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곽병욱 순천향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에 들어와서 점차적으로 창의적 인재육성과 관련하여 영재교육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영재 교육이 내실을 다지면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올바른 영재교육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영재교육의 대상이 되는 영재들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판별 도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정확한 판별 없이 영재교육을 시행한다면 교육의 대상이 애초부터 잘못 정해지는 오류가 생기기 때문이다. 미국 교육부에서는 영재의 재능을 여러 분야로 나누어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영재교육을 수학이나 과학 분야에서만 주로 접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분위기에 부합하여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영재 판별 도구 개발은 주로 수학이나 과학 분야 등에서만 이루어져왔다. 반면, 인문 분야에서는 영재성을 판별할 수 있는 도구에 대한 개발이 상대적으로 매우 빈약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문학 영재에 대한 판별 도구의 개발은 전무(全無)하다 할 수 있다. 문학 영재에 대한 필요성이 주창된 이후, 문학 영재에 대한 판별 도구의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는 현상길의 ‘문예 창작 영재 판별 도구 개발’이 유일하다. 하지만 현상길의 연구는 영재를 구체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한 것이 아니므로, 실제적으로 문학 창작 분야에 있어 영재를 판별하는 도구가 개발된 것은 아직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유독 인문 관련 영재에 대한 연구가 취약한 이유는, 인문 영재는 과학 영재나 수학 영재 등과는 다르게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21세기는 문화 관련 산업이 급부상하는 시대이다. 그 중에서도 ‘해리포터’의 성공이 원작 소설의 성공에서 비롯되었음을 상기할 때, 문학 영재에 대한 교육을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문학 영재 판별 도구의 개발은 상당히 시급하고 중요한 영재교육계의 현안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문학 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에 그 중점을 두고자 한다. 그렇기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학 영재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기초하여 문학적으로 뛰어난 능력을 지닌 영재들을 판별할 수 있는 문학 영재 판별 도구를 개발하여, 검사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문학 영재성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고찰하면 문학 영재성이 풍부한 어휘력, 상황에 적절한 어휘의 사용, 뛰어난 표현력, 뛰어난 이해력, 뛰어난 유머감각, 비유의 사용, 은유의 사용, 운율의 사용, 역설의 사용, 대구의 사용 등과 같은 능력과 연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 영재를 정의하면, 문학 영재는 풍부한 어휘력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상황에 적절하게 사용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해력이 뛰어나고 유머감각이 있으며, 여러 가지 표현(비유, 은유, 운율, 역설, 대구 등)에 능숙한 능력을 보이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잘 살펴보면 문학 영재성이 크게 문학 이해 능력과 문학 표현 능력의 두 차원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문학 영재는 문학에 대한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이 뛰어나 문학적으로 창의적이고 탁월한 성취를 보였거나, 또는 그러한 성취를 나타낼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사람을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개발된 문학 영재 판별 도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상은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이며, 본 검사는 1차 판별 도구로 5% 이내의 문학 영재를 선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둘째, 본 문학 영재 판별 검사는 문학 이해 능력과 문학 표현 능력을 판별하나, 문학 영재성의 실현은 문학 작품이라는 창작 결과물이 있어야 하므로 이해 능력 보다는 표현 능력에 보다 중점을 두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실제 활용을 목적으로 하므로, 채점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문제마다 예시 답을 두어 주관적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면서 객관적으로 평가를 돕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문학 영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 문항에 따라 해결 여부 정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문제가 지나치게 어렵다거나 쉽지 않게 문항에 대한 수정과 보완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문항에 대한 채점은 연구자 스스로 판단하여 채점을 하였기에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이 다분히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전문가들이 토의를 거쳐 보다 객관적인 채점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學校暴力 實態 分析에 관한 硏究 : 서울의 中.高生을 對象으로

        곽병욱 中央大學校 行政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Once in the past, everyone seemed to experience the problem and severity of school violence directly or indirectly.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such a hypothesis that since the modality of school violence is different by student's ages, the method of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of it must be discriminately applied.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ual difference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violence with study subjec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nt the logical base for the method of preventing school violence in advance, preventing its reoccurrence, and effectively rooting out it.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500 boy and girl students at 3 middle and high schools within the jurisdiction of G Education Office of and N Education Office, Seoul. Study subjects were sampled in consideration of school years. Data were statistically computeriz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In order to examine demographic feature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the current status of violence, namely doing harm and being damaged, was examined with crosstabulation-oriented x2 (chi-squar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s for the proportion of experiencing school violence, middle school boy students were highest. Boy students experienced school violence more than girl students did.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more than high school students did. However, the extent of experience was not different by genders and schools. In other words, although there was difference in frequency,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irst, the perceptual extent of severity of violence of school surroundings was not different by genders. In case of boy students, 'very severe' was less than 'not severe at all'. In case of girl students, 'very severe' was more than 'not severe at all'. This finding seems to somewhat reflect the fact that recently girl students' school violence has increased.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erceptual severity of violence of school surroundings between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reporting it and who did not. Among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reporting it, the frequency of students who perceived the violence severely was more than that of students who perceived the violence ordinary. However, among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reporting it, students who perceived the violence ordinary were highest. And the frequency of students who did not perceive the violence severely was more than that of students who perceived the violence severely.