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편적 행위를 통한 시간의 사적인 점유에 관한 작업 연구

        구은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스쳐지나가는 수많은 순간들과는 다르게 생을 살면서 마주치게 되는 어떤 특정한 순간들은 바로 지금-여기 있는 본인의 존재를 더욱 분명하게 인지하게 해준다. 그 순간은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계속 사라져 버리는 것들을 보게 해주고 그러한 한계적 상황 속에서 계속 희망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본인은 바로 그 때, 그 상황 속에 이미 내재되어 있던 개별성과 보편성의 지점들이 더욱 더 치열하게 얽히며 갈등과 역설을 생성한다고 보았고 바로 그 관계 자체를 드러내어 지속되는 생에 대한 희망적 인식을 탐구하고 싶었다. 하지만 본인 개인의 감상과 표현으로 이러한 관계들을 나타내기에 한계가 있음을 느꼈고 개인의 성격이 잘 드러나지 않는 단순한 행위를 통한 새로운 표현 방식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본인은 스스로를 '보편적 행위를 하는 개인'으로 규정함과 동시에 '시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존재로서의 한계적 상황을 드러내는 매개체'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본인의 태도는 점차 작업이 진행될수록 다른 어떤 것보다도 어떠한 '행위'자체가 중요해지는 결과로 이끌었다. 결국 이것은 ‘의지적 보편행위’에 대한 아이디어로 이어졌다. ‘의지적 보편행위’란 보편성이 강조된 행위를 하나의 특수적 개인이 수행하는 것이며 어떠한 상황 속에서 얽혀 존재하는 보편성과 개별성사이에 있는 틈을 인위적으로 벌려 극대화하는 장치라고 볼 수 있다. 그 틈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고 뻗어 나갈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예상과 추측만 할 수 있을 뿐, 세세한 결과들이나 파생되어질 가능성들에 대해서는 미지의 것으로 남겨두어야 했다. 이로 인해 작업 진행 초반에 보여 졌던 분명한 규칙성과는 달리 작업의 결과가 제어될 수 없는 우연성에 내맡겨지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또한 본인은 ‘의지적 보편행위’를 통해 흘러가는 시간들을 점유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특히 보편적인 행위를 통해 시간을 누적하였다가 다시 거대한 시간의 강 속으로 방출하는 식의 작업진행을 하였는데 그것을 통하여 현실 속에서 희망하는 존재가 겪는 과정들과 의미지점들을 최대한 본연의 모습에 가깝도록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의지적 보편행위’의 일시성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의 작업들은 바로 이 ’의지적 보편행위‘가 서서히 형체를 갖추며 생겨나 지금 이 시점에도 진행되고 있는, 그 모든 과정들을 그대로 담고 있는 결과물들이다. 이를 통해 본인이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리고 그 누군가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 누구의 것도 아니면서 모두의 것인 형식으로 생의 의미지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연구가 반복되는 일상에서 작은 틈을 만들어 나름의 의미를 회복하고 계속해서 생성될 새로운 순간들을 위한 의미 있는 마주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 대구YMCA의 사례를 중심으로

        구은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As the population of foreigners' has rapidly grown, exceeding two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Korea is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se time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Koreans is of great importance to solve social problems relating to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foreigners. For this, when married immigrant women are empowered as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they can be the key in promoting a smoother transition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in our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Three aspects included in the study are: acculturation,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efficacy.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3 married immigrant women in Daegu. The 90-hou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Daegu YMC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2009 from March to October. The questionnaire was covered the acculturation,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efficacy. It was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enhancing accultur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to the integration pattern. 2. Self-esteem of married immigrant women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3.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enhancing married immigrant women' multicultural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aim at enabli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o understand and respect her own cultural differences. But, the government both federal and local focus on the married immigrant women's fast settlement into Korean society, without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among women from different countries. It is not helpful in leading them to a healthy acculturation into Korean society. Therefore, we should offer the programs to the married immigrant women so they can understand and respect their own cultures and as well as Korean culture. Second, we should focus on changing public attitude toward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for Korean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The married immigrant women are usually degraded and treated unfairly in Korean society.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self-esteem. They should be accepted as members of our society. Third, we should enhance potential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educating them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encourages married immigrant women to actively and diversly express themselves in the community to the effect tha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re broken down. These women can serve as a valuable stepping stone between the previously-exclusive Korean society and the newly-emerging multicultural society. They should not be seen as strangers but, as important members as part of our society. 