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키지 디자인에서 복고적 이미지 표현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콜릿 소비자의 연령을 중심으로

        국지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Chocolate is a favorite food and it is also a good product given as a present to special people on a special day. Thus, chocolate manufacturers are vying one another for high- quality packaging. On the basis of this market environment, a design which is not related to chocolate packaging has started to appear in order to provide a differentiated packaging from the existing chocolate design. In this chocolate packaging, the retro image express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hocolate packaging design has often been applied to chocolate and it is also very successful in the market. The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design reminds consumers of their past nostalgia and emotion and makes them feel a favorite attitude to the product. Thus, in this research institute, on the basis of the classical conditioning theory, the effect of the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which is on sale in the market, on the attitude of consumers was investigated with a focus on the involvement and age, and attempts were made to prove such effect.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consumers' involvement in chocolate vary with the age? Second, how does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design vary with the age?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chocolate history through literature survey for two data surveys, consideration of the past-to-present packaging design of chocolate on sale in the domestic/international marke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for restoration/retro-design and the Parlov-developed classical conditioning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y, and consideration of consumer attitude theory. The first data survey was based on real data, the samples for the data survey were delimited to the planar type of chocolate. the most popular chocolate product, and conduction of the survey was limited to 'Choco Classic' of ‘market O’ regarded as the most remarkably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out of the retro image expressions of domestic chocolate brands.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for one month targeting 269 10's-to-60's chocolate-purchasing consumers. First, the results for survey of consumer involvement in chocolate indicate that chocolate was a highly-involved product to 10's and 20's consumers, the main purchase class and that the higher the age the lower the involvement. Second, the results for analysis of recognition response to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design indicate that the recognition response of the high-age class consum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age class consumers to the questions of ‘The product looks like an old-fashioned design’ and ‘It seems that the product was seen old days.’ In addition, in the questions of general recognition response to chocolate, the age did not make difference and both of the two groups showed a higher response than normal. Thus, the recognition response of the high-age class consumers to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design was high, and the recognition response decreased as the age decreased. The results for analysis of emotional response to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design show that the response of the high-age class consumers, who experienced the era, to the questions of ‘I feel warm’, ‘It reminds me of my old days’, and ‘I feel familiar with it’, was high, and that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emotional response only to the questions of ‘I like the design’ and ‘I like the figure’. Thus, the emotional response of the high-age class consumers to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design was high, and the lower the age the lower the emotional response. The results for analysis of behavioral response to retro-image expression packaging design indicate that the response of the low-age class consumers to all the items of ‘I want to purchase it’, ‘I want to present it’, and 'I want to recommend it to my friends’ was high, and that the response of the high-age consumers was low.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retro-image expression had an useful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 According to Pavlov's classical conditioning theory, most of information (Things they know and feel) on the goods and service stored in consumers' memory is made through a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forms knowledge through an awareness/memory process an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theory also holds partly good depending on the involvement and age of consumer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retro-image expression design used in packaging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variable of consumer attitude. Thus, if the retro image expression is utilized selectively in packaging design depending on the involvement and age of consumers, it is considered to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selection of goods. 초콜릿은 기호 식품이며 특별한 날, 특별한 사람에게 선물하기 좋은 상품이다. 