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곽연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 문제는 청소년의 분노조절 어려움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문제를 유발한다고 여겨지는 청소년의 분노를 중심으로, 분노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변인을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으로 설정하고, 세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2, 3학년 남 ․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96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분노 유발상황에서의 분노가 낮았다. 다시 말해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분노 조절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사회적 지지원으로 나눠 살펴보면 친구, 가족, 교사의 순으로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분노가 낮았다. 특히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친구 지지는 청소년의 분노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청소년기 또래집단의 영향성 및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분노 유발상황에서 분노가 낮았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분노 조절이 더 잘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바꿔 말해 자아존중감이 낮은 청소년일수록 분노가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청소년의 분노,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분노가 낮았고, 자아존중감 역시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분노가 낮았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청소년의 분노는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 관련성이 높다. 가족, 교사, 친구의 지지와 자아존중감 모두 청소년의 분노를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의 분노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가정, 학교, 사회 모두 청소년과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청소년이 건강하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주위의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 ․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쓰기 문항 분석

        곽연정 금오공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introduced in 1994 for the college admission assess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met its 21th anniversary. Although there has been an active studies related to the language area of the recent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here were no in-depth studies on the writing questions which is the basic ability essential for communicating and there has been almost no prior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recognition that a study on the concentrated analysis of writing which is the basic ability was needed. After analyzing the 144 writing questions released on the examination questions up to date into contents area and behavior area, in the contents area, since 1994 when the first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was introduced to now, despite the fact that some of the questions related to vocabulary and grammar classified by writing was the question that assessed the contents of 'the knowledge of Korean grammar' within the area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it had a mistake of being set as a writing question. In the behavior area, a writing question that measures the 'expression' activity was forced to be applied as the 'understanding' activity and the sub-goals of each behavior area was not evenly reflec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questions were being concentrated only for one goal. Based on such fact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thods for language area writing questions we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ssessment goal of the language area questions. The vocabulary and grammar area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divided into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nd also the behavior area which a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that is applied to the reading should be improved to be able to measure the writing ability. Second, a variety of writing questions by behavior goal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a variety of questions development, a question that can balance the sub assessment goal should be released.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 writing becomes a basic action of communicating for conveying one's opinion to the others through a highly complex thinking processes and goal-oriented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e school, the importance of writing should be recognized right away and should be approached with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methods to set the proper education goal and teaching so that it may contribute to the norm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미술교육 연계 봉사학습 현황 조사 연구 : 서울·경기 예술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곽연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our society expand the education of humanism responding to rising of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criminals and violences by adolescences. So education courses in 2015 aim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s so that the students would have autonomous living abilities and attitude for the democratic citizen. The art education focus on practical art activities in our neighborhoods and local society and intend students to become creative individuals with upright personality and cultural virtue. In this manuscript, we purpose the necessity of the art education connected with the service learning which have very practical and active properties. In addition, we analyze actual instances of service learning with art education. We intend to verify the current state of art education : Balance between the service and learning and educational values of service-learning. We evaluat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ducational meanings in the voluntary service containing art contents by the analysis on the questionnaire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 surveyed 623 students and 23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art voluntary service in art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Our subjects are as follows : (1) current appearance of art voluntary service as a service-learning (2) prior and follow-up activity of the art voluntary service (3) lessons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about our neighborhoods from self-reflection (4) recognition of schools and teachers for the art voluntary service. As a result, major content of the art voluntary services is the fresco art. Main motivation of voluntary service of students is advantage score for the entering the famous college. Students belonging to the art-related club are more applicable in drawing and coloring than others. Seconds, Overall students have enough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RPL) for the art voluntary service but the individual prior learning assessment and recognition(PLAR) after the service is poor. Third, Students had a attentive and considerable mind and recognized the contribution of voluntary service to the local society. Fourth, teachers required school to support art voluntary club in school more directly so that many education programs for voluntary service are much more active. Object of art voluntary service in school is cultivations of individual personality and capability of art application by students. Schools expected teachers to remind the educational properties of art voluntary service in a curriculum and service for the society. Both