한국사회는 외국인 주민의 빠른 증가로 다 인종․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단일민족, 단일 문화권이라는 통념을 갖고 있던 한국사회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을 향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자를 위한 다문화이해교육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다수자를 위한 다문화이해교육을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을 다문화교육 강사로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다문화사회 조성을 위해서 그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결혼이주여성 대상의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교육 참가자의 문화적응, 자아존중 감, 다문화적 효능 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대상자는 대구시에 1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으로 한국어 실력이 비슷한 중급이상 자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90시간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프로그램 과정이 끝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집단 간 비교를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은 교육 참가자의 한국문화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문제 1에서는 문화적응유형 중 통합(p<.01), 동화(p<.001), 분리(p<.01), 주변화(p<.001) 유형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값을 근거로 살펴보았을 때에,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유형은 통합>동화>분리>주변화의 순서로 통합유형이 가장 높고, 주변화 유 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통제집단은 분리>주변화>통합>동화의 순서로 분리유형이 가장 높고, 동화유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은 교육 참가자의 자아존중 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문제 2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은 교육 참가자의 다문화적 효능 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문제 3에서는 일상생활 측면(p<.05), 수업기능 측면(p<.001), 인간관계 측면(p<.001)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의 교육 참가자는 자국의 문화와 한국문화 사이에서 건강하고 주체적으로 문화를 받아들이는 통합유형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것은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은 교육 참가자의 자아존중 감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은 교육 참가자의 일상생활 측면, 수업기능 측면, 인간관계 측면 3가지 측면의 다문화적 효능 감에서 모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혼이주여성들에게 다문화교육 실행의 주체로서 역할과 기회를 부여하고,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을 통해서 그들의 역량을 강화한다면, 한국사회가 다양한 문화가 존중되는 다문화사회를 실현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다양성이 인정되고 다양한 문화가 존중되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제공된다면, 결혼이주여성들이 자국의 문화와 한국문화 사이에서 건강하고 통합적인 유형으로 문화적응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반복읽기 중심의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가 학습장애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구은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truggle in reading, so they need intensive support. In addition, lack of reading abilities may affect their daily lives as well as achievement in school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as a tool. Thus, even though reading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kill, it is a challenge journey for teachers to figure out students' reading abilities based on the factors of their difficulties in reading and thereby to properly support them in class. To solve this problem, the cross-age peer tutoring is an instructional strategy for getting over the limits of a program i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oss-age peer tutoring with repeated reading on read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is study, three sixth graders with non-disability as tutors and thre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s tutees were selected from M elementary school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out for 18 weeks. Using the multiple baselines across participants desig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without the intervention. During the entire sessions, this study focused on repeated reading and examined what influence cross-age peer tutoring with repeated reading has on the reading accuracy and the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 conduct cross-age peer tutoring, students with non-disability in sixth grade received training about the role of a peer tutor and implementing procedures of repeated reading. In the baseline phase, teachers implemented the procedures with a focus on repeated reading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intervention phase, they executed the procedures for reading assignments using cross-age peer tutoring for four weeks. The maintenance was implemented three times in two weeks after fad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intervention by cross-age peer tutoring with repeated reading increased the reading accuracy of al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it maintained the reading accuracy.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improved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tw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increased comprehension score was maintained, but it didn’t affect the comprehension of the other student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suggest that cross-age peer tutoring with repeated read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eading accurac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owever, it still remains unclear what influence the intervention had on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cross-age peer tutoring using repeated reading strategies designed for reading fluency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improving reading accuracy. However it was not convincing to promote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y was designed to offer the opportunity to consider the effect of repeated reading so that the future research on repeated reading can be replicated and explored in-depth level.