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affle형 침강장치를 적용한 침전지 효율최적화에 관한 연구

        곽성근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기존 하수처리시설 등의 고도 및 수질 개선 사업 등으로 인하여 기존 제한된 부지내 처리효율의 향상과 안정된 방류수질의 보증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인 하수처리기술 중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의 최종침전지는 활성된 미생물을 침전조에서 고액 분리할 수 있도록, 크기와 무게를 증대시켜 침전지 내부의 침전을 통하여 상등수와 침전물을 구분하여 월류시키는 원리로서 대부분의 입자상물질을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최종침전지형식은 크게 장방형과 원형 침전지로 구분하며, 침전지특징에 따라 많은 연구가 되어 지고 있다. 이렇게, 제한된 부지내에 기존 원형침전지의 효율향상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입자상물질을 자체적으로 응집시킬 수 있도록 피드 웰(feed wall) 부분의 개량으로 SSVI(stirred sludge volume index)측정원리인 침강장치를 원형침전지내 적용하여 난류 및 단락류 등의 방해로 생응집(bio-flocculation)효율을 높여 원형침전지의 침강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하수처리시설 설계인자를 기준으로 제작된 침전지의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응집제 없이 lab scale로 회전력(rpm)과 baffle 각조 조절을 통해 생응집(bio-flocculation) 실험을 분석하고 pilot plant를 통해 최적 운전값 도출 후 현장의 적용성(저수온, 저/고유량)을 실험하여 고효율 고액분리 침강장치 설계인자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실험값은 원형침전지의 침전 효율을 향상 하는데 많은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important to improve efficiency and guarantee stable water quality in a limited site for a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and proj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recently. The general principle of a final sedimentation tank in a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s a solid-liquid separation by increasing the size and weight of particles in the tank. It is common to use the final sedimentation tank to remove the most particle materials. The type of a final sedimentation tank can be divided into rectangular and circular types, and there are many researche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final sedimentation tank. In this study, the sedimentation unit was used with the SSVI(stirred sludge volume index) principle to improve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in a circular clarifier by enhancing bio-flocculation due to the interference of turbulence and a short-cut stream. It is about the self-sedimentation of particle materials in a limited site area with the improvement of feed wall, and the adjustment of rpm and a baffle angle. Furtherm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circular clarifier for a performance warranty.

      • 한국 예금보험제도하에서의 금융 부실책임추궁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곽성근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금보험공사(KDIC)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부실금융기관의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2009년 6월말 현재 약 112.5조원이란 막대한 공적자금을 지원하였다. 예금보험공사는 이와 같이 지원된 공적자금을 최대한 회수하여 국민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경영정상화계획이행약정(MOU) 관리, 부실금융기관의 파산재단 관리 및 부실관련자에 대한 책임추궁 등을 통해 공적자금 투입 금융기관의 사후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부실관련자에 대한 책임추궁은 기존의 잘못된 경영관행을 불식하여 건전한 책임경영풍토를 정착시키고, 추가적인 금융 부실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사후관리를 통해 예금보험공사는 2009년 6월말 현재 총 43.8조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하였는데, 이는 지원한 공적자금 대비 38.9% 수준으로 저조한 회수실적을 보이고 있다. 결국 나머지 회수하지 못한 공적자금은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부담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국민부담 경감과 추가 부실예방 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금융 부실책임추궁체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부실책임조사의 실효성 제고 및 부실책임심의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부실책임조사 대상 부실관련자의 범위를 확대하고, 부실관련자가 예금자보호법에 규정된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금융범죄에 대해서는 처벌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불법?부당행위에 대한 충분한 거증자료를 적시에 확보하여 부실책임 입증에 더욱 노력하고, 종합적이고 심도있는 부실책임심의를 수행함으로써 소송비용 절감과 함께 피조사자의 권익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 둘째, 부실관련자 재산조사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서, 예금자보호법상 자료?정보제공 요구대상 공공기관 등의 범위를 확대하는 한편, 한시적으로 행사하게 되어 있는 예금보험공사의 금융기관에 대한 금융거래 일괄조회권을 상시 행사할 수 있도록 하고, 부실관련자의 은닉재산을 적극 발굴하기 위해서 신고자에 대한 포상금을 증액하고, 부실관련자의 은닉재산과 금융기관의 임원 등의 불법?부당행위에 대한 정보제공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보호제도를 구체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실관련자 은닉재산 신고제도에 대한 대외 홍보를 강화하고, 금융 부실관련자와 조세포탈자 등과 같은 재정?경제범들의 재산은닉 등 범죄행위에 대한 효율적, 체계적인 조사를 위해서 유관기관이 다 함께 참여하는 법적 합동조사기구를 설치하여 강력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송의 신속성 및 승소율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서, 현행 예금자보호법상의 대위소송제도를 개선하고, 부실관련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의 사후관리 강화와 더불어 적극적인 소송 수행을 위해 소송대리인의 보수를 현실에 맞게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송비용 절감을 위해 소송전 조정?