따라서 초콜릿 제조사들은 앞을 다투어 포장에 정성을 쏟고 있으며 포장의 고급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을 바탕으로 기존의 초콜릿 디자인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초콜릿 패키지와 거리가 먼 디자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초콜릿 패키지는 일반적인 초콜릿 패키지 디자인과는 다른 복고적 이미지 표현을 초콜릿에 응용하는 사례가 빈번하며, 시장에서도 큰 성공을 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 디자인으로부터 과거에 느꼈던 향수나 감정을 떠올리고, 제품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전적 조건화 이론을 바탕으로 시중에 판매중인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여도와 연령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패키지 디자인에서 복고적 이미지 표현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콜릿에 대한 소비자 관여도는 연령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날 것인가? 둘째,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 디자인에 대해서 소비자 태도는 연령별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방법은 2차 자료조사를 위해 문헌자료를 통하여 국내 초콜릿의 역사와 국내외 시판중인 초콜릿 패키지디자인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패키지 디자인을 고찰하고, 선행연구 와 이론 등을 통해 복고와 복고적 디자인의 개념과 Pavlov가 개발한 고전적 조건화(classicalconditioning)에 대해 알아보고, 소비자 태도이론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1차 자료조사는 실증자료로 자료 조사용 샘플은 초콜릿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제품인 판형 초콜릿으로 국한시켰으며, 국내 초콜릿 브랜드의 복고적 이미지 표현 중 확연하게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라 사료되는 ‘market O’의 ‘초코 클래식’ 으로 한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초콜릿을 직접 구매하는 10대~60대 소비자 269명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을 겸하여 한 달간 실시하였다. 첫째, 초콜릿에 대한 소비자 관여도를 조사한 결과, 주 구매층인 10대-20대 소비자에게는 고관여 제품 이였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관여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 디자인의 인지반응을 분석한 결과, ‘옛날 스타일 디자인으로 보인다’와 ‘옛날에 본 것 같은 제품으로 보인다’ 문항에서 고연령층 소비자가 저연령층 소비자 보다 인지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인 초콜릿에 대한 인지반응을 묻는 문항에서는 연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며, 두 그룹 모두 보통 이상의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고연령층 소비자에게는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 디자인은 인지반응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연령이 낮아질수록 인지반응은 낮게 타나났다.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 디자인의 감정 반응을 분석한 결과, 그 시대를 학습한 고연령층 소비자에게는 ‘따뜻한 느낌이 든다’, ‘옛 추억이 생각난다.’, ‘나와 친숙한 느낌이 든다’ 문항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디자인이 마음에 든다’, ‘그림이 마음에 든다’ 항목에서만 감정반응이 나타났다. 따라서 고연령층 소비자에게는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 디자인은 감정반응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연령이 낮아질수록 감정반응은 낮게 타나났다. 복고적 이미지 표현 패키지 디자인의 행동 반응을 분석한 결과, 저연령층 소비자는 ‘구매하고 싶다’, ‘선물하고 싶다’, '친구에게 권하고 싶다’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고연령층 소비자에게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복고적 이미지 표현이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에서 소비자의 기억에 저장하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정보의 대부분(그들이 알고 있는 것, 느끼는 것)은 학습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며, 학습이란 지각과 기억과정을 통해 지식을 형성하여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소비자의 관여도와 연령에 따라 부분적으로 성립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패키지디자인에서 활용되는 복고적 이미지 표현 디자인은 소비자태도에 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에서는 소비자의 관여도와 연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고적 이미지 표현을 활용한다면 소비자의 상품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서 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중년여성의 동반식사 여부에 따른 영양상태 및 건강행태조사 : 제 7기(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이용

        국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동반식사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기존 연구는 노년이나 아동청소년기를 중심으로 하여 동반식사와 정신질환 혹은 대사증후군을 중점으로 분석한 연구로 중년여성의 동반식사와 영양상태, 식습관, 건강행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40세이상 59세 이하의 한국 중년여성의 동반식사 여부에 따른 영양상태 및 건강행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6~2018년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40세이상 59세 이하 중년여성 3,5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반식사의 구분은 ‘최근 1년간 아침식사 시 가족 및 가족 외 사람과의 동반여부’, ‘최근 1년간 점심식사 시 가족 및 가족 외 사람과의 동반여부, ‘최근 1년간 저녁식사 시 가족 및 가족 외 사람과의 동반여부’문항을 이용하여 네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동반식사 여부에 따른 대상자를 분류한 결과 혼자식사군이 9.4%, 1끼니 동반식사군이 24.9%, 2끼니 동반식사군이 39.5%, 3끼니 동반식사군이 958명으로 26.6%로 나타났다. 인구 사회학적요인은 혼자식사군에서 연령, 미혼, 별거, 사별, 이혼, 1인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고, 농촌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으며 교육수준과 소득수준, 경제활동 참여율이 동반식사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혼인상태와 가구 유형 또한 동반식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영양섭취상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곡류, 유지류(식물), 육류 섭취량이 동반식사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고, 감자·전분류, 채소류, 양념류 또한 혼자식사군의 섭취량이 가장 적은 결과를 나타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산, 레티놀, 티아민, 나트륨 또한 혼자식사군의 섭취량이 가장 적게 나타나며 동반식사 횟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열량섭취 구성비(Carbohydrate: Protein: Fat, CPF)는 모든 군에서 알맞은 비율로 섭취되고 있었으며, 영양소 섭취의 과부족을 평가하기 위해 분석한 영양소 적정 섭취비(Nutrient Adequacy Ratio, NAR)는 단백질이 동반식사 횟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티아민이 3끼니 동반식사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영양 밀도를 나타낸 영양 질적 지수(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는 리보플라빈이 동반식사 횟수가 증가할수록 점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평가지수에서는 ‘식생활 평가지수 총점’,‘아침식사 섭취’,‘잡곡 섭취’,‘총 채소 섭취’,‘김치, 장아찌류를 제외한 채소 섭취’,‘고기, 생선, 달걀, 콩류 섭취’,‘포화지방산 에너지섭취 비율’,‘당류, 음료류 에너지섭취 비율’,‘에너지 적정 섭취’의 평균점수가 동반식사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아침식사 섭취 항목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나트륨 섭취’ 의 경우 동반식사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중년여성의 동반식사 여부에 따른 건강지표를 파악하기 위한 혈액검사, 소변검사, 대사증후군 위험 지표 검사에는 질병에 대한 다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나이와 폐경 여부를 보정한 뒤 조사하여 크레아티닌과 혈소판, 단백뇨에서 동반식사 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크레아티닌과 혈소판은 3끼니 동반식사군에서 가장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네 군 모두 정상 수치에 해당하였다. 