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upper grader students with non-disability can support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s staffs under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학습장애 학생들은 읽기능력에 많은 어려움을 보이며, 집중적인 교수적 지원을 필요로 한다. 또한 학습장애 학생들의 읽기능력은 읽기의 도구적 특성으로 인하여 학업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하는데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읽기는 중요한 영역이지만 실제 현장에서 교사가 학생의 읽기능력을 요인별로 파악하여 적절히 지원해주기는 쉽지 않다. 최근 읽기 영역에서 읽기유창성이 독해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습장애학생들의 읽기유창성을 측정하는 검사가 문제를 확인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제 교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는 학습장애학생의 읽기재인 정확도를 측정하고 어떠한 오류유형을 산출하는지 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통합교육현장에서 교사가 학습장애학생들의 읽기능력에 따라 개별적으로 지원하고 적합한 교수를 실시해주기 어렵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교수적 지원으로 상급학생 또래교수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급학생 또래교수는 학교차원에서 학급내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전략으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인적자원을 제시하는 또래교수 형태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읽기유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연구기반교수인 반복읽기 중심으로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를 실시하여 학습장애학생들의 읽기재인 정확도와 독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의 M초등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3명의 학습장애학생들을 또래학습자로, 3명의 6학년 일반학생을 또래교사로 선정하여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한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6학년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또래교사 사전훈련을 실시하였고, 예비검사를 통하여 학습장애학생의 수준에 알맞은 읽기자료를 구성하였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교사가 반복읽기 중심의 절차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단계에서는 반복읽기 중심의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를 이용하여 읽기과제를 수행하는 절차를 4주 내외로 실시하였다. 중재가 종료된 2주 후에 유지 검사를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3회기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은 아침 자습시간 전에 이루어졌으며, 아침에는 사용하지 않는 방과후학교 교실에서 두 곳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복읽기 중심의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는 세 명의 학습장애학생의 읽기재인 정확도를 증가시켰으며, 중재를 통해 증가된 읽기재인 정확도는 유지되었다. 또한 반복읽기 중심의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는 두 명의 학습장애학생의 독해력 점수를 향상시켰으며 증가된 독해력 점수는 유지되었으나, 다른 한 명의 학습장애학생의 독해력 점수에는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반복읽기 중심의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가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재인 정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독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대상학생들이 보인 결과에서 읽기유창성 중재인 반복읽기를 중심으로 한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가 읽기재인 정확도에 효과적이었으나, 독해력에서는 질문 유형별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반복읽기를 중심으로 한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는 독해력의 유형별 질문 중 사실적 질문에서 모든 대상학생들에게 효과가 있었지만, 순차적, 추론적 질문에는 대상학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반복읽기를 중심으로 한 상급학생 또래교수 중재가 독해력에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반복읽기 관련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복읽기의 효과에 대하여 재고의 기회를 마련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상급학생 또래교수 프로그램을 제시한 것은 통합교육환경의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새로운 인적자원으로 상급학년 일반학생을 또래교사로 활용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

      • 腎兪穴과 委中穴의 白芥子 지압 요법이 간호사의 요통에 미치는 효과

        구은정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Purpo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cupressure with Semen Sinapisn at Shinnsuhyeol, Uijunghyeol on the nurse's lumbago. This study an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7 nurses who are not pregnant and troubled with lumbago in G hospital B city. All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did not take medicine nor any other treatment pertaining to lumbago. The period of time for collecting data wa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5. Preliminary-survey was performed to the volunteer nurses who are suffering from lumbago and not using the anodyne (pain killer) through the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VAS. For experimental treatment, three Semen Sinapisn pills were put on the patient's Shinnsuhyeol and Uijunghyeol. Whenever patient feels pain and inconvenient, a painful and relieved degree of stimulus was given to the spot. Post-experiment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after 2-week experi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frequency, percentage,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OVA, Cronbach's α using SPSS WIN 10.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at "Acupressure with Semen Sinapisn at Shinnsuhyeol, Uijunghyeol is decreased on the nurse's lumbago" is supported(t=9.058, p=0.000). 2. In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lumbago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depending on patient's age, marital status, children, length of service as nurse, professional position, duty, working ward, health condition and regulartiles of exercise. Conclusion: Acupressure with Semen Sinapisn at Shinnsuhyeol, Uijunghyeol can be used to remove the nurse's lumbago effectively as Korean-Nursing intervention.