화해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등 소송수행의 합리성 제고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기타 책임경영확립과 추가 부실예방 및 공적자금 손실 최소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금융기관에 대한 금융감독당국의 감독제재조치 공개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금융기관에 부실을 초래한 부실관련자 등 일정한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의 임원 또는 직원이 다른 금융기관의 임원이 되는 것을 법적으로 아예 금지하는 등 그 자격 제한 요건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실우려금융기관에 대한 적기시정조치 절차에 공적자금의 지원 주체인 예금보험공사를 참여시키는 등 현행 적기시정조치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불가피하게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예금보험공사가 부실금융기관의 영업정지 전에 재산실사를 실시하여 정리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공적자금의 손실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부실책임추궁 업무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제도를 정비해 나가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미국?일본 등 선진국이 시행하였던 부실책임추궁의 성공적인 사례를 참조하여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분산 환경하에서의 Web-based simulation 에 관한 연구

        곽성근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WWW(World Wide Web)의 기술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컴퓨터의 용량에 제한을 받지 않고 문서, 그림, 비디오, 음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간단한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웹의 기술은 최근에 시뮬레이션 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고 발전을 해서 새로운 학문 분야로 Web-based simulation이 생겼다. Web-based simulation은 웹과 시뮬레이션의 기술의 통합을 의미하며, 보다 나은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또한 분산 환경하에서의 Web-based simulation은 기존의 Web-based Simulation보다 효율적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제안하는 것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웹 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시뮬레이션 엔진 등을 전송해 줌으로써 사용자들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엔진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또한 OS에 관계없이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 Web-based simulation을 응용, 확대하여 분산 환경하에서의 Web-based simulation을 위한 구조를 제안하고 제안한 구조를 가지고 소프트웨어를 구현, 컴퓨터의 대수를 늘려 가면서 수행 시간에 관한 향상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 기능·난연성 무기재료 개발 및 이를 이용한 난용성 건축 재료에 관한 연구

        곽성근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방법에서는 5층 이상의 건축물의 마감재에서는 70%이상을 불연재료로 교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2005년에 건설교통부는 대구지하철 참사 등의 영향으로 화재 발생시의 유독가스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지하 공간의 신축 시에는 반드시 불연재의 사용을 의무화하였다. 또한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고급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고,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친환경 건축자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의 건축물에 대하여는 인체에 유해한 유기화합물 사용에 대한 제한 및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도록 법률이 제정되었고, 또한 국민 소득증가로 고급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건축 환경변화에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무기 또는 천연 재료를 활용한 건축 내장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단열, 보온, 차음 등의 특성을 지니는 내장재와 단열재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유한 특성을 지닌 내장재들은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친환경적인 내장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게의 내장재들은 고분자 화학물질 등을 재료로 하고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화염의 확산이 빠르고, 연소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화재 시 인체에 치명적이다. 이는 고분자재료의 단점인 열안정성이 낮아 재료의 연소에 따라 분출되는 열, 연기, 유해가스로 인한 위험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하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급속한 연기확산과 온도상승으로 피난통로가 제한되고 화재가 빠르게 전파되어 인명피해가 더 큰 규모로 확산 된다. 따라서 지하공간에 사용되는 내장재는 지상의 시설물보다 그 선정과정이 더욱 엄격해야 한다. 이러한 건축물의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건축물의 내장재는 화재 시 직접 노출되어 제일 먼저 착화 및 연소 확대되는 매체이기 때문에 이들 재료는 착화가 잘되지 않고, 연소 확대가 잘 되지 않는 난연 재료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내장재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난연 제품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유리섬유, 석면 등이다. 유리섬유, 석면, 암연 등은 난연 1등급으로 분류되지만, 화재 발생 시 고온의 화염에는 견디지 못하고 용융하게 된다. 화재가 발생하면 유리섬유의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화염의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 중에 비산되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흡인된다. 