이론은 Tahiroglu 등(2014)이 개발한 아동의 사회적 이해 척도(Children's Social Understanding Scale [CSUS])를 윤선영(2019)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REEF의 수렴타당도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모집된 연구대상 2는 서울과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및 어머니 총 57쌍이다. 유아의 실행기능은 REEF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실행기능 과제는 억제를 측정하는 낮/밤(day/night) 과제(Gerstadt, Hong, & Diamond, 1994), 속삭이기(whisper) 과제(Kochanska, Murray, Jacques, Koenig, & Vandegeest, 1996)와, 작업 기억을 측정하는 숫자 바로/거꾸로 따라하기(forward/backward digit span) 과제(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 인지적 유연성을 측정하는 차원 변경 카드 분류(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 과제(Frye, Zelazo, & Palfai, 1995), 그리고 계획 및 조직화를 측정하는 하노이의 탑(Tower of Hanoi [TOH]) 과제(Welsh, 1991; Welsh, Pennington, & Groisser, 1991)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수용어휘능력은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과 이주연(2009)이 제작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중 수용 어휘력 검사(REVT-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차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모집된 연구대상 3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총 300명을 포함한다. 연구대상 3은 연구대상 1과 다른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참가한 어머니들은 자녀의 실행기능에 대한 REEF 문항에 응답하였다. REEF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구체적 절차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EEF 문항에 대한 번역-역번역 및 국문학자의 감수 과정을 거치고, 예비조사를 진행하여 문항의 명확성과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REEF의 문항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항들의 양호도가 확인되어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둘째,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76문항 중 1문항을 제외한 75문항이 적절한 수준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원척도를 개발한 연구와 같이 단일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문항 간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우수한 수준의 신뢰도 계수가 산출되었다. 셋째, 수렴타당도 검증을 위해 REEF와 BRIEF-P 그리고 REEF와 실행기능 수행과제를 통해 측정한 실행기능 간의 상관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REEF를 통해 측정한 실행기능은 BRIEF-P 및 실행기능 과제를 통해 측정한 실행기능과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넷째,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에서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이 증명된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마음이론, 문제행동 및 언어능력과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REEF와 몇몇 하위 변인들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은 부분도 있으나, 전반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여 공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가 새로운 연구대상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 교차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의 요인부하량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유아기 일상의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REEF의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주로 기존의 척도 및 실험과제를 통해 측정되었던 실행기능에 새로운 추가적인 도구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타당화된 REEF는 추후 실행기능의 개인차 및 실행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실행기능의 발달적 결과를 밝히는 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유아의 실행기능 연구의 확장 및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농가소득향상을 위한 직접지불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권두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23

        DDA협상과 국가간 FTA체결확대로 농산물시장개방이 확대되면서 농가소득불안정이 심화되어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직접지불제 확대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97년 경영이양직불제 도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직불제가 시행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농가소득불안정은 심화되고 있다.직접지불제를 체계화 하기 위해서는 UR협정문에서 허용하는 직접지불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U에서는 보상직접지불제와 단일직접지불제를 도입하고 있다. 이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허용보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생산제한하의 직접지불제를 우리 실정에 맞게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미국은 고정직접지불제와 경기변동직접지불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품목별로 목표가격을 설정하여 경기변동에 관계없이 소득을 보전해주는 체계와 목표가격과 시장가격의 차액을 일정비율까지 보전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일본은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보상과 효율성 추구등 이념적으로 대립하는 정책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경영이양직접지불제등 다양한 직접지불제를 추진하고 있다. 경영이양직접지불제의 도입목적은 고령농가의 은퇴와 농업구조조정을 촉진하기 도입하였으나 영세농의 사회보장적 차원의 제도가 확립되지 못한 상황에서 정책의 효율성이 낮았다.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는농업의 긍정적 외부효과(Positive Externality)에 대한 보상과 환경보전등의 공익추구,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이었으나 지원기간이 짧고 생산단가가 관행농업보다 높아 유인책으로 미흡하다.쌀소득등보전직접지불제(논농업직접지불제와 소득등보전직접지불제와 통합)는 논의 공익적 기능보전, 환경보전과 안전한 농산물 장려, 동시에 농가에 대한 소득하락분을 보전하는 정책으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고정형직접지불제의 지급단가의 상향이 농지가격 상승과 임차료 상승으로 농업구조조정에 역행되고 목표가격 산정이 시장에 의한 가격이 아닌 정치적 영향력으로 결정될 소지가 있어 재정적 부담과 시장혼란을 초래할수 있다.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경관보전직접지불제와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제는 지역 균형발전, 농촌의 활력증진, 환경 및 생태계 보전등 농촌경관에 대한 보전과 삶의 질향상을 위해 도입되었다.결과적으로 농가소득향상을 위해 도입된 다양한 직접지불제를 체계화 하기 위해서는 첫째, 행정운영체계를 정비하여야 하고 둘째, 농가등록제를 도입하여 정책에 대한 투명성과 효과성을 제고하여야 하며 셋째로, 규모화 영농으로 전환될때 비로소 직접지불제가 농가소득향상에 기여할것으로 생각된다.