      • Program Annotation : Luca Marenzio <Già torna a rallegrar>, Johannes Brahms <Liebeslieder Waltzes Op.52> 중 No.1 <Rede, Mädchen>, No.6 <Ein kleiner, hübscher Vogel>, No.9 <Am Donaustrande>, Eric Whitacre <The City and The Sea> 중 <little man in a hurry>

        구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리사이틀 작품을 연구 분석한 것이다. 작품들은 루카 마렌치오(Luca Marenzio, 1553-1599)의 마드리갈〈Già torna a rallegrar (봄이 온다네)〉와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 《Liebeslieder Waltzes (사랑의 노래 왈츠) Op.52》의 총 18곡 중 No.1〈Rede, Mädchen(말해봐요 아가씨)〉, No.6〈Ein kleiner, hübscher Vogel(작은 예쁜 새)〉, No.9〈Am Donaustrande(도나우 강가에서)〉의 세 곡, 그리고 에릭 휘태커(Eric Whitacre, b.1970-)의 《The City and The Sea(도시와 바다)》의 총 5곡 중 No.5〈little man in a hurry(서두르는 소심한 사람)〉이다. 〈Già torna a rallegrar〉는 1581년에 마렌치오에 의해 작곡된 이탈리안 마드리갈로 무반주 아카펠라 작품이다. 이 작품은 봄을 맞이하는 기쁨을 목가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대위적 양식과 화성적 양식이 혼합된 작품으로 뛰어난 음화기법의 사용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며, 작품 속에 나누어지는 6개 섹션의 가사 내용에 따라 각각의 적합한 스타일로 전개된다. 이로 인해 음화기법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며 연주기법을 제안하고, 이와 더불어 르네상스 시대에 출판되었던 초판 악보를 통해 현대 악보와의 차이점을 제시한다. 브람스의 《Liebeslieder Waltzes Op. 52》는 총 18곡으로 구성된 파트송(part-song)으로 그의 대표적인 세속 성악작품 중 하나이다. 이 곡은 1869년에 쓰여 진 작품으로 독일의 시인인 다우머(H. v. Daumer)의 시에 곡을 붙였다. 사랑의 다양한 양상들이 간결한 형식과 구조로 구성되어 낭만적인 화성어법에 의한 감정표현이 섬세한 작품이다. No.1〈Rede, Mädchen〉은 시작되는 사랑의 설렘을 표현한 곡으로 루바토가 특징인 곡이다. No.6〈Ein kleiner, hübscher Vogel〉은 사랑의 유혹, 시련, 후회, 역설과 확신으로 연결되는 사랑에 따른 감정의 진행과정을 담은 곡으로 론도형식으로 쓰여진 작품이다. No.9〈Am Donaustrande〉는 연인이 갇혀있는 도나우 강변의 쓸쓸한 풍경을 묘사하는 제시부와 연인을 향한 열정이 역동적으로 표현된 발전부가 대비를 이루는 작품이다. 각 곡은 낭만적인 화성어법을 사용하며, 텍스처의 대조, 성부 구성의 변화, 다이내믹의 대비로 시의 내용에 따라 서정적이고 표현적으로 작곡되었다. 휘태커의 《The City and The Sea(도시와 바다)》는 미국의 현대 시인인 커밍스(edward estilin cummings, 1894-1962)의 5개의 시에 작곡을 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 5번곡인〈little man in a hurry〉를 분석하였다. 이 곡은 문제와 걱정에 갇혀 허둥대며 쳇바퀴 돌 듯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대자연의 광활함을 품고 일상적인 문제 속에서 벗어나 휴식과 여유를 갖고 살아가라는 내용이다. 이 곡은 현대적인 감각의 리듬패턴과 잦은 변박 그리고 장단조 조성과 선법이 혼합되어 사용되었다. 이와 함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쓰인 팬다이아토닉(pandiatonic) 화성은 그 특색인 전통적 화성진행의 회피, 즉 화성의 기능을 배제한 자유로운 불협화음의 사용으로 현대적인 감각을 줌으로써, 휘태커 작법의 특유성인 개성과 친숙함을 동시에 느끼게 하는 걸출함을 만들고 있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graduation recital repertoires for the master’s program at Ewha Womans University’s School of Music. Gia torna a rallegrar (Spring Is Coming) by Luca Marenzio (1553-1599); three songs from Liebeslieder Waltzes (Love Song Waltzes), Op. 52 by Johannes Brahms (1833-1897) including No. 1 Rede, Mädchen (Speak, Dearest Maden), No. 6 Ein kleiner, hübscher Vogel (A Pretty Little Bird), and No. 9 Am Donaustrande (On the Danube’s Bank); and finally No. 5 Little Man in a Hurry from The City and the Sea by Eric