또한 건축용 자재의 충진제로 사용하고 있는 석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열된 틈 사이로 비산되어 먼지와 함께 호흡기로 침투하여 암을 유발시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고 항균기능이 있는 천연의 맥섬석 무기재료를 에너지절약, 친환경 및 불연성 건축재료 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이론적이고,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5장으로 나누어 기존의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시험편을 제작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 1장의 결론은 맥섬석의 원소 조성과 이온 교환능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최적화된 농도를 이용하여 침지시간에 따른 맥섬석의 중금속 제거능을 조사한 결과 Pb의 경우 6시간 후에 약 99% 제거되었다. Cd는 8%를 사용하여 6시간 경과 후 약 99% 제거로 가장 양호하였다. Cu의 제거에 있어서는 저 농도 맥섬석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그러나 As의 경우 전반적으로 제거효과가 저조하였다. 제 2장은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더욱 고층화되는 아파트나 복합 건출물 들은 화재 시에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본적인 건축 마감 재료를 불연화시킴으로서 화재발생의 억재력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시에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안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마감 재료의 개발단계로서 불연성 판넬을 제조하여, 하중에 따른 강도와 산소지수농도를 측정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새롭게 제조된 시편의 난연성이 아주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중에서도 강도와 난연성의 측면을 종합해 볼 때 맥섬석 함양이 가장 높은 시편 A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 3장의 결론은 내동해성시험에서 -20°C에서 240시간 이상의 조건에서 아무런 이상을 발견할 수 없는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내마모성시험에서도 역시 개발기준 값보다 훨씬 낮은 0.01g으로 상당히 우수한 결과가 측정되었다. 흡수율과 열전도도 측정결과는 각각 5.5%, 0.732(W/m·k)로 확인되었으며, 꺾임강도 및 압축강도도 500(N/㎠)이상과 5,000(N/㎠)이상으로 각각 개발기준 값 이상으로 양호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내약품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건식시공용 방화타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제품으로 확인되었다. 제 4장의 결론은 최근에 건축물에 대하여 인체에 유해한 유기화합물 사용에 대한 제한 및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도록 법률이 제정되었고, 또한 소득증가로 고급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건축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무기 또는 천연재료를 활용한 건축 내장재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맥섬석을 이용하여 원자재의 특성을 살린 불연건축내장재로 벽체 마감재나 건식벽체에 사용하는 것과 천장마감재를 각각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건축자재에 대하여 휨파괴시험, 충격시험, 난연성시험, 내화염성시험, 열전도율시험, 원적외선방출시험, 항균시험, 음이온시험 등을 KS 규정에 따라서 실시한 후에 시험 결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축 내장재는 난연성(1급)과 내화염성에서 KS규정에 만족하는 성능을 보였다. 2)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축 내장재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개발 건축 내장재는 열전도율이 평균 20°C 온도에서 0.115W/m·K로 순수한 맥섬석에 비하여 3배 열전도율이 상승하면서 재료의 단열성능이 저하되었다. 제 5장의 결론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함유한 건축 재료가 갖는 부가기능 중 열적특성을 비롯한 에너지와 연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험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바닥용 레미탈과 맥섬석 레미탈의 에너지 특성실험 (1) 바닥용 레미탈(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레미탈, 이하 바닥용 레미탈로 칭함) 및 맥섬석 레미탈(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포함된 레미탈, 이하 맥섬석 레미탈로 칭함)에 대한 압축 및 인장강도 시험결과 골재로 다공질인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사용함으로서 맥섬석 레미탈이 낮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맥섬석 레미탈의 압축강도가 KS규격에서 필요로 하는 품질수준 이상을 나타낸 것으로 볼 때 모래 대신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골재로 사용하여도 강도측면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방사에너지로 계산된 에너지효율은 맥섬석 레미탈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일에너지를 공급할 경우 맥섬석 레미탈이 바닥용 레미탈 보다 에너지효율이 높으므로, 에너지 공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할 수 있다. (3) 축열실험결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맥섬석 레미탈이 원적외선 가열효과에 의해 일반 바닥용 레미탈보다 더 높은 온도분포를 나타내었다. (4)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맥섬석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재료인 황토, 옥, 견운모 등을 사용하여 맥섬석 레미탈을 제조할 경우에도 에너지효율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열전도율 측정결과, 맥섬석 레미탈이 바닥용 레미탈보다 열전도율이 낮다. 이것은 맥섬석 레미탈의 재료구조가 다공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바닥용 레미탈 보다 실표면적이 넓어 원적외선 방사율은 표면적에 비례한 만큼 높다. 따라서 바닥용 레미탈에 비하여 맥섬석 레미탈의 우수한 축열성, 원적외선 고방사에 의해 에너지절약효과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실내마감재의 적절한 공법 등에 의하여 좀더 높은 에너지효율 상승, 에너지절감 및 인체 유용성 부여 등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2) 주거 공간 내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맥섬석 레미탈의 에너지특성 (1) 온도분포는 원적외선 방사재료를 사용하였을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평균예측응답(PMV)은 6 case 모두 쾌적한 권장값 범위내에 포함되며, 주벽을 원적외선 고방사 박막도포제로 마감 처리한 경우가 가장 쾌적한 열환경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바닥 및 주벽에 시공함으로서 2차복사열과 전도열에 의해서 쾌적감이 유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3) 실험 모델 내에서의 상하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체적가중평균 수직공기온도 분포는 시험재료 모두 상하온도차가 작은 바닥 복사난방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온 및 고온 환경에서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함유한 맥섬석 레미탈이 가장 작은 온도차를 나타내고 있다. 