      •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권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인애착(애착 불안, 애착 회피)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3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Brennan, Clark과 Shaver(1998)가 개발하고 Fraley, Brennan과 Waller(2000)가 수정한 친밀한 관계에서의 경험-개정판(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ECR-R])을 김성현(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측정하기 위해서 Garnefski, Kraaij와 Spinhoven(2001)이 개발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를 김소희(2004)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문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홍상황 등(2002)이 타당화한 한국판 대인관계문제원형 척도-단축형(Short form of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KIIP-SC])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t검정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SPSS PROCESS Macro v.2.16.3 프로그램으로 다중매개모형(multiple mediator model)을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에서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 모두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쳐,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 수준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 불안이 애착 회피보다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높을수록 대학생들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적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의 영향력에 있어서, 애착 회피보다 애착 불안이 적응적,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모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였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적게 사용할수록 대인관계문제 수준은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의해 매개되었다. 즉,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높을수록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덜 사용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더 사용하였고, 그 결과 높은 대인관계문제를 보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와 같은 불안정 애착으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적응을 위한 개인 상담, 집단 상담, 대인관계를 주제로 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dult attachmen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explored. A total of 300 undergraduate students (182 male and 117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adult attachmen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22.0 and SPSS Process Macro v2.16.3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 students’ adult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Students who had higher levels of attachment-related anxiety and avoidance experienced more interpersonal problems. Attachment anxiety had a greater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an attachment avoidance. Second, adult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higher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the less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mor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used. Thir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The mor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les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employed, the lower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s. For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attachment-related anxiety and avoida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medi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dult attach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would be important to further develop programs to help reduce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undergraduates at the counselling and educational environment.

      •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모델 개발

        권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다문화적 역량을 지닌 영양교사가 효과적으로 다문화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 수준을 규명하고, 영양교사의 다문화교육 지식 및 기술 필요도와 영양교사의 지식 및 기술 보유 정도를 비교하여 영양교사의 교육을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영양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자기지식 평가 및 연수프로그램 필요도 평가에 대하여 설문․연구하였다. 영양교사의 다문화교육 관심정도에 관한 조사결과, 응답자들의 94.2%가 다문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영양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 교원연수 경험에 대하여는 35.4%가 연수를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다문화교육 연수의 수강의향 정도를 묻는 물음에 대하여는 69.4%의 응답자가 수강의지를 나타냈다. 다문화인식 프로그램이나 훈련의 충분 정도에 대하여 부족하다고 응답한 영양교사는 84.9%이었다. 따라서 영양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충분한 연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지닌 영양교사가 전문성을 발휘하여 의미 있는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응답자들의 다문화교육 지식, 기술 및 다문화교육 이해영역 내용요소 지식에 대한 자기평가와 연수프로그램 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자기평가에 대한 분류별 전체적인 평균은 2.45점, 2.65점으로 나타나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연수프로그램 필요도의 평균은 분류별 전체적인 평균이 3.62점, 3.62점으로 동일하게 나타나 현 학교 영양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양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기평가와 연수프로그램 필요도 결과를 기초로, 18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여 영양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모델 개발을 위한 델파이조사를 두 차례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문화교육 지식, 기술 관련 연수프로그램의 배정시간은 평균 1.02~1.69시간, 다문화교육 이해영역 내용요소 지식관련 연수프로그램의 배정시간은 평균 1.09~2.16시간이 요구되어 영양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모델은 총 30시간 직무 연수프로그램의 형태로 구성되었다. 또한 델파이조사에서는 제시된 프로그램 이외에 급식 적용방안(메뉴조합, 레시피 개발)등의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 강화와 같은 보다 실천적인 내용의 프로그램 첨가 등이 필요하다고 논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와 전문가 집단의 델파이조사 응답결과를 반영하여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 nutrition teacher who has multi-intercultural skills in the 21st century globalization era should possess in order to efficiently carry out multicultural education, comparing the knowledge and level of skills of a nutrition teacher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knowledge and skills requirements of a nutrition teacher, and providing a basic resource for developing a multicultural training program model for the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nd studies on the training program requirement evaluation, self-knowledge,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argeting 206 nutrition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interest level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94.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re interested in multi-cultures. In terms of teacher-in-service training experienc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35.4% answered that they have received training, and for the question of the level of intentions for training, 69.4% answered that they are willing to receive training. 84.9% of the nutrition teachers answered that they think the multicultural training or program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nutrition teachers, who have multicultural skills through sufficient training which is developed through multicultural training programs, can carry out meaningful education by demonstrating their expertis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requirement of a training program and self-evaluation for the comprehension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kills, and knowledge of the respondents, the overall average for the self-evaluation was 2.45, and it was considered fairly low for 2.65, and the overall average requirement of a training program was 3.62, and it was also 3.62 which indicated that the overall demand for a training program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is fairly high.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requirements of training programs and self-evaluation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18 professional panels were selected to conduct two parts of a Delphi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model of nutrition teacher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Delphi study, the average allocated tim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kill and knowledge related training program was 1.02~1.69 hours, the average allocated time of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knowledge of comprehension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1.09~2.16 hours,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model for nutrition teachers was composed of a total of 30 hours. Also, in the Delphi study, there were various proposals of practical sugges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This research develops and proposes a training program model for enhancing multicultur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nutrition teachers by reflecting the Delphi study results of professional panels and nutriti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