Whitacre (b. 1970-) are analyzed for this study. Gia torna a rallegrar is an Italian madrigal, a capella work by Marenzio written in 1581. The jubilation for the arrival of the spring is pastorally portrayed in this piece. It is composed in both harmonic and contrapuntal styles in conjunction with an outstanding use of word-painting technique. As the music develops through six sections, appropriate styles are implemented to correspond in accordance with the lyrics. Consequently, work analysis based on word-painting technique and performance techniques are proposed along with a close research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naissance and modern musical notations in this study. Liebeslieder Waltzes, Op.52 is a part-song consisting of eighteen songs, is one of Brahms' most representative secular vocal music. This song was written in 1869 onto a German poet Georg Friedrich Daumer’s poem. In this work, various aspects of love are framed in a concise form and structure, delicately articulating its emotional expressions in romantic idiom of harmonics. No. 1 Rede, Mädchen describes the romance of falling in love with the use of rubato. No. 6 Ein kleiner, hübscher Vogel is written in rondo form to show the progression of emo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hain reaction of love: temptation, deceit, regret, paradox, and conviction. In No. 9 Am Donaustrande, the exposition, portraying the lonely scenery of Danube’s Bank where the lover is trapped stands in contrast to the development that expresses the fervent passion for the lover. Each song corresponds to the lyrics with the appropriate styles of music through the changes in texture of voices, the contrast in dynamics, and the use of romantic idiom of harmonics. The City and the Sea by Whitacre is a choral work based on the five poems written by an American poet edward estlin cumming (1894-1962). Out of the five poems, the fifth song, little man in a hurry is analyzed in this study. This song sends a common message to the modern people living trapped in the worries and troubles of the world, as they are routinely running the rat race of the society. It encourages people to escape from the everyday problems and embrace what the vastness of the nature can teach us – the true essence of rest and relaxation. Modern rhythmic patterns and frequent rhythmic pulsation (changing meters) along with the major-minor tonality and modes are employed in this work. Furthermore, pandiatonic harmony,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harmonies of the song, creates a colorful exhibition of modernity in music with unconventional harmonic progression and unresolved dissonances. All thes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Whitacre makes his music stand out in its originality, familiarity, and prominence.