원적외선 물질을 사용할 경우 복사에너지에 의해 내부공기가 가열되어 실내공간내의 상하온도차가 적게 나타나며, 이러한 원적외선 복사난방은 층고가 높은 산업용 건물의 난방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4) 주벽면 온도는 상온 및 고온 환경에서 바닥용 레미탈에 바닥 및 주벽까지 맥섬석 박막 도포제를 시공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벽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였다. 원적외선 복사난방은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공간의 주벽, 물건의 접촉면적을 우선 가열시키며, 2차적으로 전도·대류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게 됨으로서 주거공간 내에서 각 벽면에 대해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5) 바닥 및 주벽면에 맥섬석 박막처리를 한 경우가 우수한 열환경을 나타내었으며, 맥섬석 레미탈과 유사한 경향의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박막시공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바닥면과 최소 피복두께가 2㎛이상으로 시공되어야 하지만, 입자간 공극 등을 고려할 때 1㎜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실내공간에서의 주벽 및 공간온도를 이용하여 열효율을 평가한 결과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사용한 재료가 약 4~7% 정도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기 에너지거동에 대한 실험결과는 금번 실험조건을 근간으로 평가한 것으로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방사율이나, 측정환경의 온도 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도 있다. (7) 상온 및 고온영역에서 열환경 시험을 수행한 결과 모래를 사용한 바닥용 레미탈 보다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함유한 맥섬석 레미탈 및 박막시료가 더 높은 열 환경 분포를 나타내었다. 특히 원적외선 방사효과에 의한 복사에너지에 의해 공간내 온도차가 적게 나타내는 등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사용함으로서 주거 공간 내에서 쾌적감을 느끼며 에너지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accomplished a theory and an experiment to apply the macsumsuk weapon materials with the antibacterial function to emit far infrared rays and an anion to the field of energy saving, pro-environment and non-inflammable building materials in the study of the book and got the following conclusion 1. As a result of having investigated ability for heavy metal removal of macsumsuk materials, approximately 99% adsorbed approximately 99%, the Cd after progress for six hours six hours later, and the Pb was removed. However, in the case of As, ability for removal was low generally. 2. It produced non-inflammable panels in macsumsuk materials, and it was judged to the first grade superior at all the result incombustibility that measured intensity and oxygen index density by the load, and incombustibility was good so that a content of macsumsuk was high. 3. It produced arson tiles with macsumsuk. I was not able to find the above in conditions more than 240 hours in a low temperature examination in -20°C, and a very excellent result was measured at 0.01g that the abrasion related test result resistant was better than the standard value. Absorption factor and the specific thermal conductivity price are 5.5%, 0.732(W/m·K), and cutting intensity and compression intensity were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than 5,000(N/㎠) more than 500(N/㎠). The medicine characteristics were excellent, too. Therefore, it was confirmed with a product to satisfy as an arson tile enough. 4. We developed materials on the ceiling deadline to use for materials, a dry process wall body in flaming retardant architecture internal organs materials using macsumsuk on the wall body deadline. I carried out bending breaking test, an impact test, an incombustible examination, a flame-related examination, a thermal conductivity examination, a far infrared rays-releasing examination, an antibacterial examination, an anion examination by KS rule in these construction materials. 1) To the first grade associate; showed incombustibility to do and performance to be satisfied with KS rule in a flame-related examination. 2) As for the developed building fixings, a thermal conductivity is 0.115W/m·K at an average of 20°C temperature. 5. We got the conclusion such as one result next by heat properties and the energy saving experiment of building materials including macsumsuk. 