단백뇨의 경우 동반식사 횟수가 증가할수록 음성인 비율이 높았다. 또한 동반식사 횟수가 증가할수록 폐경을 하지 않은 가임기 여성이며 출산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고 스트레스 인지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면연구자료를 이용하여 동반식사 여부와 각 요인간의 단면연구이기 때문에 동반식사와 관련된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없다. 특히 동반식사의 구분에 있어 횟수 뿐 아니라 1인가구, 다인가구 등 가구 구성원에 대해 분류하고 가정내에서 함께한 동반식사와 타인과 함께한 동반식사에서의 영양 상태 및 건강행태에 대해 세밀히 분석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search on shared meals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but existing studies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elderly or adolescence, analyzing shared meals in relation to mental disorders or metabolic syndromes.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shared meals, nutritional status, dietary habits, and health behaviors in middle-aged wome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f Korean women aged 40 to 59 based on whether they engage in shared meals or not. This study targeted 3,595 middle-aged women aged 40 to 59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6 to 2018. The distinction of shared meals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the presence of family members and others during breakfast, lunch, and dinner over the past year. The classificat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9.4% ate meals alone, 24.9% shared one meal, 39.5% shared two meals, and 26.6% shared three meals.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group that eats alone exhibit the highest proportions of individuals who are older, unmarried, separated, divorced, or liv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ural residency rate is also higher in this group. Additionally, lower levels of education, income, and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re observed in the group that eats alone compared to the shared meal group. Besides income, education, and residence,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 also have additional impacts depending on the shared meal statu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and the consumption of cereals, plant-based fats, and meat. On the other hand, categories such as potatoes, starches, vegetables, and condiments exhibited the lowest intake levels in the group that eats alone. Carbohydrates, proteins, fatty acids, retinol, thiamine, and sodium also demonstrated the lowest intake levels in the group that eats alone, wit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The CPF ratio was appropriate in all groups, and th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analysis, used to evaluate nutrient deficiencie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intake and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with thiamine scoring the highest in the group that shared three meals a day. In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riboflavin showed a decrease in scores as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increased. The Dietary Habits Evaluation Index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score, breakfast consumption, whole grain intake, total vegetable intake, vegetable intake excluding kimchi and pickled vegetables, meat, fish, egg, and legume intake, the proportion of energy from saturated fatty acids, the proportion of energy from sugars and beverages, and adequate energy intake, all in relation to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Particularly noteworthy was the substantial difference observed in the breakfast consumption category. To assess health indicators based on shared meal practices among middle-aged women, blood tests, urine analysi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assessments were conducted. To exclude the influence of other diseases, the investigation was adjusted for age and menopausal statu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hared meal practices and creatinine, platelet count, and proteinuria. Although creatinine and platelet count were lowest in the group that shared three meals a day, all four groups exhibited values within the normal range. As for proteinuria, the rate of negative results increased with higher frequency of shared meals. Furthermore, as the frequency of shared meals increased, it was observed that a higher proportion of women were in the fertile age range without experiencing menopause. The rate of those with a history of childbirth was also higher, and the perceived stress rate was lower. This study, utilizing cross-sectional data, is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into the association between shared meals and various factors. As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related to shared meals need to be explained. In particular, in distinguishing shared meals, it is important to classify not only the frequency but also household composition, such as living alone or with others. Additionally, a detailed examination of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related to shared meals within the household and shared meals with others is deemed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