      • 대두 올리고당의 경구투여가 여대생의 장내균총과 혈액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구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올리고당은 대장의 비피더스균 증식 및 체내 지질 대사 개선 효과 등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음료, 유제품, 과자류, 장류에 이르는 광범위한 식품에 첨가되고 있는 기능성 식품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올리고당의 국내 연구는 주로 장내 균총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아직 올리고당의 체내 영양적 대사에 관한 종합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생리 및 생화학적으로 가장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대두올리고당(soybean oligosaccharides extract)의 섭취가 정상성인의 장내 균총, 혈액의 지질성상 및 과산화물의 농도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 혈중 인슐린과 렙틴의 농도와 면역기능, 배변상태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건강한 여대생 30명을 두 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은 대두올리고당 10g/day, 대조군은 설탕 5g/day를 5주간 섭취시켜 분변 중의 총균수와 비피더스 균수를 측정함으로써 균총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혈장 내 총지질 및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준을 분석하여 지질 대사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혈장의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농도를 측정하고, 혈장의 glutathione peroxidase(GPx)와 혈구의 GPx,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능의 변화와 혈중 immunoglobulinG(Ig G), immunoglobulinM(Ig M), C₃의 농도를 측정하여 면역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혈중 인슐린과 렙틴의 농도를 분석하고 설문지를 통해 배변횟수와 배변시 걸리는 시간, 배변의 색깔, 양, 모양, 배변시 드는 힘의 정도 등을 조사하여 배변상태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실험대상자들의 나이, 체중, 키 등의 일반적인 사항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분변 중의 총균수는 올리고당 섭취군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설탕 섭취군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피더스균수의 경우 올리고당 섭취군은 약간 증가하고, 대조군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실험 후 군간 비피더스 균수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배변 상태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 결과, 1일 배변횟수는 두 군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올리고당 섭취군에서 증가폭이 더 컸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배변 시 걸리는 시간은 두 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올리고당 섭취군에서 감소폭이 더 컸으며 감소경향도 더 크게 나타났다. 변의 색깔도 두 군 모두 유의적으로 변하지 않았으나, 실험 후 대조군과는 달리 올리고당 섭취군에서 황색을 나타내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 외 변의 모양, 양은 두 군 모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배변시 힘드는 정도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올리고당 섭취군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 내 총지질 농도는 두 군 모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중성지방의 경우 두 군 모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설탕 섭취군에서 증가경향을 나타내며 큰 증가폭을 보였다. 혈장 내 콜레스테롤도 두 군 모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아 본 연구에서는 올리고당이 혈중 지질성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혈장 내 TBARS의 수준은 두 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효소의 경우 올리고당 섭취군의 혈장 GPx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설탕 섭취군은 감소경향만 나타내었다. 혈구 GPx, SOD는 두 군 모두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지는 않았다. 혈구 catalase는 올리고당 섭취군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설탕 섭취군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군간 차이는 없어, 올리고당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면역물질의 경우 혈장 내 IgG는 올리고당 섭취군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만 나타났으나 설탕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IgM의 수준은 두 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올리고당 섭취군의 증가폭이 대조군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C₃의 수준은 올리고당 섭취군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고, 대조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인슐린과 렙틴은 두 군 모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분변 중 비피더스균의 경우 올리고당 섭취군에서는 증가하고 대조군에서는 감소하여 실험 후 군간 차이가 유의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올리고당이 비피더스균을 증식시켜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배변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고당의 섭취에 의한 비피더스균의 증식으로 개선된 장내 균총은 배변상태 또한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동물실험의 결과로 기대할 수 있었던 혈액 내 지질성상에 미치는 영향은 항산화능,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올리고당의 장내 균총 개선의 효과를 제외한 여러 영양 생리적 기능이 동물 실험과는 달리 정상성인에게서는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는 동물 실험에 비해 올리고당이 식이 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고 실험기간 또한 짧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올리고당이 사람의 체내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섭취량과 그 영향에 대한 임상적인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oybean 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human fecal microflora proliferation, evacuation habits and physiological metabolism of the normal female college students. The thirty volunte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soyoligosaccharide or a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supplied with soyoligosaccharides(10g) or sucrose(5g) dissolved in a cup of warm water daily for 5 weeks. The soy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fecal bifidobacteria,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However, soyoligosaccharide group had significantly fecal bifidobacteria level than control group(p<0.05). The concentration of plasma total lipid and cholesterol were not affected by soy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Defecation frequency and the color of stool were improved by 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 Dark brown color was diminished and yellow color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However, the required time, effort to evacuate and the hardness and the quantity of stool were not changed much by either supplementation. The concentration of plasma triglyceride(TG) was increased in both groups but not significantly. However that of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soyoligosaccharide group.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 in plasma was increased in both group. The change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plasma and erythrocyte were not under one law by either supplementation. Plasma leptin, insulin and immunoglobulin concentration also were not affected by soy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s that supplementation of soybean oligosaccharides benefits gastrointestinal tract via proliferation of bifidobacteria and plasma TG concentration of human.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 재직자 직업능력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발전방향 연구