1) An energy properties experiment of floor remital and macsumsuk remital (1) Compression for floor remital and the macsumsuk remital and tensile strength test result macsumsuk remital showed low intensity. However, it was judged a far infrared rays emission material from aggregate with there not being a problem in intensity as a substitute for sand taken as having shown higher than quality standard that compression intensity of the macsumsuk remital needed in KS standard even if I used it. (2) Because macsumsuk remital was better, energy efficiency which I calculated by radiant energy appeared. Therefore, it is expected when it supplies the same energy because macsumsuk remital is higher in energy efficiency than floor remital by can let you draw energy supply time. 2) It is energy properties of the macsumsuk remital by the temperature change in house space (1) As fo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case using far infrared rays emission materials emerged more highly. (2) If a comfortable price was heated, in mean predictive answer (PMV), all 6 case was included, and the case that processed a wall with a far infrared rays emission film coating agent showed heat environment comfortable most. This is because a niceness feeling is maintained by second radiant heat and fall heat by constructing a far infrared rays emission material on floor and the wall. (3) A case with M film processing as floor and a wall surface showed excellent heat environment and showed macsumsuk remital and effect of a similar tendency. Floor and wall macsumsuk remital thickness must perform it than 2um to get IR radiation effect by the film construction in this way, but it is judged with must do it than 1㎜ a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cavities between the particle. (4) Because there was approximately 4-7% of energy cost reduction, the materials using the result far infrared rays emission material which evaluated heat efficiency using wall in the room space and space temperature appeared. However, the result for the energy behavior mentioned above is judged from the result that I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condition with that there can be a difference a little by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emittance of the far infrared rays emission material and the measurement environment.

      •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곽성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연구의 개요)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전공 곽 성 근 지 도 교 수 이 영 균 빠른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증가로 생활양식의 변화와 수준 향상뿐만 아니라 고령화, 개인주의화,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국민들의 행정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로 인한 업무부담은 공무원 중에서도 지역주민들과 직접 접촉하면서 민원행정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들에게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 공무원의 태도와 역량은 국민에 대한 공공서비스의 질과 양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어떻게 하면 공직생활에 애착을 갖고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공익가치 실현에 기여하게 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들의 PSM과 조직몰입의 관계, PSM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 내재적 동기와 조직몰입의 관계, 내재적 동기가 PSM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복지업무의 팽창으로 사회복지직 공무원이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사회복지직과 일반행정직 공무원 간 PSM, 내재적 동기,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공무원의 PSM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공무원의 PSM은 내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공무원의 내재적 동기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공무원의 내재적 동기는 PSM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하는 효과를 가질 것인가? 다섯째, 사회복지직과 일반행정직 공무원 간 PSM, 내재적 동기,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위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내 9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 48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SM의 공익헌신은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SM의 자기희생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희생이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PSM의 공익헌신과 자기희생은 내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가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내재적 동기는 PSM이 규범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속적 몰입에는 매개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직과 일반행정직 공무원 간 PSM, 내재적 동기, 조직몰입에 서로 차이가 있는지를 t-test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SM의 자기희생은 사회복지직이 낮은 것으로, 공익헌신은 두 직렬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동기는 사회복지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의 지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두 직렬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정서적 몰입은 사회복지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방공무원의 조직몰입 수준 제고를 위해 PSM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채용 단계에서 인·적성 검사 및 면접전형 평가항목에 대한 충실성을 강화하고 결과의 실질적인 반영을 통해 PSM수준이 높은 공무원을 선발하여야 한다. 