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eason of not reporting school viol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s for the reasons of 'afraid of retaliation' and 'do not know how to report',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as for whether there was a violence circle or not, among 407 respondents (total 423, no response 16), only 119 (29.2%)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unish school violence circles more severely. If there is no school violence circle, personal school violence or group ostracizing among students must be intensively handled. Fourth,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erceptual severity of violence of school surroundings by the existence of school violence circles or not. When there was a school violence circle, students perceived school violence more severely. School violence is resulted in the composite function of students, families, schools and social factors and it is difficult to be settled down in a short time. However, if the government presents a definite direction of policy and a practical strategy of realizing the policy and carries out it consistently,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will have confidence and take part in the effort of settling down school violence. 학교폭력의 문제와 그에 대한 심각성은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서 한번쯤은 접해봤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형태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 역시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는 생각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연계하여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실태를 규명하고 어떠한 방법이 학교폭력을 사전에 예방하고 재발을 방지하며,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근절시켜 나갈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G교육청, N교육청 관내 3개 중ㆍ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집을 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년을 고려하여 조사대상을 표집하고 남ㆍ여 500명의 학생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폭력실태 즉 집단별 피해 및 가해여부는 교차분석에 의한 x2(카이스퀘어 검정)를 실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을 경험한 비율은 중학교 남학생이 가장 높았고,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고등학생 보다는 중학생이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성별에 따라 또는 학교에 따라 피해 경험자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은 검증되지 않았다. 즉, 빈도 상의 차이는 있지만 그 차이가 의미 있을 정도로 크지는 않다는 것을 의미했다. 첫째, 성별에 따라 학교주변폭력의 심각성 인식 정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는 ‘전혀 심각하지 않다’보다 ‘매우 심각하다’가 적은 반면, 여성의 경우는 ‘전혀 심각하지 않다’보다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더 높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최근 여학생들이 학교폭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약간이나마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신고해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과 없는 학생들 간의 학교주변 폭력의 심각성 인식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특히 신고해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 중 심각하다는 인식을 한 학생의 빈도가 보통이라고 생각한 학생들 보다 많았지만, 신고해 보지 않은 학생들은 보통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심각하다는 인식보다 심각하지 않은 편이라는 응답이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의 학교폭력을 신고하지 않은 이유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특히 ‘보복이 두려워서’와 ‘어떻게 신고할지를 몰라서’라는 응답은 고등학생들이 중학생들에 비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폭력써클 유무에 대한 응답은 423명 중 무응답 16명을 제외하고, 407명 중 119명(407명 중 29.2%)만이 있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학교 내 폭력써클에 대한 보다 강력한 처벌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실제 폭력써클이 없다 하더라도 일반 학생들 간의 개인적 학교폭력이나 집단따돌림 같은 현상에 대해서도 보다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넷째, 학교 내 폭력써클 존재여부에 따라 학교주변폭력의 심각성 인식이 차이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특히 폭력써클이 존재하는 경우 더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학교폭력의 문제는 학생뿐만 아니라 가정・학교 및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단기간의 노력으로 해결되기는 어렵다. 그러나 정부가 뚜렷한 정책 방향과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일관성 있게 추진할 때 사회 각 층이 신뢰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그 해결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게 될 것이다.

      • 창업가역량이 창업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곽병욱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창업가역량이 창업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논문 제출자 곽 병 욱 지 도 교 수 양 영 석 창업기업 중 대다수가 처음 창업을 도전하기 때문에 생존도 어렵고 경영성과를 만드는데 더 큰 어려움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이의 해결 대안으로 창업가의 본원적인 역량을 보완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업멘토링 강화 에 지원정책의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이의 효과 창출이 중대한 시대적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로 창업가역량이 창업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창업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첫째, 창업가역량, 창업멘토링, 창업성과와 경영성과 에 대한 고찰, 둘째, 창업가역량에 따른 창업성과와 경영성과의 영향관계 연 구, 셋째, 창업멘토링의 창업가역량과 기업성과에 대한 조절효과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의 개인적, 사회적, 전문적 역량 은 창업기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창업 기업의 창업성과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창업멘토링은 창업가역량과 창업성과와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 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기존 선행연구 대비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하고 있다. 첫째, 국내외 정책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해 창업가 자체에 초점을 둔 본원적인 창업가의 역량에 대하여 재정의 하고, 둘째, 창업멘토링을 창업행동모델의 구성 요소로 설정하여 연구하였으며, 셋째, 선행연구들에서 창업기업의 성과를 경영성과에 국한되어 평가했던 것을 창업기업의 초기창업 성과와 기업의 전반 적인 경영의 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의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창업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한 창업지원사업의 실효성 있는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둘째, 창업멘토링 효과의 유의성을 입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핵심어: 창업, 창업가역량, 창업멘토링, 창업성과, 경영성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