        구은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educators, instructors and students on the NCS-based in-servic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explore improvement issues for a successful application of NCS in in-servic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upon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educators, instructors and student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based on NCS, educators were able to develop a better and systematic curriculum with syllabus, management plan, evaluation plan, etc. due to the NCS training standards and NCS curriculum manual as compared to previous curriculum. Moreover, the development time has shortened, and the educators were able to take the lead in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without the assistance from the subject professionals. However, instructors had the pressure to develop a higher quality instruction material for the NCS instruction material, and felt the need for a supplementation of the NCS study module to use as an instruction material. As for the level of the substance of the study, the students did not believe the level of the substance was high even though the students were at a lower level than the NCS's 5 level.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instructors appropriately adjusted the subject level. Some students felt the level of NCS study substance was lower than the previous curriculum, and the range of substance has widened. Nonetheless, educators and instructors all believed that the practical training process assists greatly in job performance. As for career development, students and educators all have great expect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However,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students were limited becaus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did not provide curriculum for a systematic career development program. A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preparation of practical training apparatus, although the NCS's requisite apparatus were not utilized, it had no impact on th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ly, educators, instructors and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 on the curriculum based on NCS due to the following 5 characteristics/strengths of the curriculum based on NCS. ① Time for designing education training process has been shortened. ② It contributed towards improving job performance by having more practical training. ③ The importance of using workbooks has increased. ④ Educators expected decrease in cost of developing curriculum. Instructors expected to spend more time preparing for class due to decrease in time spent o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⑤ Educational institutions could select the evaluation method fit for its specific purpose, and development of evaluating criteria becomes much easier by utilizing NCS standards. The educators and the instructors had difficulty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NCS due to the following 6 reasons. ① There is a gap between the NCS job duties and the job duties at the industrial sites, so the demand for education type was not reflec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NCS. ② The NCS study module was not fully developed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workbooks, and it was difficult to utilize because of the unfamiliarity with the use of NCS study module. Moreover, they had a pressure to develop new workbooks. ③ The smaller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curriculums for unemployed workers, as compared to the larger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programs for the employed workers, had more difficulty with the NC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eparation of tools and materials due to the cost associated with it. ④ There was difficulty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NCS related agencies. ⑤ Understanding the NCS program is difficult even after training on the NCS program due to a non-professional training on the NCS program. ⑥ Moreover, the companies were skeptical about adopting NCS and had low demands for the curriculum based on NCS because NCS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has a high opportunity cost due to stoppage of the production line for NCS preparation in the beginning. Thirdly, continuous update of NCS for field appli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fficulties duri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ages of curriculum based on NCS, and NCS needs to be applied in stages and with flexibility. Also, it is needed to promote NCS training specialists, support consulting, and establish a system to manage the qual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urriculum based on NCS. Lastly, for the expansion of NC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NCS to businesses and to establish rewards system for applying NCS for the businesses to actively support NCS. We propose the following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not having many case study samples for comparative study on NCS curriculum and existing curriculum is believed to be a limitation, and case study on various curriculums is needed in the future. Moreov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n both curriculums was limited due to difficulty in select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both curriculum based on NCS and curriculum not based on NCS. In the future, in-depth study on various elements effecting the results of education by NCS curriculum by analyzing educational efficacy due to differences in contents of practical training, time of education and contents of NCS education, and studying differences in educational efficacy due to differences in NCS curriculums for the unemployed and the workers, etc.