입직 후에는 공공가치와 공직 태도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지방공무원의 PSM과 내재적 동기를 조화롭게 증진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PSM과 내재적 동기는 서로 지지하고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두 요소를 함께 고려하는 것은 공무원들의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지방공무원의 내재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내재적 동기가 유발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율성이므로 공무원들에게 더 많은 권한을 위임하는 등 직무에 대한 자율성을 확대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직 공무원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배려한 조직몰입(정서적 몰입) 향상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전문성 향상을 위한 특화된 교육을 시행하고, 업무부담 해소를 위해 적정 규모의 인원충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다른 지역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들의 PSM, 내재적 동기, 조직몰입으로 일반화하여 적용하기가 어렵다. 둘째, ‘PSM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조사가 아닌 설문 문항만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셋째, 조직몰입에 미치는 변수를 PSM과 내재적 동기로 한정하면서 공무원 조직의 특성, 조직문화, 인적자원관리 방법 등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넷째, 다양한 직렬의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조직구조를 단순 집단화하여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정밀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비교 대상 직렬을 더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업무부담이 적고 제도개혁 이전의 연금 혜택을 받게 되는 장기재직 공무원의 경우 지속적 몰입을 변수로 채택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업무량의 급증과 연금 혜택의 축소로 실질임금이 떨어지게 된 신규 공무원들에 대해서는 지속적 몰입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그 추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공공봉사동기(PSM), 조직몰입, 내재적 동기, 직무동기, 사회복지직

      • 김언희 시의 그로테스크 연구

        곽성근 조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grotesque aspects of Kim Eon-hee’s poems Kwak, Seong-Kun Advisor. Prof. Shin, Hyeong-Cheol Ph.D Department of Literaure & Creation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rotesque aesthetic system of the modern poems appearing in poems of Un-Hee Kim who is a Korean modern female poet. As for grotesque, the concept,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theory were analyz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3rd chapter, Kim’s poems were analyzed in 3 aspects, eroticism, imagination on the body, and critique on sexual repression of women. Also, grotesque in Kim’s poems was examined in the 4th chapter. Accusation of gender based violence, attitude toward reality, sexuality and violence, death, and the dissolution of humanity were categorized into grotesque aesthetics and were analyzed. Findings showed that poems written by Un-Hee Kim challenged typical femininity and sexuality. In addition, her poems resisted and fought against self-identity in the suppressed environment. Repressed women were described and their sex were expressed as filth and a corpse. Men including Kim’s father who threatened her. Additionally, a woman was portrayed a person who could menace the existing social order and aroused fear. In particular, blood, filth, a corpse, and rotting things etc. frequently emerging in Kim’s poems represented negative reality and a poetic narrator facing negative reality. Through these things, the grotesque of fear and disgust was strongly expressed. Some female poets and male poets thought that Kim’s poems expressed resentment toward several beings who severely maltreated a woman’s body. On top of that, they thought that the hostility of taking revenge on beings mistreating a woman’s body was represented in Kim’s poems. These characterize Kim’s poem. Kim’s poems are more or less exaggeratedly expressed with distorted expressions. Kim depicted shapes which do not easily empathize with. However, it was found that Kim refused a negative situation, and pursued autonomous femininity and humanity. There is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because only Kim’s poems were examined in the grotesque aesthetic system, which caused the quantitative limitation of interpreting poems. It is expected that grotesque aesthetics will be shedded light on in various respects if future studies cover grotesque aesthetics focusing on a wide range of features such as laugh, satire, and aesthetic thing itself as well as a female, and repression of the reality’s situation. 본 논문에서는 그로테스크 미학체계를 한국 현대 여성시인 김언희 시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원래 그로테스코(grotesco)란 보통의 그림에는 어울리지 않는 장소를 장식하기 위한 색다른 의장(意匠)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괴기한 것, 극도로 부자연한 것, 흉측하고 우스꽝스러운 것’ 등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된다. 