teachers and schools concerned the balanced art voluntary service emphasizing both the articial aspect and voluntary service. The conclusion reveals that art volunteering activities that schools arrange had significant educational values as they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aspect of personality education. There was, however, the limitation that the kinds of art volunteering are not diverse. Many art volunteering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but most of them are restricted to activities of wall paintings. Moreover, there is no proper RPL and PLAR process about volunteering. So, in oder to diversify art volunteering activities, there should be flexible partnership with local community, and for art volunteering activitie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volunteer work should be closely connected to learning and should involve RPL and PLAR. For systematic RPL and PLAR, teachers should accompany students to the volunteering site and understand the overall process of volunteering including planning, performance, and evaluation. That is,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the whole process that ranges from planning to evaluation, and make evaluation process lead to new volunteering work, which is a circular instruction. On the side of schools, they should provide proper incentives to the teachers who manage the whole process of volunteering work to lessen their burden. This study examined if art volunteering work arranged by schools actually has aspects of service learning and suggested ways for improvement. It has academic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domestic status of service volunteering connected to art education. As service volunteering linked to art education helps raise sociality of students, it can be seen as a practical means at a time when personality education is needed. So schools and teachers need new awareness about volunteering for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and studies on service volunteering linked to art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a diverse way. 오늘날 청소년 범죄와 학교 폭력 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인성교육이 점차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이라는 인간상을 추구한다. 또 미술교육은 이웃과 지역 사회를 위한 민주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도모하여 미술을 생활화하도록 경험 위주의 교육과 함께 바른 인성과 문화적 소양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고자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동체 내에서 실제로 배려와 나눔을 경험하고 실천하는 봉사학습을 미술교육에 연계할 필요성을 피력하고, 학교 수업에서 다루어진 미술 교과 내용이 봉사 활동에 적용되었는지를 사례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봉사학습에서는 봉사와 학습에 균형이 중요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그러한 중요성이 얼마나 봉사 활동에 반영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 봉사 활동이 지닌 봉사학습으로서의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예술 고등학교의 학생 623명과 교사 2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개인 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예술 고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주된 미술 봉사 활동은 무엇인가? 둘째, 그러한 미술 봉사 활동을 할 때 사전·사후학습과 평가 활동이 함께 이루어고 있는가? 셋째, 봉사 활동에 대한 반성적 숙고를 통해 이웃에 대한 나눔과 배려심이 생겨났는가? 넷째, 봉사와 학습의 비중에 대해 교사와 학교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 연계 봉사학습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면, 학생들은 대학 진학을 위하여 주로 벽화 봉사 활동을 하고 있었다. 특히 미술 봉사 동아리 소속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교과 지식의 활용도가 높았으며, 드로잉과 채색을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미술 봉사 활동 사전·사후학습 및 평가를 알아보면, 미술 봉사 활동과 평가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으나, 평가의 다양한 방법이 부족하고 교사의 적극적인 검토가 없이 소극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셋째, 미술 봉사 활동 후의 반성적 숙고를 통해서 학생들은 남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마음을 가지게 된 점과 지역 사회의 보탬이 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넷째, 교사가 인식하는 봉사와 학습의 비중 및 활성화 방안을 알아본 결과, 미술과 봉사의 비중에 있어서 균형 잡힌 미술 봉사 활동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미술 봉사 동아리에 대한 학교의 지원이 미비하다고 지적하였고, 봉사 활동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교 미술 봉사 활동이 인성교육 측면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어 상당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미술 봉사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한계성이 있었다. 사실상 현장에서 미술 봉사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벽화 봉사에 국한이 된 활동이 대다수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봉사에 대한 사전·사후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미술 봉사 활동이 다양해지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의 파트너십이 유연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미술 봉사 활동이 학생의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학습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사전·사후학습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 때 교사는 체계적인 사전·사후학습을 위해 봉사 활동에 동행하여 계획부터 실행, 평가까지의 전반적인 과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교사는 봉사활동의 기획부터 평가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여 평가 이후에 새로운 봉사 활동으로 전환되는 순환적인 지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에서는 교사의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봉사 활동의 전 과정을 관리하는 교사에 한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의 미술 봉사 활동이 봉사학습의 면모를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개선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술교육 연계 봉사학습의 국내 현황을 다룬 최초의 시도로서 학술적,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 미술교육 연계 봉사학습은 학생들의 사회성을 건강하게 배양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인성교육이 필요한 이 시대의 실천적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나 교사는 학생들의 건강한 인성 함양을 위해 봉사학습을 새롭게 인식해야 하며, 미술교육 연계 봉사학습에 대한 후속 연구는 다방면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생의 성격유형(MMTIC)와 음악과 ‘활동’ 수업에 대한 선호도간의 상관관계

        곽연정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9 교육과정의 음악과 목표는 다양한 악곡 및 활동을 스스로 경험하게 하며, 그러한 경험을 통하여 음악적 능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풍부한 음악적 정서와 애호심을 함양하는데 있다. 이러한 음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는,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음악교과가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며 그 중 다양한 활동의 음악과 수업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교수·학습 설계 및 아동 지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소재 J초등학교 5학년 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및 어린이 성격유형 검사(MMTIC)와,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음악과 ‘활동’에 대한 선호도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호 지표 면에서는 외향(E), 감정(F)형이 내향(I), 사고(T)형에 비해 창작 과제에 흥미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악기 기능 습득과 관련하여 외향(E), 내향(I), 인식(P)형은 자유롭게 악기를 다루어볼 시간을 가진 후 연습하는 것을 선호하고, 판단(J)형은 시범 연주를 보거나 설명을 들은 후 차근차근 연습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향형(E)은 리듬·가락 악기의 합주를 선호하는 반면, 내향형(I)은 독주 악기를 다 같이 연주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 기능 면에서는 NF, NT, SF, ST기능 모두 가창 시 혼자 부르거나 몇몇의 친구들과 부르기 보다는 다 함께 부르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 기질 면에서는 전 문항에 걸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학생의 성격 유형과 음악 ‘활동’에 대한 선호도 사이에는 어느 정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성향에 따라 선호하는 음악 활동이 다름을 알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설계·운영 하여야겠다. 본 연구는 음악과 ‘활동’ 영역에만 국한되는 것이었으나, 연구 결과로 미루어보아 개념 지도 및 생활화 등 음악과 다른 영역과의 상관관계 연구가 같이 이루어진다면 음악 수업이 전반적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흥미롭게 전개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