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을 기반으로 한 재직자 대상 직업능력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담당자, 강사, 학습자의 인식을 통해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에 대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재직자 대상 교육과정에 NCS를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개선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담당자, 강사,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NCS 적용 직업 능력 개발 교육과정의 개발·운영 단계에서의 특·장점 및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NCS 적용 직업 능력 개발 교육과정의 개발·운영 단계에서의 개선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위와 같이 설정된 연구 문제를 분석하고자 재직자 대상 교육 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5명의 교육 담당자와 3명의 강사, 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1차 면담을 실시하였고, 기관장 워크숍에서 9명의 재직자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담당자 9명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들었다. 면담 도구로는 NCS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인식 9개 문항과 NCS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에 대한 8개 문항, 개선 전략에 대한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적용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교육담당자, 강사, 학습자의 인식 분석 결과, 교육 담당자는 NCS 훈련기준 및 NCS 교육과정 매뉴얼 덕분에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교수학습 계획서, 운영계획서, 평가계획서 등을 갖춘 제대로 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었고 개발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내용 전문가 없이도 주도적으로 교육과정을 계획할 수 있었다. 반면 강사들은 NCS 교재 제작에 있어 이전보다 질 높은 교재를 만들어야 하는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NCS 학습모듈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교과 내용 수준에 대해 NCS의 5수준에 비해 낮은 수준의 학습자가 참여 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교과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지 않았다. NCS 교육 내용 수준이 기존 교육과정보다 수준이 낮아졌으며, 내용 범위도 이전보다 더 넓어졌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실습의 확대가 업무 수행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 담당자, 강사 모두 실습 과정 자체가 업무 수행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경력 개발에 대해서는 학습자와 교육 담당자가 경력 개발 상담에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학습자들의 체계적인 경력 개발을 위한 교육 기관들의 교육과정이 마련되지 않아, 학습자들의 경력 개발에 한계를 드러냈다. 교육 환경과 실습 장비 준비에 대해서는 NCS에 필수 장비가 교육과정에서 활용되지 않았으나 학습자들의 교육 만족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교육담당자, 강사, 학습자가 NCS 교육과정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원인을 5가지 특·장점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NCS 기반 훈련 과정 편성 매뉴얼 활용으로 인해 교육 훈련 과정 설계 시간이 단축되었다. 중·소형 교육 기관일수록 매뉴얼에 대한 만족도가 컸음을 확인했다. ② 실습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이론적 지식과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했다. ③ 실습의 확대로 인해 워크북 사용의 중요성이 커졌다. ④ 교육 담당자들은 NCS 학습 모듈 활용을 통해 교재 개발비가 줄어 교육과정 개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강사들은 교재 개발 시간이 줄어 강의 준비에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⑤ NCS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소개하고 있어 교육 기관에서 목적에 맞게 평가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평가 문항 역시 NCS 표준을 활용하여 이전보다 쉽게 개발할 수 있다. 교육담당자들과 강사들은 NCS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단계에서 다음의 여섯 가지 이유 때문에 NCS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이 어렵다고 했다. ① NCS의 직무와 산업현장의 직무에 괴리가 있어, NCS 교육 과정 개발 시 교육 수요를 반영하지 못했다. ② 교재 및 워크북 개발 시 NCS 학습모듈 개발이 덜 되어 있고, NCS 학습모듈 사용 자체가 익숙하지 않아 활용이 힘들고, 새롭게 워크북을 개발해야 하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③ NCS 교육 여건 및 기자재 준비에 대해서는 재직자 대상 교육 기관보다 실업자 대상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소형 교육 기관에서 비용적인 문제 때문에 더 어려움을 느꼈다. ④ NCS 유관 기관과의 의사소통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어려움을 표시했으며, ⑤ NCS에 대한 비전문적인 교육으로 인해 NCS 교육을 받았음에도 NCS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고 하였다. ⑥ 이와 더불어 기업 자체에서도 NCS를 불편할뿐만 아니라 도입 시 NCS 준비 때문에 생산라인 가동을 멈춰야 하기 때문에 기회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여 NCS 도입을 회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NCS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 낮았다. 셋째, NCS 적용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단계에서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장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NCS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며 NCS를 단계적으로 유연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NCS 교육 전문가를 육성하고 컨설팅을 지원하며 NCS를 적용한 교육과정 운영 기관의 질 관리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NCS의 확대를 위해 기업에 적극적으로 NCS를 홍보하고, NCS의 적용에 대한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NCS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교육과정과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한 사례 분석 표본 수가 많지 않은 것은 한계점으로 인식되며, 향후 다양한 교육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NCS 적용 교육과정과 NCS 비적용 교육과정을 모두 수강한 학습자 선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두 과정에 대한 교육 만족도를 비교·분석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실습 내용, 교육 시간 및 NCS 교육 내용의 차이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점 분석과 실업자 대상 NCS 교육과정과 재직자 대상 NCS 교육과정의 차이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 등을 통해 NCS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