김언희 시에서는 여러 종류의 비정상성이 재현되는데, 이를 끔찍하고 과장되게 표현하는 것은 그의 시 전체를 관통하는 주된 방법론이다. 이러한 방법의 저변에는 젠더 구획의 폭력성, 여성에게 가해지는 가혹한 성적 억압, 이로 인한 인간성의 해체 등에 대한 비판 정신이 깔려 있다. 이러한 주제의식을 그로테스크 미학의 관점에서 분석해보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다. 그로테스크 미학의 관점에서 작품에 접근한다는 것은 작품이 기괴하고 공포스럽다는 반응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시인이 그런 표현으로 무엇을 말하려고 애쓰고 있는지, 독자 편에서 느끼는 불쾌감 배후의 본질이 무엇인지 등을 사유한다는 것이다. 김언희의 시는 격렬하게 그로테스크하다. 오물과 시체 등의 묘사는 여성의 신체에 가해진 가학적 억압을 폭로하고 이에 응전하겠다는 시인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더 나아가서 오랫동안 가정돼 온 인간의 주체성과 인간성의 권위를 의심하고 이에 대한 독자의 반성을 촉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초기 시집 『트렁크』에서는 보다 성적인 요소가 승하고 특히 그 대상이 권위와 억압의 상징인 아버지였다면, 근래의 시집인 『요즘 우울하십니까』에 이르러서는 인간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시들이 여성의 신체를 둘러싼 그로테스크한 외적 묘사가 주를 이루었다면, 현재는 현실 그 자체의 그로테스크한 면모에 집중하고 현실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촉발하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변모는 시인의 자기 성찰적 진화의 과정 속에서 세계관이 폭넓게 변해 왔다는 것을 뜻하며, 외형의 그로테스크에서 본질의 크로테스크로의 변화는 그로테스크 미학의 본질 자체에 내재돼 있는 방향성과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1장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선행연구사를 검토했으며 그로테스크의 개념, 역사적 전개 양상, 특징 등을 개관하여 연구의 시각을 제시했다. 2장에서는 김언희 시의 그로테스크한 양상이 몸에 대한 가학적 상상력을 표현하고 있다는 취지 아래 그 상상력을 범주화했다. 신체의 기계화를 통해 표현된 억압, 다양한 감각들을 동원한 신체 훼손 및 부패, 사디즘과 마조히즘의 상상력 등이 그것이다. 3장에서는 김언희 시에서 그로테스크의 미학적 효과를 분석하였는데 이를 젠더 폭력, 성과 죽음, 인간성의 해체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 체육수업에서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수용의지 : 체육교사의 연령별 비교

        곽성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가 체육수업에서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수용의지에 미치는 요인들을 기술수용모델(TAM)을 통해 알아보고, 이러한 원인들이 연령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체육수업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수업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20·30대 105명, 40대 이상 110명을 편의표본추출법 추출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답변이 누락된 16부를 제외한 총 199부를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모형의 적합성 여부와 기술수용모델(TAM) 구성 요인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연령을 20·30대 집단과 40대 이상 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교사효능감과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으로 구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희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정방향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정방향의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수용의지에 정방향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지에 역방향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령에 따른 조절효과는 역방향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효능감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희성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정방향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possible antecedents to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regards to the use of smart device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adition,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antecedents of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ert different influence based on their age and self-efficacy level. This study would be able to provide basic knowledge on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 use in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E teachers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ungi-do area.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5 PE teachers who were in 20s and 30s and 110 PE teachers in 40s. Out of the 215 collected questionnaires, 16 were excluded due to incomplete answers. Thus, total of 199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es. Both SPSS and AMOS were utilized for the data analys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latent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and fit of the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and self-efficac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to 20s-30s and 40s and low/high level of self-efficacy for multi-group analyses.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level of enjoyment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he level of innovativenes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ease of us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Fourth,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Fifth,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and perceived ease of use.

      • 건물 내·외장 재료의 복사·반사 특성에 관한 연구 : 맥섬석 재료를 중심으로

        곽성근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맥섬석 재료를 타일, 과립, 분체 등의 소요대상으로 가공하여 제품을 제조하였으며, 건물외피재료의 열․수분의 이동과 복사반사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맥섬석이 가지고 있는 다공성의 성질을 이용한 미네랄 용출 및 물리화학적 활성에 의한 흡착작용을 활용하여 중금속 제거능력, 맥섬석을 이용한 제품의 자외선의 차단율, 원적외선 방사율 등의 과학적으로 입증된 효능이 입증되었다. 2. 맥섬석은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실험결과는 92.2%와 방사에너지 3.55×10²(W/m2․㎛)로 확인되었다. 원적외선은 인체에 가장 유익한 파장대인 기존의 5㎛∼20㎛ 수치보다는 높은 6㎛∼14㎛이 약 80%이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3. 맥섬석 시료에 대하여 확산반사율, 수직반사율을 측정한 결과, 맥섬석은 8㎛이하의 단파장측으로 확산반사성이 현저하고, 8㎛이상의 장파장측으로 흡수대의 존재에 의한 수직반사율이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확산반사율 및 수직반사율의 측정결과를 4유속이론을 이용하여 정리하였으며, 흡수계수, 산란계수, 굴절율의 거동이 명확하게 되었다. 또한 흡수계수 및 산란계수의 파장의존성에 관해 온도의존성을 함수로 표시하였다. 또한 분산식의 파라메터의 온도의존성을 함수로 표시하였다. 4. 건물 외피소재의 일사반사 특성에 미치는 표면구조의 영향에 관해서는 수직으로 입사되는 경우에는 거의 일정한 값이 되므로 반사강도의 변화는 입사각에 의존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향성반사는 경면반사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실험 및 수치해석으로 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수치해석에 의한 반사특성에 미치는 표면구조의 영향평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5. 맥섬석에서 방사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타일재를 44시간 건조하여 타일재층내의 건조를 지배하는 복사의 감쇄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밴드패스 휠터를 채용한 광학장치를 사용하여 타일재 건조층의 확산계수를 구하였다. 구한 확산계수를 4유속이론을 사용하여 감쇄계수를 계산하고 건조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원적외선에 의한 타일재의 건조이론을 확립하였다. 수치해석으로 구한 감쇄계수는 파장의존성이 적었으며, 그 값은 전 파장에 걸쳐서 5×105∼106m-1정도이었다. 이 얻어진 값은 열복사식의 계수로써 계산으로 사용할 수 있다. 6. 보수성재료의 열 및 수분수송에 관한 물성치(비열․열전도율․투수계수․습기전도율)를 측정하여 열과 수분의 동시 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건조과정에의 재료내부의 열과 수분의 이동을 해석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한 결과, 재료표면부터 건조하기 시작해서 서서히 내부의 함수율이 저하하고 있어 재료내부의 수분이동을 표현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옥외실측과 같이 측정개시 직후의 증발속도가 특히 크고, 증발속도의 감소에 수반하여 증발효율이 내려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SLAM을 위한 IMU센서의 정확도 향상 알고리즘 개발

        곽성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동로봇의 효과적인 자율주행을 위해서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로봇이 주변 환경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할 경우 제한된 공간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거나, 최적의 이동 경로를 찾아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로봇의 위치 추정을 바탕으로 간단한 격자지도 생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GPS의 사용이 불가한 실내에서 MEMS형 3축 가속도 센서와 3축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시행한다. 실험에 사용할 이동 로봇을 직접 제작하여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 초음파 센서를 함께 사용하여 환경 인식, 자율 주행과 환경 지도 작성을 하였다. 본 논문은 보다 정확한 위치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MEMS 센서의 특징인 제로 드리프트 에러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보정하는 알고리즘과 칼만 필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확장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이동로봇의 보다 정확한 위치 추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In order to drive in efficient autonomous navig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e robot. In case of that the mobile robot recognized insufficient surrounding environment, it would not escape from restricted locations or find an optimal path. For that reason, it needs to be performed the mission of environment recognition. In this thesis, we have produce a robot with accelerometer, gyroscope, PSD and sonar sensor etc. for experiment. we present a method for correcting zero drift error(:caused by Micro Electros Mechanical System character) for autonomous ground mobile robot. In order to do that we developed mathematical model for the error. It allows the autonomous mobile robot navigation by applying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sensors and create an environment map based on that. On top of that we applied EKF for the accurate estimation of position and orientation the mobile rob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